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649B1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2649B1 KR100232649B1 KR1019970049940A KR19970049940A KR100232649B1 KR 100232649 B1 KR100232649 B1 KR 100232649B1 KR 1019970049940 A KR1019970049940 A KR 1019970049940A KR 19970049940 A KR19970049940 A KR 19970049940A KR 100232649 B1 KR100232649 B1 KR 100232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unit
- fan coil
- height
- base frame
- sliding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코일유닛의 신규한 높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ovel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fan coil unit.
종래에는 실내의 미관위주로 현장에서 제작된 외장커버와 팬코일유닛간의 높이차이로 인해 충분한 용량에도 불구하고 실내를 효과적으로 냉,난방할 수 없었다.Conventionally,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xterior cover and the fan coil unit manufactured in the field mainly on the appearance of the interior, the room could not be effectively cooled and heated despite the sufficient capacity.
본 발명은 팬코일유닛의 하부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팬코일유닛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룸의 바닥면상에 고정되며 대향하는 두 측벽에 둘레방향으로 안내장공을 각각 갖는 베이스 프레임과, 팬코일유닛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베이스 프레임의 안내장공쌍에 양 단부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샤프트와, 이 슬라이딩 샤프트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래킷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와, 이 링크의 상단부를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와,베이스 프레임의 한쪽 측벽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라이딩 샤프트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볼트를 구비하여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여 팬코일유닛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실내의 미관을 중시하면서도 팬코일유닛의 냉,난방 성능이 최대로 발휘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to be installed on each of the lower both sides of the fan coil uni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is fix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room and gu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two opposite side walls A base frame each having, a bracket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coil unit, a sliding shaft having both ends movably coupled to guide guide pairs of the base frame, and a low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ing shaft and attached to the bracket. A link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a hinge shaft for rotatably connecting an upper end of the link to the bracket,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on one side wall of the base frame and screwed through the sliding shaft in a radial direction. Height adjustment of the fan coil uni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By adjusting easily,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fan coil unit is maximized while emphasizing the beauty of the room.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룸(room)에 설치되어 내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룸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팬코일유닛(fan coil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장커버(cover)에 대응하여 그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n coil unit installed in a room of a building to cool or heat a room by heat exchange with a bet, and more specifically, its height corresponding to an exterior cover. It relates to a device for properly adjusting the.
팬코일유닛은 건물의 냉, 난방시 냉동기(chiller) 또는 보일러(boiler)에서 냉수나 온수를 공급받아 그 열교환기(heat exchanger)에 통과시킴으로써 주변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뒤, 이 공기를 송풍기(blower)에 의해 실내로 토출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The fan coil unit receives cold water or hot water from a chiller or a boiler and passes the heat exchanger to cool or heat the building to cool or heat the surrounding air. It is an air conditioner that performs cooling or heating by discharging to a room by a blower.
도 1에는 이와 같은 팬코일유닛(U)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룸(R)의 바닥면(F)과 벽면(W)간의 코너(corner)부에 설치되고, 그 둘레는 현장에서 제작되는 외장커버(C)에 의해 감싸인다. 이에 따라 송풍기(B)에 의해 캐비닛(cabinet:K)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그 열교환기(E)를 통과하면서 이의 내부로 흐르는 냉수 또는 온수와 열교환한 뒤, 캐비닛(K) 상면의 공기토출구(H)와 외장커버(C)의 토출그릴(outlet grill:G)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such a fan coil unit (U). It is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floor surface F and the wall surface W of the room R, and its circumference is wrapped by the exterior cover C manufactured in the field. Accordingly, the air sucked into the cabinet (K) by the blower (B)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E) and exchanges heat with cold water or hot water flowing therein, and then the air outl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K). Through the discharge grill (G) of the (H) and the outer cover (C) is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o cool or heat the room.
그런데 외장커버(C)는 통상 실내의 미관 등을 위해 작업자가 설치현장에서 룸(R)의 여건에 맞도록 임의적으로 제작 설치하게 되는 바, 룸(R)의 형태 등에 따라 외장커버(C)와 팬코일유닛(U)의 높이가 불일치되어 이들의 토출그릴(G)과 공기토출구(H)간에 상당한 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팬코일유닛(U)의 공기토출구(H)에서 나온 기류가 양자간의 공간(S)에서 분산되어 외장커버(C)의 토출그릴(G)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실내를 충분히 냉,난방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팬코일유닛(U)의 냉,난방 성능과 신뢰성 등을 보장할 수 없었다.By the way, the exterior cover (C) is usually manufactured by the operator arbitrarily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room (R) at the installation site for the beauty of the interior, such as the exterior cover (C)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m (R). Since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U) is inconsistent, a significant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grill (G) and the air discharge port (H). As a result, airflow from the air discharge port H of the fan coil unit U is dispersed in the space S between the two, and thus cannot be supplied smoothly to the discharge grill G of the exterior cover C, thereby sufficiently cooling and heating the room. You will not be able to.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fan coil unit U cannot be guarante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팬코일유닛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팬코일유닛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fan coil unit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팬코일유닛의 높이 조절장치는, 팬코일유닛의 하부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팬코일유닛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룸의 바닥면상에 고정되며 대향하는 두 측벽에 둘레방향으로 안내장공을 각각 갖는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과, 팬코일유닛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bracket)과, 베이스 프레임의 안내장공쌍에 양 단부가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샤프트(sliding shaft)와, 이 슬라이딩 샤프트에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래킷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link)와, 링크의 상단부를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hinge shaft)와,베이스 프레임의 한쪽 측벽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라이딩 샤프트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볼트(adjusting bolt)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fan coi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of the fan coil unit and arbitrarily adjusts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A base frame each having guide hol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wo opposing sidewalls, a bracket fixed to the bottom of the fan coil unit, and a pair of guide holes of the base frame A sliding shaft each of which is movably coupled, a link to which the low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ing shaft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to the bracket, and the upper end of the link to the bracket rotatably. Hinge shaft connecting and one side wall of the base frame is idly supported and the sliding shaft is radially pip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djusting bolt that is screwed through.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링크가, 판상의 몸체와, 몸체의 양 선단으로부터 연장 절곡형성되며 슬라이딩 샤프트 및 힌지샤프트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제1 및 제2힌지구멍들을 상하단부에 각각 갖는 두 플랜지(flange)로 구성되어, 기계적강도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 to one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ate-shaped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which are ben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ody and rotatably insert the sliding shaft and the hinge shaft, respectively. It consists of two flanges each having to maintain mechanical strength.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설치현장에서 제작 설치되는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팬코일유닛의 높이를 임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팬코일유닛의 냉,난방 성능과 신뢰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can be easily adjusted arbitrarily and simply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to be manufactured and installed at the installation site, it has a great effect on improving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fan coil unit.
도 1은 종래 팬코일유닛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fan coil uni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팬코일유닛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an coil unit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Ⅲ을 따라 취한 발췌 정면도,3 is a front view taken along the III of FIG.
도 4는 본 발명 높이 조절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그 결합상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발췌 단면도들이다.6 is an excerp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R : (건물의) 룸(room) F : (룸의) 바닥면R: (building) room F: floor (of room)
W : (룸의) 벽면 U : 팬코일유닛(fan coil unit)W: wall (in room) U: fan coil unit
C : 외장커버(cover) 1 : 높이 조절장치C: exterior cover 1: height adjustment device
2 :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3a : (베이스 프레임의) 안내장공2:
5 : (베이스 프레임의) 지지보스(支持boss)5: support boss (of base frame)
6 : 슬라이딩 샤프트(sliding shaft) 6a : (슬라이딩 샤프트의) 나사구멍6: sliding
8 : 브래킷(bracket) 12 : 링크(link)8: bracket 12: link
14a, 14b : (링크의) 제1 및 제2힌지구멍(hinge hole)14a, 14b: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of links)
15 : 힌지샤프트 16 : 조정볼트(adjusting bolt)15: hinge shaft 16: adjusting bol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uch specific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에서, 팬코일유닛(U)은 냉동기나 보일러로부터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 받아 내기와 열교환을 일으키는 열교환기(E) 및 이 열교환기(E)측으로 내기를 흡입하여 불어주는 송풍기(B) 등을 캐비닛(K)에 내장하여 룸(R)의 바닥면(F)과 벽면(W)간의 코너부에 설치되고, 그 둘레는 외장커버(C)에 의해 감싸인다. 그런데 이러한 외장커버(C)는 설치현장에 맞도록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제작 설치하는 것이므로, 미관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해 팬코일유닛(U)과 외장커버(C)간에 상당한 공간(도 1의 S)이 형성되어 그 냉,난방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2 and 3, the fan coil unit (U) is a heat exchanger (E) that receives cold water or hot water from a refrigerator or a boiler and causes heat exchange and a blower that sucks and blows the internal air to the heat exchanger (E) side ( B) and the like are built in the cabinet K, and are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floor surface F and the wall surface W of the room R, the circumference of which is wrapped by the exterior cover C.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external cover (C)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directly by the worker to fit the installation site, a tendency to focus on aesthetics is strong, and a considerable space between the fan coil unit (U) and the external cover (C) (S of FIG. 1). ) Is formed to decrease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이에 따라 팬코일유닛(U)의 하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외장커버(C)의 높이에 대응하여 팬코일유닛(U)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장치(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 팬코일유닛(U) 높이 조절장치(1)는 바람직하기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코일유닛(U)의 하부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바, 도 4 및 도 5를 통해 그 바람직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fan coil unit (U)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device (1)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U)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C) in accordance with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n coil unit (U) height adjusting
도 4 및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팬코일유닛 높이 조절장치(1)는 룸(R)의 바닥면(F)상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2)과, 이 베이스 프레임(2)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샤프트(6)와, 팬코일유닛(U)의 레그(leg:L)에 고정되는 브래킷(8)과, 이 브래킷(8)과 슬라이딩 샤프트(6)에 상하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12)와, 이 링크(12)의 상단부를 브래킷(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샤프트(15) 및 슬라이딩 샤프트(6)를 왕복 이동시키는 두 조정볼트(16)로 구성된다.4 and 5, the fan coil unit
베이스 프레임(2)은 대략 팬(pan)형태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두 측벽(3)에 슬라이딩 샤프트(6)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장공(3a)이 그 둘레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의 다른 한쪽 측벽(4)에는 두 조정볼트(16)가 공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지되는 지지구멍(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의 한 측벽(4) 내면에는 바람직하기로 두 조정볼트(16)를 각각 공회전 가능하게 삽입하여 안정되게 지지하는 지지보스(5)가 그 지지구멍(4a)들과 동축으로 형성된다.The
슬라이딩 샤프트(6)의 양 선단에는 베이스 프레임(2)의 안내장공(3a)쌍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핀(guide pin:7)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소정위치에는 두 조정볼트(16)가 각각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6a)쌍이 반경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At both ends of the
서포트 브래킷(8)은 충분한 강도유지를 위해 L형태의 몸체(9)와, 이 몸체(9)의 양 선단에 직각으로 형성된 두 측벽(10)을 갖는 대략 버킷(bucket) 형태로 구성된다. 브래킷(8)의 몸체(9) 상면에는 팬코일유닛(U)의 레그(L)와 체결하기 위한 두 체결구멍(9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 몸체(9)의 하면에는 바람직하기로 양자의 용이한 체결을 위해 브래킷(8)을 팬코일유닛(U)의 레그(L)와 체결하는 고정볼트(17)와 결합되는 두 너트(nut:11)가 그 체결구멍(9a)들과 동축을 이루도록 접합된다. 그리고 이 브래킷(8)의 두 측벽(10)에는 링크(12)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10a)이 상호 동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한편 링크(12)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팬코일유닛(U)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기계적강도를 갖도록 판상의 몸체(13)와, 이 몸체(13)의 양 선단에 상호 대향되게 연장 절곡되는 두 플랜지(flange:14)로 구성된다. 이러한 링크(12)의 두 플랜지(14) 하단부에는 슬라이딩 샤프트(6)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제1힌지구멍(14a)이 동축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서포트 브래킷(8)의 결합구멍(10a)들과 동축을 이루는 제2힌지구멍(14b)들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팬코일유닛 높이 조절장치(1)의 작동을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an coil unit
도 6에서, (a)는 본 발명 높이 조절장치(1)가 구비된 팬코일유닛(U)이 룸(R)의 바닥면(F)상에 장착된 초기상태로서, 슬라이딩 샤프트(6)가 베이스 프레임(2) 안내장공(3a)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 상태이다.In FIG. 6, (a) i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fan coil unit U equipped with the height adjusting
이 상태에서 팬코일유닛(U)의 둘레에 현장에서 제작된 외장커버(C)를 설치한 경우, 예를들어 팬코일유닛(U)의 높이가 외장커버(C)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볼트(16)를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조정볼트(16)는 베이스 프레임(2)에 대해 공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정볼트(16)와 나사결합된 슬라이딩 샤프트(6)가 베이스 프레임(2)의 안내장공(3a)을 따라 도면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링크(12)가 힌지샤프트(1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팬코일유닛(U)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팬코일유닛(U) 상부의 공기토출구(H)가 외장커버(C)의 토출그릴(G) 하부에 위치될 때까지 수행된다.In this state, when the exterior cover C manufactured in the field is installed around the fan coil unit U,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U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exterior cover C ( Turn the adjusting
다음 (a)의 상태에서 팬코일유닛(U)의 높이가 외장커버(C)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반대로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볼트(16)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조정볼트(16)와 나사결합된 슬라이딩 샤프트(6)가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링크(12)가 힌지샤프트(15)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팬코일유닛(U)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동작 역시 팬코일유닛(U)의 공기토출구(H)가 외장커버(C)의 토출그릴(G) 하부에 위치될 때까지 수행된다.If the height of the fan coil unit (U)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C) in the state of (a) below, turn the adjusting
따라서 본 발명은 팬코일유닛(U)과 외장커버(C)간에 불필요한 공간형성을 허용하지 않으면서도 룸(R)의 미관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room R without allowing unnecessary space formation between the fan coil unit U and the exterior cover C.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에서 직접 제작되는 외장커버의 높이에 관계없이 팬코일유닛의 설치높이를 외장커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외장커버의 토출그릴과 팬코일유닛의 공기토출구간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룸의 미관을 충분히 살릴 수 있으면서도 팬코일유닛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거의 전부를 그대로 실내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팬코일유닛의 냉,난방 성능과 신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an coil unit can be easily adjus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outer cover manufactured directly in the field. Since no space is formed between the air discharge section of the grill and the fan coil unit,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discharge the beauty of the room while still discharging almost all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coil unit into the roo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fan coil uni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940A KR100232649B1 (en) | 1997-09-30 | 1997-09-30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49940A KR100232649B1 (en) | 1997-09-30 | 1997-09-30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7475A KR19990027475A (en) | 1999-04-15 |
KR100232649B1 true KR100232649B1 (en) | 1999-12-01 |
Family
ID=1952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49940A KR100232649B1 (en) | 1997-09-30 | 1997-09-30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26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4011B1 (en) * | 2019-07-03 | 2020-03-03 | 백승일 | The support device for air cleaner |
-
1997
- 1997-09-30 KR KR1019970049940A patent/KR10023264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7475A (en) | 1999-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18629B2 (en) | Heater and outdoor unit of refriger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KR20190139054A (en) |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 |
US20030092373A1 (en) | Faceplate of a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 |
KR100232649B1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of fan coil unit | |
EP1384963A1 (en) | Built-in refrigerator | |
JP3530500B2 (en) | Floor type air conditioner | |
KR20190141479A (en) | An outdoor unit for a an air conditioner | |
KR100267222B1 (en) | support for air conditioner | |
KR100218390B1 (en) | Cool air circulating structure for open type showcase | |
KR100473821B1 (en) | Air Conditioner | |
JP3361172B2 (en) | Panel frame mounting device for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s | |
KR200164944Y1 (en) | Evaporator assembly structure of package air conditioner | |
AU2001100344A4 (en) | Faceplate of a blower for an air conditioner | |
JPS5811Y2 (en) |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packaged air conditioners | |
KR100461651B1 (en) | Motor Mount For Outside Machine Of Air Conditioner | |
KR200221820Y1 (en) | Air conditioner | |
KR200312146Y1 (en) | pan-motor fix structure of indoor unit | |
KR100612098B1 (en) | Air conditioner | |
JPS5846325Y2 (en) | Fixing device for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s | |
JPH08296951A (en) | Base leg fixing structure | |
KR0124314Y1 (en) | The exterior apparatus of airconditioning system | |
JPH04151483A (en) | Refrigerator | |
KR100667100B1 (en) |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0266889Y1 (en) | Fan coil unit | |
JPS637819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9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