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7876B1 -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876B1
KR100227876B1 KR1019920005064A KR920005064A KR100227876B1 KR 100227876 B1 KR100227876 B1 KR 100227876B1 KR 1019920005064 A KR1019920005064 A KR 1019920005064A KR 920005064 A KR920005064 A KR 920005064A KR 100227876 B1 KR100227876 B1 KR 10022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fluorinated
composition
reactive
blow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834A (ko
Inventor
릭 데보스
잔 윌렘 린스래그
Original Assignee
앤쥼 쉐이크 바쉬어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마틴 험프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19106967A external-priority patent/GB910696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19112622A external-priority patent/GB9112622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19117749A external-priority patent/GB911774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19123305A external-priority patent/GB912330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19127335A external-priority patent/GB9127335D0/en
Application filed by 앤쥼 쉐이크 바쉬어, 임페리알 케미칼 인더스트리즈 피엘씨, 마틴 험프리스 filed Critical 앤쥼 쉐이크 바쉬어
Publication of KR92001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이 1바에서 최소한 60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신규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신규한 폴리올 조성물, 연질 발포물, 일체성형 스킨 (integral skin) 발포물 또는 미공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제조하는 신규방법 및 상기 발포물과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특별한 종류의 액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는 보통 발포제 존재내에서 적당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을 반응시켜서 만든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발포제중의 하나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CFC-11) 인데, 이것은 특성들을 원하는 만큼 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CFC-11 같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 발포제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오존층을 고갈시킨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우려때문에 오존층을 고갈시키는 화합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것을 가능한한 빨리 제한시켜야 한다는 것에 국제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환경적으로 더 바람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발포물 또는 엘라스토머의 특성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 다른 대체물을 개발해낼 필요가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상기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특별한 종류의 액체를 사용하여 특성들이 개선된 물질을 만들 수 있음을 알아 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포제 존재내에서 기능가가 2-4 이고 분자량이 1000-10000 인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연질 발포물,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 또는 미공성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액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1 bar에서 비등점이 60이상이고, 비활성이며 불용성인 유기 액체 존재내에서 반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합쳐서 발포물 또는 엘라스토머를 만들기전에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액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올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액체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상기 액체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비활성"이란 저장 및 반응 조건하에서 반응 혼합물의 기타 성분들, 특히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해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원에서 "불용성 "이란 25의 온도 및 1bar의 압력에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내에 500 중량 ppm 미만으로 용해되는 것을 말한다.
본원에서 "액체" 라는 것은 발포물 형성 조건하 및 바람직하게 주변조건하에서 액체라는 것을 말한다.
1 bar에서 비등점이 60이상, 및 바람직하게 75이상인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는 불소화된 유기 화합물, 바람직하게 불소화된 탄화수소, 불소화된 에테르, 불소화된 3차 아민, 불소화된 아미노-에테르 및 불소화된 설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불소화된 화합물"이란 것은 75이상, 바람직하게 90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 99의 수소원자가 불소원자로 치환된 화합물을 말한다. 이 정의에는 1 bar에서 비등점이 60이상이고 비활성이며 불용성인 불소화된 유기 액체만이 포함된다.
불소화된 탄화수소는 보통 7 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이것은 환식 또는 비환식이고 방향족 또는 지방족이며 포화되었거나 또는 불포화되었을 수 있다. 불소화된 탄화수소의 예로 노보나디엔, 데카린, 디메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1 -메틸 데카린, 페난트렌, 헵탄, 옥탄, 노난 및 시클로옥탄의 불소화된 변형체가 있다.
불소화된 에테르는 환식 또는 비환식일 수 있는데, 예를들어 불소화된 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불소화된 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이 포함된다. 시판되고 있는 적당한 불소화된 에테르에는 Montefluos SpA 에서 시판하고 있는 불소화된 폴리에테르인 Galden HT 100, HT 200, HT 230, HT 250 및 HT 270(Galden은 등록상표) 을 포함한다.
불소화된 아민에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에틸디메틸아민, 메틸디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예를들어 N -메틸피페리딘 같은 N-알킬피페리딘, 불소화된 변형체가 포함된다.
불소화된 설폰의 예로 CF3SO2CF3및 CF3SO2CF2CF3가 있다.
불소화된 적당한 아미노-에테르의 예로 불소화된 N-알킬 (C2-6) 모폴린, 예를들어 N-에틸모폴린 및 N-이소프로필 모폴린이 포함된다.
불소화된 화합물 및 과불소화된 화합물이 발포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한 성분인 것으로서 선행업계에서 제안되었다. US 제4972002호에 발포물 제조용의 비등점이 낮은 불소화된 탄화수소의 용도가 기재되었다. EP 제405439 호에 경질 발포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팽창제로서 과불소화된 에테르 및 탄화수소의 용도가 기재되었다. US 제4981879호에 경질 발포물 제조용의 215미만의 비등점을 갖는 과불소화된 탄화수소의 용도가 기재되었다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는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pbw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100pbw당 0.05-10 중량부(pbw)의 양으로 사용된다. 전체 반응 혼합물에 대한 양은 보통 발포물 형성 반응 시스템 100pbw당 0.02-5 pbw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을 합치기전에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전기된 양으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결합시킨다. 고전단 혼합 조건하에서 혼합을 행한다. 또한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합치지 않고 발포물 형성 혼합물에 넣는다.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은 발포제 존재내에서 행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이 합쳐져서 발포물 또는 엘라스토머를 만들기전에 발포제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발포제와 1 bar에서 60"C 이상의 비등점을 갖는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포제를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함께 발포물 형성 혼합물에 공급하는 한편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발포물 형성 혼합물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합쳐지는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서로 바꿔 공급을 행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발포제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는 합치지 않고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와 함께 발포물 형성 혼합물에 부가할 수 있다.
사용한 발포제의 양은 발포제 형태 및 원하는 밀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당업계의 숙련자들이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포제의 양은 물리적인 발포제 및 물을 포함하는 반응 시스템 100pbw 당 1-15pbw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내에 있는 발포제의 양은 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부가되지 않는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100pbw당 2-30pbw일 수 있다.
원리상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발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CFC가 아닌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등점이 -70-0인 발포제를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와 합쳐서 사용하게 되면 양질의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비등점이 -70-0인 발포제 및/또는 물이 바람직하다.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발포제를 사용하게 되면 표면상태가 개선되고, 특히 비등점이 -70-0인 발포제를 사용하면 스킨의 질이 좋아진다.
매우 적당하게 발포제는 CHClF2, CH2F2, CF3CH2F, CF2HCF2H, CH3CClF2, C2H4F2, C2HF5, C2HClF4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비등점이 -70-0인 발포제를 물과 합쳐서 사용할 수 있다. 더이상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람직한 발포제는 물인데, 특히 연질 발포물 및 미공성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
전기한 바와같이,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바람직하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결합시킨다. 이 결합물을 어느 정도까지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내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의 유제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불소화된 계면활성제이다. 그러한 계면활성제의 예로 불소화된 알킬폴리옥시에틸렌 에탄올, 알킬알콕실레이트 및 알킬에스테르가 있다. 입수가능한 유용한 불소화된 계면활성제의 예로 3M에서 시판하는 Fluorad FC 430 및 FC 431 ; Atochem에서 시판하는 Forafac 1110.D, 1157, l157N 및 l199D , 및 Hoechst에서 시판하는 Fluowet S 3690, OTN 및 CD 가 있다.
상기한 것을 고려하여 볼때 본 발명은 또한 1bar에서 비등점이 60이상인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와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 불소화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용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100pbw당 0.05-10pbw 및 발포물을 만드는 반응 시스템 100pbw당 0.02-5 pbw이다.
연질 발포물,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 및 미공성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상기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헌에 기재된 지방족, 지환족, 아르알리파틱 및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특히 유용한 것은 이미 알려진 순수한 형태, 개질된 형태 및 크루드한 형태의 토릴렌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같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특히 MDI로 일컬어지는 변형체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우레아, 뷰렛, 카보디이미드, 우레톤이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잔기를 넣어 변형시킨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 및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들) 와 당업계에 크루드한 MDI 또는 중합체 MDI (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로서 공지된 이들의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수평균 기능가가 2-2.4 미만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의 성질은 제조될 생성물의 형태, 즉 미공성 엘라스토머,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 또는 연질 발포물에 의존한다.
적당한 고분자량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은 분자량이 1000 -10000, 바람직하게 1500-7500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4이며 폴리아민, 이민 기능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엔아민 함유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적당한 저분자량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은 분자량이 60-1000 미만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4 이며 a) 폴리올, b) 폴리아민, c) 하이드록시 아미노 화합물, 6) 이민 기능기를 갖는 화합물 및/또는 엔아민 함유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연질 발포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분자량이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특히 폴리올을 사용할 것이다.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 및 미공성 탄성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분자량이 큰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과 분자량이 작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것이다.
중합 폴리올이 선행업계에 완전히 알려졌으며 이들에는 알킬렌 산화물, 예를 들어 에틸렌 산화물, 및/또는 프로필렌 산화물과 분자당 여러개의 활성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개시제의 반응 생성물이 포함된다. 적당한 개시제로 물 및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올리고머,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탄올아민 및 펜타에리스리톨 및 폴리아민, 예를들어 에틸렌 디아민, 톨릴렌 디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및 폴리메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콜, 예를들어 에탄올아민 및 디에탄올아민, 및 이들 개시제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기타 적당한 중합 폴리올에는 적당한 비율의 글리콜 및 고기능 폴리을을 디카복실산과 축합시켜 얻은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다른 적당한 중합 폴리올에는 하이드록시로 종결된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및 폴리실옥산이 포함된다.
분자량이 62-1000 미만인 폴리올에는 간단한 비중합 디올, 예를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1,4-부탄디올이 포함된다.
분자량이 1000-10000 인 폴리아민에는 아미노로 종결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및 폴리실옥산이 포함된다. 분자량이 60-1000 미만인 폴리아민에는 두개 또는 그이상의 일차 아미노 그룹 및/또는 이차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르 알리파틱 폴리아민, 예를들어 분자량이 작은 아미노로 종결된 폴리에테르, 및 디에틸 톨루엔 디아민같은 방향족 폴리아민이 포함된다.
적당한 저분자량 하이드록시-아미노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 올아민 및 이소프로판올아민을 포함한다.
이미노 기능기 또는 엔 아미노 기능기를 갖는 적당한 반응물로 전기한 아미노 기능 화합물을 예를 들어 알데히드 또는 케톤과 반응시켜 변형시킴으로써 유도되는 화합물이 포함된다.
화학 구조 및/또는 분자량 및/또는 기능가가 다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성분의 혼합물을 필요하다면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발포제 및 불용성이고 비활성인 유기 액체이외에도 발포물을 만드는 반응 혼합물은 보통 하나 이상의 기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부가제를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임의적인 부가제에는 발포물 안정제, 예를들어 실옥산 -옥시알킬렌 공중합체, 우레탄 촉매, 예를들어 옥토산 주석 또는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같은 주석 화합물 또는 디메틸시클로헥사일아민 또는 트리에틸렌 디아민같은 3 차 아민 및 난연제, 예를들어 트리스 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같은 할로겐화된 아킬 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공지된 원샷 (one-shot)법, 풀-프리폴리머 (full-prepolymer) 법 또는 세미-프리폴리머 (semi-prepolymer) 법이 통상적인 혼합방법과 함께 이용될 수 있고 발포물 및 엘라스토머는 몰딩, 캐비티 충전 (cavity fillings ), 스프레이 발포물 (sprayed foam), 기포성 발포물 또는 슬라브 ( slab stock ) 발포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로 예시된다.
[용어 풀이]
[이소시아네이트]
VM 10-NCO 값이 26.0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07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개질된 MDI 조성물.
VM 021-NCO 값이 23.0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01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개질된 MDI 조성물.
VM 25-NCO 값이 24.3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21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개질된 MDI 조성물.
PBA 2082-NCO 값이 26.2이고 수평균 기능가가 2.19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개질된 MDI 조성물.
[폴리올]
T 3275-OH가가 KOH 32mg/g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테르 트리올.
PA 38-OH가가 KOH 36 mg/g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테르 트리올.
F 3507-OH가가 KOH 35mg/g 인, ICI PLC 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에테르 트리올.
MEG-모노에틸렌 글리콜
DEG-디에틸렌 글리콜
[촉매]
DABCO 33-LV-Air products 로부터 입수가능한 촉매( D33-LV )
DABCO EG-Air products 로부터 입수가능한 촉매
NIAX-Al-Union carbide로부터 입수가능한 촉매
DBTDL-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계면활성제]
B 4113-Gold schmidt 로부터 입수가능한 실리콘 계면활성제
FC-431-3M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불소화된 계면활성제
[발포제]
HCFC-22-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실시예 1]
발포제를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액체, 즉 펜타플루오로-2-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 PFB-THF ) ( 비등점 : 1 bar에서 98-108) 과 합쳐서 사용하여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을 제조하였다.
사용한 제제는 다음과 같다 ;
A. 이소시아네이트 조성 ;
A1PBA 2082 100 pbw
PFB-THF 3 pbw
FC-431 0.5 pbw
A2PBA 2082 100 pbw
PFB-THF 1.5 pbw
FC-431 0.025 pbw
PFB-THF 및 FC-431 을 이소시아네이트에 넣어 2 분동안 고전단 혼합 ( Silverson 믹서 ) 시킴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B. 폴리올 조성;
T 3275 100pbw
MEG 8pbw
D-33LV 1pbw
H2O ( 부가되지 않은 것 ) 0.1pbw
HCFC-22 5pbw
상기 성분들을 단순히 혼합만하여 폴리올 조성물로 만들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1 및 A2를 각각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100으로 하여 폴리을 조성물 B와 반응시켜서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인 ISF1 및 ISF2 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PBA 2082 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100 으로 하여 폴리올 조성물과 반응시켜서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인 ISFC 를 제조하였다.
반응물을 5000 rpm 에서 10초동안 혼합한후 주형에 넣어 반응을 행하였다.
만들어진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의 물리적 성질을 다음 표 1에 수록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은 스킨충의 성질이 개선되었을뿐만아니라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었고 미소 기포구조를 갖는다.
[표 1]
[실시예 2]
비등점이 다른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액체 즉, 1)비등점이 1 bar에서 98-108인 펜타플루오로-2-부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 PFB-THF ) 및 2) 비등점이 1 bar에서 80인 펜타플루오로-2 -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 PFP-THF ) 와 발포제로서의 물을 함께 사용하여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으로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을 제조하였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을 조성물을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만들었는데,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다.
A. 이소시아네이트 조성 ;
[비교 실시예]
B. 폴리올 조성 ;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A1-A7을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를 100으로 하여 폴리올 조성물과 5000rpm에서 10초 동안 혼합한 후 주형에 넣어 반응시켜서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인 ISFI-lSF7을 제조하였다.
만들어진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의 물리적 성질을 다음 표 2에 수록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은 스킨층의 성질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었고 미소 기포 구조를 갖는다.
[표 2]

Claims (18)

1bar에서 60이상의 비등점을 갖고 비활성이고 불용성이며, 불소화된 탄화수소, 불소화된 에테르, 불소화된 3차 아민, 불소화된 아미노-에테르 및 불소화된 설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화된 화합물인 유기액체 존재내에서 반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발포제 존재내에서 기능가가 2-4 이고 분자량이 1000-10000 인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연질 발포물, 일체 성형 스킨 발포물 또는 미공성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이 또한 분자량이 60-1000 미만이고 기능가가 2-8인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물인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1 bar에서 비등점이 -70-0인 화합물 및 임의로 물을 포함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의 비등점이 1bar에서 7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계면활성제 존재내에서 행해지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불소화된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4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CHClF2, CH2F2, CF3CH2F, CF2HCF2H, CH3CClF2, C2H4F2, C2HF5, C2HClF4,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임의로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분자량이 1000-10000 이고 기능가가 2-4 인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 및 b) 비등점이 1 bar에서 60이상인 비활성이고 불용성이며, 불소화된 탄화수소, 불소화된 에테르, 불소화된 3차 아민, 불소화된 아미노-에테르 및 불소호된 설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소화된 화합물인 유기 액체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1bar에서 비등점이 60이상인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를 포함하고 이소시아네이트 수평균 (number average) 기능가가 2-2.4 미만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분자량이 60 이상-1000 미만이고 기능가가 2-8 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을 2 개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12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1 bar에서 비등점이 -70-0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13항에 있어서, 비등점이 -70-0인 발포제가 CHClF2, CH2F2, CF3CH2F, CF2HCF2H, CH3CClF2, C2H4F2, C2HF5, C2HClF4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비활성이고 불용성인 유기 액체의 비등점이 1bar에서 7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16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불소화된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제12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임의로 1bar에서 비등점이 -7-0인 발포제 및 물인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조성물.
KR1019920005064A 1991-04-03 1992-03-27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KR100227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106967.4? 1991-04-03
GB919106967A GB9106967D0 (en) 1991-04-03 1991-04-03 Polymeric foams
GB9106967.4 1991-04-03
GB?9112622.7? 1991-06-12
GB919112622A GB9112622D0 (en) 1991-06-12 1991-06-12 Polymer foams
GB919117749A GB9117749D0 (en) 1991-08-16 1991-08-16 Polymeric foams
GB?9117749.3? 1991-08-16
GB?9123205.8? 1991-11-01
GB919123305A GB9123305D0 (en) 1991-11-04 1991-11-04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ixing of fluids
GB919127335A GB9127335D0 (en) 1991-12-24 1991-12-24 Polymeric foams
GB?9127335.9? 1991-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834A KR920019834A (ko) 1992-11-20
KR100227876B1 true KR100227876B1 (ko) 1999-11-01

Family

ID=6726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064A KR100227876B1 (ko) 1991-04-03 1992-03-27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8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834A (ko) 199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127B2 (ja) 気泡質ポリマー製品の製造方法及びイソシアネート反応性コンパウンド
JPH09506663A (ja) 非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を含む配合物から調製されたポリイソシアネートをベースとするポリ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62387C (en) Rigid, dimensionally stable polyurethane foam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uch foams in which the foam pressure is reduced
JPS5928577B2 (ja) ポリウレタンフオ−ムの製造法
EP0477920B2 (en) Process for preparing articles of polyurethane foams
EP0508649A1 (en) Manufacture of rigid foams and compositions therefor
JPS6213434A (ja) ポリエ−テルポリオ−ル
EP0605105B1 (en) Process for rigid foams
JP4166571B2 (ja) ポリウレタンインテグラルスキンフォーム類の製造方法
US5240965A (en) Manufacture of cellular 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for
EP0543536B1 (en) Process for cellular polymeric products
JPH072971A (ja) インテグラルスキン付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KR100227876B1 (ko) 발포 중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된 조성물
EP0508648B1 (en) Manufacture of cellular polymers and compositions therefor
JPH05339336A (ja)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JPS60219220A (ja) 半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用組成物
JPH0386720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3195718A (ja) 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393827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137405B2 (ko)
JPH0393826A (ja) 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1139613A (ja) 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JPS59221339A (ja) ウレタンフオ−ムの製法
JPH0386735A (ja) 断熱材の製造法
JPH03174454A (ja) 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の成形体の製造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