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2641B1 -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 Google Patents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641B1
KR100222641B1 KR1019970024940A KR19970024940A KR100222641B1 KR 100222641 B1 KR100222641 B1 KR 100222641B1 KR 1019970024940 A KR1019970024940 A KR 1019970024940A KR 19970024940 A KR19970024940 A KR 19970024940A KR 100222641 B1 KR100222641 B1 KR 100222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skin
water
pack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566A (ko
Inventor
정윤형
주용준
Original Assignee
임충헌
한국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헌, 한국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충헌
Priority to KR101997002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64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6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 10
Figure kpo00001
40중량
Figure kpo00002
, 피지 흡착 기능을 가진 파우더 0.5
Figure kpo00003
20중량
Figure kpo00004
를 혼합한 고점성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지방 분해 효소중에서 1종 이상을 0.01
Figure kpo00005
3중량

Description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회용 패치 타입으로 코와 그 주위, 턱 등에 부착시켜 피부 표면의 각전(角栓: 산화된 피지덩어리), 각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 다변화되어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활발해지고 남성들도 미용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기존의 화장품외에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한 제품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들은 어느 특정 부위에만 사용하거나 얼굴 전체에 사용하면서 원하는 특정한 효과를 얻는 경우 또는 제형에 있어서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경우 등으로 나타난다.
팩은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의 대표적인 품목으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고 제형이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팩은 타입에 따라 필오프 팩, 워시오프 팩, 티슈오프 팩 등으로 나뉘는데 필오프 팩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피막이 건조되면 떼어내는 형태를 말하며 보습, 피부 탄력 회복, 피지 및 노폐물 제거 등의 기능을 갖는다. 워시오프 타입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난 후 물로 씻어내는 형태이며 보습, 진정, 피로회복, 영양감 부여 등의 기능을 갖는다. 티슈오프 팩은 크림 타입의 팩제를 바른 후 일부 피부에 흡수시키고 난 나머지 팩제를 티슈로 닦아내는 형태이다. 부직포 타입의 팩은 일종의 티슈오프 타입으로 볼 수도 있으나 종류가 다양화되면서 독립적인 형태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얼굴 전면 내지는 눈, 입 주위에 영양 성분이나 주름 완화 기능을 가진 성분을 함유하거나 따로 도포하여 사용하는 제품들이 많이 등장했고 피지나 오래된 각질, 노폐물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부분 팩들도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기 시작했다. 피지제거 전용 팩도 최근 급속히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얼굴에서 피지 분비가 가장 많은 부분중의 하나가 코 부위로서, 분비되는 피지를 자연스럽게 조절해주지 않으면 원활한 피지 조절이 잘 안되어 거뭇거뭇한 피지덩어리가 생성되기 쉬워 외관상 좋지 않고 색조 화장에 방해가 될뿐더러 직접 손으로 짜는 경우도 많아 염증이나 뾰루지 등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콧등과 그 주변의 피지덩어리를 간편한 방법으로 제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팩이 시판되어 왔으나 실제로 오래된 피지덩어리(각전)가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제거되는 품질이 우수한 제품은 찾아보기 어려웠고 사용상 여러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1회용 패치 타입으로 코와 그 주위, 턱 등에 부착시켜 피부 표면의 각전, 각질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은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 10
Figure kpo00008
40중량
Figure kpo00009
, 피지 흡착 기능을 가진 파우더 0.5
Figure kpo00010
20중량
Figure kpo00011
를 혼합한 고점성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지방 분해 효소중에서 1종 이상을 0.01
Figure kpo00012
3중량
Figure kpo00013
첨가한 기제를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을 사용하기 전의 코의 정면 확대사진 및 측면 확대사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을 사용한 후의 코의 정면 확대사진 및 측면 확대사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 시트에 묻어난 피지를 나타내는 확대사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와 피지 흡착 기능을 가진 파우더를 혼합한 고점성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지방 분해 효소를 첨가한 기제를 부직포 등의 지지체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1회용 패치 타입으로 코와 그 주위, 턱 등에 부착시켜 표면의 산화된 피지덩어리(각전), 각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제조한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은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 10
Figure kpo00014
40중량
Figure kpo00015
, 수용성 다가 알콜, 피지 흡착 기능을 가진 파우더 0.5
Figure kpo00016
20중량
Figure kpo00017
를 혼합한 고점성 수용액에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지방 분해 효소중에서 1종 이상을 0.01
Figure kpo00018
3중량
Figure kpo00019
첨가한 기제를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피지 흡착 기능을 가진 파우더로는 실리카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셀룰로스 파우더 등이 바람직하다. 이 중 실리카 파우더는 다공성 입자로서 피지 흡착을 위해 사용되며 평균 입자 사이즈는 1-100㎛가 바람직하다.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및 지방 분해 효소(lipase)는 여러 시약회사에서 판매하는 미생물 증식에 의해 추출된 일반적인 등급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질분해 및 연화기능을 가진 알파하이드록시산과 단백질 및 지방 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강한 부착력과 상승작용을 하여 각전제거효과를 더해줄 수 있는 고기능성 1회용 패치 타입 부직포 팩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질 등을 보다 쉽게 분해하여 오래된 피지덩어리들이 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효소들은 일반 필오프 타입 기제에 첨가할 경우 기제의 개별 원료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활성이 크게 떨어져 사용이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부직포를 이용하는 1회용 패치 타입에서는 기제를 제조한 후 바로 도포, 건조에 들어가게 되므로 이러한 점이 문제되지 않는다. 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제조회사에 관계없이 비슷한 분해효과를 나타내었다. 각전제거를 위해 사용된 가수분해효소인 단백질 분해 효소와 지방 분해 효소는 피부표면의 노화각질, 쌓인 피지 등을 효소반응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시트팩이 피부 내부에 존재하는 각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단백질 분해 효소는 pH 6-10, 온도 50-60℃에서 활성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최적화시키며 지방 분해 효소는 pH4-8, 온도 40-50℃에서 최적화시킨다. 이러한 효소를 지지체에 도포하여 거노시켜 시트팩으로 조제할 때, 온풍건조를 시키며 열에 의한 효소 활성 저해도를 점검한 결과에 따르면 건조시 60℃이하에서 95-100
Figure kpo00020
의 활성도를 유지하고, 건조 후 시트팩에 함유된 효소의 시간경과에 따른 활성도의 변화를 점검한 경과 3개월 경과 후에 95-97
Figure kpo00021
이상, 6개월 경과 후에 93-95
Figure kpo00022
를 유지하여 시트팩 내에서 효소활성의 저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소의 활성도는 대조군을 100
Figure kpo00023
로 하여 표시되며, 특정조건에 크게 영향받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80
Figure kpo00024
이상 유지하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알파하이드록시산은 0.1
Figure kpo00025
10중량
Figure kpo00026
로 기제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에 도포나 건조, 유연성 등 기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습제, 수용성 실리콘, 젤라틴, 이산화티탄, 방부제 등의 기능성 원료들을 사용하였다.
상기한 보습제는 0.1
Figure kpo00027
15중량
Figure kpo00028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말토스, 갈락토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다. 또한, 수용성 실리콘, 젤라틴, 이산화티탄 등은 0.1
Figure kpo00029
10중량
Figure kpo00030
로 기제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수용성 실리콘은 시트의 부드러움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며 디메치콘과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을 공중합시킨 디메치콘 코폴리올이 바람직하다.
그 외, 피막 형성 화장료에는 방부제, 안료, 색소 또는 피지 조절, 모공수축효과를 나타내는 식물 추출물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지체는 박리필름과 부직포로 나눌 수 있는데, 박리필름은 일차적으로 피막 형성 화장료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건조한 후 사용할 때, 시트를 박리시키는 이면 필름이며, 부직포는 박리필름 위에 도포된 화장료에 덮어씌워져 화장료와 일체화됨으로써 피막 강도를 향상시키고 피부에서 제거시 손에 묻어나지 않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부직포 외에 직물, 기타 섬유도 가능하며 신축성이 있고 소수성인 재질이 바람직하다.
박리필름은 소재에 큰 제한은 없으나, 방전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소수성의 플라스틱 필름 중 염화폴리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이 많이 사용된다.
제조방법에 있어서, 물을 포함한 각 성분들은 균질하게 교반하여 점액상, 젤상, 페이스트 상의 피막 형성 화장료조성물을 얻는다. 각 원료들의 혼합 순서는 달라질 수도 있으나, 효소의 투입순서는 수분과의 반응을 통한 활성저해를 최대 방지하기 위해 최종순서로 투입하고 균질한 성상을 위해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40-50℃이하로 냉각한 후에 투입한다. 본 발명 팩제의 사용방법은 사용하고자 하는 부위에 먼저 물, 화장수 등 수분을 공급하고 시트팩을 해당 부위에 접착시킨 후, 피부에서 완전 건조되어 시트피막이 형성되면 떼어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Figure kpo00031
6]
Figure kpo00032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항목 1
Figure kpo00033
5) 및 적정량의 정제수를 표 1에 기재된 함량만큼 교반기로 교반한 후 교반된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와 젤라틴(항목 16)을 혼합하여 80
Figure kpo00034
90℃에서 가열·교반하였다. 교반된 혼합액을 30
Figure kpo00035
40℃로 냉각한 후 교반으로 인해 발생된 기포를 발포하였다.
상기 발포된 혼합액에 보습제(항목 8
Figure kpo00036
11), 수용성 실리콘(항목 15), 알파하이드록시산(항목 12), 실리카 파우더(항목 14), 이산화티탄(항목 13), 단백질 분해 효소(항목 6, 상품명: Bioprase, Nagase제품 Japan) 및 지방 분해 효소(항목 7, 상품명 Fongipase, NMP제품 USA) 용액을 혼합한 후 재탈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팩 기제용액을 폴리아세테이트 또는 셀로판 등의 비닐커버 위에 적정 두께로 도포한 후 수분이 적당히 증발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도포한 팩 위에 부직포를 접착시켜 본 발명의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을 완성하였다.
[시험예]
실시예1
Figure kpo00037
6에서 제조한 1회용 팩 시트에서 비닐커버를 떼어낸 후 팩 표면이 팽윤될 수 있도록 코와 그 주위에 물을 충분히 바른 후 팩을 피부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킨 다음 완전히 건조된 후 코에서 떼어내어 각전제거정도를 확인하였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을 사용하기 전의 코의 정면 확대사진 및 측면 확대사진이고,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을 사용한 후의 코의 정면 확대사진 및 측면 확대사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팩 시트에 묻어난 피지를 나타내는 확대사진이다.
본 발명의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을 코 부위에 피지 분비가 많거나 각전(피지덩어리)이 있는 45명에게 시험해 본 결과, 각전제거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 2와 같다.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표 2에 있어서, 각전갯수/cm2는 1cm2당 코의 끝부분과 옆부분의 각전 평균 갯수를 의미하며, 1cm2당 각전갯수에 따른 인원분포는 표 3과 같다.
Figure kpo00041
표 2에 있어서, 제거된 각전갯수/시트는 사용한 후 떼어낸 팩 시트에 묻어난 각전의 갯수를 의미하며, 시트당 제거된 각전갯수에 따른 인원분포는 표 4와 같다.
Figure kpo00042
또한, 표 3의 1cm2당 각전갯수에 따른 인원군(A군, B군, C군, D군, E군)의 시트당 제거된 각전갯수에 따른 인원분포를 나타내면 표 5와 같다.
Figure kpo00043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cm2당 각전갯수가 많을수록 시트당 제거된 각전갯수도 비례적으로 증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은 각전제거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각전이 많은 사람에게서 더욱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팩에 의하면, 지방 및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피부 표면의 불필요한 각전분해에 의한 피지제거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1회용 패치 타입으로서 간편하게 피부에 붙인 후 떼어냄으로써 강한 부착력에 의해 콧등과 그 주변의 피지덩어리(각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팩은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물이 뭍은 피부표면에 쉽게 점착되며 빠른 건조에 의해 사용이 간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팩을 사용하면 과도한 피지분비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 10-40중량
    Figure kpo00044
    , 수용성 다가알콜 0.1-15중량
    Figure kpo00045
    , 피지흡착기능을 갖는 실리카파우더 0.5-20중량
    Figure kpo00046
    , 수용성 실리콘, 물을 배합한 피막 형성 화장료를, 지지체로 사용되는 부직포에 도포하여 일체화시킨 후, 건조시켜 시트형으로 만드는 팩제에 있어서, 피막 형성 화장료에 단백질 분해 효소 및 지방 분해 효소 0.01-3중량
    Figure kpo00047
    을 직접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피막 형성 수지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롤리돈/아세테이트 공증합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중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타입 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다가 알콜은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타입 팩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실리콘은 0.1-10.0중량
    Figure kpo00048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치타입 팩제.
KR1019970024940A 1997-06-16 1997-06-16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Expired - Lifetime KR100222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40A KR100222641B1 (ko) 1997-06-16 1997-06-16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40A KR100222641B1 (ko) 1997-06-16 1997-06-16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66A KR19990001566A (ko) 1999-01-15
KR100222641B1 true KR100222641B1 (ko) 1999-10-01

Family

ID=1950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940A Expired - Lifetime KR100222641B1 (ko) 1997-06-16 1997-06-16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25B1 (ko) * 2000-12-07 2003-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지 제거 기능의 시트형 팩 조성물
KR101221472B1 (ko) * 2009-10-06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제거용 효소를 함유한 마스크팩
EP2831215B1 (en) 2012-03-29 2018-08-08 Novozymes A/S Use of enzymes for preparing water soluble fil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08A (ko) * 1998-06-17 2000-01-15 차동천 시트형 화장조성물
KR101580566B1 (ko) * 2014-04-21 2015-12-28 (주)코바스 필-오프 타입의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611A (ja) * 1985-05-23 1986-11-28 Kanebo Ltd 皮膜型パツク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611A (ja) * 1985-05-23 1986-11-28 Kanebo Ltd 皮膜型パツク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25B1 (ko) * 2000-12-07 2003-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지 제거 기능의 시트형 팩 조성물
KR101221472B1 (ko) * 2009-10-06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질 제거용 효소를 함유한 마스크팩
EP2831215B1 (en) 2012-03-29 2018-08-08 Novozymes A/S Use of enzymes for preparing water soluble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66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89059C (zh) 适于局部涂敷的预成型薄片器件
JPH09216809A (ja) シート状化粧料組成物
CA2092349A1 (en) Biopolymer composites
JP3710637B2 (ja) 皮膚のコンディションを示すクレンジング用パッチ
US6241998B1 (en) Dermatological patch
US20080241087A1 (en) Color-giving lip covering, color for lips, peelable cosmetics, and other cosmetics
JP2003334212A (ja) 美顔用発熱体
JP2009019000A (ja) 化粧用パックシート
KR100222641B1 (ko) 효소를 이용한 피부의 각전제거용 패치타입 팩제
JP2000143484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8255073A (ja) フィルム状パック化粧料
US5985299A (en) Pore cleaning product
JP2761936B2 (ja) パック剤
JPH0454107A (ja) シート状パック剤
JP2599130B2 (ja) シート状パツク材
JP3915935B2 (ja) シート状パック料
CN101938997A (zh) 具有亲水性粘合剂的贴片
JP2000119129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JPH0519528B2 (ko)
JP2000086441A (ja) シ―ト状パック料
JPH04368314A (ja) 貼付剤
CN113440425A (zh) 片型面膜凝胶组合物、包含其的面膜片及面膜片制备方法
WO2000033796A1 (en) Device,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cleansing
US20020051796A1 (en) Solution of a polymer of the polyacrylic and/or polyvinylic type associated with a filler and a keratolytic agent, and a cosmetic device for cleaning and care of the skin
JP3522503B2 (ja) シート状唇用パック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