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1112B1 -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112B1
KR100231112B1 KR1019920000012A KR920000012A KR100231112B1 KR 100231112 B1 KR100231112 B1 KR 100231112B1 KR 1019920000012 A KR1019920000012 A KR 1019920000012A KR 920000012 A KR920000012 A KR 920000012A KR 100231112 B1 KR100231112 B1 KR 10023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resin
press
synthetic resin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790A (ko
Inventor
미야까와나오히사
마스사와미노루
가또오가쓰히사
Original Assignee
미야까와 나오히사
도끼와 케미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스사와 미노루
마스와사케미칼 한바이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가쓰히사
가부시끼가이샤 시스템 테크니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25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21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104153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14435U/ja
Application filed by 미야까와 나오히사, 도끼와 케미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스사와 미노루, 마스와사케미칼 한바이 가부시끼가이샤, 가또오 가쓰히사, 가부시끼가이샤 시스템 테크니컬 filed Critical 미야까와 나오히사
Publication of KR92001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1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B29C70/6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the filler influencing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e.g. by concentrating near the surface or by incorporating in the surface b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7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a low-friction material o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자동차 도어의 창유리의 안내연재에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끼워넣는 삽감오목부와 이 입구에 마주보게 설치한 압지설편을 형성하고 삽감오목부의 내부와 압지설편의 표면에 접동저항이 적은 접촉대의 면을 비치하고 또 창유리에 대해서 서로 대향한 압지조체로 이루어지 압접연재를 창유리에 표면과 이면에서 서로가 닿도록 하고 각 압지조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하에 압접편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하압접편과 접촉대면에는 용융점이 다른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 올레핀계수지, 폴리 스틸렌계수지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를 안내연재 또는 압지조체의 성형과 동시에 압출성형해서 안내연재에는 접촉대면을 압접조체에는 거친면의 접합층을 각각 경고하게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연재를 자동차에 사용한 사시도.
제2도는 안재연재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의 개방상태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Ⅲ-Ⅲ선의 폐쇄상태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안내연재의 일부를 결절한 종단면도.
제6도는 압접연재의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Ⅶ-Ⅶ선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압접연재의 일부 압지조체(壓持條體)의 주여부분의 결절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등 차량도어(door)에 설치된 승강개폐하는 창유리를 경쾌, 원만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또한 드리핑(dripping)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한 연재(緣材) 및 연재(緣材)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같은 종류의 자동차등의 차량에 있어서 도어의 창유리는 항상 통풍, 환기가 필요하므로 다수회에 걸쳐서 개폐조작을 되풀이 한다.
따라서 창유리의 개폐조작은 경쾌하게 할 수 있고 더구나 긴밀성이 필요로 한다.
그래서 경쾌하게 개폐하기 위해서는 연재의 안내연재와 압접연재는 일반적으로 연질합성수지등의 연질성 구성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재를 형성하는 연질합성수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지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EVP, EP, EPDM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연재의 안내연재는 그에 마주대하는 압지설편(壓持舌片)과 창유리의 상단 가장자리가 맞닿는 부분에 나일론등의 섬류를 식모한 것을 붙여서 사용하든가, 안내연재와 창유리의 끝가장자리가 눌려놓는 위치에 불소계의 합성수지 테이프에 몰리브덴을 넣은 테데이프를 접착제로 붙인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쪽의 압접연재(壓接緣材)는 마주 대하는 상하의 압접편부분을 상기한 구성재료를 가지고 창유리의 표리에서 항상 압접점동(摺動)하도록 해서 사용하는 것이나 섬유식모한 것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섬유식모한 거을 사용한 것은 창유리와의 접합상태 및 분리상태가 양호하며 원활하게 개폐조작이 되나, 식모공정이 대단히 복잡함과 동시에 그 식모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해야 하는 번잡한 수고와, 다수회의 사용 및 빗물등의 침투에 의해 식모부분의 전도되든가 마모되든가 해서 소기의 작용효과가 달성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안내연제에 합성수지 테이프를 사용할때에 합성수지 테이프를 압지설편에 접착제로 붙이기 위해 귀찮은 수고와 창유리의 끝가장자리를 끼워넣는 내부의 복잡한 부착면에 대한 부착은 대단히 귀찮은 작업이 됨과 동시에 마주 대하는 압지설편등의 만곡(灣曲) 면 및 코너등의 평면이외의 곳에는 테이프를 접착시킬 수 없다라는 중요한 결점이 있다.
또 안내연재, 드리핑(dripping)압접연재는 연질합성수지, 합성고무등의 연질성의 구성재료를 가지고 창유리의 표리에서 항상 압접접동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압접연재의 것은 창유리에 긴밀하게 압접되어 방수효과는 현저히 양호하나 창유리의 개폐시에 압착이 강하므로 개폐조작이 무거우며 큰힘이 걸리고 조작이 대단히 불편함과 동시에 드리핑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며, 또 손잡이 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안내 및 압접연재에 있어서 도어의 창유리의 개폐조작을 저항없이 경쾌하게 작동시켜 장기간에 걸쳐 접합과 분리를 원만히 실시하고 또한 안내연재와 창유리의 상단외주연과의 긴밀성을 유지하고 개폐시의 접동저항이 적어 경쾌한 조작이 가능한 연재와 그 연재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등의 개폐하는 창유리를 받치고 있는 도어패널에 끼워 넣는 연재의 제조법은 종래의 기술에서 연재의 재료로 사용되어온 연질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하여 상기 창유리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압지자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창유리에 항상 압접하는 부분의 압지자와 창유리 접합면에는 마찰이 작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의 융점이 다른 재료로 된 크고 작은 각종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로된 접촉면을 연재와 동시에 압출성형하여 이 접촉면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등의 거친면을 가지는 부분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등의 개폐하는 창유리를 받치고 있는 도어 패널에 끼워넣는 안내연재는 연질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하고 그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끼워넣는 삽감오목(揷嵌凹)부와, 입구에서 서로 마주 향하고 있는 압지설편을 각각 형성하고, 그 창유리의 가장자리가 폐쇄시에, 항상 압접하는 부분의 압지설편의 표면 및 그 삽감오목부의 내면에, 용융점(熔融点)이 다른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틸렌계수지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크고 작은 각종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로 된 접촉대의 면을 그 안내연재와 동시에 압출 성형하고 표면에 다수의 거친면을 가진 부분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각종차량의 도어의 창유리에 있어서 승강시의 드리핑 압접연재는 연질 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하여 창유리에 대해서 서로 마주 향하고 있는 압지조체를 마주 닿게 하고, 그 압지조체에는 길이방향의 위아래에 상부압접편과 하부압접편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상부압접편과 하부압접편과의 그 창유리가 접합하는 면에는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틸렌계수지등의 용융점이 다른 상용성(相容性)이 있는 대소의 입자를 혼합해서 그 압지 조체와 동시 압출성형에 의해서 그 표면의 다수의 팽출부 및 오목부를 형성한 거친면의 접합층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등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중, 안내연재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6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내연재(1)는 도어패널(12)의 창틀(14)에 끼워짐과 동시에 탄성을 가지고 있는 연질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등의 구성재료를 길이방향의 띠형상으로 성형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19)에 설치되는 각 도어(13),(13),...의 각 창유리(15),(15)의 끝 가장자리가 안내연재(1)에 대해서 접동저항이 적게 승강 개폐를 할 수 있다.
이 안내연재(1)는 단면이 대략 4각형상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창유리(15)의 가장자리를 끼워넣도록 삽감오목부(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삽감오목부(2)의 입구에는 길이방향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압지설편(3) 및 (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삽감오목부(2)에 끼워 넣어지는 창유리(15)이 끝가장자리가 압접하는 내저면(5) 및 측벽(6)과 압지설편(3)및(4)의 접촉대의 면(10)에는 나일론, 우레칸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틸렌수지등의 합성수지(7)를 부착하고 있고 그 합성수지(7)의 재료에는 용융점이 다른 합성수지재료의 크고 작은 각종 분말 또는 입자(8), (8)을 혼합하고 있다.
이 접촉대의 면(10),(10)을 안내연재(1)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압출성형함으로써 그 접촉대의 면(10),(10)의 표면에 다수의 용융하는 부분과 용융하지 않는 부분과의 용융의 정도에 따라 생기는 거친면의 부분(9),(9)...을 일체로 형성해서, 창유리(15),(15)의 개방의 접동저항을 적게하고 있다.
또 그 접촉대의 면(10)에 부착되는 합성수지(7)로는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용융점이 다른 합성수지재료로서는 예컨대 용융점이 낮은 12나일론·11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수지와 용융점이 높은 6나일론, 66나일론 및 불소계수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를 사용하여 크고 작은 각종 분말 및 입자를 적당히 혼합한 그것들의 합성수지(7)를 접촉대의 면(10)의 부착하고, 그 접촉대의 면(10)을 안내연재(1)와 동시에 압출하여 성형함으로써 용융정도에 따라 생기는 凹凸 등의 거친면부분(9),(9)을 형성하고 그것으로서 창유리(15)의 승강을 경쾌하게 하는 안내연재(1)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안내연재(1)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연질합성수지를, 예를 들면, 190℃의 온도로 가열 용융하고 안내연재상에 접촉대의 면(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융점이 다른 합성수지재료의 혼합수지를, 예를 들면, 220℃로 가열용융한 후에, 상기 연질합성수지와 상기 혼합수지를 190℃의 온도로 가열한 금형에서 동시에 압출성형하여, 안내연재와 접촉대를 용융결합시키면, 상기 혼합수지 중 고용융점을 가지는 재료의 분말 또는 입자는 용융점이 높아서 압출온도 및 압출압력에서는 용융되지 않기 문에 분말 또는 입자의 형상을 유지하여, 접촉대의 면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을 가지는 거친면부분(9)이 형성된다.
안내연재(1)의 길이방향의 측변에는 도어패널(12),(12a)의 끝가장자리를 끼워잡는 굴곡협지편(11)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7도, 제8도에 도시하는 드리핑 압접연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20)은 드리핑 압접연재로, 차량(19)의 도어(13),(13)에 있어서 개구부의 창유리(15)에 대해서 앞뒤에서 눌러붙이고 유도안내하는 것으로서 이 압접연재(20)는 상기 안내연재(1)와 똑같이 연질합성수지등의 구성재료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해서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압접연재(20)는 창유리(15)를 개재해서 표면쪽과 이면쪽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압지조체(21)와 압지조체(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지조체(21)에는 길이방향의 윗쪽에 상부 압접편(23)과 밑쪽에 하부압접편(25)을 각각 형성한다.
또 상기압지조체(22)에는 길이방향의 윗쪽에 상부압접편(25)과 밑쪽에 하부압접편(26)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상부압접편(23)고 하부압접편(24) 및 상부압접편(25)과 하부압접편 (26)과 그 창유리 (15)가 접촉하는 접합면에는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의 합성수지를 설치하고, 그 합성수지 내부에는 용융점은 다르나 상용성을 가지고 있는 크고 작은 합성수지분말 및 입자를 각각 적당히 혼합하여 그 압지 조체(21) 및 (22)의 압출성형과 동시에 표면쪽에 다수의 팽출부(27) 및 오목부(28)룰 융합해서 성형한 거친면의 접합층(29),(30) 및 거친면의 접합층 (31,3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또 용융점이 낮은 재료로서는 상기한 안내연재(1)와 똑같이 예를들면 12나일론, 11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를 사용하고 용융점이 높은 재료에는 6나일론, 66나일론,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 상기 압지조체(21)와 (22)에는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앞뒤의 도어패널(12,12a)에 부착되는 걸림턱부(33,34)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안내여재(1)는 압출성형기에 대해서 열가소성의 연질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하는 것과 동시에 안내연재(1)의 창유리(15)의 끝가장자리가 폐쇄시에 압접하는 부분의 압접설편(3,4)고 삽감오목부(2)의 내부에 설치한 합성수지 (7)의 재료로 용융점이 낮은 12나일론, 또는 11나일론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와 용융점이 높은 6나일론 또는 66나일론 및 불소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의 크고 작은 각종 분말 및 입자를 혼합한 접촉대의 면을 안내연재와 동시에 성형하므로써 용융점이 다른 분말 및 입자의 용융정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생기는 요철면등의 거친면부를 표면에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다.
또 차량(19)의 도어(13)에 있어서 개구부의 창유리(15)가 출입하는 위치에 도어패널(12,12a)에 압접연재(20)의 각 압지조체(21) 및 (22)를 접착제등의 고정수단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창유리(15)의 개폐에 의해 승강시에 있어서 창유리(15)의 접합면의 각 거친면의 접합층(29,30) 및 (31,32)의 팽출부(27)와 오목부(28)와의 요철표면에 의해서 마찰계수가 저감하고 승강이 용이함과 적당한 접촉에 의해서 안정되어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수 있다.
본 발명의 창유리의 안내연재 및 압접연재에서는 도어의 창유리의 개방 및 폐쇄시 승강조작에 있어서 접동저항이 낮고 경쾌 확실하게 작동됨과 함께 마찰하는 일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창유리가 적당히 접합하고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해서 드리핑도 충분하게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 안내연재에 의하면 서로 마주보는 각 압지설편에 생기는 평면이외의 만곡면에는 접착이 곤란했던 결점을 용이하게 해결해서 접합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있다.
그리고 압접연재를 창유리에 대해서 서로 마주하는 각 압지조체를 서로접하고 그 길이방향의 상하에 상부 압접편과 하부 압접편을 각각 형성했으므로 창유리에 대해서 완충적으로 압접함과 함께 창유리의 진동을 확실하게 흡수해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또 창유리의 끝가장자리가 항상 끼워 넣는 입구의 서로 마주하는 각 압지설편의 표면과 항상 압접하는 삽감 오목부의 내면 및 상기 상, 하부 접촉편과의 창유리에 접하는 접촉면의 표면에 대해서 용융점이 다른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의 합성수지의 크고 작은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해서 표면에 다수의 거친면이 있는 부분을 형성했으므로 접동저항이 적은 접촉면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효과와, 압출성형시에 있어서 용융온도가 다르므로 적당히 용융하고 요철면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표면에 평균된 거친면부를 확실하게 구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접촉면의 표면에 형성하는 요철면의 대소도 각종 재료의 선택에 의해서 적당히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라는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안내연재의 만곡면 및 코너면등의 각종 단면을 가지고 있는 안내연재에도 자유롭게 요철 등의 거친면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등의 개폐되는 창유리를 받치고 있는 도어패널에 끼워넣는 연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연질합성수지를 길이 방향으로 압출성형하고 상기 연재에는 그 창유리에 대해서 서로 마주보는 압지자(壓紙子)를 각각 형성하고, 그 창유리를 항상 눌러대는 부분의 압지자와 창유리 접합면에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을,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폴리올레핀계수지 및 풀리스티렌계수지 중에서 선택된 용융점이 다른 2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대소 각종의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를 연재와 동시에 압출성형하므로써 형성하여, 상기 접촉면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 등의 거친면부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창유리의 연재의 제조방법.
  2. 자동차등의 개폐하는 창유리를 받치고 있는 도어패널에 끼워넣는 안내연재에 있어서 연질합성수지를 길이방향으로 압출성형해서 안내연재를 형성하고 그 안내연재에는 그 창유리의 끝가장자리를 끼워넣는 삽감오목부와 입구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압지설편 및 압지설편을 각각 형성하고 그 창유리의 끝가장자리가 폐쇄시에 항상 눌러대는 부분의 압지설편 및 압지설편의 표면과 상기 삽감오목부의 내면에 용융점이 다른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대소 각종의 분말 또는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로 된 접촉대면을 그 안내연재와 동시에 압출성형하여 접촉대면의 표면에 다수의 거친면의 부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창유리의 안내연재.
  3. 각종 차량의 도어 창유리에서, 승강시의 드리핑 압접연재에 있어서, 연질합성수지를 길이 방향으로 압출성형해서 압접연재를 형성하고 그 압접연재에는 창유리에 대해서 서로 마주하고 있는 압지 조체 및 압지조체를 대접(對接)하고 상기 압지조체 및 압지조체에는 길이방향의 상하에 상부압접편과 하부압접편 및 상부압접편과 하부압접편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상부압접편과 하부 압접편 및 상부압접편과 하부압접편과의 상기 창유리의 접합면에는 마찰이 적은 나일론, 우레탄, 불소계수지 및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스티렌계수지등의 용융점이 다른 상용성이 있는 대소의 입자를 혼합한 합성수지를 상기 압지조체와 동시에 압출성형하여, 그 표면에 다수의 팽출부 및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거친면의 접합층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창유리의 드리핑압접연재.
KR1019920000012A 1991-02-24 1992-01-03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Expired - Lifetime KR100231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2546A JP2832193B2 (ja) 1991-02-24 1991-02-24 自動車用窓硝子の案内縁材の製造法
JP91-41543 1991-03-25
JP1991041534U JPH04114435U (ja) 1991-03-25 1991-03-25 遠心破砕機
JP91-41534 1991-03-25
JP91-222546 1991-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790A KR920017790A (ko) 1992-10-21
KR100231112B1 true KR100231112B1 (ko) 1999-11-15

Family

ID=2638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012A Expired - Lifetime KR100231112B1 (ko) 1991-02-24 1992-01-03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231112B1 (ko)
DE (1) DE4142661C2 (ko)
FR (1) FR2674482B1 (ko)
GB (1) GB2257451B (ko)
IT (1) IT1258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655A (en) * 1992-10-27 1994-09-06 Tokiwa Chemical Industries Co., Ltd. Weather strip for the window glass of an automobile
JPH0773893B2 (ja) * 1993-06-07 1995-08-09 トキワケミカル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ツプの成形方法
JP3342758B2 (ja) * 1993-11-26 2002-11-11 鬼怒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成形品の滑面構造
DE29515597U1 (de) * 1995-09-30 1995-11-30 Meteor Gummiwerke K. H. Bädje GmbH & Co, 31167 Bockenem Dichtungsanordnung für eine bewegbare Kraftfahrzeug-Fensterscheibe
JPH10129273A (ja) * 1996-10-31 1998-05-19 Tokai Kogyo Kk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US6406785B1 (en) * 1998-07-16 2002-06-18 Schlegel Corporation Weatherseal having a contact layer with thermoplastic particles in a thermoset carrier
WO2000005088A1 (en) * 1998-07-20 2000-02-03 Schlegel Corporation Weatherseal having a contact surface with cross-linked particles
RU2161568C2 (ru) * 1998-09-29 2001-01-10 Центр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орской техники "Рубин" Остекление корпус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 его закрепления
FR2897564B1 (fr) * 2006-02-22 2011-11-25 Hutchinson Garnitures d'etancheite souples et moulees pour vitrages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1318B2 (en) * 1981-04-23 1985-01-03 Kinugawa Rubber Industrial Co., Ltd. Window sealing strip
AU8842482A (en) * 1981-09-30 1983-04-14 Mobil Oil Corp. Activating zeolite catalysts
DE3816347A1 (de) * 1988-05-13 1989-11-2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nsterbruestung einer fahrzeugkarosserie
FR2631413B1 (fr) * 1988-05-16 1991-01-25 Hutchinson Joint d'etancheite, notamment pour glace mobile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42661A1 (de) 1992-11-26
FR2674482B1 (fr) 1996-03-08
DE4142661C2 (de) 2003-10-30
FR2674482A1 (fr) 1992-10-02
KR920017790A (ko) 1992-10-21
IT1258836B (it) 1996-02-29
GB9203979D0 (en) 1992-04-08
GB2257451A (en) 1993-01-13
ITMI920179A0 (it) 1992-01-30
GB2257451B (en) 1994-11-30
ITMI920179A1 (it) 199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4868C (en) Cohesive bonding process for forming a laminate of a wear resistant thermoplastic and a weather resistant rubber
US5013379A (en) Cohesive bonding process for forming a laminate of a wear resistant thermoplastic and a weather resistant rubber
US5447671A (en) Window glass edging member for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dging member
US5343655A (en) Weather strip for the window glass of an automobile
KR100231112B1 (ko) 자동차등의 차량용 창유리의 연재 및 연재의 제조법
US5441685A (en) Method for producing a window glass edging member for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US20020061385A1 (en) Composite extrusion
CA2022363C (en) Integral hybrid molding and weatherstrip
DE441131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chtstreifen für die Scheibeneinfassung bei Kraftfahrzeugen
US20240367493A1 (en) Method for forming a vehicular rear slider window assembly with an upper rail filler having at least one angled end
US11247546B2 (en) Vehicle rear slider window assembly with upper rail co-extruded filler
DE4318685A1 (de) Kunststoffprofil
WO2002066277A2 (en) Method of applying extruded profile to corners of a window glazing
EP0049409A1 (en) Channel-shaped sealing and guiding strips
CN100378350C (zh) 用于制造夹持紧固系统的方法以及相应的夹持紧固系统
US3214212A (en) Window structure
JP3133792B2 (ja) 自動車のウィンド構造
WO2006067622A1 (en) Sealing or guid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US5694718A (en) Glass channel for windows
US2017029724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ongated body
JP3191101B2 (ja) 自動車用窓硝子の案内縁枠の成形方法
JP2587880Y2 (ja) ガラスラン
JPH0825452A (ja) 自動車用窓硝子の案内縁材の製造法
JP2864054B2 (ja) 自動車用窓硝子の案内縁材の製造方法
KR0150251B1 (ko) 자동차용 웨더스트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210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