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8123B1 -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123B1
KR100228123B1 KR1019960080339A KR19960080339A KR100228123B1 KR 100228123 B1 KR100228123 B1 KR 100228123B1 KR 1019960080339 A KR1019960080339 A KR 1019960080339A KR 19960080339 A KR19960080339 A KR 19960080339A KR 100228123 B1 KR100228123 B1 KR 100228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eat belt
mass
latch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971A (ko
Inventor
문태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8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1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12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2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 B60R22/1953Transmission of tensioning power by cable; Return motion locking means therefor the cable being pulled by mechanical means, e.g. pre-stressed springs, bumper displacement during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충돌시에 풀림을 방지하는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객이 안전띠를 느슨하게 착용하고 있을 때 정면충돌이 일어나 승객이 크러시 패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링(2)을 가이더(3)에서 상하운동하게 설치하고, 하우징(11)에 디링(2)을 와이어(4)에 의하여 압축스프링(6)의 힘으로 당길 수 있도록 설치한 것으로, 압축스프링(6)의 힘은 차량의 정면충동시에 관성력에 의하여 전진하는 매스(9)에 의하여 래치(7)와 글로브(8)가 구속에서 해제되므로서 발휘된다.

Description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정면충돌시에 풀림을 방지하는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regulative Device of Seat Bel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실내에서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3점식 안전띠는 필러 내의 하부에 설치되는 리트렉터에서 웨빙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설치되고, 이와 같이 감기거나 풀리는 웨빙은 어퍼 필러와 로워 필러의 사이를 통하여 실내측으로 나온 후 필러 상부에 설치된 디링(D-ring : 일명 앵커 플레이트)을 거쳐 그 단부가 리트렉터측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웨빙의 중간에 끼워진 텅을 이용하여 웨빙을 잡아 당긴 후 텅을 버클에 고정시키면 안전띠의 착용이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띠에서 리트렉터는 그 내부에서 웨빙의 풀리을 억제하는 리턴 스프링이 축설치되어 있으며, 정면충돌 또는 기타의 승객 움직임에 의하여 웨빙에 관성력 또는 압력이 작용하면 리트렉터 내부에 설치되는 래치기구에 의하여 웨빙의 풀림이 구속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띠는 웨빙에 승객이 관성력이 작용할 때 그 풀려 있는 상태에서만 리트렉터의 래치기국 작동하여 더 이상의 풀려남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만일 승객이 긴장감을 늦추기 위해 느슨하게 착용하고 있을 때 정면충돌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승객이 앞으로 튀어나가 실내 전방의 크러시 패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안전띠를 느슨하게 착용하고 있을 때 정면충돌이 일어나 승객이 크러시 패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데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설치위치를 나타낸 차량 실내의 부분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3도는 그 피스톤이 전진하여 장력이 작용하는 작용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더 2 : 디링
3 : 가이더 4 : 와이어
5 : 피스톤 6 : 압축스프링
7 : 래치 8 : 글로브
9 : 매스(Mass) 10 : 평형스프링
11 : 하우징 12 : 피스톤실
13 : 롤러 14 : 센서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후면에 슬라이더(1)가 형성된 디링(2)과, 이 디링(2)의 슬라이더(1)가 상하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더(3)와, 상기 디링(2)과 가요성의 와이어(4)로 연결되는 피스톤(5)과, 이 피스톤(5)을 상기 가이더(3)의 반대방향으로 밀수 있는 압축스프링(6)과, 이 압축스프링(6)이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5)을 구속하는 래치(7)와, 이 래치(7)를 구속하는 글로브(8)와, 이 글로브(8)를 구속하고 있다가 차량의 정면충돌이 발생하면 관성의 작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글로브(8)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매스(9), 그리고 이 매스(9)를 탄력적으로 받치고 있다가 정면충돌시에 상기 매스(9)에 의하여 압축되는 평행스프링(10)으로 구성시킨 것이다.
상기 디링(2)은 기존의 형상과 동일하고 그 기능, 즉 웨빙(W)을 잡아주는 역할은 동일하지만 후면에 가이더(3) 내를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1)가 형성된 점이 기존과 다르다. 가이더(3)는 수직방향으로 하우징(11)에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한 하우징(11)은 ㄱ자형으로서, 수평방향으로는 피스톤실(12)이 형성되어 이 피스톤실(12)에 피스톤(5)과 압축스프링(6)이 설치되고, 가이더(3)와의 사이에는 롤러(13)가 설치되어 와이어(4)의 방향전환을 유도한다. 상기 하우징(11)의 상측에는 센서실(14)이 형성되어 일종의 센서를 이루는 매스(9)와 그에 부속하는 평형스프링(10)이 설치되며 래치(7)와 글로브(8)가 각각 힌지(15a, 15b)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래치(7)는 힌지(15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글로브(8)는 힌지(15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1)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실내의 센터 필러(F)상측에서 도어쪽으로 이동한 지점의 헤드 라이닝(H)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더(3)는 센터 필러(F)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차량의 정면충돌이 일어나면 제2도와 같은 상태에서 제3도와 같이 매스(9)가 차량의 정면충돌방향인 좌측으로 그 관성력에 의하여 평형스프링(10)의 힘을 이기고 전진한다. 이때 글로브(8)는 매스(9)의 구속으로 부터 해제되어 힌지(15b)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래치(7)가 글로브(8)의 구속으로 부터 해제된다. 그러면 피스톤(5)이 래치(7)의 구속으로 부터 풀려나 압축스프링(6)이 힘에 의하여 좌측으로 전진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4)가 당겨지면서 디링(2)이 가이더(3)에서 상승한다. 디링(2)이 상승한다는 것은 디링(2)에 끼워져 있는 웨빙(W)이 승객의 몸에 바짝 붙도록 당겨진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느슨하게 안전띠를 착용하고 있던 승객은 상기와 같이 웨빙(W)이 당겨지므로 충돌 순간 후속적으로 받는 관성력에 의하여 몸이 앞으로 기울더라도 크러시 패드 등 차체에 2차적으로 충돌할 위험은 저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승객이 안전띠를 느슨하게 착용하고 있을 때 정면충돌이 일어나면 매스가 관성에 따라 전진함에 의하여 압축스프링의 힘으로 디링이 상승하므로 웨빙이 승객의 몸에 붙어 승객이 크러시 패드에 2차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후면에 슬라이더가 형성된 디링과, 이 디링의 슬라이더가 상하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더와, 상기 디링과 가요성의 와이어로 연결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상기 가이더의 반대방향으로 밀 수 있는 압축스프링과, 이 압축스프링이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피스톤을 구속하는 래치와, 이 래치를 구속하는 글로브와, 이 글로브를 구속하고 있다가 차량의 정면충돌이 발생하면 관성의 작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글로브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매스, 그리고 이 매스를 탄력적으로 받치고 있다가 정면충돌시에 상기 매스에 의하여 압축되는 평행스프링을 구비하는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KR1019960080339A 1996-12-31 1996-12-31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8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39A KR100228123B1 (ko) 1996-12-31 1996-12-31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339A KR100228123B1 (ko) 1996-12-31 1996-12-31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71A KR19980060971A (ko) 1998-10-07
KR100228123B1 true KR100228123B1 (ko) 1999-11-01

Family

ID=1949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3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8123B1 (ko) 1996-12-31 1996-12-31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707B1 (ko) 2001-07-13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971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2340B1 (en) Seatbelt pretensioner
US6527298B2 (en) Safety belt arrangement
US5152552A (en) Emergency tension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belt
US7469766B2 (en) Vehicle seat belt assembly
US5288105A (en) Safety belt system with emergency retraction capability
WO2007071522A1 (en) Seat belt apparatus
EP2610115B1 (en) Seat belt adjustment apparatus
KR100228123B1 (ko) 안전띠의 장력조절장치
US4864086A (en) Vehicle deceleration sensor
JP2007196881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CN101395045B (zh) 座椅安全带预紧器
US3869173A (en) Linear retractor
EP1783011A2 (en) Pretensioner
EP1580089B1 (en) Belt pretensioner
KR100535003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프리텐셔너
KR100387848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앵커리지
KR0125719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웨빙 가이드장치
KR100414603B1 (ko) 프리텐셔너의 트리거 작동 가속도 감지장치
KR960009355Y1 (ko) 자동차 시트밸트의 풀림량 제어장치
KR930000772B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장치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165679Y1 (ko) 안전벨트용 웨빙의 작동장치
WO2006104505A2 (en) Seat belt pretensioner
HK40005687B (en) Belt tightening and shock absorbing device, and child seat comprising a device of said type
HK40005687A (en) Belt tightening and shock absorbing device, and child seat comprising a device of said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