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243B1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8243B1 KR100238243B1 KR1019970015006A KR19970015006A KR100238243B1 KR 100238243 B1 KR100238243 B1 KR 100238243B1 KR 1019970015006 A KR1019970015006 A KR 1019970015006A KR 19970015006 A KR19970015006 A KR 19970015006A KR 100238243 B1 KR100238243 B1 KR 1002382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cell
- signal
- cell array
- block
- self refre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5—In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refresh, e.g. hidden refresh, self refresh, pseudo-SRAM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4—Power supply or voltage generation circuits, e.g. bias voltage generators, substrate voltage generators, back-up power, power control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785—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 G11C29/787—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ndancy programming schemes using a fuse hierarch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4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2211/406—Refreshing of dynamic cells
- G11C2211/4065—Low level details of refresh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Description
PDISO1 PSRAS PSIOSL0 BLS0 | PISO0R |
L L L L | VPP |
L L L H | VPP |
L L H L | VPP |
L L H H | VPP |
L H L L | VPP |
L H L H | VPP |
L H H L | VCC |
L H H H | VPP |
H L L L | VSS |
H L L H | VSS |
H L H L | VSS |
H L H H | VSS |
H H L L | VSS |
H H L H | VSS |
H H H L | VSS |
H H H H | VSS |
Claims (24)
-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와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원 단자들; 복수의 비트라인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비트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두 비트라인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비트라인과 상기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 중에서 해당되는 센싱 증폭부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되는 비트라인과 상기 해당되는 센싱 증폭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리 소자들; 각각, 상기 복수의 분리 소자를 제어하는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리 소자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소자 제어 회로는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바뀔 때에만 소정의 레벨로 상태가 전환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은 또한 각각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되는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두 비트라인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소자들은 각각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어 있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단자는 승압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소자 제어 회로는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워드 라인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을 번갈아 가지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가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전원 단자 전압 레벨을 일정하게 가지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가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또한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가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원 단자 전압 레벨을 가지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소자 제어 회로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만 액티브 되는 신호를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 수단;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액티브 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와, 상기 해당되는 블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를 가지는 블록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원 전압 레벨과 상기 제 2 전원 전압 레벨로 상태가 변화하고,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접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전원 전압 레벨의 상태가 되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접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를 소정 기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부; 및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에 따라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래치 하여 출력하는 플립 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플롭은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와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논리 곱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NOR 게이트; 및 상기 제 1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이를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로서 상기 출력 단자로 출력하는 제 2 NOR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는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와 자가 리프레쉬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NAND 게이트; 상기 제 1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상기 블록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3 인버터;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래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 및 상기 제 2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2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이를 상기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3 NAND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래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NAND 게이트; 상기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NOR 게이트; 상기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노드의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의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 3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어 있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 3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어 있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상기 드레인 단자로부터 상기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 및 로 블록 리던던시 회로를 구비하고,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은 각각, 제 1, 제 2, 및 제 3 전원 단자들; 복수의 비트라인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비트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두 비트라인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 각각,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비트라인과 상기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 중에서 해당되는 센싱 증폭부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되는 비트라인과 상기 해당되는 센싱 증폭부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리 소자들; 상기 다수의 메모리 셀들 중에서 결함이 발생한 메모리 셀에 해당되는 로 어드레스를 인식하여 해당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를 액티브 시키어 출력하는 퓨즈 회로; 각각, 상기 퓨즈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 리던던시 신호에 따라 복수의 분리 소자를 제어하는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리 소자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소자 제어 회로는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바뀔 때에만 소정의 레벨로 상태가 전환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증폭부들은 또한 각각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되는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에서 해당되는 두 비트라인들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소자들은 각각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어 있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 단자는 승압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들 각각에 해당되는 상기 퓨즈 회로들로부터 출력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들에 따라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는 상기 퓨즈 회로들로부터 출력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들을 입력하여 이들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만 하이 레벨로 액티브 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 감지부; 및 상기 로 리던던시 신호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결함이 발생한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로 리던던시 회로로서 상기 결함이 발생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에 대하여 사용되어 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의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리셋하기 위한 래치 리셋 펄스를 출력하는 래치 리셋 펄스 신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리셋 펄스 신호 발생기는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 1 지연부; 상기 제 1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제 2 지연부; 상기 제 2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상기 제 1 인버터로부터 출력하는 신호, 및 상기 제 1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NAND 게이트; 상기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래치 리셋 펄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2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소자 제어 회로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만 액티브 되는 신호를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래치 수단;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액티브 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와, 상기 해당되는 블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변화하는 상태를 가지는 블록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중에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전원 전압 레벨과 상기 제 2 전원 전압 레벨로 상태가 변화하고,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접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3 전원 전압 레벨의 상태가 되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인접한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이 선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원 전압 레벨을 가지는 신호를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를 소정 기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 1 지연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하는 상기 퓨즈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 리던던시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소정 기간 지연하여 출력하는 제 2 지연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여 출력하는 제 1 AND 게이트; 상기 제 1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여 출력하는 제 2 AND 게이트; 상기 제 2 지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1 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NOR 게이트; 상기 제 2 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상기 퓨즈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NOR 게이트; 상기 제 2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상기 제 1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상기 래치 리셋 펄스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래치 리셋 펄스 신호, 및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하여 이에 따라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래치 하여 출력하는 플립 플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는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의 블록 선택 어드레스와 자가 리프레쉬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NAND 게이트; 상기 제 1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2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상기 블록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3 인버터;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래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제 2 NAND 게이트; 및 상기 제 2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제 2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이를 상기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3 NAND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래치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곱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NAND 게이트; 상기 NAND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블록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합하고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NOR 게이트; 상기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하여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노드의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노드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의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2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 3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어 있는 제 1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와 상기 제 3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NOR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게이팅되어 있는 제 2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3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3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4 P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의 블록 선택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분리 소자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제 3 NMOS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전원 단자에 소오스 단자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4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에 드레인 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P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상기 드레인 단자로부터 상기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자가 리프레쉬 동작 방법은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를 액티브 시키는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후에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해당되는 블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단계; 상기 블록 선택 단계 후에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진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액티브 시키고 나머지 블록에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들은 넌액티브시키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 발생 단계; 상기 블록 선택 단계를 통하여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있어서는 제 1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과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을 사이클 주기에 따라 교대로 가지는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에 있어서는, 제 3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리 소자 제어 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후에 발생된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들에 따라 해당되는 분리 소자들을 제어하고, 상기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고 있는 메모리 셀들이 접속되어 있는 워드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면서 메모리 셀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리프레쉬 하는 자가 리프레쉬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방법.
- 블록 리던던시와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자가 리프레쉬 동작 방법은 자가 리프레쉬 동작 모드에서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를 액티브 시키는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상기 자가 리프레쉬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후에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 각각에 해당되는 블록 선택 어드레스에 따라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을 선택하는 블록 선택 단계;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을 구성하고 있는 메모리 셀들 중에서 결함이 발생한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를 액티브 시키는 로 리던던시 신호 발생 단계; 상기 로 리던던시 신호 발생 단계 후에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해당되는 로 리던던시 신호들 중에 어느 하나라도 액티브 되어 있으면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를 액티브 시키는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후에 상기 로 리던던시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로 리던던시 신호에 따라, 상기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되어 진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를 액티브 시키고 나머지 블록에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들에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들은 넌액티브시키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 발생 단계; 상기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 발생 단계 후에, 해당되는 자가 리프레쉬 블록 선택 신호에 따라 자가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있어서는 제 1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과 제 2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을 교대로 가지는 해당되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고,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록에 인접한 메모리 셀 어레이에 있어서는, 제 3 전원 단자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리 소자 제어 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 발생 단계 후에 발생된 분리 소자 인에이블 신호들에 따라 해당되는 분리 소자들을 제어하고, 해당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구성하고 있는 메모리 셀들이 접속되어 있는 워드 라인들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 시키면서 메모리 셀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리프레쉬 하는 자가 리프레쉬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006A KR100238243B1 (ko) | 1997-04-22 | 1997-04-22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006A KR100238243B1 (ko) | 1997-04-22 | 1997-04-22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7765A KR19980077765A (ko) | 1998-11-16 |
KR100238243B1 true KR100238243B1 (ko) | 2000-01-15 |
Family
ID=1950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50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8243B1 (ko) | 1997-04-22 | 1997-04-22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82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2397B1 (ko) * | 1999-11-12 | 2006-05-23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전력소모를 줄인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리던던시회로 |
KR100757936B1 (ko) * | 2006-09-25 | 2007-09-11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제어 회로 |
-
1997
- 1997-04-22 KR KR1019970015006A patent/KR10023824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7765A (ko)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12442A (en) | Forced substrate test mode for packaged integrated circuits | |
US5754486A (en) | Self-test circuit for memory integrated circuits | |
US5905688A (en) | Auto power down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US4766572A (en) |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bypassable data output latch | |
US6504783B2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early operation high voltage generator and high voltage supplying method therefor | |
JPH0969300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6335895B1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 |
US5808955A (en) |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including sub-word line drivers and related methods | |
US7106644B2 (en) |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burn-in test | |
US5696721A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row decoder with level translator for driving a word line voltage above and below an operating supply voltage range | |
KR100297717B1 (ko) | 반도체메모리의입출력선프리차아지회로및이를사용하는반도체메모리 | |
KR100203208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5428576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screening the same | |
JPH0612896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US5774405A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having an internal circuit using a boosted potential | |
US5754075A (en) | Integrated circuits including power supply booste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 |
US6996000B2 (en) | Non-volatile ferroelectric SRAM | |
KR100248687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KR100438237B1 (ko) | 테스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 |
KR100238243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방법 | |
KR100302424B1 (ko) | 논리하이브리드메모리용반도체메모리 | |
KR0154755B1 (ko) | 가변플레이트전압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 |
US4870620A (en)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with internal refresh | |
GB2296593A (en) | Boosting voltage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0192586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전류 센스앰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10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9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