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5963B1 -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963B1
KR100225963B1 KR1019970035480A KR19970035480A KR100225963B1 KR 100225963 B1 KR100225963 B1 KR 100225963B1 KR 1019970035480 A KR1019970035480 A KR 1019970035480A KR 19970035480 A KR19970035480 A KR 19970035480A KR 100225963 B1 KR100225963 B1 KR 100225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cylinder
chamber
power stee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172A (ko
Inventor
고현기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3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96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96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14Steering gear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서의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를 차별화할 수 있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제어시스템은 프라이어티 밸브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사이의 압유의 공급경로상에 전자비례어밸브를 설치하고, 이들 전자비례어밸브를 차속에 연계시켜 제어토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고속시와 저속시의 스티어링휠의 민감도를 차별화하여 고속에서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하고, 저속에서의 운전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산업차량의 일종인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압유를 각각의 작동부로 적절히 공급제어 하는 것에 의해 작업시에 요구되는 동력을 제공받는 엔진지게차에서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따라 공급되는 유압을 제어하는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하물(荷物)을 적재하거나 또는 하차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게차는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압유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예컨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를 구동하는 스티어링 유닛 및 리프트 실린더 또는 틸트 실린더등을 구동하는 콘트롤 유닛으로 분배하고, 분배과정에서 밸브수단으로 압유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도 1에는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엔진지게차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엔진(20)에 의해 구동되어 오일탱크(10)내의 오일을 압축펌핑하여 압유(壓油)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프라이어티 밸브(60)(priority valve)로 공급하는 유압펌프(50)가 설치된다.
유압펌프(50)는 압유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프라이어티 밸브(60)(priority valve)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의 펌프 토출량은 [수식1]와 같이 분당엔진회전수와 일회전시의 펌프토출량을 곱한 값이 된다.
Qp= Ne× qth/ 1000 ----------------------------[수식 1]
Qp: 분당 펌프토출량[LPM]
Ne: 분당 엔진회전수[RPM]
qth: 일회전시 펌프토출량[cc/rev]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유압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스티어링 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steering unit)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리프트 실린더(112)(lift cylinder) 및 틸트 실린더(114)(tilt cylinder)등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로 이루어진 콘트롤 유닛(110)(control unit)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때,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일차적으로 스티어링 유닛(70)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스티어링 유닛(70)의 작동에 필요한 압유를 충분히 공급한 후에 콘트롤 유닛(1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된 압유는 스티어링 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압유의 배출통로를 전환하는 3포지션 밸브(74) 및 조향펌프(76)를 경유하여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power steering cylinder)로 공급된다. 이때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은 스티어링휠(72)의 회전수에 의해 제어되며, 조향펌프(76)의 회전력은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을 도와주게 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유량은 [수식2]와 같이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와 스티어링 유닛의 일회전당 토출량을 곱한 값으로 결정되고, 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유량은 상기 분당펌프토출량 이하가 된다.
Qp≥ Qm= N×qth1/ 1000 ----------------------[수식2]
Qm: 스티어링 유닛에 의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LPM]
qth1: 스티어링 유닛의 토출량[cc/rev]
N : 스티어링 휠의 회전속도[RPM]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power steering cylinder)는 압유의 유입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92)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향바퀴(98)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의 조향을 이루게 된다.
이때,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91)의 이송속도는 [수식3]과 같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유량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수압부와의 면적 비로 나타낸다.
Vr= Qm/ Ar---------------------------------[수식3)
= N×qth1/ {[π×(D2-d2)/4× 6000]}
= N×qth1/ [1500×π×(D2-d2)]
Vr: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의 이송속도
Ar: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수압부의 면적
D :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내경
d :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의 외경
따라서, 운전자가 느끼는 스티어링휠의 회전저항정도(이하,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로 약칭함)는 [수식4]와 같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이송속도와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 Vr/ N = qth1/ [1500×π×(D2-d2)] -------------[수식4]
Vr/ N :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향시스템은 저속 또는 고속에서의 스티어링 휠(72)의 민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작업시의 운전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를 결정함에 있어, 두가지 요소를 감안하게 된다. 그 첫째는 주로 저속주행인 경우는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안하여 조향핸들의 민감도를 가능한 크게 하고, 반대로 고속중행인 경우에는 차량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민감도를 저속에 비해 작게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저속과 고속에서의 민감도를 다르게 할 수 없으므로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를 하여 고속에서의 민감도를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저속에서의 민감도는 작게 되므로 조향시 스티어링휠의 회전저항이 커지게 되어 조향시 스티어링 휠의 회전저항이 커지게 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서의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를 가변토록 하여 고속주행시의 주행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저속주행에서의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엔진지게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지게차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지게차 조향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4는 종래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민감도와 차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조향특성곡선을 비교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오일탱크 20: 엔진
40: 콘트롤러 50: 유압펌프
60: 프라이어티 밸브 70: 스티어링 유닛
90: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91: 로드
92: 피스톤 94: 제 1챔버
96: 제 2챔버 98: 조향바퀴
100: 차속감지센서 102: 추진축
110: 콘트롤 유닛 120: 제 1감지센서
130: 제 2감지센서 140: 전자비례제어 밸브
150: 변속기 160: 구동축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목적은 엔진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 의해 발생되는 압유를 공급받아 스티어링 유닛 또는 콘트롤 유닛으로 분배하는 프라이어티 밸브와, 스티어링 휠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압유를 공급받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바퀴를 회전시키는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를 구비한 조향시스템에 있어서, 차속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이동속도 및 스티어링 휠의 회전속도 그리고 차속을 감지하는 단계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이동속도 및 스티어링 휠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현재의 민감도를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오차값을 근거로 하여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제어하여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가 목표값을 유지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향시스템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조향핸들의 민감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제 1챔버 또는 제 2챔버중 선택된 챔버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목적은 차량의 주행력과 속도를 제공하는 엔진 및 변속기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을 발생하는 유압펌프와, 피스톤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 및 제 2챔버를 갖춘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와, 유압펌프에서 펌핑된 압유를 전달받아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챔버 또는 제 2챔버중 선택된 챔버로 압유를 공급하는 프라이어티 밸브를 구비하여 차량의 조향을 이루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1감지센서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2감지센서와; 차속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와; 각각의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가변시키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수단은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수단은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키는 전자비례제어 밸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티어링 유닛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제 1챔버 또는 제 2챔버중 선택된 챔버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조향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시스템의 제어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유닛(70)과, 스티어링 휠에 의해 제어되는 압유의 공급에 따라 동작하는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와,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120)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130)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100)와. 각각의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는 콘트롤러(40)와,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40)로 이루어진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지게차 조향시스템의 유압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공급되는 압유를 스티어링 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steering unit)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리프트 실린더(90)(lift cyli nder) 및 틸트 실린더(90)(tilt cylinder)등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로 이루어진 콘트롤 유닛(110)(control unit)으로 분배하는 프라이어티 밸브(60)가 설치된다. 이때,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일차적으로 스티어링 유닛(70)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스티어링 유닛(70)의 작동에 필요한 압유를 충분히 공급한 후에 콘트롤 유닛(1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티어링 유닛(70)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72) 및 이 스티어링 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된 압유의 배출통로를 전환하는 3포지션 밸브(74)가 제공된다. 3포지션 밸브(74)의 선택된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압유는 조향펌프(76)를 경유하여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된다. 이때, 조향펌프(76)는 스티어링 휠(72)을 회전시켜 조향성을 배가시키게 된다.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power steering cylinder)는 압유의 유입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조향바퀴(98)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의 조향을 이루게 되는 피스톤(92) 및 이 피스톤(92)에 연결된 로드(91)가 갖추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부에는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1감지센서(120)가 설치되고, 또한, 파워스티어링실린더(90)에는 로드(91)의 길이방향 이동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그것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2감지센서(130)가 설치된다.
차량의 변속기(150) 및 구동축(160)을 연결하는 추진축(102)상에는 추진축(102)의 회전속도에 의해 차속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100)가 설치된다.
한편, 각각의 제 1감지센서(120) 및 제 2감지센서(130) 그리고 차속감지센서(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받고, 이들을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40)가 제공된다.
그리고, 스티어링 유닛(70)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와의 사이에는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가변시키는 전자비례제어 밸브(140)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비례제어 밸브(140)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하나의 챔버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챔버로 공급되는 압유를 오일탱크(10)로 드레인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조향시스템의 제어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20)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50)가 오일탱크(10)내의 오일을 압축펌핑하여 압유(壓油)를 예정된 경로를 따라 프라이어티 밸브(60)(priority valve)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의 분당 펌프토출량은 [수식1]와 같이 분당 엔진회전수와 일회전시의 펌프토출량을 곱한값이 된다.
Qp= Ne×qth/ 1000 ----------------------------[수식 1]
Qp: 분당 펌프토출량[LPM]
Ne: 분당 엔진회전수[RPM]
qth: 일회전시 펌프토출량[cc/rev]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유압펌프(50)로부터 공급되는 압유를 스티어링 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steering unit)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리프트 실린더(90)(lift cylinder) 및 틸트 실린더(90)(tilt cylinder)등을 제어하는 복수의 밸브로 이루어진 콘트롤 유닛(110)(control unit)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때, 프라이어티 밸브(60)는 일차적으로 스티어링 유닛(70)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스티어링 유닛(70)의 작동에 필요한 압유를 충분히 공급한 후에 콘트롤 유닛(1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티어링 유닛(70)으로 공급된 압유는 스티어링 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며 압유의 배출통로를 전환하는 3포지션 밸브(74)를 경유하여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은 따라서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에 따라 가변되는 모터(76)에 의해 가변제어 된다.
또한, 콘트롤러(40)에서는 제 1감지센서(120)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스티어링 휠(72)의 회전방향을 판단하고, 전자비례제어 밸브(140)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부터 압유를 인출하여 오일탱크(10)로 드레인시키게 된다. 이때 드레인되는 압유의 양은 콘트롤러(40)로 인가되는 차속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최종적으로 공급되는 유량은 [수식5]와 같이 스티어링 유닛에 의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에서 전자비례제어 밸브(140)를 통해 탱크로 드레인되는 유량을 뺀 나머지가 된다.
Qa=Qm- Qb(Vr) ----------------------------[수식5]
Qa:최종적으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량[LPM]
Qb(Vr): 차속에 따라 전자비례제어 밸브를 통해 탱크로 드레인되는 유량[LPM]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power steering cylinder)는 압유의 유입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92)의 이동방향에 따라 조향바퀴(98)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의 조향을 이루게 된다.
이때의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91)의 이동속도는 [수식6]과 같이 최종적으로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유량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수압부와의 면적 비가 된다.
Vr= Qa/ Ar---------------------------------[수식6]
= (Qm-Qb(Vr)) / Ar
= N×qth1/ {[π×(D2-d2)/4 × 6000]} - Qb(Vr) / Ar
= N×qth1/ [1500 ×π× (D2-d2)] - Qb(Vr) / Ar
Vr: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의 이동속도[m/sec]
Ar: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수압부의 면적[cm2]
D : 파워스티어링 실린더의 내경[cm]
d :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로드의 외경[c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는 [수식6]과 같이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이동속도를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 Vr/ N = qth1/ [1500 ×π× (D2-d2)] - Qb(Vr)Ar/N-----[수식 7]
Vr/ N :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m/sec/RPM]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는 차속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비례제어 밸브(70)에 의해 조절되는 압유의 량과 관련되므로 속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민감도와 차속과의 관계그래프에서 잘 나타나있다. 즉, 차속이 최하일때 민감도는 최고치를 유지하고, 차속이 증가할수록 민감도는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반비례 관계의 조향특성곡선이 얻어진다. 이는 도 4에 함께 도시한 종래의 민감도와 차속과의 관계 즉, 차속이 변화더라도 항시 일정한 민감도를 유지하는 종래의 조향특성곡선에 비해 저속에서의 민감도가 크게 향상되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지게차의 조향제어시스템은 프라이어티 밸브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 사이의 압유의 공급경로상에 전자비례어밸브를 설치하고, 이들 전자비례어밸브를 차속에 연계시켜 제어토록 함으로써 고속시와 저속시의 스티어링휠의 민감도를 차별화하여 고속에서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저속에서의 운전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7)

  1. 엔진(20)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50)와, 유압펌프(50)에 의해 발생되는 압유를 공급받아 스티어링 유닛(70) 또는 콘트롤 유닛(110)으로 분배하는 프라이어티 밸브(60)와, 스티어링 휠(72)에 의해 제어되는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압유를 공급받고 스티어링 휠(72)의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바퀴를 회전시키는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를 구비한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속의 변동에 대한 민감도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이동속도 및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 그리고 차속을 감지하는 단계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이동속도 및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현재의 스티어링 휠의 민감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현재의 민감도를 감지된 차속에 대응하는 목표값과 비교하여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오차값을 근거로 하여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제어하여 스티어링 휠(72)의 민감도가 목표값을 유지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켜 조향핸들의 민감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에 따라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
  4. 유암펌프를 구동하는 엔진(20)과, 피스톤(92)에 의해 구분되는 제 1챔버(94) 및 제 2챔버(96)를 갖춘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와, 유압펌프(50)에서 펌핑된 압유를 전달받아 스티어링 휠(72)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압유를 공급하는 프라이어티 밸브(60)를 구비하여 차량의 조향을 이루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72)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1감지센서(120)와;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 2감지센서(130)와;
    차속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감지센서(100)와;
    각각의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콘트롤러(40)와;
    콘트롤러(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가변시키는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의 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키는 전자비례제어 밸브(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티어링 유닛(70)으로부터 파워스티어링 실린더(90)의 제 1챔버(94) 또는 제 2챔버(96)중 선택된 챔버로 공급되는 압유를 드레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장치.
KR1019970035480A 1997-07-28 1997-07-28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5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80A KR100225963B1 (ko) 1997-07-28 1997-07-28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80A KR100225963B1 (ko) 1997-07-28 1997-07-28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72A KR19990012172A (ko) 1999-02-25
KR100225963B1 true KR100225963B1 (ko) 1999-10-15

Family

ID=1951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4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5963B1 (ko) 1997-07-28 1997-07-28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447B1 (ko) * 1997-07-28 2005-07-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유압모터 회전속도 조절장치
KR101409125B1 (ko) * 2007-12-27 2014-06-1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조향장치
KR101447811B1 (ko) 2013-04-05 2014-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속도 및 조향 센서를 이용한 지게차 전복 방지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5793142A (zh) * 2013-12-02 2016-07-20 株式会社斗山 叉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766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
CN114183414B (zh) * 2022-01-12 2024-12-31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工业车辆机械及电液转向可控的转向优先型液压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447B1 (ko) * 1997-07-28 2005-07-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유압모터 회전속도 조절장치
KR101409125B1 (ko) * 2007-12-27 2014-06-18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조향장치
KR101447811B1 (ko) 2013-04-05 2014-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속도 및 조향 센서를 이용한 지게차 전복 방지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5793142A (zh) * 2013-12-02 2016-07-20 株式会社斗山 叉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72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9782A (en) Power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EP096237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hydraulic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KR100615808B1 (ko) 펌프 유닛
JPH0568386B2 (ko)
US6073721A (en) Method for limiting hydraulic assist in a power assist steering system
US109550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xial piston pump and drive unit with such an axial piston pump and hydrostatic traction drive with such a drive unit
KR100225963B1 (ko) 엔진지게차의 조향시스템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48722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0225961B1 (ko) 전동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100230051B1 (ko) 자동 조향장치
JP2005061298A (ja) 建設機械
US5046572A (en) Steer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JP2002372148A (ja) Hst車両の制御装置
KR19990054725A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42780A (ko) 지게차의 조향시스템
KR870006320A (ko) 유압건설 기계의 제어시스템
JPH10182095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荷役制御装置
KR0131567B1 (ko) 자동차의 조향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930001529B1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동력 조향방법
JP2688954B2 (ja) 少なくとも2つの可変容量型油圧モータを備えた走行駆動回路
JPH0338467A (ja) 産業車両の油圧装置
KR100499286B1 (ko) 엔진 작동 모드 변경 장치
KR200244736Y1 (ko) 유압식 구동차량의 펌프 및 엔진회전수 제어장치
JPS60226366A (ja) 電子制御式パワ−ステアリングの操舵力制御装置
JP3414438B2 (ja) 射出成形機の油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