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2352B1 -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352B1
KR100222352B1 KR1019970042407A KR19970042407A KR100222352B1 KR 100222352 B1 KR100222352 B1 KR 100222352B1 KR 1019970042407 A KR1019970042407 A KR 1019970042407A KR 19970042407 A KR19970042407 A KR 19970042407A KR 100222352 B1 KR100222352 B1 KR 10022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knee
steering column
present
front 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094A (ko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35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3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steering wheel, steering hand lever or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33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teering-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무릎이 앞으로 쏠리면서 접촉되는 스티어링 칼럼에 완충재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무릎을 보호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 부위에 압소바를 설치하여 놓음으로서 전방측면 충돌시 무릎에 대한 완충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가장 완충력이 우수한 재질인 P.P폼으로서 스티어링 칼럼을 감싸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를 칼럼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소외되기 쉬운 운전자 무릎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장치로서 응용될수 있고 간단한 압소바의 설치로서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무릎이 앞으로 쏠리면서 접촉되는 스티어링 칼럼에 완충재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함으로서 무릎을 보호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프레임 위에 설치되거나, 현가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적재 수용하는 부분이며, 프레임과 별도로 된 것과, 프레임과 일체로 된 것이 있으며, 이러한 차체는 프런트 바디와 언더 바디 및 사이드 바디 그리고 리어 바디로 구별된다.
상기 프런트 바디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실내의 충격력을 최대한 완화하기 위해 전후 방향의 적절한 강성 조절을 통하여 충격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언더 바디는 엔진 마운팅 트랜스미션 리어 휠 드라이버의 현가 장치 등의 구동장치가 직접 취부되는 것으로 요소가 보강된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사이드 바디는 차량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구조 부재로써 차량 전복 및 측면충돌시 차량의 변형을 억제하고 내구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각 필러의 벨트 라인 상부 단면은 시계를 넓게 하기 위해 가늘게 하는 경향이 있지만 차체의 벤딩 및 비틀림 강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상기 벨트 라인의 하단부는 상부와 비교하여 단면이 크고 강성이 급하게 변하는 부위도 많지만 도어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의 강성 저하를 고려하여 제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바디는 사고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으로 특히, 프론트바디는 사고시 엔진을 보호하고, 전방 충돌시 운저자와 조수석 탑승객의 안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그러나 전방 충돌시는 전진하고져 하는 관성때문에 다치는 정도가 가장 심하다.
그래서 머리와 가슴부위는 에어백으로서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고 무릎부분에 니볼스터라는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전방 충돌시 무릎부위가 저면 앞쪽으로 집중적으로 쏠리는 서브마린 현상에 대하여 그 부위에 완충재를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전방정면충돌에 관한 것이고 도 1 과같이 측면충돌을 하게 되면 도 2 와 같이 승객실 내부의 심한 변화로 인해 좌향모션으로 스티어링 칼럼부위에 강한 충격이 유발된다.
이러한 충돌이 빈번한 것을 독일의 AMS테스트시 55KPH 충돌시 거의 모든 차량의 엔진룸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운전자의 무릎에 충돌되었다.
그래서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이 많이 다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칼럼을 단순한 조항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운전자 무릎부상에 대한 아무런 안전조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가 가지는 제반 결점에 감안하여 스티어링 칼럼 부위에 압소바를 설치하여 놓음으로서 전방측면 충돌시 무릎에 대한 완충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가장 완충력이 우수한 재질인 P.P폼으로서 스티어링 칼럼을 감싸는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를 칼럼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방측면 충돌(OFF SET)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수석 무릎 보호장치의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수석 무릎 보호장치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칼럼 (2) : 홈부
(3) : 완충부재 (4) : 압소바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키 위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그 실시예인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관점인 전방측면 충돌상태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의 구조도인바,
스티어링 칼럼(1)을 감싸는 홈부(2)와 완충부재(3)를 일체로 형성한 압소바(4)를 스티어링 칼럼(1)의 후면 즉, 운전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한 구조로서 되어있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도 1 과 같은 전방측면 충돌이 발생하여 엔진룸이 뒤로 밀리면서 스티어링 칼럼이 운전자의 무릎에 충격이 가해져도 연질의 압소바(4)가 무릎에 1차 완충점으로서 심각한 무릎부상을 사전에 예방할수 있다.
본 발명은 측면충돌을 하게 되면 승객실 내부의 심한 변화가 좌향모션으로 스티어링 칼럼 부위에 강한 충격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하였다.
이러한 충돌이 빈번한 것을 독일의 AMS테스트시 55KPH 충돌시 거의 모든 차량의 엔진룸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운전자의 무릎에 충돌된다는 것을 상술한 바 있다.
그래서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무릎이 많이 다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칼럼을 단순한 조항기능을 유지하게 하고 운전자 무릎부상에 대한 아무런 안전조치가 없는데 본 발명은 소외되기 쉬운 운전자 무릎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장치로서 응용될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압소바의 설치로서 운전자의 무릎이 심하게 부상당하는 폐단을 예방함으로 차량 전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된 스티어링 칼럼(1)을 감싸는 홈부(2)와 완충부재(3)를 일체로 형성한 압소바(4)를 스티어링 칼럼(1)의 후면 즉, 운전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부위에 설치함으로서 전방측면 충돌이 발생하여 엔진룸이 뒤로 밀리면서 스티어링 칼럼이 운전자의 무릎에 충격이 가해져도 연질의 압소바(4)가 무릎에 1차 완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019970042407A 1997-08-29 1997-08-29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2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407A KR10022235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407A KR10022235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94A KR19990019094A (ko) 1999-03-15
KR100222352B1 true KR100222352B1 (ko) 1999-10-01

Family

ID=1951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4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2352B1 (ko) 1997-08-29 1997-08-29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3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094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208B1 (en) Occupant protection structure
US4946192A (en) Knee protector
JP3100296U (ja) 歩行者の安全保護のための変形制御が可能な車両のフロント部用構造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00222352B1 (ko) 자동차 전방측면 충돌시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JP3105348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JP2703310B2 (ja) 自動車のコラムカバー構造
JP3095474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KR100489254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를 위한 다단 충격흡수 구조
KR100581969B1 (ko) 운전자의 무릎 보호구조
KR19990020063A (ko) 자동차 전방 충돌시 조수석 무릎 보호장치
KR100336363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0143644B1 (ko)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브라켓
KR100537312B1 (ko) 자동차용 무릎 보호 장치
KR0143642B1 (ko) 자동차의 상부대쉬판넬과 측부카울판넬의 연결부위 보강브라켓
KR19980029309U (ko) 차량의 조수석 무릎충돌부 완충구조
KR960005104Y1 (ko) 자동차 임팩트비임의 충격완화용 탄성부재
KR0131767Y1 (ko) 자동차의 무릎보호를 위한 완충장치
KR100792569B1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20030096501A (ko) 자동차용 필러 트림의 충격 흡수구조
KR19980012125U (ko) 완충부재가 장착된 차량의 니 볼스터
KR20010059834A (ko)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충격흡수장치
KR19980055045U (ko) 전방시트의 후방장착용 브래킷
KR19980011314U (ko) 에어백 모듈과 타이바의 취부구조
KR19990035696A (ko) 자동차의 무릎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