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9059B1 -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059B1
KR100239059B1 KR1019970020810A KR19970020810A KR100239059B1 KR 100239059 B1 KR100239059 B1 KR 100239059B1 KR 1019970020810 A KR1019970020810 A KR 1019970020810A KR 19970020810 A KR19970020810 A KR 19970020810A KR 100239059 B1 KR100239059 B1 KR 10023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state
standby
pba
redund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889A (ko
Inventor
권환우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2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04Q1/22Automat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2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6Prevention of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하면 이중화로 구성된 다른 한 개의 PBA 보드는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고 있으며, 만약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호처리하는 도중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 하고 있던 다른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이중화로 구성된 두 개의 PBA 보드가 액티브/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기전에 카운터기에 의해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될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하므로 이중화로 구성된 PBA 보드가 동시에 스탠바이 상태나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에러가 발생한 PBA 보드를 탈/실장시에 스탠바이 상태와 액티브 상태가 서로 바뀌는 불안정한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분산 제어 구조를 갖는 전전자 교환기(Full Electronic Telephone Exchange)의 이중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PBA(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이하, PBA라 약칭함) 보드에 카운터기를 이용하여 액티브/스탠바이 모드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산제어 구조를 갖는 전전자 교환기는 특성상 각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해 교환기내에 IPC 망을 갖고 있는데, 특히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인 경우에는 이중화로 구성되고, 노드와의 IPC 경로도 크로스 링크(Cross Link) 형태를 취하고 있다.
즉, 소프트웨어의 단순화, 프로그래밍에 걸리는 시간의 절약, 실시간 시스템 요구에 따른 부합성, 신속한 검출로 인한 복구의 철저성, 소프트웨어 복구의 단순화등을 위해 이중화 형태로 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이중화로 구성된 A,B 쪽(Side)에 따라 초기전원 인가시 어느 한쪽은 액티브 모드로 되고, 나머지 한쪽은 스탠바이 모드로 운용되는데, 액티브 모드로 된 쪽이 모든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로서, A-Side(1) 및 제어부(2)와, B-Side(3)를 구비한다.
A-Side(1)는 도시되지 않은 파워 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자신의 상태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때, B-Side(3)는 액티브 상태로 동작을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한다.
제어부(2)는 A-Side(1)와 B-Side(3)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PBA 보드가 갑자기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되고,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다른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호처리 트래픽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이하에서 상태도의 동작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파워 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A-Side(1)와 B-Side(3)는 동시에 전원이 온(ON)된다.(200)
도 2에 도시된 상태도를 A-Side(1)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A-Side(1)에 전원이 인가되면 A-Side(1)는 제어부(2)의 초기화 명령 제어에 의해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된다.(201)
이렇게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고 있을 때, B-Side(3)에서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B-Side(3)는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면, A-Side(1)는 이러한 액티브 신호를 입력받고 계속적으로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한다.(203)
반면에 B-Side(3)에서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B-Side(3)는 시스템 장애에 의해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면, A-Side(1)는 이러한 스탠바이 신호를 입력받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다.(202)
A-Side(1)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어 동작(204)함에 따라 호처리 트래픽을 수행하는데, B-Side(3)에서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B-Side(3)는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다시 전송하면, A-Side(1)는 이러한 스탠바이 신호를 입력받고 호처리 트래픽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205)
이렇게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하는 도중에 갑자기 B-Side(3)에서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B-Side(3)는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면, A-Side(1)는 이러한 액티브 신호를 입력받거나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 액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된다.(20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은 전원이 오프(OFF)상태에서 다시 온(ON)상태로 전환될 때, 순간적인 신호의 불안정한 상태에의해 A-Side(1)와 B-Side(3)가 동시에 스탠바이 상태나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는 문제점과, 에러가 발생한 PBA 보드를 탈/실장시에 순간적으로 실장한 PBA 보드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을 해야 하는데 액티브 상태로 동작을 하여 액티브 상태인 보드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중화로 구성된 두 개의 PBA 보드중 에러가 발생한 PBA 보드를 탈/실장시 순간적으로 스탠바이에서 액티브로 전환되는 불안정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하는 단계와;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면 이중화로 구성된 다른 한 개의 PBA 보드는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하는 단계와; 액티브 상태인 PBA 보드가 호처리하는 도중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 하고 있던 PBA 보드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와; 이중화로 구성된 두 개의 PBA 보드가 액티브/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기전에 카운터기에 의해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될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초기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Side20 : 제어부
30 : B-Side40 : 카운터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의 블록 구성도로서, A-Side(10)와, 제어부(20)와, B-Side(30)와, 카운터기(40)로 구성된다.
A-Side(10)는 도시되지 않은 파워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카운터기(40)에서 일정시간까지 초기화 상태로 대기한후, 바로 제어부(20)의 초기화 명령에 의해 자신의 상태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시킨다.
이때, B-Side(30)는 액티브 상태로 동작을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한다.
제어부(20)는 A-Side(10)와 B-Side(3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고,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 PBA보드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할 수 있게 제어하며, 스탠바이로 대기하고 있던 또 다른 PBA(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이하, PBA라 약칭함) 보드가 액티브로 전환할 수 있게 제어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카운터기(40)는 도시되지 않은 파워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카운터값으로 될 때까지 일정시간 유지하게하여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되게 한다.
도 4는 도 3의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상태도로서, 이하에서 상태도의 동작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파워 팩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400) 초기 리셋 신호에 의해 카운터를 초기화(401)하고,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카운터기(40)가 동작하며, 클럭에 의해 업 카운을 시작한다.
카운터기(40)는 정해져 있는 일정시간까지 카운터한후(403)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되면(402) 제어기(20)의 제어에 따라 A-Side(10)를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시킨다.(404)
이때, B-Side(30)의 PBA 보드는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는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B-Side(30)가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면, A-Side(10)는 이러한 액티브 신호를 전송받고 스탠바이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다.(405)
또한, B-Side(3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B-Side(30)는 시스테의 장애에 따라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전송하면, A-Side(10)는 이러한 스탠바이 신호를 입력받고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다.(406)
이렇게 액티브 상태(407)로 전환된 A-Side(10)는 호처리 트래픽을 계속적으로 수행할때,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B-Side(30)가 스탠바이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가 입력되면, A-Side(10)는 이러한 스탠바이 신호를 입력받고 호처리 트래픽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408)
호처리 트래픽을 수행도중 갑자기 B-Side(30)에서 액티브로 동작하고 있다는 출력 신호를 제어부(2)의 제어에 따라 전송되면, A-Side(10)는 이러한 액티브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현재 자신의 상태가 고장일 경우에 액티브 상태에서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된다.(409)
결론적으로, 이중화로 구성된 A-Side(10)와 B-Side(30)사이에 카운터기(40)를 이용하여 초기 전원이 인가된 직후 바로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될때까지 일정시간 경과후에 스탠바이 상태로 천이되므로 안정되고 정확한 이중화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초기 전원 온/오프시 카운터기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한후에 동작되므로 이중화로 구성된 PBA 보드가 동시에 스탠바이 상태나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에러가 발생한 PBA 보드를 탈/실장시에 스탠바이 상태와 액티브 상태가 서로 바뀌는 불안정한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중화로 구성된 두 개의 PBA 보드가 서로 스탠바이 상태와 액티브 상태를 필요에 의해 전환되는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로 구성된 두 개의 PBA 보드가 상기 액티브/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기전에 카운터기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의 모든 신호가 안정될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초기화 단계;
    상기 카운터기의 업 카운값이 일정하게 정해진 값이 되면 어느 하나의 PBA 보드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PBA 보드가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하면 상기 이중화로 구성된 다른 한 개의 PBA 보드는 상기 액티브 상태로 동작하여 호처리 트래픽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 상태인 상기 PBA 보드가 호처리하는 도중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 상기 스탠바이 상태로 대기 하고 있던 상기 PBA 보드가 상기 액티브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KR1019970020810A 1997-05-27 1997-05-27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3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10A KR100239059B1 (ko) 1997-05-27 1997-05-27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10A KR100239059B1 (ko) 1997-05-27 1997-05-27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889A KR19980084889A (ko) 1998-12-05
KR100239059B1 true KR100239059B1 (ko) 2000-01-15

Family

ID=1950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8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9059B1 (ko) 1997-05-27 1997-05-27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14A (ko) * 2001-08-17 2003-02-25 류정현 트래픽분산 및 게이트웨이 스위치 기능을 갖는 고장허용유무선 랜 라우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88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059B1 (ko)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제어 방법
JP2760164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197447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노드 이중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0247419B1 (ko) 길치 제거 회로를 이용한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제어 방법
JPH11163790A (ja) 光信号切替装置
KR100825458B1 (ko) 기지국 제어장치 망동기 보드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 보드장치
KR100364780B1 (ko) 통신 시스템의 정상회로 선택 장치
KR100448218B1 (ko) 이중화 보드 시스템 및 그의 이중화 보드 절체 방법
KR100239062B1 (ko) 전전자 교환기내 디바이스 제어 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498906B1 (ko) 사이드 정보를 이용한 이중화된 모듈간의 안정된 스위칭제어회로
KR100324280B1 (ko) 교환 시스템에서 프로세서의 제어버스 이중화시 오동작 방지방법
KR200183008Y1 (ko) 근거리 정보 통신망 시스템의 통신망 자동복구장치
JPH04322138A (ja) 交流電力供給システム
JPH0721136A (ja) 二重構成信号処理装置
KR19990059294A (ko)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스위칭 시스템
JP2935206B2 (ja) 伝送端局装置の切替回路
KR100233903B1 (ko) 이중화 액티브/스탠바이 결정 방법 및 회로
JPH0375807A (ja) 基準時間割り込み方式
KR0146966B1 (ko) 링 발생기의 혼합 이중화방법
KR100208281B1 (ko)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하위프로세서
JPH05158725A (ja) 切替装置
JP2000083043A (ja) 電源制御方法
KR20010028126A (ko) 교환기의 프로세서 보드별 크로스 이중화 장치
KR19980063455U (ko) 파일롯 생성 블록의 이중화 장치
JPS631229A (ja) 電気機器の電源保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10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10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