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9874B1 -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874B1
KR100229874B1 KR1019970023552A KR19970023552A KR100229874B1 KR 100229874 B1 KR100229874 B1 KR 100229874B1 KR 1019970023552 A KR1019970023552 A KR 1019970023552A KR 19970023552 A KR19970023552 A KR 19970023552A KR 100229874 B1 KR100229874 B1 KR 10022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voice
call
speakerphone
voic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564A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874B1/ko
Priority to CNB981061702A priority patent/CN1149815C/zh
Priority to FR9803899A priority patent/FR2764458B1/fr
Priority to GB9807500A priority patent/GB2327010B/en
Priority to US09/064,282 priority patent/US6131044A/en
Priority to JP10160153A priority patent/JPH1117779A/ja
Publication of KR1999000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64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for improving intelligibi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음성인식 통화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을 향상시킨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링사운드의 주파수를 음성 대역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링사운드의 발생시간을 짧게 처리함으로써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인식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핸즈프리키트 또는 자동응답 전화기.

Description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본 발명은 음성인식 통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개시시의 음성인식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핸즈프리키트(Hands Free Kit)와 같은 통화장치는 스피커폰(speaker phone)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처리할 뿐만 아니라 이 스피커폰을 통해 음성을 출력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통화장치에는 스피커폰(스피커+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 처리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폰처리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도 1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유형의 통화장치, 즉 음성을 인식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러한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음성의 기본적인 예로는 "통화", "열려라", "받아라" 등이 있다. 이러한 음성인식 통화장치에는 대표적으로 핸즈프리키트가 있으며, 상기 핸즈프리키트 이외에도 향후에 상용화될 예정에 있는 자동응답 전화기가 있다.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교환기로부터 링이 수신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우선, 교환기에서 링이 수신되면 음성인식 통화장치는 링이 수신되는 시간만큼 링을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으로 "통화", "열려라", "받아라"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음성인식 통화장치는 이 음성을 인식한 후 스피커폰 모드로 전환을 하여 링 착신을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스피커폰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스피커폰을 통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링이 울리고 있을 때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링소리와 음성 명령어가 합성이 된다. 이와 같이 링소리와 음성 명령어가 합성이 되면 통상의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는 음성 명령어가 인식되지 않을 확률은 매우 크다. 왜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발생되는 링사운드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음성과 동등한 범위의 주파수인 500Hz+1kHz의 듀얼주파수를 갖고 있으며, 그 링의 발생시간도 일반적인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링주기인 1초 링온, 2초 링오프가 반복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스피커폰으로 링이 착신되도록 하기 위해 입력되는 음성에 대한 인식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사용자가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음성 명령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스피커폰을 통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사운드의 주파수를 음성 대역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링사운드의 발생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인식율의 저하를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통화개시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방법은 도 1의 링발생기 22에 의해 링이 발생되어 스피커 SPK로 송출된 링사운드가 스피커폰용 마이크 MIC로 유입이 되어서 음성인식 처리부 14로 유입된다는 데 착안한 것으로, 링사운드로 유입되는 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 대역통과필터 12에 의해 필터링되는 음성 대역폭을 개선한 것이다. 즉, 대역통과필터 12에 의해 필터링되는 음성의 대역폭이 300헤르쯔[Hz] 내지 1.5킬로헤르쯔[kHz]가 되도록 한 것이다. 대비적으로, 기존의 대역통과필터 12에 의해 필터링되는 음성 대역폭의 차단주파수는 3.4킬로헤르쯔였다. 실제 음성을 주파수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음성에너지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헤르쯔 내지 900헤르쯔의 범위내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음성의 주파수대역중 약 1.5킬로헤르쯔 이상의 주파수성분을 차단하여도 무리는 없다.
또한 이 방법은 링사운드의 주파수가 음성 대역의 주파수와 서로 다르도록 하여 이 주파수의 링사운드가 마이크 MIC를 통해 다시 인가되더라도 음성인식 처리부 14로는 인가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링사운드의 주파수로 대역통과필터 12의 차단주파수 대역의 범위보다 큰 1.8킬로헤르쯔 또는 2.2킬로헤르쯔의 듀얼주파수를 사용하여 링사운드의 주파수가 음성 대역의 주파수와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링사운드의 주파수와 음성 대역의 주파수를 분리함으로써 스피커 SPK를 통해 출력되는 링사운드가 다시 마이크 MIC를 통해 인가되더라도 이 인가된 링사운드는 음성인식 처리부 14로는 인가되지 않고 스피커폰 처리부 18을 거쳐 스피커 SPK를 통해서만 출력되게 된다. 즉, 링사운드와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음성이 마이크 MIC를 통해 동시에 입력되더라도 음성인식 처리부 14로는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음성만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제어부 24는 음성인식 처리부 14에 의해 처리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한 음성만을 입력받아 이 음성을 확인한 후 스피커폰 처리부 18을 제어하여 링이 스피커폰으로 착신되어 스피커폰을 통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통화개시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방법은 교환기로부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기(링온주기 1초, 링오프주기 2초)의 링이 인가되더라도 제어부 24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기(링온주기 0.5초, 링오프주기 5.5초)의 링이 인가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환기로부터 발생한 링보다 짧게 링소리를 울리게 하면(링온주기를 짧게 하면), 입력 음성과 링의 합성으로 입력 음성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영역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링에 의한 음성인식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사운드의 주파수를 음성 대역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링사운드의 발생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인식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스피커폰을 적어도 포함하는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인식 통화장치로 링이 인가되어 링이 울릴 시 이 울리는 링의 사운드 주파수 대역을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설정하고,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음성이 입력될 시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링이 상기 스피커폰을 통해 착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사운드 주파수를 18킬로헤르쯔 또는 22킬로헤르쯔로 설정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이 300헤르쯔 내지 1.5킬로헤르쯔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링이 상기 스피커폰을 통해 착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스피커폰을 적어도 포함하는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인식 통화장치로 링이 인가될 시 링온 주기가 0.5초이고 링오프 주기가 5.5초인 링이 발생되도록 처리하고,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음성이 입력될 시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링이 상기 스피커폰을 통해 착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스피커폰을 적어도 포함하는 음성인식 통화장치에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 상기 음성인식 통화장치로 링이 인가되어 링이 울릴 시 이 울리는 링의 사운드 주파수 대역을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게 설정한 후 링온 주기가 0.5초이고 링오프 주기가 5.5초인 링이 발생되도록 처리하고,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음성이 입력될 시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링이 상기 스피커폰을 통해 착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사운드 주파수를 18킬로헤르쯔 또는 22킬로헤르쯔로 설정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스피커폰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이 300헤르쯔 내지 1.5킬로헤르쯔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설정된 링이 상기 스피커폰을 통해 착신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23552A 1997-06-09 1997-06-09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KR10022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52A KR100229874B1 (ko) 1997-06-09 1997-06-09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CNB981061702A CN1149815C (zh) 1997-06-09 1998-03-30 提高话音识别呼叫装置开始呼叫时话音识别的方法
FR9803899A FR2764458B1 (fr) 1997-06-09 1998-03-30 Procede d'augmentation d'un taux de reconnaissance de voix dans un declenchement d'appel d'un dispositif d'appel a reconnaissance de voix
GB9807500A GB2327010B (en) 1997-06-09 1998-04-08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voice recognition in a calling device such as a telephone
US09/064,282 US6131044A (en) 1997-06-09 1998-04-22 Method for increasing the voice recognition rate of a voice recognition calling device
JP10160153A JPH1117779A (ja) 1997-06-09 1998-06-09 音声認識通話装置の音声認識率向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552A KR100229874B1 (ko) 1997-06-09 1997-06-09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64A KR19990000564A (ko) 1999-01-15
KR100229874B1 true KR100229874B1 (ko) 1999-11-15

Family

ID=1950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552A KR100229874B1 (ko) 1997-06-09 1997-06-09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31044A (ko)
JP (1) JPH1117779A (ko)
KR (1) KR100229874B1 (ko)
CN (1) CN1149815C (ko)
FR (1) FR2764458B1 (ko)
GB (1) GB2327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3045A1 (fr) * 2001-03-27 2002-10-0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lephone comportant un clavier de commande perfectionne
US20050134504A1 (en) * 2003-12-22 2005-06-23 Lear Corporation Vehicle appliance having hands-free telephone,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satellite communications modules combined in a common architecture for providing complete telematics functions
US7801283B2 (en) * 2003-12-22 2010-09-21 Lear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vehicular, hands-free telephone system
US7050834B2 (en) * 2003-12-30 2006-05-23 Lear Corporation Vehicular, hands-free telephone system
US7778604B2 (en) * 2004-01-30 2010-08-17 Lear Corporation Garage door opener communications gateway module for enabling communications among vehicles, house device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7197278B2 (en) * 2004-01-30 2007-03-27 Le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between a vehicular hands-free telephone system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a garage door opener as a communications gateway
JP4557919B2 (ja) * 2006-03-29 2010-10-06 株式会社東芝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および音声処理プログラム
CN101399874B (zh) * 2007-09-28 2011-08-3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铃声音量加强装置及方法
EA201000597A1 (ru) * 2007-10-16 2010-10-29 Псайгнивикант Сервисес Лимите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вязи
CN103383594B (zh) * 2012-05-04 2018-01-0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US8731912B1 (en) 2013-01-16 2014-05-20 Google Inc. Delaying audio notifications
US9169684B2 (en) 2013-04-26 2015-10-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program products, and systems relating to vehicular garage door contro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8540A (en) * 1982-12-20 1986-03-25 At&T Bell Laboratories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4521647A (en) * 1984-02-17 1985-06-04 Octel Communications, Inc. Ton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DE3425789A1 (de) * 1984-07-13 1986-01-16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Schaltungsanordnung zum anschalten einer einer fernsprechstelle zugeordneten sprachgesteuerten zusatzeinrichtung an eine fernsprechleitung
DE3629596A1 (de) * 1986-08-30 1988-03-03 Standard Elektrik Lorenz Ag Schaltungsanordnung zur entkopplung der uebertragungszweige einer freisprecheinrichtung
JP2945676B2 (ja) * 1989-01-31 1999-09-06 株式会社東芝 電話機
JPH02209055A (ja) * 1989-02-09 1990-08-20 Toshiba Corp 電話装置
JP2855805B2 (ja) * 1990-07-09 1999-02-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認識電話機における誤動作防止方式
JPH0548702A (ja) * 1991-08-19 1993-02-26 Clarion Co Ltd 音声着呼機能付音声ダイヤル装置
GB2260878A (en) * 1991-10-21 1993-04-28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 Hands-free call answering system
US5483579A (en) * 1993-02-25 1996-01-09 Digital Acoustics, Inc. Voice recognition dialing system
US5729602A (en) * 1995-04-11 1998-03-17 Comex Systems, Inc. Programmable multi-tone voice message starting system
JPH11331328A (ja) * 1998-05-15 1999-11-30 Anden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4458A1 (fr) 1998-12-11
GB2327010A (en) 1999-01-06
CN1149815C (zh) 2004-05-12
KR19990000564A (ko) 1999-01-15
US6131044A (en) 2000-10-10
JPH1117779A (ja) 1999-01-22
GB9807500D0 (en) 1998-06-10
CN1202064A (zh) 1998-12-16
GB2327010B (en) 1999-08-18
FR2764458B1 (fr)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874B1 (ko) 음성인식 통화장치의 통화개시시 음성인식율 향상 방법
US4945570A (en) Method for terminating a telephone call by voice command
DE3570569D1 (en) Hands-free control system for a radiotelephone
EP0393059B1 (en) Method for terminating a telephone call by voice command
EP0739121A2 (en) Voice activated telephone
US5896450A (en) Automatically variable circuit of sound level of received voice signal in telephone
WO2000074362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daptive filter performance by inclusion of inaudible information
KR100248272B1 (ko) 보코더의 pcm데이터형식에 따른 바이패스모드 동작시기의 제어방법
SE9602046D0 (sv) Krets för automatisk brytning av talväg och metod för automatisk konvertering till funktionsberedskap efter avslutning av högtalartelefonsamtal i en trådlös telefon
JPH11331328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20000049768A (ko)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JPH1032804A (ja) テレビ会議装置
JPH0548702A (ja) 音声着呼機能付音声ダイヤル装置
KR950011494B1 (ko) 하울링(Howling)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GB2229607A (en) "Voice activated telephone set"
JP2003169107A (ja) VoIP用通信端末
KR20050059773A (ko) 음성을 이용한 착신 통화 시작 방법
JPH01142600A (ja) 音声制御装置
NL1000284C2 (en) Voice operated number selection unit for telephone
JPS62139491A (ja) 外線呼自動内線転送装置
JPS59127472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9130454A (ja) 電話機の話中音検出回路
KR20020012731A (ko) 휴대 단말기의 헤드셋을 사용시 고음압에 의한 착신 기능
JPH0440728A (ja) 車載用音声ダイヤル装置
JPH0468950A (ja) 音声認識電話機における誤動作防止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