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6009B1 -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 셀 - Google Patents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6009B1
KR100236009B1 KR1019910010781A KR910010781A KR100236009B1 KR 100236009 B1 KR100236009 B1 KR 100236009B1 KR 1019910010781 A KR1019910010781 A KR 1019910010781A KR 910010781 A KR910010781 A KR 910010781A KR 100236009 B1 KR100236009 B1 KR 100236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gate
polysilicon
gate
edge
channel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에이치.만레이
Original Assignee
클라크 3세 존 엠.
내쇼날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크 3세 존 엠., 내쇼날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클라크 3세 존 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0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10D30/68Floating-gate IGFETs
    • H10D30/681Floating-gate IGFETs having only two programming lev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123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 H01L21/2815Lithography-related aspects, e.g. sub-lithography lengths; Isolation-related aspects, e.g. to solve problems arising at the crossing with the side of the device isolation; Planarisation aspects part or whole of the electrode is a sidewall spacer or made by a similar technique, e.g. transformation under mask, pla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64/031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 H10D64/0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data-storage electrodes comprising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이루는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를 한정하는 집적 회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페이서의 길이가 현존하는 집적 회로 프로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고도의 정밀도로 제어될 수 있기때문에, 선행 기술인 분할 게이트 셀과 관련된 오정렬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Description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셀
제1a도는 종래의 가상 접지 분할 게이트 EPROM셀을 예시하는 단면도.
제1b는 가장 접지 EPROM어레이의 단순한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도.
제1c는 스태거(stagger)형태의 가상 접지 EPROM어레이 구성을 단순하게 예시하는 개략도.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의 진행 단계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형성함에 있어 사용될 수 있는 변형 단계를 예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가상 접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대한 평면도.
제5도는 스태거 형태의 가상 접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대한 평면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소거 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동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omory; 이하 EPROM이라 한다.)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가상 접지 분할 게이트 EPROM셀을 이루는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를 한정하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폴리실리콘 스페이서의 길이가 고도의 정밀도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선행 기술과 관련된 오정렬(misalignment)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그 결과 셀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선행기술의 설명]
종래의 " T " EPROM셀의 집적도 및 수율(yield)을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상 접지 분할 게이트 EPROM셀이 제기되어왔다. 이러한 셀은 2가지 중요한 특징을 제공한다. 첫째로, 매몰된 N+ 비트 라인을 사용함으로써 메모리 어레이에 필요한 접점의 갯수를 극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이는 곧바로 유리한 수율을 얻을 수 있는데, 그 이유인 즉은 접점위상과 관련된 금속 도포영역이 기준화 집적회로 기술에 있어 수율 손실에 대한 주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더우기, 다수개의 셀사이에 비트 라인 접점을 공유시킴으로써 각각의 셀과 관련된 레이아웃(layout)면적은 감소된다. 둘째로, 각가의 부동(floation)게이트와 관련된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를 제공함으로써 드레이능로부터 부동 게이트에 걸린 전압으로 인해 상기 셀이 우연히 턴온 될 수 없게 한다는 점이다. 이는 종래의 T-셀 EPROM에서 직면하는 드레인 프로그래밍 전압에 대한 구속력을 상당히 완화시킨다. 더군다나, 각각의 부동 게이트와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와의 관계는 상기 셀 동작에 대하여 비대칭을 제공한다. 상기 셀의 소오스 및 드레인 단자가 서로 교환되는 경우에는 어떠한 프로그램이 전압도 생기지 않는다. 이는 상기 어레이에 대한 프로그래밍 해독 동작을 단순화시키는데, 그 이유로는 프로그래밍되어있는 셀 다음에 존재하는셀이 본래 프로그래밍 전압에 대하여 저항력이 있기 때문이며, 이를 다시 말하면 그와 같은 셀이 상기 셀의 소오스 노드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뿐 만 아니라 상기 소오스 노드를 프로그래밍된 셀의 드레인 노드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가상 접지 분할 게이트 EPROM셀에 대한 이해예가 1987년 1월 27일자 Boaz Eitan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39,893호에 개시되어 있다. 두번째 분할 게이트 셀에 대한 이행예는 일본국, 토오쿄오시에 개최된 1989 VLSI Circuit Conference 에서, Ali등이 발표한 " A new Staggered Virtual-Ground array architecture implemented in a 4Mb CMOS EPROM " 에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분할 게이트 셀에 대한 2가지 이행예는 제1a도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과 동일한 단면도를 지닌다. 그러한 셀은 어레이되어있다는 점에서만 서로 다르다. 상기 Eitan에 의한 어레이는 제1b도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Ali등에 의한 어레이는 제1c에 예시되어있다.
이러한 셀에 모두는 서로 공통된 심각한 문제점을 지닌다. 즉,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의 길이는 매몰된 N+ 층의 마스크 공정에 의하여 한정된다. 이는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첫째로, 상기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의 길이, 결과적으로는 상기 셀의 전기 특성이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에 상기 매몰된 N+ 영역을 정렬시키는 것에 의존한다. 이는 다이(die)와 다이 사이 및 웨이퍼와 웨이퍼 사이의 셀 성능에 있어 심각한 변형을 도입시킨다. 둘째로, 상기 매몰된 N+ 영역의 불확실한 마무리 부분은 상기 매몰된 비트 라인의 직렬 저항에 있어 변형을 가져옴으로, 셀 성능에 있어 부가적인 변형을 초래한다. 셋째로, 상기 매몰된 N+ 영역이 오정령되는 최악의 상태하에서도 상기 매몰된 N+ 비트라인의 저항이 허용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상기 매몰된 N+ 비트라인의 폭은 필요한 최소의 폭보다 넓혀져야 한다. 이는 상기 셀의 전체 면적을 증가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직렬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길이를 한정하는 분할 게이트 EPROM셀을 제공한다. 그러한 폴리실리콘 스페이서의 길이는 현존하는 집적회로 프로세서 기술을 사용하여 고도의 정밀도로 제어될 수 있고, 그 결과 선행 기술의 분할 게이트 셀과 관련된 오정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반도체 기판상에 놓인 절연재료층상에 부동게이트가 형성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부동게이트상에 제2절연재료층이 형성된다. 그후, 상기 부동 게이트 양쪽 부분이 절연재료로 밀봉되게 하다. 이 다음에, 상기 부동 게이트의 양쪽 부분중 한 부분에 인접하게 도전성 스페이서가 형성된다.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는 상기 봉입에 상기 부동게이트로 부터 절연되게 하고 상기 제1절연재료층에 의하여 기판으로부터 절연되게한다. 그러한 다음에, 상기 스페이서가 자체 정렬된 소오스 영역을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반면에 상기 스페이서가 자체 정렬된 드레인 영역을 한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가 종래의 분할 게이트 셀 방식으로 채널 영역의 일부분상에만 확장됨과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부동 게이트 및 소오스 영역사이에 있는 채널의 나머지 부분상에 위치된다. 그러한 연후에, 도전성 제어 게이트는 도전성 스페이서와 전기적인 접촉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 게이트는 상기 부동 게이트상에 확장되지만, 상기 제2절연재료층에 의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에 대한 양호한 이해는 본 발명의 원리가 사용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 및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2a도 내지 제2e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순차적인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2a도에 있어서는, 게이트 산화물상에 제1폴리실리콘층이 데포지트된 다음에 종래의 방식으로 도우핑된다. 종래의 방식으로 산화물-질화물-산화물(ONO) 층(12)을 형성한 다음에는,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를 한정하기 위하여 ONO/폴리실리콘층이 패턴된 연후에 에칭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에칭고정에 의하여 상기 게이트 산화물층의 일부분이 에칭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그 다음에, 재산화 처리공정이 이행되어 상기 폴리실리콘 게이트(10)의 양쪽부분이 측벽 산화물로 밀봉되고 게이트 산화물층(14)을 형성하도록 상기 게이트 산화물이 재성장된다.
그러한 연후에는, 제2b도에 도시된바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서, 제2폴리실리콘층(대략 2000-3000 옹스트롬의 두께)이 데포지트된 다음에 도우핑되고 이방성 에칭 공정이 이행되어 명확한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18)가 상기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의 양쪽 에지를 따라 남게 된다.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의 소오스 측부분(s)이 포토레지스트(20)로 마스크되고 드레인 측부분(D)상이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8)는 선택적인 실리콘 에칭공정을 사용하여 에칭되어 제거된다.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정렬된 비소 N+ 주입단계가 이행되어 소오스 영역(22) 및 드레인 영역(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소오스 측부분(s)상에서는 상기 소오스 영역(22)의 내부 에지가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의 외부에지에 의하여 한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레인 측부분(D)상에서는 상기 드레인 영역(24)의 내부 에지가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의 에지에 의하여 한정된다.
비소주입에 대한 접합 깊이는, 상개 매몰된 N+ 드레인 영역(24)이 드레인 측부분(D)상에서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 하부로 빠져나올 정도로 선택되며 상기 매몰된 N+ 소오스 영역(22)이 상기 소오스 측부분(S)상에서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 하부로 빠져나와 있지만 상기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에 까지 도달되지 않을 정도로 선택된다. 이리하여 게이트 채널 영역이 상기 소오스 측부분(S)상에서 상기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하부에 형성된다.
제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폴리실리콘층(26)이 데포지트된 다음에 도우핑된다. 이때, 이러한 제3폴리실리콘(26)이 마스크된 다음에 에칭되어 상기 셀의 제어 게이트가 형성된다. 상기 제3폴리실리콘층(26)이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와 접촉하는 접점이므로, 이들 사이에는 직접적인 전기 접속부분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제2e도에 도시된 최종적인 셀 구조가 제1a도에 도시된 종래의 가상 접지 EPROM셀과는 전기적으로 등가이다.
제2e도에 도시된 구조의 주된 잇점을 직렬 트랜지스터의 채널길이가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의 폭 및 상기 매몰된 N+ 소오스 영역(22)의 수평 확산에 의하여 한정된다는 점인데, 여기서 상기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의 폭 및 상기 매몰된 N+ 소오스 영역(22)의 수평확산 모두는 매우 엄격하게 제어될 수 있는 파라메타이다. 그러므로, 제2e도의 구조는 선행기술의 분할 게이트 EPROM 셀구조보다 훨씬 더 정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2e도의 구조는 보다 작은 면적에서 레이 아웃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성능에 있어 보다 적은 변형을 보인다.
상기에 기술된 기본적인 프로세스 및 구조에 대한 변형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모두가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을 이루는 직렬 트랜지스터의 채널길이를 한정하는 중심 개념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10)의 드레인 측부분(D)으로부터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8)(제2b도 참조)를 에칭하여 제거시킬 필요성은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공정은 제2a도의 예비 공정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제3a도를 참조하면, 이때에는 포토레지스트 마스크층(28)이 상기 구조의 소오스 측부분(S)을 보호하도록 도포되고 초기의 자체 정렬된 N+ 주입이 매몰된 N+ 드레인 영역(24')을 형성하도록 이행된다. 그러한 연후에,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6',18')가 제2b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2c도에서 기술된 스페이서 제거단계는 현상태에서 없앨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초기의 매몰된 N+ 주입이 드레인 측부분(D)상에있는 폴리실리콘 스페이서(18')하부에서 도전층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연후에는 처리공정이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계속되어 제3b도에 도시된 최종적인 구조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의 전술된 내용에서는 단지 셀의 단면도만으로 기술되었다. 제4도는 제1b도에 도시된 선행 기술의 어레이와 위상적으로 상응하도록 레이 아웃된 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에는 선행기술인 제1c도에 도시된 단면도에 상응하는 스태거 형태의 레이 아웃으로 나타낸 셀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여러 변형예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전하며 이러한 청구항의 범위에 내재하는 구조 및 방법, 그리고 그의 등가물이 상기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포함되고자 의도된 것이다.

Claims (4)

  1. 가상 접지 EPROM어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있어서,
    (a) 이격되어 있는 제2도전율 형태의 제1및 제2영역을 내부에 지니며 상기 제1및 제2영역사이에 기판 채널영역이 한정되어 있는 제1도전율 형태의 반도체 기판;
    (b) 상기 채널 영역상에 형성된 제1절연 재료층;
    (c) 상기 절연 재료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부동 게이트로서 이 부동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1영역사이에 존재하는 채널 영역의 제1부분을 걸쳐 확장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2영역사이에서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을 한정하며 상기 부동게이트의 제2에지가 상기 제1영역의 에지를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도전성 부동게이트;
    (d) 상기 부동게이트상에 형성된 제2절연재료층;
    (e) 상기 부동 게이트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 상부에 놓인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상기 부동 게이트 및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 측벽 절연 재료에 의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제2영역의 에지를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도전성 스페이서;
    (f)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에 수반하여 전기적인 접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동게이트 상부에 놓여 있지만 상기 제2절연재료층에 의하여 상기 부동게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및 제2영역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도전성 제어게이트를 포함하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
  2. 가상 접지 EPROM어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있어서,
    (a) 이격되어 있는 제1및 제2N+영역을 지니며 상기 제1및 제2N+영역사이에 기판 채널 영역을 한정하는 P-실리콘 기판;
    (b) 상기 채널 영역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물 층;
    (c) 상기 게이트 산화물 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로서 상기 부동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1N+영역사이에 존재하는 채널 영역의 제1부분을 걸쳐 확장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2N+영역사이에서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을 한정하며 상기 부동게이트의 제2에지가 상기 제1N+영역의 에지를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
    (d) 상기 부동게이트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상부에 놓여있는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로서, 상기 부동게이트 및 상기 폴리실리콘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 측벽 산화물에 의하여 상기 부동게이트로부터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제2N+영역의 에지를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폴리실리콘 스페이서;
    (e)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에 수반하여 전기적인 접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동게이트 상부에 놓여있지만 상기 폴리실리콘 제어 게이트와 부동게이트 사이에 형성된 절연 재료층에 의하여 상기 부동게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및 제2N+ 영역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폴리실리콘 제어게이트를 포함하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 제어게이트 및 상기 부동게이트 사이에 형성된 절연 재료층은 산화물-질화물-산화물층인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
  4. (2회 정정) 가상 접지 EPROM어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에 있어서,
    (a) 이격되어 있는 제1및 제2N+영역을 지니며 상기 제1및 제2N+영역사이에 기판 채널 영역을 한정하는 P-실리콘 기판;
    (b) 상기 채널 영역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물;
    (c) 상기 게이트 산화물 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로서 상기 부동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1N+영역사이에 존재하는 채널 영역의 제1부분을 걸쳐 확장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의 제1에지 및 상기 제2N+영역사이에서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을 한정하며 상기 부동게이트의 제2에지가 상기 제1N+영역의 에지를 한정하도록 사용되는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
    (d) 상기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의 제1및 제2에지 각각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1및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서로 상기 제1폴리실리콘 스페이서가 상기 제1N+영역상부에 놓여있으며 상기 제1폴리실리콘 스페이서 및 상기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 사이에 형성된 측벽 산화물에 의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로부터 절연되고 상기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서가 상기 채널 영역의 제2부분 상부에 놓여있으며 상기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서 및 상기 폴리실리콘 부동 게이트 사이에 형성된 측벽 산화물에 의하여 상기 부동 게이트로부터 절연되는 제1및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서;
    (e) 상기 제1및 제2폴리실리콘 스페이서에 수반하여 전기적인 접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동게이트 상부에 놓여 있지만 상기 폴리실리콘 제어 게이트 및 상기 부동게이트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산화물-질화물-산화물층에 의하여 상기 부동게이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및 제2N+ 영역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폴리실리콘 제어게이트를 포함하는 분할 게이트 메모리 셀.
KR1019910010781A 1990-06-28 1991-06-27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 셀 Expired - Lifetime KR100236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539790A 1990-06-28 1990-06-28
US545,397 1990-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6009B1 true KR100236009B1 (ko) 1999-12-15

Family

ID=2417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781A Expired - Lifetime KR100236009B1 (ko) 1990-06-28 1991-06-27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 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63511B1 (ko)
JP (1) JP3086282B2 (ko)
KR (1) KR100236009B1 (ko)
DE (1) DE69131032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25B1 (ko) * 1999-11-12 2005-03-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분할 게이트 이이피롬에서 메모리셀 및 선택게이트의 임계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621B1 (ko) * 1994-11-05 1998-10-01 문정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601226B2 (ja) * 1994-11-11 1997-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メモリセルの形成方法
US5880499A (en) * 1994-11-11 1999-03-09 Nec Corporation Memory cell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US5900657A (en) * 1997-05-19 1999-05-04 National Semiconductor Corp. MOS switch that reduces clock feed through in a switched capacitor circuit
KR100554833B1 (ko) * 1999-10-11 2006-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4488565B2 (ja) * 1999-12-03 2010-06-23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893A (en) * 1984-05-15 1987-01-27 Wafer Scale Integration, Inc. Self-aligned split gate EPROM
JPS61136274A (ja) * 1984-12-07 1986-06-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US4794565A (en) * 1986-09-15 1988-12-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lectrically programmable memory device employing source side injection
JPH01248670A (ja) * 1988-03-30 1989-10-0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方法および製造方法
US5095344A (en) * 1988-06-08 1992-03-10 Eliyahou Harari Highly compact eprom and flash eeprom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25B1 (ko) * 1999-11-12 2005-03-10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분할 게이트 이이피롬에서 메모리셀 및 선택게이트의 임계전압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63511A3 (en) 1993-04-07
EP0463511B1 (en) 1999-03-24
DE69131032D1 (de) 1999-04-29
DE69131032T2 (de) 1999-10-21
JPH04233278A (ja) 1992-08-21
JP3086282B2 (ja) 2000-09-11
EP0463511A2 (en) 199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3172A (en) Manufacture of a split-gate EPROM cell using polysilicon spacers
US5115288A (en) Split-gate EPROM cell using polysilicon spacers
US5270240A (en) Four poly EPROM process and structure comprising a conductive source line structure and self-aligned polycrystalline silicon digit lines
US6291297B1 (en) Flash memory cell with self-aligned gates and fabrication process
KR100231964B1 (ko) 다결정 실리콘 스페이서 터널 영역을 사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방법
US5073513A (en) Manufacture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sidewall select gate
US619763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R-type flash memory device
US6222227B1 (en) Memory cell with self-aligned floating gate and separate select gate, and fabrication process
US6346725B1 (en) Contact-less array of fully self-aligned, triple polysilicon, source-side injection, nonvolatile memory cells with metal-overlaid wordlines
US5149665A (en) Conductive source line for high densit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pplications
KR100295149B1 (ko) 셀프-얼라인소오스공정을이용하는비휘발성메모리장치의제조방법
US505179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482879A (en) Process of fabricating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US6590253B2 (en) Memory cell with self-aligned floating gate and separate select gate, and fabrication process
KR0136993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US5113238A (en) Contactless non-volatile memory array cells
KR100232200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KR100236009B1 (ko) 폴리실리콘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분할 게이트 eprom 셀
US6228715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0275735B1 (ko) 노아형 플래쉬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US5576232A (en) Fabrication process for flash memory in which channel lengths are controlled
EP1032035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electronic virtual ground memory devices
KR10030913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US6445031B1 (en) Byte-switch structure for EEPROM memories
KR0172271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210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