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30674B1 -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674B1
KR100230674B1 KR1019960704766A KR19960704766A KR100230674B1 KR 100230674 B1 KR100230674 B1 KR 100230674B1 KR 1019960704766 A KR1019960704766 A KR 1019960704766A KR 19960704766 A KR19960704766 A KR 19960704766A KR 100230674 B1 KR100230674 B1 KR 10023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wheel
engine
work vehicle
travel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1134A (ko
Inventor
사토루 니시무라
히코사부로 히라키
히로유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97070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6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60K17/046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with planetary gearing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5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fluid or electric motor, for driving one or mor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3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 F16H37/08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i.e. with two or more internal power paths at least one power path be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e. CVT
    • F16H2037/088Power-split transmissions with summing differentials, with the input of the CVT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16H47/04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the mechanical gearing being of the type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가 설치된 선회체를 주행체의 상부에 탑재하고,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주행체의 하부에 설치한 작업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트랜스미션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기계동력을 출력하는 기계동력 출력수단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기계동력을 펌프수단과 제1유압모터에 의해 유압동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유압동력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한쪽에서 기계동력과 유압동력을 선택적으로 출력가능하며,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다른쪽에서 클러치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차륜과 결합ㆍ분리되는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설치되고,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상기 펌프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이다.

Description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이러한 종류의 종래 작업용 차량으로서는 전륜과 후륜이 각각 구동축을 가지고, 각 구동축은 차동장치, 프로펠러축, 클러치를 통해 트랜스미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각 차륜의 휠 허브(wheel hub)에 직접 유압모터가 장착되어 있고, 각 차륜이 독립하여 구동되는 것도 있다.
상기 종래기술 중 전자는, 모든 차륜에 대해, 특히 전류에 대하여 기계적 구성으로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동력 전달부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져 비용감소에 한계가 있었다.
또, 이 종래기술에서는 엔진이 주행체에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전륜의 동력 전달부가 커지기 때문에 이 부분이 불편해져 엔진 배치의 자유도가 낮고 엔진 주위의 정비성이 좋지 못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좌우의 전륜은 동일 구성축으로 구동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좌우의 회전수 및 토오크에 차이를 갖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땅이 무른 지역이나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의 주파성을 별로 양호하게 할 수 없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의 후자는 모든 바퀴가 유압구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압모터의 특성상 주행효율이 낮다. 또한 이 종래기술에서는 주행용 유압회로로서 폐회로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 유압회로를 작업용 유압회로와 접속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주행용과 작업용 양쪽 유압회로에 유압펌프가 필요하게 되어 유압회로는 대규모가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전자로서, 트랜스미션의 입력축을 유압모터로 구동하는 경우에서도 이 유압모터는 폐회로로 구동되기 때문에 주행용 유압회로와 작업용 유압회로를 완전히 별개로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은 굴착장치라든지 크레인 등의 작업기를 주행체 위에 탑재한 작업용 차량, 특히 전ㆍ후륜에 의한 4륜구동을 가능하게 한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으로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으로 나타내는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과 이해를 용이하게 하려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주행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측면도.
도2는 상기 일실시예를 내장한 작업용 차량을 도시한 평면도.
도3은 상기 실시예의 트랜스미션과 유압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으로 나타낸 유압회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상기 실시예의 각 속도단의 속도와 견인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6은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1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절단도.
도7은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1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8은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2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9는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3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10은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4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11은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5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단도.
도12는 전륜의 현가장치의 제6실시예를 정면에서 바라본 부분 절단도.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동력 전달부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트랜스미션의 속도단을 적게할 수 있어 그 동력 전달부 및 트랜스미션의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하부 주행체측에 탑재하는 엔진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땅이 무른 지역이나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의 주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유압회로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차륜을 독립하여 구동하기 위한 유압모터를 주행 노면의 장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기가 설치된 선회체를 주행체의 상부에 탑재하고,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주행체의 하부에 설치한 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기계동력을 출력하는 기계동력 출력수단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기계동력을 펌프수단과 제1유압모터에 의해 유압동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유압동력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한쪽에서 기계동력과 유압동력을 선택적으로 출력가능하며,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다른쪽에서 클러치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차륜과 결합ㆍ분리되는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설치되고,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상기 펌프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전ㆍ후륜 중 어느 한쪽이 엔진에 의한 구동가 유압모터에 의한 구동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동되고, 또한 다른쪽 차륜이 좌우 독립한 각 유압모터로 구동되기 때문에 모든 차륜을 트랜스미션에 기계적으로 연결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동력 전달부가 간소화되어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엔진과 유압모터에 의한 구동을 선택적으로 조합함으로써 속도변환을 할 수 있고, 그 만큼 엔진의 동력 전달부에 장착되는 트랜스미션의 속도단을 적게 할 수 있어 트랜스미션의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전ㆍ후륜 중 어느 한쪽을 독립한 유압모터로 구동함으로써 이 부분의 동력 전달부의 구성이 콤팩트해지고, 그 결과 주행체에 엔진을 탑재하는 경우 공간이 넓어져 엔진 배치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엔진의 정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륜의 좌우의 각각을 독립한 유압모터로 구동하도록 했기 때문에 전륜의 좌우 회전수 및 토오크를 바꿀 수 있어 땅이 무른 지역이나 고르지 못한 지역에서의 주파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ㆍ후륜 중 다른쪽 좌우의 차륜의 현가장치에 각각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와의 연결을 ON, OFF하는 클러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 주행체 위에 작업기를 설치하고, 유압펌프의 흡입측을 탱크측에 접속하고, 유압펌프의 배출측 회로에 각 유압모터 이외에, 작업기용 액츄에이터를 조작밸브를 통해 병렬로 접속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압펌프와 유압모터에 의한 구동장치에서의 유압회로가 작업기용 유압회로와 겸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펌프는 한 개로 끝나는 동시에, 메인 유압회로도 한 개로 충분하여 유압회로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유압모터와,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를 조작밸브를 통해 유압펌프의 배출측 회로에 병렬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 전륜의 좌우의 현가장치에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를 각각 독립하여 설치하고, 각 유압모터를 각 현가장치의 스티어링 암(steering arm)의 내부에 장착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전륜의 좌우를 독립하여 구동하는 유압모터를 스티어링 암의 내부에 장착하기 때문에 주행 노면에서의 토사 및 바위 등으로부터 유압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를 각 스티어링 암에 고정된 스핀들과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티어링 암에 고정된 스핀들에 지지된 림부재에 차륜을 고정하고, 스핀들에 지지된 입력축과 림부재를 림부재내에 설치한 유성 기어식 감속기를 통해 연결하고, 입력축에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의 출력축을 연결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유압모터를 독립하여 연결한 전륜의 림부재내에 유성 기어열 기구에 의한 감속기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륜의 허브 부분을 크게 하는 일없이 감속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2유압모터 및 제3유압모터의 출력축과, 스티어링 암에 고정된 스핀들에 지지된 입력축을 클러치를 통해 연결해도 된다.
또한, 클러치는 디스크ㆍ플레이트형이어도 되며, 커플링을 출력축과 입력축에 걸거나 벗기는 커플링형이어도 된다.
또한, 감속기의 링 기어 또는 캐리어 등의 중간 회전부재와 휠 허브 사이에 디스크ㆍ플레이트형 클러치를 형성해도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적당한 실시예의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주행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포함하는 작업용 차량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섀시(주행체용 프레임)이고, 이 섀시(1)에는 선회체(2)가 선회베어링(3)을 통해 선회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이 선회체(2)에는 굴착장치(4)나 캐빈(5) 등의 작업기(6)가 형성되어 있다. "7"은 섀시(1)와 선회체(2)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스위블 조인트(central swivel joint)이다.
섀시(1)에는 좌우 후륜(8a,8b), 좌우 전륜(9a,9b), 엔진(10), 트랜스미션(11), 펌프수단인 유압펌프(12), 후륜용 유압모터(13) 등이 갖추어져 있다. 그리고, 좌우 후륜(8a,8b) 각각의 차축은 차동장치(14)와 프로펠라축(15)을 통해 트랜스미션(11)의 축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우 전륜(9a,9b)에는 각각의 휠 허브 안에 장치한 감속기(17)와 클러치(18)를 통해 각각 따로 설치된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다. 이 각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는 전륜축을 현가하고 있는 후술의 전륜 현가장치의 일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 후륜축 및 좌우 전륜축에는 각각 서비스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도3은 후륜(8a,8b) 및 전륜(9a,9b)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실시예의 트랜스미션(11) 및 유압회로(28)를 나타내고 있다. 트랜스미션(11)은 제1입력축(21)과 제2입력축(22)을 가지고 있고, 제1입력축(21)의 일단이 엔진(10)의 출력축에, 타단이 유압펌프(12)의 입력축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입력축(21)에는 2속용(速用), 3속용, 4속용의 각 속도단 기어열(23,24,25)을 가지는 기어 변속부(26)가 연결되어 있고, 이 기어 변속부(26)의 출력측이 평기어(A,B)를 통해 프로펠러축(15)에 연결되어 있다. 평기어(A)는 유성 기어열(27)의 캐리어(27a)에 베어링을 통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이 제2입력축(22)의 일단에는 후륜용 유압모터(13)의 출력축이 연결되어 있고, 이 제2입력축(22)의 타단은 유성 기어열(27) 및 평기어(C)를 통해 프로펠러축(15)에 연결되어 있다. 후륜용 유압모터(13)와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는 개방회로 구성의 유압회로(28)로서 각각의 제어밸브(29a,29b)를 통해 유압펌프(12)에 접속되어 있다.
도4는 유압회로(28)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개방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이 유압회로(28)에 굴착장치(4)의 복수의 작업기용 액츄에이터인 실린더(30a,30b)와 상부 선회체(2)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인 선회모터(31)가 각각 제어밸브(32a,32b,32c)를 통해 후륜용 유압모터(13) 및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좌우 전륜(9a,9b)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 바(equalizer bar) 타입의 현가장치로 지지되어 있다. 즉, 좌우 전륜(9a,9b)은 이퀄라이저 바(33)의 양 단부에 스티어링 암(34)을 통해 스티어링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티어링 로드(35) 및 스티어링 실린더(36)를 통해 스티어링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퀄라이저 바(33)의 양 단부는 로크기구를 가지는 서스펜션 실린더(37)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전륜(9a,9b)을 구동하는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는 스티어링 암(34)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엔진(10)의 회전으로 트랜스미션(11)의 제1입력축(21)이 회전되어, 기어변속부(26)에 동력 입력되는 동시에 유압펌프(12)가 구동된다. 그리고, 이 트랜스미션(11)의 제2입력축(22)에는 유압펌프(12)로부터의 배출유로 구동되는 후륜용 유압모터(13)로부터의 동력이 입력된다. 이 동력은 클러치(27a)를 ON할 때, 유성기어열(27) 및 평기어(C)를 통해 프로펠러축(15)으로 전달되고, 또한 후륜(8a,8b)측에 전달되어 이 후륜(8a,8b)을 구동한다.
한편, 전륜(9a,9b)은 유압펌프(12)로부터의 배출유로 회전되는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로 구동된다.
그리고, 트랜스미션(11)내의 기어 변속부(26)에 전달된 동력은 각 속도단 기어열(23,24,25)의 각 클러치(23a,24a,25a)를 선택적으로 ON함으로써 평기어(A,B)를 통해 프로펠러축(15)으로 전달된다.
이어서, 기어 변속부(26)의 각 속도단 기어열(23,24,25)의 각 클러치(23a,24a,25a)와 각 유압모터(12,13,19a,19b)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구성되는 각 속도단에 대해 후륜(8a,8b)과 전륜(9a,9b)에 의한 후진과, 후륜(8a,8b)에 의한 2륜구동과, 후륜(8a,8b)과 전륜(9a,9b)에 의한 4륜구동인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후진과 2륜구동과 4륜구동에 있어서 각 속도단에서의 엔진(10), 후륜용 유압모터(13),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로부터의 동력 전달의 ON, OFF 상태를 나타낸다.
[표 1]
ㆍ후진(R)
후륜용과 전륜용 각 유압모터(13,19a,19b)를 역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이 유압모터(13,19a,19b)에 의하여 4륜구동으로 후진한다.
이때, 기어 변속부(26)의 각 클러치는 유성 기어열(27)의 클러치(27a)를 제외하고 OFF로 되어 있고, 이 기어 변속부(26)를 경유한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전달은 OFF로 되어 있다. 이때, 후륜용 유압모터(13)의 출력은 유성 기어열(27)과 평기어(C)를 통해 프로펠러축(15)에 출력된다.
ㆍ2륜 1속 전진(2-F1)
후륜용 유압모터(13)만을 정상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이 후륜용 유압모터(13)에 의하여 후륜(8a,8b)을 구동한다. 이때 후진의 경우와 같이,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은 OFF로 되어 있고, 또한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로부터의 동력 전달도 OFF로 되어 있다.
ㆍ2륜 2속 전진(2-F2)
후륜용과 전륜용 각 유압모터(13,19a,19b)로부터 동력 전달을 OFF로 하고, 기어 변속부(26)의 2속용 속도단 기어열(23)의 클러치(23a)를 ON으로 하고, 평기어(A,B)에 의해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후륜(8a,8b)을 구동한다. 이때, 제2입력축(22)의 유성 기어열(27)의 클러치(27a)를 OFF로 해둔다.
ㆍ2륜 3속 전진(2-F3), 2륜 4속 전진(2-F4)
이 양속 모두 각 유압모터(13,19a,19b)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OFF로 하고, 기어 변속부(26)의 3속용, 4속용 각 기어열(24,25)의 클러치(24a,25a)를 ON으로 하고, 평기어(A,B)에 의해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후륜(8a,8b)을 구동한다. 상기의 경우도 유성 기어열(27)의 클러치(27a)는 OFF로 해둔다.
ㆍ4륜 1속 전진(4-F1)
후륜용 및 전륜용 각 유압모터(13,19a,19b)를 각각 정상 회전하도록 제어하고, 각 차륜(8a,8b,9a,9b)을 각 유압모터(13,19a,19b)로 구동한다. 이것은, 상기한 후진의 경우와 같고, 큰 견인력을 발휘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 전달은 OFF로 되어 있다.
ㆍ4륜 2속 전진(2-F2)
기어 변속부(26)의 2속용 속도단 기어열(23)의 클러치(23a)를 ON으로 하고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후륜(8a,8b)을 구동한다. 또한, 전륜용 유압모터(19a,19)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ON으로 하여 전륜(9a,9b)을 구동한다. 이때, 후륜용 유압모터(13)로부터의 동력 전달은 OFF로 되어 있다.
ㆍ4륜 3속 전진(4-F3), 4륜 4속 전진(4-F4)
이 양속 모두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ON으로 한 상태로, 각각 기어 변속부(26)의 3속용, 4속용의 각 속도단 기어열(24,25)의 클러치(24a,25a)를 ON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3속, 4속의 양 속도단도 후륜(8a,8b)은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을 기어 변속부(26)에서 각 변속비로 변환하여 전달함으로써 구동되고, 또한 전륜(9a,9b)은 각 유압모터(19a,19b)로 구동된다. 이때, 후륜용 유압모터(13)로부터의 동력 전달은 OFF로 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의 각 속도단에 대해 설명했는데, 각 속도단(1속 내지 3속)에서의 견인력과 속도의 관계는 도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또한, 용량×정수의 토오크 관련식에 의해, 유압모터(13,19a,19b)는 모터용량(cc/rev)을 증가하면 모터 회전수가 작아지고 토오크(견인력)는 올라간다(유량과 압력이 일정한 경우).
상기 4륜구동에 있어서, 전륜(9a,9b) 구동은 각각의 축부에 장착한 클러치(18)를 ON, OFF함으로써 선택적으로 ON, OFF할 수 있다. 또한, 각 유압모터(13,19a,19b)로서는 가변 용량형의 것이 사용되고, 각 속도단에 따른 회전수를 이루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 각 유압모터는 고정 용량형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작업기용 각 제어밸브(32a,32b,32c)를 통해 작업기용 실린더(30a,30b)와, 상부 선회체용 선회모터(31) 등을 제어함으로써, 선회체(2)상의 작업기가 작동된다. 이때, 각 액츄에이터로의 압유(壓油)는 주행용 유압폄프(12)로부터 공급되며, 다시 말해서 이 유압펌프(12)는 주행용과 작업기용 양쪽에 이용된다. 따라서, 주행하면서 각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다.
이어서,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다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2로 나타낸 이퀄라이저 바 타입 대신에 맥퍼슨 타입(Mcpherson type)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섀시(1)의 양 측부에 서스펜션 링크(4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서스펜션 링크(40)의 선단부에 스티어링 암(41)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티어링 암(41)에, 상단을 섀시(1)에 연결한 서스펜션 실린더(42)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스티어링 암(41)에 전류(9a,9b)이 결합되어 있다.
스티어링 암(41)과 전륜(9a,9b)과의 결합부는 도7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스티어링 암(41)에 스핀들(43)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이 스핀들(43)의 타단부에 휠 허브(44)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스핀들(43)의 축심부에는 입력축(4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입력축(45)의 일단은 커플링(46)을 통해 스티어링 암(41)에 장착된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47)에 연결되어 있다.
휠 허브(44)에는 전륜(9a,9b)의 림부재(48)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림부재(48)와 상기 스핀들(43)의 선단부가 유성 기어열 구조의 감속기(1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속기(17)의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18)가 휠 허브(44)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클러치(18)는 휠 허브(44)의 내주부와 감속기(17)의 링 기어부재(49)의 외주부의 사이에 구성되어 있고, 링 기어부재(49)를 선택적으로 휠 허브(44)에 고정상태나 자유회전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8은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다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클러치(18)는 휠 허브(44)의 내주부와 감속기(17)의 캐리어(50) 사이에 구성되어 있고, 캐리어(50)를 선택적으로 휠 허브(44)에 고정상태나 자유회전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9는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다른 제3실시예로서, 전류용 유압모터(19a,19b)의 지지구조가 상기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핀들(43a)에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하우징 부분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을 스핀들(43a)에 지지되는 입력축(45a)과 일체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륜용 유압모터(19a,19b)가 스티어링 암(41)의 안쪽에 깊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그 전륜용 유압모터(19a,19b)를 스티어링 암(41)으로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와 스핀들(45a)의 일체로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10은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다른 제4실시예로서, 클러치(18)의 설치위치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로서는 감속기(17)의 링 기어부재(49)가 휠 허브(44)에 고정되고, 입력축(45b)과 림부재(48)가 감속기(1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축(45b)과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47)사이에 클러치(18)가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감속기(17)의 직경방향의 크기를 클러치(18)분 만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륜(9a,9b)의 허브부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18)도 작게 할 수 있어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도10으로 나타내는 클러치(18)의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스티어링 암(41)측에 작동 피스톤(51)이 설치되고, 이 작동 피스톤(51)으로 눌러 움직이는 커플링(52)이 출력축(47)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커플링(52)에 고정한 통부재(53)의 내주부와 입력축(45b)의 외주부에 교대로 겹치는 디스크ㆍ플레이트 가 장착되어 있고, 커플링(52)과 대향하는 백 플레이트(54)가 스핀들(43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 피스톤(51)을 유압력으로 눌러 움직이게 함으로써 커플링(52)이 백 플레이트(54)측으로 눌러 움직여 디스크·플레이트끼리를 눌러 붙이고, 이것에 의해 커플링(52)과 입력축(45)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10에 도시한 클러치의 구성에서는,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47)과 전륜(9a,9b)의 입력축(45b) 사이에 클러치(18)을 콤팩트하게 내장할 수 있다.
도11은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다른 제5실시예로서, 클러치(18)의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륜용 유압모터(19a,19b)의 출력축(47)과 전륜(9a,9b)의 입력축(45c)이 커플링(55)의 슬라이딩에 의해 걸리거나 벗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 커플링(55)은 스티어링 암(41)에 설치된 피스톤(56)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고, 그 피스톤(56)은 스프링(57)으로 되돌아가게 되어 있고, 또한 유압력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11에서는 커플링(55)의 이탈상태의 위치와 결합상태의 위치를 출력축(47) 및 입력축(45c)의 중심선의 상하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커플링(55)의 슬라이딩에 의해 클러치(18)의 기능이 발휘되기 때문에 디스크ㆍ플레이트식 클러치(18)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여 구조가 간단해져 비용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전륜(9a,9b)의 현가장치의 각 구성은 맥퍼슨 타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도2로 나타낸 이퀄라이저 바 타입의 현가장치(60)나 도12로 나타낸 슬라이딩 필러 타입의 현가장치(61)인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12로 나타내는 슬라이딩 필러 타입의 것은 스티어링 암(62)이 서스펜션 실린더(63)의 선단부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티어링 암(62)의 안쪽에 전륜용 유압모터(19a,19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개시한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으면 안된다
.

Claims (3)

  1. 작업기가 설치된 선회체를 주행체의 상부에 탑재하고, 엔진 및 트랜스미션을 주행체의 하부에 설치한 작업용 차량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기계동력을 출력하는 기계동력 출력수단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기계동력을 펌프수단과 제1유압모터에 의해 유압동력으로 바꾸어 출력하는 유압동력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한쪽에서 기계동력과 유압동력을 선택적으로 출력가능하며, 주행체의 전ㆍ후륜중의 다른쪽에서 클러치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차륜과 결합ㆍ분리되는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설치되고,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상기 펌프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탱크측에 접속된 흡입측과, 작업기용 액츄에이터와 선회체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제1, 제2, 제3유압모터가 조작밸브를 통해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배출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유압모터가 현가장치의 스티어링 암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KR1019960704766A 1994-03-07 1995-03-07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30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5687 1994-03-07
JP6035687A JPH07242130A (ja) 1994-03-07 1994-03-07 作業用車両の走行駆動装置
PCT/JP1995/000371 WO1995024325A1 (fr) 1994-03-07 1995-03-07 Dispositif d'entrainement de roulage pour engin de travaux publ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1134A KR970701134A (ko) 1997-03-17
KR100230674B1 true KR100230674B1 (ko) 1999-11-15

Family

ID=1244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7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30674B1 (ko) 1994-03-07 1995-03-07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57235A (ko)
EP (1) EP0749862B1 (ko)
JP (1) JPH07242130A (ko)
KR (1) KR100230674B1 (ko)
DE (1) DE69518507T2 (ko)
WO (1) WO1995024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0707B (fi) * 1995-12-22 1998-02-13 Normet Oy Vetävän pyörän käyttöjärjestelmä
US6193086B1 (en) * 1998-03-13 2001-02-27 Marine Travelift, Inc. Gantry crane with improved manually variable controls for movable components
US6098738A (en) * 1998-07-08 2000-08-08 White; Harvey Hydraulic drive system for a vehicle
US6308441B1 (en) * 1998-12-15 2001-10-30 The Gradall Company Excavator
DE19927702A1 (de) * 1999-05-11 2000-11-16 Martin Brenninger Antrieb einer Achse für mehrachsige Fahrzeuge
DE19921856A1 (de) * 1999-05-11 2000-11-16 Martin Brenninger Hydrostatisch-mechanischer Allradantrieb für mehrachsige Fahrzeuge
ATE324537T1 (de) * 1999-06-14 2006-05-15 Textron Inc Zweiwege einzelpumpen, hydrostatischer antrieb für mäher
CA2282821C (en) * 1999-09-17 2007-11-27 Champion Road Machinery Limited All wheel drive for motor grader
US6860358B1 (en) 2002-10-04 2005-03-01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Utility vehicle having hydrostatic drive
EP1950071A1 (en) 2003-12-11 2008-07-30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Hydraulic transaxle
US7111704B2 (en) * 2004-01-30 2006-09-26 Johnson Welded Products, Inc. Hydrostatic drive apparatus for a road vehicle
JP2007039031A (ja) * 2006-09-28 2007-02-15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の走行駆動装置
DE102009001603A1 (de) * 2009-03-17 2010-09-23 Zf Friedrichshafen Ag 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antriebsstrang
DE102010010472A1 (de) * 2010-03-06 2011-09-08 Daimler Ag Kraftfahrzeug mit einem hydraulischen Zusatzantrieb
DE102011108893C5 (de) * 2011-07-29 2022-05-12 Liebherr-Werk Ehingen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Kran
JP6469647B2 (ja) * 2014-02-27 2019-02-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トラック
CN105939913B (zh) * 2014-03-06 2019-09-17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WO2018189202A1 (en) 2017-04-11 2018-10-18 Dana Italia S.R.L. A hydraulic circuit for an adaptive park bra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251962B1 (ko) * 2017-06-20 2021-05-14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유압시스템
JP2023112846A (ja) * 2022-02-02 2023-08-1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式作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29U (ko) * 1986-02-24 1987-08-29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0398A (en) * 1970-10-05 1972-09-12 Gen Motors Corp Hydrostatic drive
US3844368A (en) * 1972-01-24 1974-10-29 V Melli Hydraulic drive system
US3921746A (en) * 1972-12-28 1975-11-25 Alexander J Lewus Auxiliary pow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3980152A (en) * 1973-03-14 1976-09-14 Manor Robert T Air powered vehicle
US4063608A (en) * 1974-11-25 1977-12-20 Sullivan Patrick D Hydrostatic drive vehicle
US3954026A (en) * 1974-12-06 1976-05-04 Clark Equipment Company Wheel drive mechanism
US4023641A (en) * 1975-09-25 1977-05-17 Ganoung David P Powertrain and method for achieving low exhaust emission and high fuel economy operation of a combustion engine
US4020917A (en) * 1975-11-07 1977-05-03 Lutterschmidt Sigmund P Positive hydraulic direct drive for vehicles
DE2659282A1 (de) * 1976-12-29 1978-07-13 Linde Ag Kraftfahrzeug mit einer brennkraftmaschine
DE2758556A1 (de) * 1977-12-23 1979-07-05 Mannesmann Ag Hydrostatischer trommelantrieb
WO1980001668A1 (en) * 1979-02-08 1980-08-21 D Larson Overspeed control for a vehicle drive system
DE3035522C2 (de) * 1980-09-19 1983-03-2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Hydrostatischer Antrieb für zuschaltbare Zusatzantriebsräder selbstfahrender schwerer Arbeitsmaschinen
JPS5870550A (ja) * 1981-10-22 1983-04-27 Nec Corp 半導体装置
JPS5870550U (ja) * 1981-11-06 1983-05-13 日本エスエス工業株式会社 変速装置
JPS62137129A (ja) * 1985-12-09 1987-06-20 Chiyuushiyou Kigyo Jigyodan 計算機による金型設計支援システム
US4777866A (en) * 1986-09-30 1988-10-18 Nanjing Automobile Research Institute Variable displacement radial piston pumps or motors
US4955451A (en) * 1988-10-17 1990-09-11 Schaefer Stephen H Utility vehicle
JPH02140336A (ja) * 1988-11-21 1990-05-3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左右独立油圧走行モータ駆動式車両の駆動回路
GB8913809D0 (en) * 1989-06-15 1989-08-02 Group Lotus Vehicle suspension system
US5039129A (en) * 1989-11-15 1991-08-13 Charles Balmer Vehicle for agricultural use
JPH0554042A (ja) * 1991-08-29 1993-03-05 Shin Etsu Chem Co Ltd 粉末品自動検査装置および粉末品自動検査方法
JP3408548B2 (ja) * 1991-08-21 2003-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仕様書作成工程管理装置
JP3367614B2 (ja) * 1991-10-17 2003-0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トラックの操舵輪油圧駆動装置
FI94041C (fi) * 1991-11-08 1995-07-10 Raunisto Airi Voimansiirtojärjestelmä
JPH0554043U (ja) * 1991-12-25 1993-07-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輪駆動装置
JPH0554042U (ja) * 1991-12-25 1993-07-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舵輪駆動装置
DE9302376U1 (de) * 1993-02-18 1993-06-24 EC Engineering + Consulting Spezialmaschinen GmbH, 7900 Ulm Kran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29U (ko) * 1986-02-24 1987-08-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8507T2 (de) 2001-01-11
US5957235A (en) 1999-09-28
WO1995024325A1 (fr) 1995-09-14
EP0749862A4 (en) 1999-05-06
EP0749862B1 (en) 2000-08-23
JPH07242130A (ja) 1995-09-19
EP0749862A1 (en) 1996-12-27
DE69518507D1 (de) 2000-09-28
KR970701134A (ko) 199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0674B1 (ko) 작업용 차량의 주행구동장치
US5046994A (en) Vehicle transmission assembly
JP6309956B2 (ja) 駆動軸から駆動軸へのトルク伝達による油圧アシストを備える車両
KR101837458B1 (ko) 동력전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9102999A1 (ja) トラクタの変速伝動装置及びトラクタ
US5511436A (en) Vehicle transmission assembly
US7074149B2 (en) Transmission for wheel type working vehicle
CN104015614A (zh) 作业车辆
US6604596B2 (en) Hydrostatic traction drive
US6662896B1 (en) Transmission for cars
JP4474842B2 (ja) 作業車両
CN109334348B (zh) 一种实现双速的重卡汽车双联驱动桥
CA3232257A1 (en) Electric axle drive for an axle of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car, and motor vehicle, in particular motor car
JP3652223B2 (ja) 電動走行式産業用車両
JPH0117883B2 (ko)
JP3085161B2 (ja) 四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KR101837459B1 (ko) 동력전달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JP3047016B2 (ja) 前後輪駆動力分配装置
JP2003267258A (ja) 走行車両の操向装置
JPS621479Y2 (ko)
JP4666743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H02200528A (ja) 動力伝達装置
JP2002127771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209479B2 (ja) トランスファ
JP2002137757A (ja) 作業車両のリヤアクス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