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7561B1 -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7561B1
KR100237561B1 KR1019950025551A KR19950025551A KR100237561B1 KR 100237561 B1 KR100237561 B1 KR 100237561B1 KR 1019950025551 A KR1019950025551 A KR 1019950025551A KR 19950025551 A KR19950025551 A KR 19950025551A KR 100237561 B1 KR100237561 B1 KR 10023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bjective lens
focus
recording medium
relative 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397A (ko
Inventor
한석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561B1/ko
Publication of KR97001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5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커스 서브 재인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포커싱을 실패하는 경우 초기동작부터 재시도함으로써 포커싱시간으로 지연되는 일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포커스의 인입 동작중에서 바닥으로 끌어내리는 초기화동작을 없애고 포커스가 이탈된 상태에서 바로 포커스 인입동작을 하도록하여 고속 포커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스크 재생장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광학픽업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 광검지기의 분할 영역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4분할 광검지기에 입사한 광량 분포도.
제5도는 제2도에 있어서,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실린드리칼 렌즈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포커스 서보 재인입 장치 구성도.
제7도는 제6도에서,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의 상세회로도.
제8도는 제6도에 대한 입출력 파형도.
제9도는 본 발명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2 : 광학픽업
3 : 스핀들 모터 4 : 모터 구동부
6 : 서보부 7 : 픽업 구동부
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9 : 증폭/필터부
10 : 시스템 콘트롤러 11 :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
본 발명의 포커싱 실패시 대물렌즈를 초기위치로 떨어뜨리지 않고 현재의 대물렌즈 위치를 검출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포커싱서보를 제어하여 포커싱 위치를 찾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포커스가 이탈된 상태에서 바로 포커스 인입동작을 하여 고속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한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크 재생장치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1)로부처 반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광학픽업(2)과, 상기 디스크(1)의 회전 선속도를 일정하게 하기위한 스핀들 모터(3)를 제어하며, 로딩모터 및 미도시된 각종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구동부(4)와, 상기 광학픽업(2)에서 출력하는 미소한 전기적 신호를 일정 레벨의 전기적 신호로 높이기 위한 고주파 증폭부(5)와, 상기 광학픽업(2)에서 나오는 신호(A,B,C,D,E,F)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 및 트랙킹 에러신호(T.E)를 만들어 디스크의 포커싱동작 및 트랙킹과 슬레드 서보동작에 적당하도록 한 서보부(6)와, 상기 서보부(6)에서 출력하는 EFM(8-14변환)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데이터의 에러정정을 행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에 의해 디스크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서보부(6)에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부(8)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9)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증폭하고, 아울러 로우패스필터링하여 스핀들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필터부(90와, 상기 서보부(6)로부터의 트랙킹 에러(T.E) 및 포커스에러(F.E), 슬레드신호를 받아 광학 픽업(2)의 포커싱, 트랙킹, 슬레드 서보를 제어하기 위한 픽업 구동부(7)와, 상기 디지털신호 처리부(8)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및 각종 신호와 외부로부터의 스위치 입력에 따라 필요한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콘트롤러(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픽업(2)의 구성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2-1)로부터 발산된 레이저광을 입사받아 트랙킹용 서브빔을 만들어주는 회절격자(2-2)와, 이 회절격자(2-2)를 통과한 광을 광디스크면(1a)에 집광시켜주는 대물렌즈(2-3)와, 광디스크(1)에 반사, 회절된 광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빔 스프리터(2-4)와, 이 빔 스프리터(2-4)로부터 받은 광에서 포커스 에러검출을 위해 비점수차를 발생시켜주는 실린드리칼 렌즈(2-5)와, 이 실린드리칼 렌즈(2-5)와, 이 실린드리칼 렌즈(2-5)로부터 받은 집광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광검지기(2-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학픽업(2)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고주파신호(RF)와 광신호(A,B,C,D)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고주파신호(RF)는 일정레벨로 증폭시켜 서보부(6)로 제공하고 아울러 광신호(A,B,C,D)를 이용하여 포커스에러(F.E)와 트랙킹에러(T.E)를 구하고, 이 구한 에러를 상기 서보부(6)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서보부(6)는 입력된 포커스 에러(F.E) 및 트랙킹 에러(T.E)에 의해 디스크의 포커싱 동작, 트랙킹 동작 및 슬레드 서보동작에 적당하도록 한 구동신호(F.E, T.E, SLED)를 픽업 구동부(7)로 출력하고, 아울러 고주파신호(RF) 즉, EFM신호를 디지털신호 처리부(8)로 출력한다.
이에 상기 픽업 구동부(7)는 포커스 서보, 트랙킹 서보, 및 슬레드 서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광학 픽업(2)으로 출력하고, 디지털신호 처리부(8)는 EFM데이터를 입력되는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증폭/필터부(9) 및 시스템 콘트롤러(1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증폭/필터부(9)는 구동가능한 신호로 입력 데이터에 대해 증폭 및 필터링하여 모터 구동부(4)로 출력하여 스핀들 모터(3) 및 미도시된 로딩모터를 구동하도록 하고, 시스템 콘트롤러(10)는 외부로 부터의 각종 스위치(OPEN S/W, CLOSE S/W, LIMIT S/W)에 의해 필요한 모터를 구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광학픽업(2)에 대하여 제2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레이저 다이오드(2-1)에서 나온 레이저 광을 입사받은 회절격자(2-2)는 트랙킹용 서브빔을 만들어 대물렌즈(2-3)로 보내면, 상기 대물렌즈(2-3)에 의해 광디스크(1a)에 집속된다.
이때 회절격자(2-2)에 의해 집속되는 레이저 광은 메인빔(3-5)과 두 개의 서브빔(3-5a)(3-5b)으로 되어 광디스크(1)에 집속되는데, 이중 메인빔(3-5)은 디스크면(1a)에 기록된 정보의 독취 및 포커스 에러측정(FE)에 쓰이고, 서브빔(3-5a)(3-5b)은 트랙킹 에러측정(TE)에 쓰인다.
상기 메인빔(3-5) 및 서브빔(3-5a)(3-5b)은 반사, 회절되어 빔 스프리터(2-4)로 입사되면, 상기 빔 스프리터(2-4)는 방향을 바꾸어서 실린드리칼 렌즈(2-5)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실린드리칼 렌즈(2-5)는 구면집속광이 입사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 개의 선형촛점(18)(20)이 발생되며, 그 선형촛점(18)(20) 사이에 최적촛점(19)에 생기는데, 두 선형촛점(18)(20)중 실린드리칼 렌즈(2-5)에 가까우며 길이의 방향이 렌즈 광축 a와 평행한 것 즉, 선형촛점(18)을 1차 선촛점이라 하고, 길이방향이 광축 a와 수직하며 최적촛점(19) 뒤에 생기는 것 즉, 선형촛점(20)을 2차 선촛점이라 하기도 한다.
또한, 선촛점의 길이방향이 임의의 축 a와 평행한 상태를 선촛점이 a축에 평행한 상태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드리칼 렌즈(2-5)를 통과한 레이저 광은 광검지기(2-6)에 검출용 촛점을 맺으며 입사하는데, 광검지기(2-6)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검지기(21-A,21-B,21-C,21-D)로된 4분할 검지기(21)와 트랙킹 에러신호 검지기(22-1)(22-2)로 구성되고, 상기 4분할 검지기(21)는 제4(a)도에서와 같이 4각형을 이루며 실린드리칼 렌즈(2-5)와 광축 a와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있다.
상기 대물렌즈(2-3)와 디스크면(1a) 사이의 거리가 정확한 결상거리(f)가 될 때 광검지기(2-6)는 실린드리칼 렌즈(2-5)로부터 최적 초점거리(l)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한다.
여기서, 메인빔(3-5)과 서브빔(3-5a,3-5b)에 의한 기록정보 독취 및 포커스 에러측정(FE)과 트랙킹 에러측정(TE)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커스 에러(F.E)측정은, 메인빔(3-5)이 광디스크면(1a)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대물렌즈(2-3)를 통과하여 빔 스프리터(2-4)에 집속되면, 그 집속된 반사광은 빔스프리터(2-4)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져서 비점수차 발생용 실린드리칼 렌즈(2-5)를 지나게 된다.
디스크면(1a)이 대물렌즈(2-3)로부터 정확한 결상거리(f)의 위치에 있으면 실린드리칼 렌즈(2-5)로부터 4분할 검지기(21)에 입사하는 검출용 촛점(24)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적촛점을 이룬다.
한편 디스크면(1a)과 대물렌즈(2-3)의 거리가 가까와 졌을때는 검출용 초점(24)의 모양은 제4(a)도에서와 같이 1차 선촛점의 형태에 가까와지고, 디스크면(1a)과 대물렌즈(2-3)의 거리가 멀어졌을때는 검출용 촛점(24)의 모양은 제4(c)도에서와 같이 2차 선촛점의 형태에 가까와진다.
이와같이 각각의 경우에 4분할 검지기(21)의 4개의 검지기(21-A,21-B,21-C,21-D)가 검출하는 광량은 다르며, 각 검지기가 검출하는 광량을 각기 A,B,C,D라고 하면, 포커스 에러(FE)는 FE=(A+C)-(B+D)이고, 디스크면(1a)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인 총광량(FSUM)은 FSUM=A+B+C+D로 구할 수 있다. 이는 디스크(1)에서 반사되는 빛의 총합신호이다.
또한, 트랙킹 에러는, 디스크면(1a)에 결상된 서브빔(3-5a,3-5b)은 메인빔(3-5)과 유사한 광로를 따라 광검지기(2-6)의 트랙킹 에러신호 검지기(22-1,22-2)에 트랙킹 에러신호 검지용 빔(23-1)(23-2)을 이루며 각기 결상되는데, 이때 각 검지기의 신호를 E,F라고 하면 트랙킹 에러신호(TE)는 TE=E-F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촛점을 맞추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포커싱(Focusing)을 실패하는 경우 또는 촛점위치로부터 충격등에 의하여 이탈되는 경우 재 포커싱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대물렌즈를 맨 바닥으로 당겨서 다시 실시하는 초기화 동작으로 인하여 포커싱시간이 지연되므로 고속 포커싱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커스 서보의 인입 동작중에서 바닥으로 끌어내리는 초기화동작을 없애고 포커스가 이탈된 상태에서 바로 포커스 서보 재인입동작을 하도록 하여 고속 포커싱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독출시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소정거리 이내로 재인입하도록 상기 확인된 상대위치에 따라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를 축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1)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광학픽업(2)과, 상기 광학픽업(2)에서 나오는 신호(A,B,C,D,E,F)를 이용하여 포커스 에러(F.E) 및 트랙킹 에러신호(T.E)를 만들어 디스크의 포커싱동작 및 트랙킹과 슬레드 서보동작에 적당하도록 한 서보부(6)와, 상기 서보부(6)에서 출력하는 EFM(8-14변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데이터의 에러정정을 행함과 아울러 각종 데이터에 의해 디스크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서보부(6)에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신호 처리부(8)와, 상기 디스크로부터 데이터 독출시 상기 광학픽업(2)내 대물렌즈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와, 상기 대물렌즈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소정거리 이격여부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거리만큼 이동할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포커스 오케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콘트롤러(10)와, 상기에서 소정거리 이상 이격되었을 경우 소정거리 이내로 재인입하도록 상기에서 확인된 상대위치에 따라 대물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4)와 픽업 구동부(7)로 이루어진 대물렌즈 구동 제어부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로부터 반사되는 데이터에 대한 총 광량을 나타내는 신호(FSUM)와 기준신호(Vrefl)를 비교하여 FSUM신호가 일정레벨 이상이면 FOK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11)와, 포커싱위치를 나타내는 포커스 에러신호(FE)와 기준신호(Vref2)를 비교하여 대물렌즈가 촛점위치를 기준으로 위쪽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에따른 신호(UP)를 출력하는 업-위치 검출부(112)와, 상기 포커스 에러신호(FE)와 기준신호(Vref3)를 비교하여 대물렌즈가 촛점위치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에따른 신호(DOWN)를 출력하는 다운-위치 검출부(113)와, 상기 비교기(111)의 FOK신호와 업-위치 검출부(112) 및 다운-위치 검출부(113)의 출력신호를 논리 연산하여 촛점위치에 대한 대물렌즈의 상대위치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업-다운신호 발생부(114)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1)로 기록된 데이터 재생시 시스템 콘트롤러(10)가 모터 구동부(4)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상기 모터구동부(4)는 디스크(1)의 회전 선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스핀들 모터(3) 및 로딩모터를 제어하며, 픽업 구동부(7)는 광학 픽업(2)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 즉 제8(a)도에서와 같이 광학픽업(2)의 포커스 서보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광학픽업(2)은 대물렌즈를 제어하여 디스크(1)로부터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를 변환하여 고주파 증폭부(5)로 출력하면, 상기 고주파 증폭부(5)는 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인 총 광량(FSUM)을 구하고, 그 총 광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일정레벨의 전기적 신호로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여 서보부(6)로 출력함과 아울러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로 출력한다.
그러면, 서보부(6)에서 고주파 증폭부(5)로부터 전달된 총 광량(FSUM)으로부터 포커스 에러신호(F.E)와 트랙킹 에러신호(T.E)를 각각 구하고, 그 구한 신호를 픽업 구동부(7)와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로 각각 출력한다.
이때 디스크(1)에 기록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인 총 광량(FSUM)과 포커스 에러신호(F.E) 및 트랙킹 에러신호(T.E)는 각각 종래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구한 것과 같으며, 이후의 동작과정은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총 광량(FSUM)에 해당하는 신호는 제8(b)도에서와 같고, 포커스 에러신호(F.E)는 제8(c)도에서와 같다.
상기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는, 제7도에서와 같이, 먼저 비교기(111)의 비반전단자(+)로 총광량 신호(FSUM)가 입력되고, 포커스 에러신호(FE)는 업-위치 검출부(112)와 다운-위치 검출부(113)내 비교기(COMP1)(COMP2)의 비반전단자(+) 및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된다.
이에 상기 비교기 (111)는 그의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기준신호(Vrefl)와 비교하여 디스크의 총광량신호(FSUM)가 일정레벨 이상인지를 체크하여 일정레벨 이상이면 포커스를 행할 수 있는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를 출력하는데, 이는 제8(d)도에서와 같이 상기 비교기(COMP1)의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는 총광량신호가 일정레벨 이상이면 하이상태를, 이하이면 로우상태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8(c)도에서와 같은 파형을 갖는 포커스 에러신호(FE)가 하이상태인 경우에는 업-위치 검출부(112)의 비교기(COMP1)에 의하여 제8(e)도에서와 같이 하이 상태의 업위치신호(UP)를 출력하고, 포커스 에러신호(FE)가 로우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비교기(COMP1)는 로우상태의 업위치신호를 출력하며, 마찬가지로 다운-위치검출부(113)는 비교기(COMP2)에 의하여 제8(f)도에서와 같이 포커스 에러신호(FE)가 로우상태인 경우에 비교기(COMP2)는 하이상태의 다운위치신호(DOWN)를 출력하고, 포커스 에러신호(FE)가 로우상태인 경우에 상기 비교기(COMP2)는 로우상태의 다운위치신호(DOWN)를 출력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업-위치 검출부(112)와 다운-위치 검출부(113)에서 각각 업위치신호(UP)와 다운위치신호(DOWN)를 출력하고 비교기(111)에서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를 출력하면, 이를 업-다운신호 발생부(114)의 앤드게이트 및 RS플립플롭의 논리조합을 통해 촛점위치에 대한 대물렌즈(2-3)(제2도에 도시됨)의 상대위치신호 즉, 제8(g)도에서와 같은 업-다운(UP-DOWN)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에서 상대위치신호를 시스템 콘트롤러(10)로 출력하면, 상기 시스템 콘트롤러(10)는 대물렌즈(2-3)의 상대위치를 판단하여 포커싱 위치의 아래에 있으면 초기위치로부터 업하여 포커싱 위치를 찾도록 하고, 상기 대물렌즈(2-3)가 포커싱위치의 위에 있으면 상기 대물렌즈(2-3)를 다운시켜 포커싱위치 이동시키도록 픽업 구동부(7)와 모터 구동부(4)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시스템 콘트롤러(10)는 대물렌즈(2-3)의 위치를 업,다운 위치에 따라 포커싱 위치로 이동하도록 픽업 구동부(7)로 구동신호를 보내면, 상기 픽업 구동부(7) 및 모터 구동부(4)에 의해 광학픽업(2), 스핀들 모터(3) 및 로딩모터를 구동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포커싱위치로 바로 인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동작에 대하여 제9도에 의거하여 다시한번 살펴보면, 시스템 콘트롤러(10)에서 대물렌즈 위치 확인부(11)의 비교기(111)의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를 체크하여 하이상태이면 포커싱이 정위치에 있는 것이므로 종료하고, 로우상태이면 포커싱위치가 아니므로 대물렌즈(2-3)의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상대위치가 없으면 초기위치부터 포커싱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도록 하고, 상대위치가 있으면 대물렌즈(2-3)의 위치가 포커싱위치의 위쪽에 있는지 아래쪽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위쪽에 있으면 대물렌즈(2-3)를 하강시켜 포커싱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아래쪽에 있으면 상기 대물렌즈(2-3)를 상승시켜 포커싱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후 포커스 오케이신호(FOK)와 포커스 제로크로싱신호(*FZC)가 하이상태에서 로우상태로 변하면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이도록 한다.
제9도에서 FZC는 Focus Zero Crossing신호의 약자로 대물렌즈(2-3)의 촛점위치에서 출력이 펄스로 나오게 되어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포커스의 인입동작중에서 포커싱을 실패하는 경우 포커스가 이탈된 위치에서 바로 포커스 인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포커싱을 할 때 초기화동작으로 인한 포커싱시간이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함으로써 고속의 포커싱에 적당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독출시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상 이격될 경우 소정거리 이내로 재인입하도록 상기 확인된 상대위치에 따라 대물렌즈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중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포커스 오케이신호(FOK)를 출력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상대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으로부터 포커스 에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된 포커스 에러신호의 소정레벨에 대한 정(+), 부(-)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된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3.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와 광신호를 읽어들이기 위한 대물렌즈와, 이 대물렌즈로부터 입력되는 광신호로부터 총광량(FSUM), 에러신호 등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광학픽업과, 디스크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제공하는 서보부로 구성된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 독출시 대물렌즈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태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대물렌즈 위치 확인수단과, 상기 대물렌즈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소정거리 이격여부를 검출하고, 이 검출한 거리만큼 이동할 경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출력신호 레벨에 따라 포커스 오케이신호를 출력하는 시스템 콘트롤러와, 상기에서 소정거리 이상 이격되었을 경우 소정거리 이내로 재인입하도록 상기에서 확인된 상대위치에 따라 대물렌즈의 구동을 제어하는 대물렌즈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서보 재인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대물렌즈 위치 확인수단은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총광량과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포커싱이 가능하면 포커스 오케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으로부터 검출한 포커스 에러신호의 소정레벨에 대한 정(+), 부(-) 변화를 검출하여 업신호 또는 다운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에서 검출한 레벨 변화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의 기록면의 정촛점 위치에 대한 상대위치를 판단하는 대물렌즈 상대위치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서보 재인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대물렌즈 상대위치 판단수단은 비교수단의 포커스 오케이 신호와 위치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업 또는 다운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을 각각 행하는 두 개의 앤드게이트와, 상기에서 논리곱된 신호를 각각 입력단자로 입력받고 그 입력단자에 의한 이동신호를 출력하는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서보 재인입 장치.
KR1019950025551A 1995-08-19 1995-08-19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51A KR100237561B1 (ko) 1995-08-19 1995-08-19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51A KR100237561B1 (ko) 1995-08-19 1995-08-19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397A KR970012397A (ko) 1997-03-29
KR100237561B1 true KR100237561B1 (ko) 2000-01-15

Family

ID=1942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5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7561B1 (ko) 1995-08-19 1995-08-19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5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397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32624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作動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獲得実行方法
JPS6010429A (ja) 光デイスク装置
KR20000004914A (ko) 광학식 기록재생장치
JP2006331489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51877B1 (ko) 광 픽업 장치 및 포커스 제어 방법
KR100237561B1 (ko) 포커스 서보 재인입 방법 및 장치
KR0146121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포커싱 제어방법
CN1177177A (zh) 在光盘播放器中自动控制聚焦的装置及其方法
KR200254788Y1 (ko) 광픽업 장치
JP2006147052A (ja) 光ディスク装置
KR100606671B1 (ko) 광 기록재생기의 액츄에이터 진동 방지 방법
JPH08329479A (ja) 位置検出器及び位置制御装置
JP3193865B2 (ja) 光学的記録媒体のフォーカス制御装置
KR100556478B1 (ko) 광 기록재생기의 트랙점프 방향 판별 방법, 트랙 점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441417B2 (ko)
JP3438622B2 (ja) 光ディスク用再生装置
JP2867361B2 (ja) 光ディスク装置用ピックアップ
JP278581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6103584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フォーカス引込み方式
JP2010135018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トラック位置誤差検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H0883432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8339550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用制御回路の調整方法
JPH0524568B2 (ko)
JPH1153739A (ja) 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および光学式記録再生装置
JPS6171423A (ja) 光学式デイスク再生装置のレンズ位置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8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05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199810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90430

Appeal identifier: 1998101003109

Request date: 199810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07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1001

Effective date: 199904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05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19981001

Decision date: 19990430

Appeal identifier: 1998101003109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09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