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2865B1 -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865B1
KR100232865B1 KR1019960026423A KR19960026423A KR100232865B1 KR 100232865 B1 KR100232865 B1 KR 100232865B1 KR 1019960026423 A KR1019960026423 A KR 1019960026423A KR 19960026423 A KR19960026423 A KR 19960026423A KR 100232865 B1 KR100232865 B1 KR 100232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ial
subscriber
buffer
dialing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298A (ko
Inventor
송창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6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865B1/ko
Priority to US08/885,992 priority patent/US5956395A/en
Publication of KR98000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8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시스템의 다이알링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교환시스템에서 발신통화 시도시 착신가입자 측이 통화 중 상태이면, 훅크오프상태에서 교환시스템이 자동으로 리다이알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교환시스템의 리다이알 방법이, 통화중 상태에서 리다이알키 수신시 리다이알플래그를 세트시키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수신된 전화번호를 반복적으로 자동 다이알링하고 상대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로 천이될 시 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통화서비스 과정으로 진행.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교환시스템에서 리다이알 동작 수행시 교환시스템이 설정된 시간 주기로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리다이알링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제1도는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교환시스템에서 리다이알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리다이알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다이알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리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111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키텔레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Read Only Memory)112는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111의 프로그램 및 초기서비스 데이타를 저장한다. 램(Random Access Memory)113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한다.
스위칭회로(Switching circuit)114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타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11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전화기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링발생기(ring generator)116은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국선회로(Trunk Line Interface circuit)117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톤발생기(tone generator)118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DTMF수신기(Dual Tone Muti-Frequency Receiver)119는 상기 스위칭회로114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상기 DTMF수신기120에 입력되는 DTMF신호는 상기 국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 또는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가 된다. DTMF 송신기(DTMF generator)12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이 출력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TMF송신기121을 출력하는 DTMF신호는 내선 측에서 국선 측을 호출할 시 발생한 국선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제2도는 종래의 교환시스템에서 발신통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가입자회로115의 포트들을 검사하여 훅크오프(hook-off)되는 가입자가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임의 가입자의 포트가 훅크오프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톤발생기118과 가입자회로115의 해당 가입자 포트를 연결하여 가입자 측에 발신음(dial tome)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가입자회로115의 해당 가입자와 DTMF수신기119를 연결하여 다이알링 데이타의 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DTMF수신기119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데이타가 착신가입자의 전화번호 데이타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에서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타를 호 제어블럭(Call Control Block; CCB)의 다이알버퍼(dial buffer)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알버퍼는 램113의 소정 영역에 할당되며 최대 16문자 데이타로 구성되는 전화번호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가 된다. 상기 다이알버퍼에 전화번호 저장이 종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17단계에서 다이알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리다이알버퍼(redial buffer)에 저장한다. 상기 리다이알버퍼도 역시 상기 램113의 소정 영역에 할당되는 버퍼로서, 리다이알 키 입력시 송출할 전화번호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전화번호 입력 종료시 상기 DTMF발생기120에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한 전화번호 데이타를 출력한다. 즉,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타에 따른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21단계에서 착신 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착신가입자가 아이들(idle) 상태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23단계에서 가입자 측에 링톤(ring tone)을 공급하면서, 착신가입자가 응답할 시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 기능을 서비스한다.
그러나 상기 221단계에서 착신가입자가 통화중(busy) 상태임을 감지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25단계에서 해당 가입자가 훅크온(hook on) 상태가 될 때까지 통화중음(busy tone)을 서비스한다.
상기와 같이 발신통화를 시도한 상태에서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가입자는 훅크 온하여 통화를 종료시킨 후 다시 훅크오프하여 리다이알키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231단계에서 DTMF수신기119를 통해 리다이알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233단계에서 상기 리다이알버퍼(redial working area)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상기 다이알버퍼에 옮겨 저장한 후, 219단계에서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리다이알 기능에 의한 종래의 발신통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발신가입자는 전화기를 훅크오프하여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하고, 상대방 가입자가 통화 중 상태이면 훅크온한 후 다시 훅크오프하여 리다이알키를 누르게 된다. 이때 리다이알키에 의해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대방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다시 훅크온한 후 다시 훅크오프하여 다이알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다이알링 서비스 방법은 상대방 가입자(착신측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가입자는 훅크온/오프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리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여야 했으며, 이로인해 재발신의 수행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발신통화를 시도한 후 상대 가입자가 통화 중 상태일 시 자동으로 리다이알링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통화시 훅크온 상태에서 리다이알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환시스템의 리다이알 방법이, 통화중 상태에서 리다이알키 수신시, 현재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리다이알링 기능을 설정하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 다이알링하고 상대 가입자가 통화 가능 상태로 천이될 시 상기 리다이알링 기능을 해제하고 통화서비스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제1도와 동일하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램113에 호제어버퍼(Call Control Block; CCB)와, 리다이알버퍼(redial working area)와, 리다이알카운터(auto redial counter)를 구비한다. 상기 호제어버퍼는 다이알링을 위하여 최대 16 문자까지의 전화번호 데이타를 저장하는 다이알버퍼와, 자동 다이알링 기능 수행 여부를 표시하는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구비한다. 상기 다이알버퍼는 최대 16개의 전화번호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이다. 상기, 자동리다이알플래그는 자동 리다이알 기능 수행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로서 기능 수행시 세트되고 통화종료 또는 통화서비스 시 리세트된다. 상기 리다이알카운터는 리다이알을 반복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 초로 지정하며, 카운트가 종료되면 다시 세트되고 새로운 리다이알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3도는 발신통화 시도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다이알링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도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가입자회로115의 포트들을 검사하여 훅크오프되는 가입자가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임의 가입자의 포트가 훅크오프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톤발생기118과 가입자회로115의 해당 가입자를 연결하여 가입자 측에 발신음을 공급하고, 또한 상기 가입자회로115의 해당 가입자와 DTMF수신기119를 연결하여 다이알 데이타의 수신 통로를 형성한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DTMF수신기119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데이타가 착신가입자의 전화번호 데이타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타를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한다. 상기 다이알버퍼에 전화번호 저장이 종료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17단계에서 다이알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리다이알버퍼에 저장한다. 상기 리다이알버퍼도 역시 상기 램113의 소정 영역에 할당되는 버퍼로서, 리다이알 키 입력시 송출할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버퍼이다.
이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전화번호 입력 종료시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되어있는 전화번호 데이타를 억세스하여 상기 DTMF발생기120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DTMF 발생기120은 전화번호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1단계에서 착신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가 아니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3단계에서 호제어버퍼의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켜 자동 리다이알링 기능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5단계에서 가입자 측에 링백톤(ringback tone)을 공급하며, 착신가입자가 응답할 시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발신가입자의 포트와 상대가입자의 포트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 서비스한다.
그러나 상기 331단계에서 착신가입자가 통화중(busy) 상태임을 감지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상기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해당 가입자 측에 통화중음을 서비스한다.
이때 통화를 시도한 발신가입자가 통화중음을 수신하는 상태에서 발신가입자가 리다이알키를 누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7단계에서 호제어버퍼의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세트시켜 자동 리다이알링 기능을 설정하며, 339단계에서 자동리다이알카운터에 자동 다이알링할 회수를 세트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41단계에서 리다이알버퍼에 저장한 전화번호 데이타를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한 후, 319단계에서 다이알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타들을 DTMF발생기120에 출력하여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대 가입자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리다이알키의 수신을 감지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37단계-341단계를 연속 수행하여 자동 리다이알 기능을 설정하고 리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리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고 난 후,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다시상대 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한다. 이때 상대가입자 통화 중 상태이고 발신가입자가 훅크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33단계에서 상기 자동리다이알플래그가 세트된 상태임을 감지하고 343단계에서 내부의 타이머을 통해 리다이알링 할 시간이 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자동 리다이알 기능이 세트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는 내부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 단위로 리다이알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리다이알링 할 시간이 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4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45단계에서 상기 자동리다이알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킨 후 347단계에서 설정된 리다이알 횟수의 리다이알링 동작을 실행하였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347단계에서 리다이알 횟수가 남아있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41단계에서 리다이알버퍼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버퍼에 옮겨 저장한 후 319단계에서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리다이알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대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고 발신가입자가 훅크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자동리다이알카운터에 세트된 횟수도 감소되어 설정된 리다이알 횟수를 종료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4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9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상기 자동리다이알카운터에 설정된 횟수 데이타를 세트한 후 상기와 같은 리다이알 동작을 자동으로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다이알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대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3단계에서 호제어버퍼의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켜 자동 리다이알링 기능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5단계에서 발신가입자에 링 톤을 공급하여 상대방 가입자가 호출되었음을 통보하고, 착신가입자가 응답할 시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발신가입자의 포트와 상대 가입자의 포트간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 서비스한다.
상기와 같이 다이알링 데이타를 출력한 상태에서 발신가입자가 훅크온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2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9단계에서 상기 호제어버퍼의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켜 자동 리다이알 기능을 해제하고 331단계에서 통화 종료 서비스를 한다.
또한 훅크온한 후 다시 훅크오프하여 리다이알키를 누르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11은 349단계에서 DTMF수신기119를 통해 리다이알키의 입력을 감지하고, 351단계에서 상기 리다이알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 데이타를 다이알버퍼에 옮겨 저장한 후 319단계로 진행하여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리다이알 방법은 통화중 상태에서 리다이알키를 발생하므로서 수행된다. 이때 통화중 상태에서 상기 리다이알키가 수신되면, 교환시스템은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세트시키고 설정된 시간 단위로 자동 리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하며, 착신측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상기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자동 리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신가입자가 훅크온하면 상기 자동리다이알플래그를 리세트시키고 통화종료 서비스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다이알 방법은 상대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일 시 교환시스템이 상대 가입자가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자동으로 다이알링하여 통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이알링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다이알버퍼와 자동 다이알링 기능 수행여부를 표시하는 자동리다이알 플래그로 이루어지는 호제어버퍼와, 리다이알하기 위한 다이알정보를 저장하는 리다이알 버퍼와, 리다이알을 반복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지정하며 재다이알링되는 횟수를 카운트하는 리다이알 카운터를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의 발신 통화 방법에 있어서, 훅크오프 상태에서 발신 시도시 수신되는 착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다이알 버퍼 및 리다이알버퍼에 저장한 후 다이알링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알링 수행후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일 시 리다이알 키의 입력 유무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과정에서 리다이알키를 수신할 시 상기 자동리다이알 플래그를 세트하고 상기 리다이알버퍼의 전화번호를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리다이알 카운터에 지정된 시간 주기에서 상기 자동 리다이알플래그를 검사하며, 세트된 상태일 시 상기 다이알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 후 상기 상대 가입자의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검사과정에서 상기 상대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일 시 재다이알 횟수를 감소시킨 후 상기 리다이알링 과정으로 진행하여 리다이알링 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상기 상대가입자가 아이들 상태일 시 상기 자동리다알 플래그를 리세트하고 통화 서비스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발신통화방법.
KR1019960026423A 1996-06-29 1996-06-29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32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423A KR100232865B1 (ko) 1996-06-29 1996-06-29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US08/885,992 US5956395A (en) 1996-06-29 1997-06-30 Automatic redial method for telephone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423A KR100232865B1 (ko) 1996-06-29 1996-06-29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298A KR980007298A (ko) 1998-03-30
KR100232865B1 true KR100232865B1 (ko) 1999-12-01

Family

ID=1946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423A Expired - Lifetime KR100232865B1 (ko) 1996-06-29 1996-06-29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56395A (ko)
KR (1) KR100232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8136C2 (sv) * 1996-12-19 1998-08-31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tangentbordsavläsning
US6442261B1 (en) * 1999-01-28 2002-08-27 Avaya Technology Corp. Call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ttendant telephone set
US6804509B1 (en) 1999-06-18 2004-10-12 Shmuel Oko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 caller that a cellular phone destination is available
FR2810826B1 (fr) * 2000-06-27 2003-06-27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itement d'appels telephoniques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appels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JP2002135431A (ja) * 2000-10-24 2002-05-10 Fujitsu Ltd 交換システム
JP3655836B2 (ja) 2001-04-18 2005-06-0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再ダイヤル機能つき電話機
KR100442662B1 (ko) * 2001-09-2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호 예약 서비스방법
JP2005328126A (ja) * 2004-05-12 2005-11-24 Uniden Corp 発呼制御装置
US7940919B2 (en) * 2005-03-14 2011-05-10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Periodic and automatic telephone rediall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01367A1 (en) * 2011-02-09 2012-08-09 Microsoft Corporation Telephone Line Sensor and Redialer
US9877178B2 (en) * 2014-06-16 2018-01-23 United States Cellul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wireless emergency alerts to residential phone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555A (en) * 1964-07-29 1967-11-28 Bell Telephone Labor Inc Private branch telephone system with camp-on facilities
US3889068A (en) * 1974-06-27 1975-06-10 Bell Telephone Labor Inc Camp-on circuitry
US4119810A (en) * 1976-09-13 1978-10-10 Phone Devices Corporation Pushbutton telephone apparatus with automatic dialing and combinational sequential control signalling capabilities
US4113991A (en) * 1977-05-03 1978-09-12 Xerox Corporation Automatic dialer having a selective retry capability
US4324954A (en) * 1980-05-30 1982-04-13 Western Electric Company, Incorporated Dialing circuit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elephone sets
US4508939A (en) * 1983-07-14 1985-04-02 Comdial Technology Corporation Last number redial device
US4602128A (en) * 1984-11-29 1986-07-22 At&T Information Systems Inc. Automatic redialing arrangement for multi-line telephone station sets
US4930155A (en) * 1987-12-24 1990-05-29 Ricoh Company, Ltd. Multiple redialing system
US4887294A (en) * 1988-05-19 1989-12-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elephone automatic redial system
US4860349A (en) * 1988-11-25 1989-08-22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memory controller arrangement
US5247572A (en) * 1989-07-24 1993-09-21 Nec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 of storing information into dial memories in a telephone set
US5153908A (en) * 1990-06-19 1992-10-06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redial in a key telephone system having different line types
US5268959A (en) * 1990-06-22 1993-12-07 Hong Inpon D Telephone long distance redialing apparatus and process
US5136637A (en) * 1990-06-22 1992-08-04 Rolm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redialing of telephone numbers
US5166975A (en) * 1990-08-09 1992-11-24 Fuji Xerox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H0498954A (ja) * 1990-08-16 1992-03-31 Nitsuko Corp ボタン電話装置
EP0482989B1 (en) * 1990-10-22 1997-07-09 Canon Kabushiki Kaisha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US5243646A (en) * 1991-01-04 1993-09-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Fast redial system for a telephone
JPH0828775B2 (ja) * 1991-05-22 1996-03-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話装置
JP3130108B2 (ja) * 1992-02-05 2001-01-3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
JPH07264323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キープコールバック装置
US5742674A (en) * 1995-12-22 1998-04-21 At&T Corp. Automatic call-back system and method using data indicating best time to call
US5689557A (en) * 1996-01-31 1997-11-18 Qualcomm Incorporated Redial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symbols input by a user before and during a telephone c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298A (ko) 1998-03-30
US5956395A (en) 199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US55398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active subscriber of disconnection of held subscriber in call-waiting service
JP3333460B2 (ja) 自動交換機
KR100194467B1 (ko) 상대방의 다수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GB2305814A (en) Voice mailing system
KR100324735B1 (ko) 키폰의 구내 페이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0149585B1 (ko) 키텔레폰 시스템의 자동 픽업 방법
KR100446520B1 (ko) 키폰시스템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940027437A (ko) 교환기의 재다이알 서비스 방법
JPH0738661A (ja) 電話交換機
KR0162841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라인 사용통제방법
KR100506204B1 (ko) 사설교환기시스템에서강제자동응답절환방법
KR100474686B1 (ko) 통화중긴급전화통보방법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JPH0758816A (ja) リダイヤル番号記憶方法
KR100233081B1 (ko) 일반전화기의 기능 서비스 방법
KR0174549B1 (ko) 키폰 시스템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가입자 백업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KR100277063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전용선 재착신 방법
KR19990018360A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KR19980026628A (ko) 교환시스템의 호 서비스 방법
KR20020053225A (ko) 교환시스템의 특정 가입자의 호 거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