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4147B1 - 자기 기록 테이프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147B1
KR100224147B1 KR1019920006992A KR920006992A KR100224147B1 KR 100224147 B1 KR100224147 B1 KR 100224147B1 KR 1019920006992 A KR1019920006992 A KR 1019920006992A KR 920006992 A KR920006992 A KR 920006992A KR 100224147 B1 KR100224147 B1 KR 100224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ecording
film
tape
recording tape
you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415A (ko
Inventor
엣쮸마사미
하마노히사시
호소이마사히로
고바야시이에야스
사에끼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92002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1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5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back layer
    • G11B5/7356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characterised by the back layer comprising non-magnetic particles in the back layer, e.g. particles of TiO2, ZnO or SiO2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6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5/73Base layers, i.e. all non-magnetic layers lying under a lowermost magnetic recording layer, e.g. including any non-magnetic layer in between a first magnetic recording layer and either an underlying substrate or a soft magnetic underlayer
    • G11B5/739Magnetic recording media substrates
    • G11B5/73923Organic polymer substrates
    • G11B5/73927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 G11B5/73929Polyester substrate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rising naphthalene ring compounds, e.g.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s

Landscapes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a) 길이 방향의 영율이 적어도 650㎏/㎟이며, 가로 방향의 영율이 길이 방향의 영율과 같거나 그것 보다 크고, (b) 100℃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가로방향의 열수축열이 1.0~3.0%의 범위에 있고, (c) 표면 조도(粗度)(Ra)가 0.005㎛이하이고, 그리고, (d) 공기중, 160℃에서 5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0.01면적% 이하인 2축 배향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B)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자성 금속 박막과, (C)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 면 상에 형성된 윤활제 함유 유기 고분자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기록 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 기록 테이프
본 발명은 자기 기록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 기록 가능한 개량된 자기 기록 테이프, 특히 VTR용 자기 기록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자기 기록 테이프로서, 종래는 2축 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주로 γ-산화철과 고분자 바인더로 이루어진 자성층을 형성한 자기 기록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종래의 자기 기록 테이프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1) 자기 기록의 유지력이 작다. (2) 테이프 두께를 얇게하면 테이프의 주행성이나 내구성이 불량하게 되고, 기록의 탈락(드롭아웃)이 생기기 쉬우므로, 일정한 크기의 카세트에 감을 수 있는 테이프의 양에 한계가 있어 기록의 장시간화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지지체로한 자기 기록 테이프의 결점을 해소하고, 주행성이나 내구성을 개량한 자기 기록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정의 기계적 성질 및 표면 구조를 구비한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지지체로 하고, 이 지지체의 표면의 한쪽에 금속박막으로 이루어진 자성층을 형성시키고, 또 상기 지지체의 자성 금속 박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의 다른쪽 표면에 윤활제(lubricant)를 함유한 유기 고분자의 코팅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자기 기록 테이프가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특개소 62-28918호). 이 자기 기록 테이프는 지지체의 필름으로서 길이방향(세로방향) 5% 신장시 응력이 18㎏/㎟이상 인점, 길이방향의 영율이 800㎏/㎟이상이며, 또한 폭방향(가로방향)의 영율이 500㎏/㎟이상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자기 기록 테이프는 확실히 자기 기록의 보자력을 크게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름을 사용한 테이프라도 역시, 테이프의 두께를 얇게 하여 기록 재생 시간의 장시간화를 도모하려고 할 경우, 주행성, 내구성에 문제가 생긴다. 즉 자기 기록 테이프를 반복하여 주행시켰을 경우에 테이프의 단부가 손상을 받아 물결 모양(wavy or crinkly)으로 변형하여 테이프의 특성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필름 지지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체 필름에 컬(curl)이 생겨서, 그후의 자기 기록 테이프화의 공정이나 카세트에 테이프를 감아 넣어서 사용할 경우에 테이프가 만곡하여 자기 헤드에 잘 접촉하지 않고, 출력이 나오지 않거나, 테이프의 주행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금속 박막을 형성할 때의 필름 지지체의 컬이 작게하고, 자기 기록 테이프로 하였을 시의 보자력이 크며, 데이터의 탈락이 없고, 또한 두께가 얇더라도, 테이프로서의 주행성이나 내구성이 극히 양호한 자기 기록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A) (a) 길이 방향의 영율이 적어도 650㎏/㎟이며, 가로 방향의 영율이 길이 방향의 영율과 같거나 그것 보다 크고, (b) 100℃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가로방향의 열수축열이 1.0~3.0%의 범위에 있고, (c) 표면 조도(粗度)(Ra)가 0.005㎛이하이고, 그리고, (d) 공기중, 160℃에서 5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0.01면적% 이하인 2축 배향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B)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자성 금속 박막과, (C)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 면 상에 형성된 윤활제 함유 유기 고분자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기록 테이프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자기 테이프의 지지체를 구성하는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길이방향의 영율(EM)이 적어도 650㎏/㎟일 필요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700㎏/㎟, 더욱 바람직하기는 적어도 750㎏/㎟이다. 길이 방향의 영율(EM)이 650㎏/㎟ 미만일 경우에는 자기 기록 테이프에 순식간에 강한 응력이 걸렸을 때 테이프가 늘어나서 변형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또 가로방향의 영율(ET)이 길이 방향의 영율(EM)과 같거나 이것 보다 큰 것이 필요하다. 가로 방향의 영율(ET)이 650㎏/㎟ 미만의 경우 혹은 길이 방향의 영율(EM)보다 작은 경우, 테이프의 주행을 반복하면, 테이프의 단부가 손상을 받아서, 물결 모양으로 변형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ET의 보다 바람직한 값은, 적어도 700㎏/㎟, 더욱 바람직한 값은 적어도 800㎏/㎟이다.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또 가로 방향의 열수축율이 100℃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 1.0-3.0%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열수축율이 1.0% 미만의 경우 혹은 3.0%보다 큰 경우, 컬이 현저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또 표면 조도(Ra)가 0.05㎛ 이하일 필요가 있다. 표면조도(Ra)가 0.005㎛ 보다 크게되면 자기헤드와 테이프간에 존재하는 공간이 커져서, 테이프의 전자 변환자성이 저하되어, 고밀도, 고감도의 자기 기록 테이프를 얻을 수가 없고, 바람직하지 않다. 이 표면조도(Ra)는 필름 기재중에 불활성 미립자 예를 들면 주기율표 제 ⅡA, 제 ⅡB, 제 ⅣB의 원소를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 실리콘 수지, 가교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내열성이 높은 고분자로 이루어진 미립자 등을 함유 시킴으로써, 혹은 다른 표면 처리, 예를 들면 피복처리에 의해서 조정할 수가 있다.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시킬 경우, 예를 들면 평균 입자 직경 0.045㎛의 실리카 미립자를 0.015중량%(대 중합체 중량) 정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또, 공기 중에서 160℃로 5분간 열처리 하였을 때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0.01면적%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올리고머 석출량이 0.01면적% 보다 많으면, 석출 올리고머에 의해서 테이프의 표면이 거칠어지고, 고밀도, 고감도의 자기 기록 테이프를 얻을 수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용융 압출하고, 바람직하게는 그의 융점(Tm : ℃) 내지 (Tm+7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고, 냉각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고, 이 미연신 필름을 1축 방향(길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Tg-10) 내지 (Tg+70)℃의 온도(그러나, Tg :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에서 소정 배율로 연신하고, 이어서 상기 연신 방향과 직각 방향(1단째 연신이 길이 방향의 경우에는 2단째 연신은 가로방향으로 된다)으로 Tg(℃) 내지 (Tg+70)℃의 온도에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하고, 또 열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그때, 연신 배율, 연신온도, 열고정 조건 등은 상기 필름의 특성으로 부터 선택하여 결정된다. 면적 연신 배율은, 9-22배가 바람직하며, 12-22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고정 온도는 190-2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처리시간은 1-60초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이러한 축차 2축 연신법 외에 동시 2축 연신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축차 2축 연신법에 있어서 길이방향, 가로방향의 연신회수는 1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길이-가로 연신을 수회의 연신에 의해 수행할 수가 있으며, 그 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더욱 기계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고정 처리전의 상기 2축 연신 필름에 관하여, 열고정 온도를 (Tg+20)℃ 내지 (Tg+70)℃로 하여 열 고정하고, 또 이 열 고정온도 보다 10 내지 40℃ 높은 온도에서 길이 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계속하여 더욱 이 온도 보다 20-50℃ 높은 온도에서 더욱 가로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고, 길이 방향의 경우, 연신 배율을 5.0-6.9배, 가로 방향의 총합 연신배율을 5.0-6.9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고영율 필름의 열수축을 조정하기 위하여, 열처리 후의 필름을 저장력하에서 가열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완시킴으로써 수행할 수가 있다.
길이 방향으로 이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공기의 힘에 의한 부유 처리 방법으로 가열 저장력하, 비접촉상태에서 이완시키는 방법 ; 각각 닙 롤(nip roll)을 갖는 가열 롤과 냉각 롤 사이에서 속도차를 부여함으로써 이완시키는 방식, 또는 텐더(tender) 내에서 필름을 파지한 클립의 진행 속도를 점차로 완화시킴으로써 이완시키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기재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는 그 자체 공지이며, 또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에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의 합성시에 불활성 미립자를 첨가 또는 석출시키는 방법, 이 방법으로 불활성 미립자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주 중합체를 만들고, 이것과 불활성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중합체를 혼합하여, 용융 압출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테이프는 상기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지지체로 하여, 그의 한쪽 면상에 자기 금속 박막을 갖는다.
자기 금속 박막 즉, 자성층을 구성하는 자성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코발트, 철, 니켈 또는 이것들의 합금, 또는 이것들과 크롬, 텅스텐과의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무전해 도금이나 전해 도금에 의한 습식 진공 증착, 스퍼터링이나 이온 플레이팅에 의한 건식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진공 증착법은 석출 속도가 매우 빠르고, 높은 보자력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한 금속 박막의 형성방법이다. 또 코발트, 크롬의 스퍼터링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박막은 300-1500nm(0.3-1.5㎛) 정도가 대체적인 두께의 표준으로 된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테이프는 또,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의 면상, 즉 지지체의 자성 박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쪽의 표면상에, 테이프로서의 원활한 주행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윤활제를 함유하는 유기 고분자의 박막을 코팅한다. 윤활제로서는 아크릴산 알루미늄, 몰리브덴, 미세실리카, 불소 수지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할 수 있다. 윤활제를 필름지지체와 접착력이 있는 유기 고분자(예컨대 폴리옥시 알킬렌글리콜의 글리시딜 에테르 등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나,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으로 변성한 산 성분을 갖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용액 또는 에멀션에 분산하고, 이것을 지지체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미끄러지기 쉬운, 주행성이 개량된 자기 기록 테이프를 얻을 수가 있다. 도포의 두께는 1㎛이하, 바람직하게는 50-500㎚ 정도의 얇은 것이 좋다. 또 이 도막층의 표면조도(Ra)는 0.015-0.040㎛(15-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윤활제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2.0㎛가 바람직하고, 이 첨가량은 0.05-0.5중량%(바인더 중량에 기준)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기 기록 테이프의 두께는 10㎛이하, 더우기 3-10㎛가 바람직하다. 10㎛보다 두껍게 되면, 장시간 기록으로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종의 물성치 및 특성은 이하와 같이하여 측정된 것이며, 또한 정의되어 있다.
(1) 영율
필름을 폭 10㎜, 길이 15㎝로 잘라 시료로 하였다. 이 시료를 척(chuck) 사이 100㎜로 하여 인장속도 10㎜/분, 차트 속도(charting rate) 500㎜/분으로 이스트롱 타입(Instran-type)의 만능 신장 시험 장치로 인장하였다. 얻어진 하중-신장 곡선의 상승부의 접선으로 부터 영율을 계산하였다.
(2) 표면조도(Ra)
JIS B 0601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도꾜 세이미쓰사(주) 제의 촉침식 표면조도계(SURFCOM 3B)를 사용하여, 침의 반경 2㎛, 하중 0.07g의 조건하에서 차트(필름 표면 조도곡선)을 그려서, 얻어지는 필름 표면 조도 곡선으로 부터 그의 중심선의 방향으로 측정 길이(L)의 부분을 발췌하고, 이 발췌 부분의 중심선을 X축으로 하고, 종 배율의 방향을 Y축으로 하여, 조도곡선을 Y=f(x)으로 나타냈을 때, 다음의 식으로 부여되는 값(Ra : ㎛)을 필름 표면 조도로서 정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 길이를 0.25㎜로 하여 8개 측정하여, 값의 큰 쪽으로 부터 3개 제외한 5개의 평균치로 하여 Ra를 나타냈다.
(3) 열수축율
필름을 폭 10㎜, 길이 600㎜의 스트립으로 잘라내어 500㎜ 간격의 표점을 붙였다. 이 샘플을 무장력하에서 100℃의 기어 오븐에서 30분간 처리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열처리 전후의 치수변화로 부터 열수축율을 산출하였다. 치수의 측정은 미쓰또요(MITUTOYO) 제의 미소치수 측정장치(PROFILE PROJECTOR MODEL PJ321F)를 사용하였다.
(4) 올리고머의 석출량
필름을 160℃의 공기오븐 중에서 5분간 가열한 후 꺼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이 필름을 투과 광 현미경하에서 400배로 확대하여, 석출올리고머가 뿌려진 필름 표면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이 사진을 사용하여, Luzex 500에 의해 화상처리를 하여 시야 안에서 올리고머 결정이 점유하는 면적(올리고머 결정이 복수의 경우의 면적의 총계)를 시야의 면적으로 나누어서, 그것을 100분율로 나타냈다.
(5) 보자력
자기 기록 등의 자기 특성을 시료 진동형 자력계로 측정하고, 그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으로 부터 보자력을 구하였다.
보자력이 500 Oe(Oersted) 이상의 경우를 보자력 : 양호, 500 Oe 미만의 경우를 보자력 : 불량 이라고 판정하였다.
(6) 드롭 아웃(Drop out)
자기 테이프를 가정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헬리칼 스캔)로 연속 100시간 주행 시켰다. 그 테이프를 40℃에서 48시간 유지한 후, 상온으로 되돌려서 테이프를 기록 재생시키고, 드롭 아웃 계수기를 사용하여 신호 출력 50% 이하인 것을 가르켰다.
그리고, 측정은 1/2인치 폭, 780m을 1권으로 하여 10권의 측정을 하고, 1권 당의 개수가 2개 미만의 경우를 드롭 아웃 : 양호, 2개 이상의 경우를 드롭 아웃 :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7) 자기 기록용 테이프의 주행성
가정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헬리칼 스캔)에 세트하고, 주행개시, 정지를 반복하면서, 100시간 주행시켜, 주행상태를 조사하는 동시에 출력 측정을 하였다. 이 주행에 있어서, 하기 항목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를 주행성 : 양호, 그렇지 않은 경우를 주행성 :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① 테이프의 끝이 접히거나, 물결모양으로 되지 않는다.
② 주행중에 테이프 소음이 생기지 않는다.
③ 테이프가 갈라지거나, 절단되지 않는다
(8) 컬(curling)
자기 기록용 테이프의 주롤(master roll)로 부터 500×500㎜의 정방형의 시료를 잘라내서, 그의 컬 상태를 하기 5단계로 분류하고, D와 E는 컬 : 양호, A,B,C는 컬 : 불량이라고 판정하였다.
A : 완전히 원통형상을 나타내는 것,
B : A에 가까운 상태이나, 통의 일부가 개구되어 있는 것,
C : B의 개구부가 넓혀진 것이나, 측면의 최장부를 원의 직경으로 되는 것,
D : C의 개구부가 더욱 넓혀진 것이 있으며, 측면의 최장부를 원의 직경으로 되지 않는 것,
E : 컬이 전혀 없는 것, 또는 거의 없는 것.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평면 입자 직경 0.15㎛의 실리카를 0.15중량% 함유하여 이루어진 고유 점도 0.60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의 펠릿을 170℃에서 4시간 건조시켰다. 이 중합체를 통상법에 따라 용융압출하고, 급냉하여 두께 165㎛의 미연신 필름을 만들고, 계속하여 길이 방향으로 130℃에서 4.85배, 가로 방향으로 130℃에서 5.2배, 축차 2축 연신을 행하고, 또 200℃에서 30초간 열고정을 행하여, 6.4㎛의 2축 연신필름을 만들었다(실시예 1).
또 열 고정율 245℃에서 실시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여 2축 연신필름을 만들었다(비교예 1).
또한, 상기 열고정 처리전에 다음의 조성의 도액을 필름 표면의 한쪽에 도포하였다.
필름 표면에 도포한 도액의 조성 :
아크릴산 알루미늄(아사다가가꾸(주) : P-3)
2 wt% 용액 ……12㎏
폴리에틸렌글리콜(닛뽕유시제 분자량 19,000)
2 wt% 용액 ……5㎏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나가세산교제 : NEROIO)
2 wt% 용액 ……2㎏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2 wt% 용액 ……1㎏
습윤 도포량은 약 2.2g/㎡이며, 고형분으로서 약 0.0126g/㎡이다.
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다른 표면(비도포면)에 전자빔 증착법(최소 입사각 50°의 경사 증착)으로 두께 100㎚의 Co-Ni 층(Co/Ni-75/25 중량비)를 증착하여 자기 기록용 주롤을 얻었다.
이 주롤을 사용하여 자기 기록 테이프를 만들었다. 이 테이프의 특성은 표 1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1의 것은 보자력, 드롭 아웃, 주행성 모두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것은 상기의 증착 박막을 부여 하였을 때에 필름의 컬이 현저하고, 양호한 성능을 갖는 테이프를 만들 수가 없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윤활제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건조시키고, 통상법에 따라 용융 압출하여, 캐스팅 드럼상에서 급냉하여 두께 120㎛의 미연신필름을 만들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120℃에서 길이 방향으로 4.5배, 가로방향으로 130℃에서 5.2배 축차 2축 연신을 하고, 또 245℃에서 30초간 열고정을 하여 6.4㎛의 두께의 2축 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기 기록 테이프를 얻었다. 이 테이프의 특성은 표 1에 표시하였다. 이것은 보자력은 높고 양호하였으나 컬이 현저하게 심하고, 가로방향의 영율이 낮으므로 주행성 및 주행내구성이 나쁜 것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미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 미연신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125℃에서 4.7배, 이어서 125℃에서 가로방향으로 6.8배(1단계째 1.36배로 하여 가로 방향 2단 연신) 연신하고, 또 200℃에서 30초간 열고정하여 6.4㎛의 2축 연신 필름을 만들었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자기 기록 테이프를 만들었다. 이 테이프의 특성은 표 1에 표시하였다. 이것은 보자력이 높고, 컬도 발생하지 않으며, 드롭 아웃, 주행성 모두 매우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3]
필름의 열고정온도를 17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2축 연신 필름을 만들고, 또 이 필름을 사용하여 자기기록 테이프를 만들었다. 이것은 올리고머 발생량이 많고, 이 때문에 자기 기록층이 평탄성을 소실하여 드롭 아웃이 많아 불량하였다. 이 테이프의 특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자력이 크고, 주행내구성이 우수하고, 컬이 없거나 극히 작고, 또한 석출 올리고머에 의한 표면 결정이 없고, 고밀도 고감도로 장시간 기록 가능한 자기 기록 테이프, 특히 VTR용 자기 기록 테이프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A) (a) 길이 방향의 영율이 적어도 650㎏/㎟이며, 가로 방향의 영율이 길이 방향의 영율과 같거나 그것 보다 크고, (b) 100℃에서 30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가로방향의 열수축열이 1.0~3.0%의 범위에 있고, (c) 표면 조도(粗度)(Ra)가 0.005㎛이하이고, 그리고, (d) 공기중, 160℃에서 5분간 처리하였을 때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0.01면적% 이하인 2축 배향 폴리에틸렌 -2,6-나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지지체와, (B) 상기 지지체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자성 금속 박막과, (C)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 면 상에 형성된 윤활제 함유 유기 고분자 박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윤활제의 입자의 상태가 0.1 내지 2.0㎛의 평균입자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금속 박막이 코발트, 철, 니켈, 또는 이것들의 합금, 또는 이것들과 크롬 또는 텅스텐과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기록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10㎛이하인 자기 기록 테이프.
KR1019920006992A 1991-04-25 1992-04-24 자기 기록 테이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224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21762 1991-04-25
JP3121762A JP2698229B2 (ja) 1991-04-25 1991-04-25 磁気記録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415A KR920020415A (ko) 1992-11-21
KR100224147B1 true KR100224147B1 (ko) 1999-10-15

Family

ID=1481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4147B1 (ko) 1991-04-25 1992-04-24 자기 기록 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10893B1 (ko)
JP (1) JP2698229B2 (ko)
KR (1) KR100224147B1 (ko)
DE (1) DE692139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080B2 (ja) * 1992-12-17 1999-12-13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5644T1 (de) * 1988-06-04 1991-10-17 Diafoil Co., Ltd., Tokio/Tokyo Polyesterfilm fuer magnetische aufzeichnungstraeger.
JP2528960B2 (ja) * 1989-02-01 1996-08-28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トフイルム
JPH07119099B2 (ja) * 1989-02-08 1995-12-20 帝人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用ベースフイ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10893B1 (en) 1996-09-25
JPH04325912A (ja) 1992-11-16
DE69213997D1 (de) 1996-10-31
DE69213997T2 (de) 1997-05-28
KR920020415A (ko) 1992-11-21
EP0510893A1 (en) 1992-10-28
JP2698229B2 (ja) 1998-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908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8404371B2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tape
EP1346815A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06257434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769507B1 (ko) 이축배향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기록매체
US6770351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306088B2 (ja) 高密度磁気記録媒体
JP2732997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100224147B1 (ko) 자기 기록 테이프
JP7303999B2 (ja) 積層ポリ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布型磁気記録テープ
US5431983A (en) Magnetic recording tape comprising a polyethylene-2,6-napthalate substrate, magnetic metal thin film, and a backcoat layer
EP0522507B1 (en) High-density magnetic recording medium
JP3547986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550250B2 (ja) ポリエチレンー2,6ー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US5677033A (en) Biaxially oriented, unidirectionally long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film
KR0175951B1 (ko)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JPH0680525B2 (ja) 磁気記録テ−プ
JP3752360B2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0336183A (ja)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6832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EP0940426A2 (en) Biaxially oriented, unidirectionally long polyethylene-2,6-naphthalenedicarboxylate film
JPS63112630A (ja)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436536B2 (ko)
JP200215418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7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7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