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793B1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9793B1 KR100229793B1 KR1019960024046A KR19960024046A KR100229793B1 KR 100229793 B1 KR100229793 B1 KR 100229793B1 KR 1019960024046 A KR1019960024046 A KR 1019960024046A KR 19960024046 A KR19960024046 A KR 19960024046A KR 100229793 B1 KR100229793 B1 KR 1002297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oding
- frame
- block
- signal
-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using cascaded computational arrangements for performing a single operation, e.g. filt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4)
-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 자체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인트라 부호화 모드와, 상기 현재 프레임과 움직임 추정, 보상을 통해 얻어지는 예측 프레임간의 차분신호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인터 부호화 모드를 갖는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를 위해 순차 입력되는 프레임 각각에 대해 그 주파수 분석을 통해 그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픽셀들의 평균(MIp)과 표준편차(ACT)를 각각 추출하는 통계적 특성 산출 블럭;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만큼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에 대한 평균(MIp)과 표준편차(ACT)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블럭; 상기 저장된 소정시간 동안에 상응하는 복수의 각 프레임에 대한 평균(MIp)과 표준편차(ACT) 각각에 대해 총평균(MMIp, MACT)과 총표준편차(SMIp, SACT)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의 단시간 통계를 산출하며, 상기 단시간 통계 산출에 이용된 프레임들보다 시간적으로 후에 존재하는 현재 입력 프레임의 통계적 특성과 상기 산출된 단시간 통계간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부호화 모드 결정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블럭; 및 상기 인트라 모드 부호화 및 인터 모드 부호화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적응 부호화 경로와 상기 인트라 모드 부호화만을 위한 강제 인트라 부호화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블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시간 통계와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통계적 특성간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강제 인트라 부호화 경로를 통해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을 상기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의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프레임에 시간적으로 바로 인접하는 이전의 30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 자체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인트라 부호화 모드와, 상기 현재 프레임과 움직임 추정, 보상을 통해 얻어지느 예측 프레임간의 차분신호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인터 부호화 모드를 갖는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를 위해 순차 입력되는 프레임 각각에 대해 그 주파수 분석을 통해 그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픽셀들의 평균(MIp)과 표준편차(ACT)를 각각 추출하는 통계적 특성 산출 블럭;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만큼 상기 추출된 각 프레임에 대한 평균(MIp)과 표준편차(ACT)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 블럭; 상기 저장된 소정시간 동안에 상응하는 복수의 각 프레임에 대한 평균(MIp)과 표준편차(ACT)각각에 대해 총평균(MMIp, MACT)과 총표준편차(SMIp,SACT)를 각각 산출하여 상기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의 단시간 통계를 산출하며, 상기 단시간 통계 산출에 이용된 프레임들보다 시간적으로 후에 존재하는 현재 입력 프레임의 통계적 특성과 상기 산출된 단시간 통계간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필터링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블럭; 상기 발생된 필터링 제어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필터계수에 의거해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을 필터링하여 그 통과 대역을 제한함으로써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프레임을 발생하는 대역 제한 수단; 및 상기 인트라 모드 부호화 및 인터 모드 부호화를 적응적으로 수행하는 적응 부호화 경로와 상기 인트라 모드 부호화만을 위한 강제 인트라 부호화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블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단시간 통계와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통계적 특성간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발생하는 절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강제인트라 부호화 경로를 통해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프레임 신호를 상기 부호화 수단에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소정시간 동안의 복수의 프레임은, 상기 부호화를 위해 입력되는 프레임에 시간적으로 바로 인접하는 이전의 30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 수단은, 그 값이 서로 다른 복수의 필터계수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1차원 대역 필터링을 통해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고주파 성분 레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은, 상기 8×8 블럭내의 각 픽셀 위치의 수평 - 수직 또는 수직 - 수평 방향으로 순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 수단은 2차원 저역 통과 필터링을 통해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 수단은, 그 값이 서로 다른 복수의 필터계수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고주파 성분 레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 수단은,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에 대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를 이산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M×N 블럭 단위의 주파수 영역의 DFT 변환계수들로 변환하고, 상기 발생된 대역제한을 위한 필터링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변환된 DFT 변환계수 블럭들에 대한 고주파 통과 대역을 결정하며, 상기 변환된 각 DFT 변환계수 블럭의 고주파 통과 대역을 상기 결정된 대역폭으로 제한하고, 상기 대역폭이 제한된 각 DFT 블럭들 각각에 대해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통해 원신호로 복원함으로써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대역폭 제한은, 상기 입력 프레임의 복잡정도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레벨중의 어느 한 레벨로 적응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18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제한은, 상기 변환된 각 DFT 변환계수 블럭들에 대해 상기 결정된 대역폭 이하의 고주파 성분을 제로(0)값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제한 수단은: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 신호에 대한 공간영역의 영상신호를 코사인함수를 이용하여 M×N 블럭 단위의 주파수 영역의 2차원 DCT 변환계수들로 변환하는 이산 코사인 변환수단; 상기 M×N 단위의 2차원 DCT 변환계수 블럭들에 대해 양자화 파라메터값을 이용하여 유한한 개수의 값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 수단;상기 제어 블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필터링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양자화된 DCT 변환계수 블럭들에 대한 고주파 통과 대역을 결정하며, 상기 양자화된 각 DCT 변환계수 블럭의 고주파 통과 대역을 상기 결정된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주파수 선택 수단; 및 상기 대역폭이 제한된 양자화된 각 DCT 블럭들 각각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부호화전의 원신호로 복원하여 대역 제한된 프레임을 발생하며, 상기 대역 제한된 프레임을 상기 고주파 성분이 제거된 프레임 신호로써 상기 스위칭 수단에 제공하는 영상 복원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입력 프레임의 대역폭 제한은, 상기 입력 프레임의 복잡정도에 상응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레벨중의 어느 한 레벨로 적응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 제 23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제한은, 상기 변환된 각 DCT 변환계수 블럭들에 대해 상기 결정된 대역폭 이하의 고주파 성분을 제로(0)값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4046A KR100229793B1 (ko) | 1996-06-26 | 1996-06-26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4046A KR100229793B1 (ko) | 1996-06-26 | 1996-06-26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7729A KR980007729A (ko) | 1998-03-30 |
KR100229793B1 true KR100229793B1 (ko) | 1999-11-15 |
Family
ID=1946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40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9793B1 (ko) | 1996-06-26 | 1996-06-26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979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221B1 (ko) | 2005-07-15 | 2012-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파수 공간에서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
1996
- 1996-06-26 KR KR1019960024046A patent/KR10022979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221B1 (ko) | 2005-07-15 | 2012-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주파수 공간에서 컬러 성분간 예측을 이용한 컬러영상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7729A (ko) | 1998-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3710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CA1333501C (en) | Hierarchic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ommunicating image sequences | |
US5852682A (en) | Post-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 |
US5757969A (en) | Method for removing a blocking effect for use in a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 |
EP0680219B1 (en) | Improved post-processing method for use in an image signal decoding system | |
KR0178195B1 (ko) | 벡터 양자화 방식을 이용한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 |
EP0886972B1 (en) | Improved post-processing for removing blocking effects in decoded image signal | |
KR0178221B1 (ko) | 픽셀의 평균값을 이용한 개선된 패턴 벡터 부호화 시스템 | |
KR100229793B1 (ko)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
KR100229791B1 (ko) | 대역 제한 기능을 갖는 적응적인 영상 부호화시스템 | |
KR100229792B1 (ko) | 적응적인 부호화 모드 결정 기능을 갖는 개선된영상부호화시스템 | |
KR100220586B1 (ko) | 대역 제한 기능을 갖는 적응적인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714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709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703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82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59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75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27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63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77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30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03628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
KR100229795B1 (ko) | 개선된 영상 복호화 시스템 | |
KR100203676B1 (ko) | 비트 발생량 조절기능을 갖는 영상 부호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