[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42975B1 -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975B1
KR100242975B1 KR1019970013726A KR19970013726A KR100242975B1 KR 100242975 B1 KR100242975 B1 KR 100242975B1 KR 1019970013726 A KR1019970013726 A KR 1019970013726A KR 19970013726 A KR19970013726 A KR 19970013726A KR 100242975 B1 KR100242975 B1 KR 10024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hassis
sliding
coupled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852A (ko
Inventor
주윤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975B1/ko
Priority to US09/060,379 priority patent/US6113402A/en
Publication of KR19980076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9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2Spacers not being card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29Housings for circuits carrying a CPU and adapted to receive expansion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섀시에 회로기판이 슬라이딩운동에 의해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이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이동부재, 가이드리브, 한쌍의 커넥터, 잠금부재, 회동각도 제한부재를 포함한다. 미끄럼이동부재는 회로기판에 결합된다. 가이드리브는 섀시에 형성되고, 미끄럼이동부재와 결합되어 미끄럼이동부재가 회로기판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안내한다. 한쌍의 커넥터는 섀시 내부의 일정한 위치와 그에 대응되는 회로기판의 내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의 장착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 잠금부재는 섀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섀시에 회로기판이 장착되었을 때 미끄럼이동부재와 결합되며, 섀시로부터 회로기판을 분리한다. 회동각도 제한부재는 회로기판이 섀시에 장착되었을 때 잠금부재가 미끄럼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를 갖도록 회로기판을 섀시에 결합시킬 때의 잠금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터의 마더보드(Mother Board)등과 같이 전자제품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이 미끄럼이동방식에 의하여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컴퓨터(10)와 같은 전자제품의 하우징(12) 내부에는 섀시(14)가 조립되고, 그 섀시(14)상의 정해진 위치에는 컴퓨터의 경우 전원공급장치(16), 하드디스크드라이브(18) 또는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22), CD-ROM드라이브(20)와 같이 해당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섀시(14)의 상면에는 상기 각 부품이 갖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24)이 장착된다.
한편, 컴퓨터에서의 마더보드와 같은 회로기판(24)은 컴퓨터의 기능을 계속 업그레이드(Up-grade)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컴퓨터(10)의 경우에는 그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기적으로 회로기판(24)을 분리해야만 되고, 컴퓨터이외의 다른 전자제품에서는 사용중 회로기판(24)에서의 고장발생에 따라 회로기판(24)을 수리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회로기판(24)의 분리 및 수리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섀시(14)에 대한 회로기판(24)의 장착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종래 회로기판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일 예로서, 컴퓨터에서의 회로기판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인 바, 컴퓨터(10)를 구성하는 섀시(14)의 상면의 정해진 위치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수의 체결보스(도시되지 않음)가 돌출되고, 상기 체결보스에 회로기판(24)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그 회로기판(24)의 상방으로부터 스크류(26)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구조에서는 섀시(14)의 상면에 회로기판(24)을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회로기판(24)의 상방으로부터 작업자가 여러개의 스크류(26)를 체결보스에 맞추어 일일이 체결해야 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조립성이 매우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고, 특히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같이 사용중 기능의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자주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회로기판과 같은 경우에는 그 교체작업성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제3도는 종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회로기판(24)이 그 저면의 섀시(14)에 대하여 미끄럼이동되면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24)의 저면에는 외측단에 걸림부(28a)를 갖는 미끄럼이동수단(28)이 그 장착방향을 따라 결합되고, 섀시(14)의 외측단 소정 위치에는 잠금홈(30a)을 갖는 잠금레버(30)가 제자리에서 회동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잠금수단(30)은 미끄럼이동수단(28)이 진입동작할 때 상기 걸림부(28a)에 걸려 정해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28)을 잠궈주어 회로기판(24)이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의 회동되면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28) 및 회로기판(24)을 자동적으로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에서는 상기 잠금레버(30)가 단순히 섀시(14)상의 한점에서 회동축(30b)에 의해서만 임의 회동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섀시(14)가 기울어지는 경우, 잠금레버(30) 위치가 상기 미끄럼이동수단(28)과의 걸림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회로기판(24)을 장착하기 위하여 미끄럼이동수단(28)을 슬라이딩시킬 때마다 일일이 상기 잠금레버(30)를 정확한 위치로 재조정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경우에는 회로기판(24)이 섀시(14)상에 장착될 때, 상기 잠금레버(30)를 고정시키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잠금레버(30)의 임의적인 이탈로 인하여 회로기판(24)의 장착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로기판이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섀시상에서 미끄럼이동되면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하되, 그 미끄럼이동동작이 별도의 예비동작없이 보다 정확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로기판의 조립성 및 분리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회로기판 장착장치가 컴퓨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수단과 미끄럼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섀시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섀시상에 장착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동작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섀시상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섀시상에 장착된 회로기판을 분리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섀시(Chassis) 24 : 회로기판
40 : 미끄럼이동수단 42 : 몸체부
44 : 스커트부 48 : 걸림부
50 : 가이드수단 52 : 가이드채널
54 : 가이드리브 60 : 잠금수단
64 : 레버 70,70' : 커넥터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섀시에 회로기판이 슬라이딩운동에 의해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을 제공한다. 이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이동수단과; 상기 섀시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섀시 내부의 일정한 위치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한쌍의 커넥터와; 상기 섀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섀시에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섀시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잠금수단 및;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섀시에 결합시킬 때의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과 상기 섀시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은 저면에 슬라이딩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보스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면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결합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의 안쪽 모서리부에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내측단부분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결합부를 갖는 편형의 레버와; 상기 레버상의 결합부로부터 상기 레버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회로기판의 장착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의 걸림부가 끼워지는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잠금수단 저면의 일정한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의 회동끝점에 해당되는 상기 섀시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회동각도 제한수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형성되는 회동안내핀 및;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범위에 해당되도록 상기 섀시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안내핀이 결합되는 회동안내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회로기판(24)이 슬라이드방식에 의하여 장착 또는 분리되게 하는 미끄럼이동수단(40)과,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의 슬라이드동작이 보다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수단(50)과, 상기 섀시(14)상에 설치되어 미끄럼이동수단(40)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장착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잠금수단(60)과, 상기 회로기판(24)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커넥터(70)(70')(제6도 참조) 및 잠금수단(60)이 잠금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임의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는 상기 회로기판(24)이 상기 섀시(14)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잠금수단(60)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과 결합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회로기판(24)을 상기 섀시(14)에 결합시킬 때의 상기 잠금수단(6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은 회로기판(24)과는 별도로 제작되고, 그 회로기판(24)의 저면에서 그 회로기판(24)의 장착방향에 맞추어 스크류(26)에 의하여 고정·결합되며, 회로기판(24)의 사이즈에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수단(50)은 회로기판(24)의 장착부위에 해당되는 섀시(14)의 상면 및 양측벽상에서 회로기판(24)의 장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로기판(24)의 저면에 결합되는 미끄럼이동수단(40)이 복수개일 경우라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60)은 섀시(1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수단(50)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수단의 중심선을 약간 벗어난 위치에 해당되는 섀시(14)의 외측 가장자리부근의 상면에서 제자리 회동되게 결합되며, 직선이동되는 미끄럼이동수단(40)과의 접촉에 의하여 연동되어 일정 각도범위에서 정·역궤적운동하면서 회로기판(24)을 장착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서 미끄럼이동수단(40)은 저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깊이의 요홈(42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보스(42b)가 일정 간격으로 돌설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편형의 몸체부(42)와, 상기 몸체부(42)의 좌·우측면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는 스커트부(44)와, 상기 몸체부(42)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의 안쪽 모서리부에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홈(46)이 형성된 걸림부(48)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잠금수단(60)은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내측 단부분에는 장착공(62a)이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결합부(62)를 갖는 편형의 레버(64)와, 상기 결합부(62)로부터 그 레버(64)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66)와, 상기 돌출부(66)의 외측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되는 접촉부(66a)와, 상기 결합부(62)의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회로기판(24)의 장착시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걸림부(48)가 끼워지는 잠금홈(68)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상기의 잠금수단(60)에서 상기 결합부(62)의 저면 소정 위치로부터는 일정높이의 회동안내핀(62b)이 돌설되고, 상기 회동안내핀(62b)의 회동범위에 해당되는 섀시(14)의 상면에는 일정한 각도범위에 걸쳐 회동안내공(14a)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안내핀(62b)와 상기 회동안내공(14a)는 상기 회로기판(24)이 상기 섀시(14)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잠금수단(60)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과 결합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회로기판(24)을 상기 섀시(14)에 결합시킬 때의 상기 잠금수단(6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64)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고정돌기(82)가, 그 고정돌기(82)의 회동 끝점에 해당되는 섀시(14)의 면상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고정홈(8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4)의 상면에는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스커트부(44)가 끼워지는 가이드채널(52)이 회로기판(24)의 장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섀시(14)의 양측벽 내면의 소정 높이에는 회로기판(24)의 양측단이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리브(54)가 상기 가이드채널(52)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장착장치가 컴퓨터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컴퓨터를 구성하는 섀시(14)의 내부 일측의 후방에는 전원공급장치(16) 및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18)가 설치되고, 전방에는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FDD:22) 및 CD-ROM드라이브(20)가 장착되는 한편, 상기 섀시(14)의 내부 반대쪽에는 회로기판(24)이, 상기 회로기판(24)의 상방에는 다수 매의 옵션카드(24a)가 그 회로기판(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확장슬롯(28)에 끼워져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컴퓨터의 회로기판의 장착구조에서 상기 회로기판(24)이 장착되는 섀시(14)의 상면에는 가이드수단(50)을 구성하는 가이드채널(52)이 회로기판(24)의 장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섀시(14)의 외측 가장자리 부근의 상면 소정 위치에는 잠금수단(60)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로기판(24)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채널(52)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미끄럼이동수단(40)이 고정·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제7도는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수단과 미끄럼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가이드수단(50)을 구성하는 상기 가이드채널(52)은 중심선의 좌·우측에 해당되는 섀시(14)의 바닥면 일부가 일정한 길이로 절개되고, 그 절개된 부분이 윗쪽으로 절곡되는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채널(52)의 내부에는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 및 스커트부(44)가 그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미끄럼이동수단(40)과 가이드수단(50)의 결합구조에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의 저면에는 가이드채널(52)의 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최소화되면서 회로기판(24)의 장착 및 분리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42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회로기판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마더보드와 같은 회로기판이 섀시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섀시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컴퓨터의 마더보드와 같은 회로기판(24)을 섀시(14)상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회로기판(24)의 저면에 장착된 미끄럼이동수단(40)의 내측단과 회로기판(24)의 양측단부를 각각 섀시(14)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52) 및 섀시(14)의 양측벽상에 설치된 가이드리브(54)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내측으로 밀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와 스커트부(44)가 상기 가이드채널(52)을 따라 안쪽으로 미끄럼이동된다.
이와 같이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와 스커트부(44)가 섀시(1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42)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걸림부(48)가 그 이동끝점에 거의 도달된 상태로부터는 상기 섀시(14)상에 설치된 잠금수단(60)의 돌출부(66)와 접촉부(66a)와 맞닿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직선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걸림부(48)가 상기 돌출부(66) 및 접촉부(66a)와 맞닿은 상태에서 직선이동되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60)의 결합부(62)와 레버(64)가 섀시(14)의 상면에 형성된 회동안내공(14a)을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의 이동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의 이동이 완료되면, 회로기판(24)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커넥터(70)가 섀시(14)의 내측 소정 위치에 설치된 커넥터(70')에 접속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부(42)의 외측단에 형성된 걸림부(48)가 상기 잠금수단(60)을 구성하는 결합부(62)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잠금홈(68)에 끼워지고, 상기 결합부(62)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6)의 선단부 및 접촉부(66a)가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상의 만곡홈(46)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중 상기 잠금수단(60)의 잠금방향으로의 회동은 그 저면의 회동안내핀(62b)과 섀시(14)상에 형성된 회동안내공(14a)의 상호 안내작용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잠금수단(60)이 잠금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상태에서는 고정수단(80)을 구성하는 고정돌기(82)가 상기 섀시(14)상에 형성된 고정홈(84) 끼워지는 동작에 의하여 고정됨에 따라 상기 레버(64)가 역방향으로 임의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회로기판(24)이 섀시(14)상에 장착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 및 스커트(44)부가 섀시(14)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채널(52)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결합된 상태는 상기 가이드수단(50)을 구성하는 레버(64)상의 잠금홈(68)에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걸림부(48)가 끼워져 걸리는 동작과 상기 레버(64)상의 고정돌기(82)가 섀시(14)상의 고정홈(84)에 끼워져 걸리는 동작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와 같은 장착상태로부터 회로기판(24)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상기 레버(64)의 외측단을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면,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고정돌기(82)가 섀시(14)상이 고정홈(84)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잠금수단(60) 전체가 회로기판(24)을 장착할 때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잠금수단(60)의 회동에 따라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걸림부(48)가 잠금수단(60)을 구성하는 돌출부(66) 및 접촉부(66a)의 회동힘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밀려나고, 그 작용힘에 의하여 회로기판(24)상의 커넥터(70)가 섀시(14) 내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커넥터(70')에 접속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이탈되면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회로기판(24)이 돌출된 부분을 잡고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40)을 구성하는 몸체부(42) 및 스커트부(44)가 섀시(14)상에 형성된 가이드채널(52) 및 가이드리브(54)를 따라 미끄럼이동되어 완전분리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24)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다른 기능을 추가하여 업그레이드시키거나 부품의 고장부분을 수리 또는 교체한 후에 다시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전자제품에서 회로기판의 장착동작이 회로기판의 저면에 결합된 미끄럼이동수단의 슬라이딩작용과 섀시상에 설치된 잠금수단의 래치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된 회로기판 장착장치에서 상기 잠금수단이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정·역궤적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잠금수단의 결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상에 접촉부가 절곡·형상되어 미끄럼이동수단을 구성하는 걸림부와 맞닿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의 장착동작이 보다 정확하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잠금수단의 잠방향으로의 회동이 완료되었을 때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잠금수단이 역방향으로 임의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류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제품에서 회로기판의 장착 및 분리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Claims (6)

  1. 전자제품의 섀시에 회로기판이 슬라이딩운동에 의해서 장착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이동수단과; 상기 섀시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슬라이딩방향으로 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섀시 내부의 일정한 위치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회로기판의 내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시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하는 한쌍의 커넥터와; 상기 섀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섀시에 상기 회로기판이 장착되었을 때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섀시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을 분리하기 위한 잠금수단 및;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잠금수단이 상기 미끄럼이동수단과 결합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섀시에 결합시킬 때의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에 장착되었을 때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잠금수단과 상기 섀시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은 저면에 슬라이딩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요홈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회로기판이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보스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좌·우측면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리브와 결합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의 안쪽 모서리부에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수단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내측단부분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상대적으로 넓은 결합부를 갖는 편형의 레버와; 상기 레버상의 결합부로부터 상기 레버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절곡·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측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회로기판의 장착시 상기 미끄럼이동수단의 걸림부가 끼워지는 잠금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잠금수단 저면의 일정한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의 회동끝점에 해당되는 상기 섀시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각도 제한수단은 상기 잠금수단에 형성되는 회동안내핀 및; 상기 잠금수단의 회동범위에 해당되도록 상기 섀시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안내핀이 결합되는 회동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KR1019970013726A 1997-04-15 1997-04-15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4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726A KR100242975B1 (ko) 1997-04-15 1997-04-15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US09/060,379 US6113402A (en) 1997-04-15 1998-04-15 Structure for mounting printed circuit board in an electronic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726A KR100242975B1 (ko) 1997-04-15 1997-04-15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852A KR19980076852A (ko) 1998-11-16
KR100242975B1 true KR100242975B1 (ko) 2000-02-01

Family

ID=1950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42975B1 (ko) 1997-04-15 1997-04-15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13402A (ko)
KR (1) KR1002429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8449A (ja) * 2001-06-04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6956746B2 (en) * 2003-06-20 2005-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system with a movable printed circuit assembly
KR100475574B1 (ko) * 2003-06-23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JP4651592B2 (ja) * 2006-08-18 2011-03-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のpiu挿抜機構
US7539021B2 (en) * 2007-10-16 2009-05-26 Inventec Corporation Retention device
CN101662912B (zh) * 2008-08-29 2012-01-1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路板旋转定位结构
TWM478982U (zh) * 2013-11-18 2014-05-21 Gigazone Int Co Ltd 承載架及機箱
TWI626527B (zh) * 2017-05-12 2018-06-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擴充卡卡匣及擴充卡機箱集成
JP6683670B2 (ja) * 2017-11-21 2020-04-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ック機構
EP3633787B1 (en) * 2018-10-02 2022-02-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One-hand mounting system for fixing an antenna module on a vehicle
TWM603661U (zh) * 2020-07-23 2020-11-01 瑞傳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機板省力抽拔結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8413A (en) * 1985-12-18 1986-12-09 Ncr Corporation Card cassette ejector apparatus
EP0369025B1 (en) * 1988-04-30 1994-06-22 Fujitsu Limited Printed board unit inserting and withdrawing mechanism for electronic circuit devices
JP2598662Y2 (ja) * 1992-09-03 1999-08-1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用レバー
JPH0785645A (ja) * 1993-09-20 1995-03-31 Sony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シャーシー構造
US5428507A (en) * 1994-04-22 1995-06-27 Louis R. Chatel Front panels for rack-mounted printed circuit boards
FR2719740B1 (fr) * 1994-05-06 1996-06-21 Schneider Electric Sa Dispositif d'automatisation modulaire.
JP3023868B2 (ja) * 1994-11-18 2000-03-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結合式コネクタ
US5692208A (en) * 1995-04-07 1997-11-2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ever apparatus for an ejector mechanism in a personal computer
US5668696A (en) * 1995-07-10 1997-09-16 Dell Usa, L.P. Carrier-based mounting structure for computer peripheral chassis
US5558528A (en) * 1995-11-13 1996-09-2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with ejector
US5853297A (en) * 1996-06-19 1998-12-29 Distributed Processing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planar and nearly co-planar printed circuit board extension docking system
US5781417A (en) * 1996-06-27 1998-07-14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ircuit board retainer
US5848906A (en) * 1997-02-07 1998-12-15 Silicon Graphics, Inc. Loading and placement device for connecting circuit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3402A (en) 2000-09-05
KR1998007685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975B1 (ko) 전자제품의 회로기판 장착장치
KR100247513B1 (ko) 컴퓨터의 섀시 어셈블리
US8582287B2 (en) Drive carrier with pivoting handle
US7445493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conductor
US6129429A (en) Rack serviceable computer chassis assembly
US7758133B2 (en) Mounting assembly for side panel of computer enclosure
US7382610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EP0834880B1 (en) Arrangement for mounting a subsystem unit
US6272005B1 (en) Apparatus for removably mounting a system component in a computer
US7841565B2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s
KR20010052256A (ko) 회로 카드 삽입 및 제거 시스템
US6320752B1 (en) Fixing apparatus for a mounting type card member
US20030210529A1 (en) Computer enclosure with snap-on bezel
US20100270450A1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KR100465787B1 (ko) 휴대용컴퓨터
US7224588B2 (en) Card guide and method for use in guiding circuit board with respect to chassis
US6879484B2 (en) Pivotal frame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of electronic device
US6404651B1 (en) Computer expansion card shield retention device
KR10029959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2001035613A (ja)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KR200182171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케이스 고정장치
US20040201974A1 (en) Keyboard mounting system
US6336819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nnector removal preventing device
US6643140B2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KR100361858B1 (ko) 배선기구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