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6680B1 -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680B1
KR100226680B1 KR1019960020562A KR19960020562A KR100226680B1 KR 100226680 B1 KR100226680 B1 KR 100226680B1 KR 1019960020562 A KR1019960020562 A KR 1019960020562A KR 19960020562 A KR19960020562 A KR 19960020562A KR 100226680 B1 KR100226680 B1 KR 100226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inpu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51A (ko
Inventor
이상도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2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680B1/ko
Publication of KR98000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6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put/output type connection, e.g. channel, I/O 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4Keyboard-Video-Mouse [KV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PC 본체 또는 X-터미널(11,12)과 ;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21,22,23)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입출력 기구(21,22,23)를 해당 PC 본체 또는 X-터미널(11,12)에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전송로를 형성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있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21,22,23)를 여러 대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11,12)이 공유하도록 되어 있어, PC 본체나 X-터미널마다 각각 입출력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도 감소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An apparatus for sharing input-output devices of personal computer)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제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PC 본체 12 : X-터미널
21 : 모니터 22 : 키보드
23 : 마우스 31 : 딥스위치
32 : 제 1 송신부 33 : 제 2 송신부
34 : 제 3 송신부 35 : 제 1 수신부
36 : 제 2 수신부 37 : 제 3 수신부
본 발명은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를 여러대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이 공유하도록 되어진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여러 대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 마다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를 따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에 있어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용적으로도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를 여러 대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이 공유하도록 되어진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는, 다수개의 PC 본체 또는 X-터미널과 ;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입출력 기구를 해당 PC 본체 또는 X-터미널에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전송로를 형성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 요구를 받아들여 상기 입출력 기구와 해당 PC 본체 또는 X-터미널과의 전송로를 형성하여 신호를 서로 주고 받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는, PC 본체(11)와, X-터미널(12), 모니터(21), 키보드(22), 및 마우스(23)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서, PC 본체와 X-터미널이 입출력장치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로서,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PC 본체(11)와 X-터미널(21)중 하나가 선택되어져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컨트롤 신호 출력하는 딥스위치(3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모니터로(21)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1 송신부(32),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키보드(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2 송신부(33),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마우스(2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3 송신부(34),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모니터(21)로 전송하는 제 1 수신부(35),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키보드(22)로 전송하는 제 2 수신부(36), 및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마우스(23)로 전송하는 제 3 수신부(3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송신부(32)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모니터(2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PC 본체(11)로 출력하는 제 1 송신 버퍼(32-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모니터(2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X-터미널(12)로 출력하는 제 2 송신 버퍼(3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송신부(33)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키보드(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PC 본체(11)로 출력하는 제 1 송신버퍼(33-1)와 상기 컨트롤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키보드(22)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X-터미널(12)로 출력하는 제 2' 송신 버퍼(3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송신부(34)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마우스(2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PC 본체(11)로 출력하는 제 1 송신 버퍼(34-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마우스(2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X-터미널(12)로 출력하는 제 2 송신 버퍼(3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수신부(35)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모니터(21)로 출력하는 제 1 수신버퍼(35-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X-터미널(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모니터(21)로 출력하는 제 2 수신 버퍼(35-2)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수신부(36)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키보드(22)로 출력하는 제 1' 수신 버퍼(36-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X-터미널(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키보드(22)로 출력하는 제 2' 수신 버퍼(36-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수신부(37)는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마우스(23)로 출력하는 제 1 수신 버퍼(37-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되어 상기 X-터미널(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마우스(23)로 출력하는 제 2 수신 버퍼(37-2)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딥스위치(31)를 조절함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컨트롤 신호가 상기 12개의 버퍼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인에이블시킨다.
예컨대, 사용자가 PC 본체(11)를 각각의 입출력 기구(21,22,23)와 연결하고자 할 경우, 상기 딥스위치(31)에서 하이 레벨의 컨트롤 신호가 각각의 버퍼로 출력된다고 하자.
이에 따라 상기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2-1,35-1),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3-1,36-1),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4-1,37-1)가 인에이블되어, 상기 모니터(2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송신 버퍼(32-1)를 통해 상기 PC 본체(11)로 전송되고,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수신 버퍼(35-1)를 통해 상기 모니터(21)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키보드(22)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송신 버퍼(33-1)를 통해 상기 PC 본체(11)로 전송되고,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수신 버퍼(36-1)를 통해 상기 키보드(22)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마우스(23)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송신 버퍼(34-1)를 통해 상기 PC 본체(11)로 전송되고, 상기 PC 본체(11)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제 1 수신 버퍼(37-1)를 통해 상기 마우스(23)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2-2,35-2),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3-2,36-2),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4-2,37-2)는 디스인에이블되므로, 상기 X-터미널(12)과는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딥스위치(31)에서 로우 레벨의 컨트롤 신호가 각각의 버퍼로 출력되면, 상기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2-2,35-2),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3-2,36-2), 제 2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4-2,37-2)가 인에이블되므로 상기 X-터미널(12)과는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2-1,35-1),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3-1,36-1), 제 1 송신 버퍼와 수신 버퍼(34-1,37-1)는 디스인에이블되므로 상기 PC 본체(11)와는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를 여러 대의 PC 본체 혹은 X-터미널이 공유하도록 되어 있어, PC 본체나 X-터미널마다 각각 입출력 기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도 감소된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를, 모니터(21), 키보드(22), 마우스(23) 등과 같은 입출력 기구에 접속하여 공용하게 하기 위한 제어부(30)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가 사용자가 상기 PC 본체(11)와 X-터미널(12)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의 컨트롤 신호 출력하는 딥스위치(31)와;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모니터(2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1 송신부(32);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키보드(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2 송신부(33);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마우스(2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 전송하는 제 3 송신부(34);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모니터(21)로 전송하는 제 1 수신부(35);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키보드(22)로 전송하는 제 2 수신부(36); 및
    상기 컨트롤 신호에 따라 상기 PC 본체(11) 또는 X-터미널(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마우스(23)로 전송하는 제 3 수신부(3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KR1019960020562A 1996-06-10 1996-06-10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6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62A KR100226680B1 (ko) 1996-06-10 1996-06-10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62A KR100226680B1 (ko) 1996-06-10 1996-06-10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51A KR980003951A (ko) 1998-03-30
KR100226680B1 true KR100226680B1 (ko) 1999-10-15

Family

ID=1946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5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6680B1 (ko) 1996-06-10 1996-06-10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33B1 (ko) * 2007-02-28 2009-07-20 코아인텍주식회사 Kvm을 이용한 자동 백업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83B1 (ko) * 2006-02-21 2008-03-03 이형태 컴퓨터 공유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33B1 (ko) * 2007-02-28 2009-07-20 코아인텍주식회사 Kvm을 이용한 자동 백업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51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642A (ko) 멀티미디어 회의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향상된 주변장치
CA2173368A1 (en) Control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AU6721898A (en) Input buffer circuit
US5999798A (en) Computer peripheral device with circuit for wirelessly receiving and transmitting signals
KR100226680B1 (ko) 개인용 컴퓨터의 입출력 기구 공유 장치
KR100229897B1 (ko) 직접 메모리 억세스 전송방법에 따른 타이밍 모드선택장치
US5958021A (en) Input-output interface circuit with multiplexers selecting an external signal or an internal output signal as the input signal from an I/O terminal
KR890012219A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키보드 선택 방법 및 장치
JPH02128882A (ja) プリンタシステム
KR100406967B1 (ko) 병렬포트다중입력확장장치
KR970071294A (ko) 직렬통신제어기(scc)를 이용한 직접메모리접근(dma) 장치
KR100252084B1 (ko) 멀티 프로세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라이트/리드 방법 및 데이터엑세스 장치
KR970014001A (ko) I^2C 프로토콜 통신 장치(I^2C protocol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93959B1 (ko) 비동기식송신및수신장치(uart)
KR970002687A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0127877Y1 (ko) 알에스-485/알에스-232 컨버터를 구비한 피엘씨 통신 네트워크
KR100242690B1 (ko) 어드레스 라인을 이용한 하위 장치 제어 장치
KR950020038A (ko) 공용 모니터 및 키보드 선택 스위칭 장치
KR20010086509A (ko) 차량용 마이컴의 통신 포트 제어 장치
CA2376718A1 (en) Interface apparatus provided between two remote control systems having different transmission modes
JPH04251361A (ja) データ転送装置
JPH10177547A (ja) シリアルデータ通信回路
KR920015775A (ko) 통신 제어 장치
KR910019378A (ko) 메시지 처리시스템과 사설교환기를 통한 pc의 인터페이싱 방법
JPH0628201A (ja) 制御信号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7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7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