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7605B1 -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 Google Patents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605B1
KR100227605B1 KR1019970025885A KR19970025885A KR100227605B1 KR 100227605 B1 KR100227605 B1 KR 100227605B1 KR 1019970025885 A KR1019970025885 A KR 1019970025885A KR 19970025885 A KR19970025885 A KR 19970025885A KR 100227605 B1 KR100227605 B1 KR 10022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conditioning
floo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315A (ko
Inventor
김성현
조용
권혁승
Original Assignee
유성용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용,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용
Priority to KR1019970025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6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6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된 공기를 바닥으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바닥분출 공조(UFAC, Under Floor Air-conditioning) 시스템의 급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01
내지 80

Description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본 발명은 공조된 공기를 바닥으로부터 실내로 분출하는 바닥분출 공조(UFAC, Under Floor Air-conditioning) 시스템의 급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분출 공조(UFAC, Under Floor Air-conditioning) 시스템은 종래의 천정분출 공조 방식과는 달리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를 바닥으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은 재실자나 작업 환경 주변에 대한 국부적인 부하 처리가 가능하므로 열효율은 물론 제어 측면에서 유리하고 또한 거주 영역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공조할 수 있으므로, 재실자가 느끼는 괘적감이 천정이나 또는 실내의 측벽에서 공조공기를 분출하는 다른 공조방식에 비하여 높다.
특히,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은 불필요한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공조공기의 수송 동력이 적게 들기 때문에, 천정높이가 높은 대형홀, 극장, 교회 등의 공조 방식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실내 구조 변경이나 부하 특성 변화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앞으로 천정높이가 높은 대형홀, 극장, 교회 등의 신축건물에 많이 적용될 전망이다.
그런데, 온풍 또는 냉풍으로 처리된 공조공기를 실내로 분출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공조처리된 공기를 정해진 속도와 선회류 강도로 원하는 곳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급기수단으로부터 분출된 공조된 공기가 선회류(swirl stream)의 형태로 재실자 주변을 감싸면서 배기구 쪽으로 향하는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급기장치의 급기구가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바닥분출용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바닥에 설치되므로, 불순물이 급기구 내로 침입되지 않고 급기구가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또 급기구는 재실자와 가깝게 설치되므로, 기존방식에 비하여 분출되는 공기가 재실자에게 더 많이 접촉되어 열원기기의 효율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공조공기가 완충지대 없이 실내 거주영역에 직접 도달하므로, 재실자가 공조공기의 드래프트에 의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공기의 속도를 충분히 저감시켜(일반적으로 0.15m/s이하) 거주영역에 도달하도록해야 한다.
또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일정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또 여성 구두의 하이힐 또는 기타 작은 물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급기구의 폭은 7㎜ 이하로 제작하여야 한다.
공조된 공기의 급기온도와 실내의 온도가 다를 경우 온도차에 의해 실내가 서로 다른 블록이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기류는 온도차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 즉,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에서, 냉방시에는 차가온 공기가 하부로 향하는 유동 특성 때문에 공조된 공기를 가능한 한 수직에 가깝게 분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난방시에는 더운 공기가 상부로 향하는 유동특성 때문에 주변으로 넓게 확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냉난방 방식에 따라 기류 분산 각도가 조절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용 급기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선회류라함은 급기수단에 형성된 급기구의 공기 통로가 경사되어 있어 공조공기의 분출시에 발생되는 공조공기의 흐름을 의미하며, 상기 선회류는 주위의 공기를 유인하여 넓은 영역에 걸쳐 기류 분포를 확산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선회류의 강도를 나타내는 선회수는 축방향 운동량(axial momentum flux)에 대한 접선 방향의 운동량(tangential momentum flux)의 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조건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분출구를 통해서 분출되는 공조공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출되는 공조공기의 확산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 또는 온방에 따라 실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실내 공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04
내지 80
Figure kpo00005
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 사이에 배출되는 짧은 급기구를 가진 급기수단과,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공조공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급기수단 및 가이드수단을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공조공기도입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를 가진 외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지지해서 분출되는 공조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조공기 속도장 특성(점선)과 제2실시예의 가이드수단을 사용한 상태에서의 속도장 특성(실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기수단 12 : 길다란 급기구
14 : 짧은 급기구 16 : 상부판
16a : 오목홈 18 : 하부판
20 : 가이드수단 22 : 관통구멍
24 : 플랜지부 26 : 원통체
26a : 수직관통구멍 28 : 환형상의 외측플랜지부
30 : 내측안내바스켓 32 : 공조공기분출구
40 : 외측안내바스켓 42 : 공조공기분출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공조공기 급기수단을 지지해서 분출되는 공조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06
내지 80
Figure kpo00007
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12)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동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12)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12) 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14)를 가진 급기수단(10)과, 상기 급기수단(10)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0)과,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원통체(26)에 결합되어 공조공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급기수단(10) 및 가이드수단(20)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32)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30)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공조공기도입구(32)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42)를 가진 외측안내바스켓(40)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급기수단(10)은 제1도 및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08
내지 80
Figure kpo00009
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22.50
Figure kpo00010
의 각도를 두고 형성된 16개의 길다란 급기구(12)와,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12)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12) 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14)와, 상기 길다란 및 짧은 급기구(12,14)를 상하부에서 각각 지지하는 상·하부판(16,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32)의 크기(폭과 길이)는 상기 외측안내바스켓(4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크기(폭과 길이)와 대체로 같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은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원통체(26)의 외주면에 나사결합, 기계적압입결합 또는 접착제에 의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32)의 폭(W)은 상기 외측안내바스켓(4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42)사이의 폭(W)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안내바스켓(4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기공조도입구(42)의 폭(W)은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32) 사이의 폭(W)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20)은 중앙에 상기 급기수단(10)이 삽입배설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22)과, 상기 급기수단(10)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구멍(22)의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환형상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부(24)와, 공조된 공기를 수직으로 배출시켜서 상기 급기수단(10)의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를 통해 급기되는 선회류를 상부로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수직관통구멍(26a)이 형성된 원통체(26)와, 상기 원통체(26)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어서 플로워(실내 바닥) 상부면에 당접지지되는 환형상의 외측플랜지부(2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제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실내 바닥에 공조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또는 바닥덕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바닥면에 대해 평탄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통로(또는 바닥덕트)내에 냉풍의 공조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외측안내바스켓(40)의 공조공기도입구(42) 및 내측안내바스켓(30)의 공조공기도입구(32)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급기장치내부로 도입된다. 이와 같이 도입된 공조공기는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11
내지 80
Figure kpo00012
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상기 급기수단(1)의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는 공조된 공기를 선회하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13
내지 80
Figure kpo00014
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기수단(10)의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로부터 배출되는 냉풍은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상부를 올라감과 동시에, 가이드수단(20)의 원통체(26)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직관통구멍(26a)을 통해서 배출되는 냉풍은 상기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로부터 배출되는 냉풍이 확산되지 못하도록 가이드하면서 상부로 올라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는 급기수단(1)으로부터 분출되는 냉풍의 공조공기 중심부와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으로부터 분출되는 풍량조절 비율(이 비율은 급기수단(10)의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의 수 또는 크기를 가이드수단(20)의 원통체(26)에 형성되는 수직관통구멍(26a)의 수 또는 크기의 비율로 조정할 수 있다)에 따라 선회류 강도 및 확산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공조공기의 선회류강도 및 확산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실내공기를 공조하지 않거나, 또는 공조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즉 장기간에 걸쳐서 본 발명의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을 잡고 일정각도를 회전시키면,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공조공기도입구(32)가 상기 외측안내바스켓(40)의 공조공기도입구(42)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부에 의해 막히므로, 공조공기가 본 발명의 급기장치내로 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급기수단(10)의 내측급기구(14) 및 외측급기구(12)를 통해서 공조공기가 유출되지 않으므로, 공조공기의 선회류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을 통해서도 공조공기가 유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를 사용하여 온풍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을 합성 수지의 사출물 또는 인조고무 또는 천연고무 등으로 제조한 밀폐부재로 폐쇄시키면, 상기 급기수단(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은 제7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넓게 확산되면서 상승하여 실내의 넓은 면적에 걸쳐서 따뜻하게 공조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로부터 분출되는 공조공기 속도장 특성(점선)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을 합성수지의 사출물 또는 인조고무 또는 천연고무 등으로 제조한 밀폐부재로 폐쇄시킨 상태에서의 속도장 특성(실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7도에 있어서, 냉풍으로 공조된 공기의 흐름속도가 79.8㎥/h일 때, x축은 급기수단(10)의 중심으로부터 냉풍이 확산되는 거리이고, y축은 바닥으로부터 냉풍이 상승되는 높이를 표시하며, 제7도의 그래프는, 표 1의 조건하에서 실선그래프는 급기수단(10)(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을 합성수지의 사출물 또는 인조고무 또는 천연고무 등으로 제조한 밀폐부재로 폐쇄시킨 상태)만을 통해서 배출되는 공조공기의 확산거리(급기수단(1)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확산거리)를 실측한 값이고, 점선그래프는 급기수단(10)과 일실시예의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을 개방했을 경우에, 배출되는 공조공기의 확산거리(급기수단(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확산거리)를 실측한 값이다.
Figure kpo00015
표 1에 있어서, b1은 길다란 급기구(12)의 폭, L1은 길다란 급기구(12)의 길이, di1은 급기수단(10)의 원점에서 길다란 급기구(12)의 내측단사이의 2배 거리, b2는 짧은 급기구(14)의 폭, L2은 짧은 급기구(14)의 길이, di2은 급기수단(10)의 중심과 짧은 급기구(14)의 안쪽단면과 사이의 2배거리, b3는 가이드수단(20)의 수직관통구멍(26a)의 폭, L3는 가이드수단(20)의 원통체(26)에 형성된 수직관통구멍(26a)의 길이, deq는 개구부에 의해 산출되는 등가직경, 개구율(%)은 급기수단(10)의 전체면적에 대한 길다란 급기구(12) 및 짧은 급기구(14)의 전체면적의 비율, 선회수(S)는 급기수단(10)에 형성된 짧은 급기구(14) 및 길다란 급기구(12)의 경사에 의해 배출되는 공조공기의 회전수(1회전 했을 때를 1로 기준)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급기수단(10) 및 가이드수단(20)의 형상을 원형형상으로 제조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해도 되며, 또, 상기 급기수단(10)의 외측급기구(12)를 서로 32.73
Figure kpo00016
의 각도를 두고 형성하고, 내측급기구(14)를 서로 120
Figure kpo00017
각도를 두고 형성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외측급기구(12) 및 내측급기구(14)는 그 수를 늘리거나 줄여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에 의하면,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18
내지 80
Figure kpo00019
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를 두고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를 가진 급기수단과,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공조공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급기수단 및 가이드수단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공조공기도입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를 가진 외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회류 강도와 확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실내 온도조건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난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크게 취하여 기류 및 온도 분포를 실내에 넓게 분포시켜서 따뜻하게 공조할 수 있고, 냉방시에는 선회류 강도와 확산각도를 작게 취하여 실내온도를 낮게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또는 온방에 따라 실내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실내공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급기되고 천장으로 환기되는 급기구가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 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를 가진 취출그릴인 급기수단을 갖는 바닥취출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수직방향에 대해 20
    Figure kpo00020
    내지 80
    Figure kpo00021
    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서로 일정각도를 두고 다수개의 길다란 급기구를 가짐과 동시에, 공조된 공기를 선회시키면서 배출시키도록 상기 길다란 급기구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길다란 급기구 사이에 배설되는 짧은 급기구를 가진 상·하부판이 일체형을 가진 급기수단과, 상기 급기수단이 삽입배설되도록 형성된 관통구멍과, 상기 급기수단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에서 내측을 향해 환형상으로 돌출된 내측플랜지부와, 공조된 공기를 수직으로 배출시켜서 상기 급기수단의 길다란 급기구 및 짧은 급기구를 통해 급기되는 선회류를 상부로 가이드하도록 다수의 수직관통구멍이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뻗어서 플로워(실내바닥) 상부면에 당접지지되는 환형상의 외측플랜지부로 형성되어 상기 급기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는 선회류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원통체에 결합되어 공조공기의 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입된 공조공기를 상기 급기수단 및 가이드수단에 안내하도록 공조공기도입구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내측안내바스켓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외주면에 감입되며 공조공기를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에 도입하도록 상기 내측안내바스켓의 공조공기도입구에 대향해서 형성된 공조공기도입구를 가진 외측안내바스켓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안내바스켓(30)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된 공기공조도입구(32)은 그 공조공기투입구(32)의 크기가 상기 외측안내바스켓(40)의 공조공기투입구(42)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 그 공조공기투입구(32)가 외측안내바스켓(40)의 공조공기투입구(42)보다 작도록 형성된 것 중에 그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분출 공조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19970025885A 1997-06-19 1997-06-19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885A KR100227605B1 (ko) 1997-06-19 1997-06-19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885A KR100227605B1 (ko) 1997-06-19 1997-06-19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15A KR19990002315A (ko) 1999-01-15
KR100227605B1 true KR100227605B1 (ko) 1999-11-01

Family

ID=1951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8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7605B1 (ko) 1997-06-19 1997-06-19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1562A (ko) 2023-06-29 2025-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부유체에 구비되는 바닥 급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01562A (ko) 2023-06-29 2025-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부유체에 구비되는 바닥 급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315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1454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Z294777B6 (cs) Zařízení pro nucené větrání
US3554111A (en) Air conditioning terminal
JP4480833B2 (ja) 吹出口装置
KR100227603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KR100227605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202280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227602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JP3793854B2 (ja) 多層コーン形結露防止吹出口装置
CN1333216C (zh) 低温空调用排气口
KR100227604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227601B1 (ko)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JP3708259B2 (ja) アンダーフロアー空調用吹出し口
US3703140A (en) Ceiling air terminal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US20060211361A1 (en) Personalized air conditioning displacement ventilation system
JP4756728B2 (ja) 低温空調用吹出口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KR102817149B1 (ko) 공기 확산 장치
JPH08296889A (ja) アンダーフロア空調用吹出し装置
CN216011059U (zh) 一种空调器及其通风板
JPH11173645A (ja) 吹出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