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6226B1 -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226B1
KR100236226B1 KR1019970020849A KR19970020849A KR100236226B1 KR 100236226 B1 KR100236226 B1 KR 100236226B1 KR 1019970020849 A KR1019970020849 A KR 1019970020849A KR 19970020849 A KR19970020849 A KR 19970020849A KR 100236226 B1 KR100236226 B1 KR 10023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attery
vehicle
generated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925A (ko
Inventor
유용상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2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2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2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4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response to parameters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엔진이 구동함에 따라 구동된 발전기에 의하여 밧데리의 충전 및 각 전장품, 에어컨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남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반 전자 제품용 소형 밧데리를 충전함으로써, 차량의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며, 간접적인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고, 엔진의 RPM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RPM과 발전기로부터 검출된 전류값을 연산하여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발전 가능한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보다 클 경우 일반 전자 전자 제품용 밧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밧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이 구동함에 따라 구동된 발전기에 의하여 밧데리의 충전 및 각 전장품, 에어컨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남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반 전자 제품용 소형 밧데리를 충전함으로써, 차량의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며, 간접적인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기 및 전자 장치들은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의 전기를 전원으로 하여 동작하게 되고, 또한 방전된 밧데리를 충전하게 된다.
최근에는 많은 전장품들이 차량에 탑재되는 추세이며, 차량의 발전기도 전장품들의 전기 사용량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용량을 늘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현재 차량의 전원은 엔진 정지시에는 밧데리에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다른 부하 및 엔진 시동을 걸 때 사용하며, 엔진 운전시에는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기를 생산하며 다른 전기 부하에 대응하여 남는 전기로 밧데리를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밧데리는 차량의 일부 전장품들을 구동하고, 밧데리가 만충전된 상태일 경우 전기 부하가 크지 않으므로, 발전기에서 발전할 수 있는 모든 에너지를 차량에서 소모하지 않으므로, 결국 남는 전기 에너지는 불필요하게 자연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이 구동함에 따라 구동된 발전기에 의하여 밧데리의 충전 및 각 전장품, 에어컨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남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반 전자 제품용 소형 밧데리를 충전함으로써, 차량의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며, 간접적인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밧데리 충전장치는 차량의 엔진 회전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의하여 충전하는 밧데리와;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RPM 검출부와; 상기 발전기 및 밧데리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각종 전기부하로 구성된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밧데리 및 각 전기부하에 공급하도록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검출된 전류 및 상기 RPM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RPM에 의하여 상기 발전기의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여 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기에 공급하는 충전기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구동부를 통해 입력된 전류에 의하여 소형 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밧데리 충전과정은 차량의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고, 엔진의 RPM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RPM과 발전기로부터 검출된 전류값을 연산하여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발전 가능한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보다 클 경우 일반 전자 전자 제품용 밧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밧데리 충전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밧데리 충전과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엔진102 : 발전기
103 : 밧데리104 : 전기 부하
105 : RPM 검출부 110 : 제어부
111 : 전류 센서112 ; 충전기 구동부
113 : 충전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밧데리 충전장치는 차량의 엔진(101) 회전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102)와; 상기 발전기(102)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의하여 충전하는 밧데리(103)와; 차량의 엔진(101) 회전수를 검출하는 RPM 검출부(105)와; 상기 발전기(102) 및 밧데리(103)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각종 전기부하(104)와; 상기 발전기(102)로부터 밧데리(103) 및 각 전기부하(104)에 공급하도록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111)와; 상기 전류 센서(111)로부터 검출된 전류 및 상기 RPM 검출부(105)로부터 검출된 RPM에 의하여 상기 발전기(102)의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여 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기(102)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기(113)에 공급하는 충전기 구동부(112)와; 상기 충전기 구동부(112)를 통해 입력된 전류에 의하여 소형 밧데리(103)를 충전하는 충전기(113)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밧데리 제어과정의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를 측정하고, 엔진의 RPM을 측정하는 단계와; 차량의 실제 전기부하(IL)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류와 엔진의 RPM을 통해 발전기가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IG)하는 단계와; 상기 발전 가능한 전류값(IG)에 소정의 전류값을 가산한 값(IL+A)과 차량의 실제 전기부하(IL)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IG'값이 'IL+A' 값보다 클 경우 소형 충전기를 구동하여 밧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 경우, 시동 모터(도면에 미도시)는 차량의 밧데리(10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게 된다.
차량의 엔진(101)이 구동하기 시작함에 따라 그 회전력은 발전기(102)에 전달되어 발전기(102)가 구동하게 됨으로써, 발전기(102)의 용량에 맞는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102)에서 발생된 전기는 차량에 장착된 각 전장품 및 에어컨등의 전기부하(104)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방전된 밧데리(103)를 충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발전기(102)에 의하여 밧데리(103)가 만충전되고, 전원을 필요로하는 각 전기부하(104)에 전기를 공급하고, 그 여분의 전기는 차량의 실내 일측에 구비된 충전기를 통하여 소형 밧데리를 충전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10)는 발전기(102)에서 발생된 여분의 전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먼저, 전류센서(111)를 통해 발전기(102)에서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여 차량의 실제 전기부하를 검지하고, RPM 검출부(105)를 통하여 엔진의 RPM을 검출한 후 각 검출된 전류(IL) 및 엔진의 RPM을 이용하여 현재 발전기에서 발전 가능한 전류값(IG)을 연산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10)에서는 연산된 발전 가능한 전류값(IG)과 실제 발전기(102)의 검출 전류값(IL)에 소량의 전류값(A)을 가산한 값(IG+A)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IG'값이 'IL+A' 값보다 클 경우에는 발전기(102)에서 발생된 전기가 밧데리(103)를 만충전되었고, 해당 전기부하(104)에 전기를 충분히 공급하고 남은 여분의 전류가 있다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여분의 전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충전기 구동부(112)를 제어하여 발전기(102)에서 발생된 전류를 충전기(113)에 공급함으로써, 충전기(113)에 구비된 밧데리를 충전하게 된다.
여기서 충전기(113)는 소형 카세트, 호출기등에 사용하는 일반 전자 제품용 소형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이 구동함에 따라 구동된 발전기에 의하여 밧데리의 충전 및 각 전장품, 에어컨 등에 전원을 공급하고, 남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반 전자 제품용 소형 밧데리를 충전함으로써, 차량의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하며, 간접적인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고, 엔진의 RPM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엔진의 RPM과 발전기로부터 검출된 전류값을 연산하여 발전기에 의하여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발전 가능한 전류값이 기 설정된 전류값보다 클 경우 일반 전자 제품용 밧데리를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2. 차량의 엔진 회전력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의하여 발생된 전기에 의하여 충전하는 밧데리와; 차량의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RPM 검출부와; 상기 발전기 및 밧데리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하여 구동하는 각종 전기부하로 구성된 차량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로부터 밧데리 및 각 전기부하에 공급하도록 발생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와; 상기 전류 센서로부터 검출된 전류 및 상기 RPM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RPM에 의하여 상기 발전기의 발전 가능한 전류값을 연산하여 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기에 공급하는 충전기 구동부와; 상기 충전기 구동부를 통해 입력된 전류에 의하여 소형 밧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밧데리 충전장치.
KR1019970020849A 1997-05-27 1997-05-27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49A KR100236226B1 (ko) 1997-05-27 1997-05-27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849A KR100236226B1 (ko) 1997-05-27 1997-05-27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925A KR19980084925A (ko) 1998-12-05
KR100236226B1 true KR100236226B1 (ko) 1999-12-15

Family

ID=1950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8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6226B1 (ko) 1997-05-27 1997-05-27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2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925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4661B2 (ja) 電動車両の電源制御装置
KR100758868B1 (ko) 하이브리드 카의 전원장치
CN101279602B (zh) 能按电池荷电状态恰当控制发动机转速和齿轮比的车辆系统
KR20030051262A (ko)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H10322806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補助電源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CN1292933C (zh) 电动机驱动的四轮驱动车辆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11252020B (zh) 一种能量协调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0236226B1 (ko) 차량의 밧데리 충전방법 및 장치
CN101335462A (zh) 车辆电池充电器及其操作方法
KR100232351B1 (ko) 차량의 발전기 제어방법 및 장치
JP6107550B2 (ja) 車載充電装置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JPH06121406A (ja) エンジン駆動発電装置
CN115714375A (zh) 一种微型风力蓄电直流电源系统及装置
JP2003235169A (ja) 蓄電システム及び蓄電システムを備えた車両
JPH07115708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発電制御装置
JP3389750B2 (ja) 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KR20060016455A (ko) 차량의 전원 시스템의 초기 돌입전류 제한 방법
JP2025001097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19980084926A (ko) 차량의 전기적 과부하 경보방법 및 장치
JPH06245324A (ja) 電気自動車用エンジン駆動発電機の制御装置
KR100204212B1 (ko) 자동차의 운동 에너지 흡수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84931A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경고방법 및 장치
KR100193230B1 (ko) 자동차의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Jean et al. Micro-controller Based Electrical Energ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a Low Power Two Wheele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