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2016B1 -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 Google Patents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016B1
KR100222016B1 KR1019970037893A KR19970037893A KR100222016B1 KR 100222016 B1 KR100222016 B1 KR 100222016B1 KR 1019970037893 A KR1019970037893 A KR 1019970037893A KR 19970037893 A KR19970037893 A KR 19970037893A KR 100222016 B1 KR100222016 B1 KR 10022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molten metal
heating tub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663A (ko
Inventor
남창현
Original Assignee
남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현 filed Critical 남창현
Priority to KR101997003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0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탕유동관의 온도유지용 히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용탕유동관의 외주면을 용융점이상으로 가열시키기위해 많은 수의 히터를 설치해야 했고, 히팅실의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용탕유동관(4)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도록 한 가열관(1)과, 히터코일(3), 상기한 히터코일(3)을 감싸면서 가열관(1)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유격조절구(2), 연결브라켓(6)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내열관(5), 상기 내열관(5)에 장착되는 콘센트(12)와 플러그(7) 및, 상기 히터코일(3)과 유격조절구(2)를 갖춘 가열관(1)의 외주를 감싸는 단열재(15)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관내로 용탕유동관이 지나도록 설치하여 상기한 용탕유동관 전체가 용융점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사용으로 가열관의 열손실을 줄이며, 유격조절구와 가열관의 접촉면적으로 크게 하여 열전달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열관이 유연성을 갖추게 하여 외부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본 발명은 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탕유동관과 같이 용탕이 이동되는 파이프의 외부온도를 소정온도로 유지시켜서 용탕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함은 물론 내열성을 증대시킨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알루미늄 주조공장에서는 용광로나 도가니등에 잉고트 지금을 용융시켜 서 용탕을 만든 다음 상기 용탕을 주형내에 장입시키기 위해 용탕유동관으로 흘려보내준다.
이때 용탕유동관내를 흐르는 고온의 용탕이 소정온도이하가 되면 용탕이 기포를 함유하게 되어 주물이 상기한 기포들로 인해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포를 용탕에서 제거해주고, 또한 냉각이 진행되는 용탕이 관벽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탕유동관의 외주에는 보통 가열히터를 채용하여 상기 용탕유동관둘레를 일정온도이상으로 가열시켜주게 된다.
그 일례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탕유동관(4)의 외주에 박스형상의 히팅실(30)을 별도로 구비하고, 상기한 히팅실(30)의 벽면에 다수의 가열히터(32)를 적용하여 용탕유동관(4)의 온도를 소정온도이상이 되도록 유지시켜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열히터(32)는 용탕유동관(4)의 외주면을 용융점이상으로 가열시키기위해 많은 수의 히터를 설치해야 했고, 히팅실(30)의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탕유동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여 용탕유동관의 온도분포를 용융점이상의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부분들이 열에 강한 내열성을 갖추도록 한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탕유동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는 주철재 가열관과, 상기 가열관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히터코일과, 상기한 히터코일을 감싸면서 가열관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열을 전달시키는 다수의 유격조절구와, 상기 가열관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전원연결용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의 외측면에 마그네시아 파우더로 소결성형시킨 내열관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지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전원공급용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삽입부를 갖는 플러그 및, 가열관의 외주를 감싸는 단열재로 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열관내로 용탕유동관이 지나도록 설치하여 상기한 용탕유동관 전체가 용융점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사용으로 가열관의 열손실을 줄이며, 유격조절구와 가열관의 접촉면적으로 크게 하여 열전달효율을 높이고, 내열관이 유연성을 갖추게 하여 외부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열히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의 콘센트와 플럭그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관, 2 : 유격조절구,
3 : 히터코일, 4 : 용탕유동관,
5 : 내열관, 6 : 연결브라켓,
7 : 플러그, 8 : 삽입부,
9 : 단자돌기, 10 : 단자홈,
12 : 콘센트, 13 : 조임구,
14 : 접촉부, 15 : 단열재,
20 : 요철부, 22 : 돌출부,
24 : 홈부, 26 : 내열전선.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용탕유동관(4)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도록 한 원통형의 주철재 가열관(1), 상기 가열관(1)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히터코일(3), 상기한 히터코일(3)을 감싸면서 가열관(1)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열을 전달시키도록 한 장구형상의 유격조절구(2), 상기 가열관(1)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연결브라켓(6), 상기 연결브라켓(6)의 외측면에 마그네시아 파우더로 소결성형시킨 내열관(5), 상기 내열관(5)에 장착되어지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콘센트(12), 상기 콘센트(12)에 삽입되어 히터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삽입부(8)를 갖춘 플러그(7) 및, 상기 히터코일(3)과 유격조절구(2)를 갖춘 가열관(1)의 외주를 감싸도록 한 단열재(15)로 구성된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이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일부절개한 전체 구성도면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금속으로 단열코팅된 가요성 호스형태의 내열전선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통형의 주철재로 된 가열관(1)을 형성하여 용탕유동관(4)의 외주면을 감싸게 하고, 상기 가열관(1)의 외주에 나선형으로 히터코일(3)을 권취시키되, 상기한 히터코일(3)은 가열관(1)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열을 전달시키는 다수의 유격조절구(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한 유격조절구(2)와 히터코일(3)이 권취된 가열관(1)의 외주면에는 열의 방사를 막아주어 단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세라믹 울(wool)로 된 단열재(15)가 부착되고, 가열관(1)의 외측면에는 연결브라켓(6)을 매개로 하여 마그네시아 파우더로 소결성형시켜 유연성을 갖춘 내열관(5)이 장착된다.
상기한 내열관(5)은 마그네시아 파우더로 소결시킨 재질이므로, 절연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면서 또한 유연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하좌우 여러 방향으로 구부러짐이 가능하고, 가열관(1)이 용탕유동관(4)을 지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구부러지긴 하되 파손되지는 않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는 용탕유동관내를 지나는 용탕내의 기포를 제거시키고, 용탕의 융점온도 이상으로 용탕유동관내의 온도를 상승유지시켜주도록 하여 용탕의 냉각도 방지하기 위해 용탕유동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상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가열관(1)의 외주면에 세로로 요철부(20)를 형성하여 유격조절구(2)의 외소한 중간부분이 요철부(20)의 돌출부(22)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유격조절구(2)의 양측 플랜지를 요철부(20)의 홈부(24)에 끼워서 가열관(1)과 유격조절구(2)의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한다.
또한, 예시도면 도 4와 같이, 내열관(5)에는 콘센트(12)가 장착되되, 상기 콘센트(12)는 내열 및 방열을 위한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세라믹 내화재로 된 접촉부(14)가 단자돌기(9)를 감싸도록 형성된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구조의 콘센트(12)에는 단자홈(10)이 형성되어 콘센트(12)의 단자돌기(9)가 삽착되어 히터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삽입부(8)를 갖춘 플러그(7)가 연결되어지는데 그 결합은 콘센트(12)의 접촉부(14)와 플러그(7)의 삽입부(8)가 접하는 상태에서 플러그(7)상의 조임구(13)를 돌려주어 콘센트(12)에 결합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용탕유동관에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히터를 필요에 맞는 개소로 설치하거나 또는 가열관(1)을 더욱 길게 형성하여 설치해주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탕유동관(4)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도록 한 가열관(1)과, 히터코일(3), 상기한 히터코일(3)을 감싸면서 가열관(1)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유격조절구(2), 연결브라켓(6)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내열관(5), 상기 내열관(5)에 장착되는 콘센트(12)와 플러그(7) 및, 상기 히터코일(3)과 유격조절구(2)를 갖춘 가열관(1)의 외주를 감싸는 단열재(15)로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관내로 용탕유동관이 지나도록 설치하여 상기한 용탕유동관 전체가 용융점이상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사용으로 가열관의 열손실을 줄이며, 유격조절구와 가열관의 접촉면적으로 크게 하여 열전달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내열관이 유연성을 갖추게 하여 외부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히터몸체부와 전원연결용 콘센트 및 내열전선(26)으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몸체부는 용탕유동관(4)이 중심을 지나도록 중공을 갖춘 주철재 가열관(1)과, 상기 가열관(1)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히터코일(3)과, 상기한 히터코일(3)을 감싸면서 가열관(1)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 열을 전달시키도록 한 장구형상의 유격조절구(2)와, 외피의 단열재(15)로 마감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용 연결콘센트(12)는 연결브라켓(6)과 상기 연결브라켓(6)의 외측면에 마그네시아 파우더로 소결성형시킨 내열관(5)과, 세라믹 내화재질의 접촉부(14)를 갖추고 방열을 위한 원통형상으로 장착되어지는 콘센트(12)와, 상기 콘센트(12)에 삽입되어 히터코일(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세라믹 내화재질의 삽입부(8)를 갖춘 플러그(7)로 이루어지며, 내열전선(26)은 금속으로 피복된 가요성 전선으로 이루어진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관(1)의 외주면에는 유격조절구(2)의 중간부분이 요철부(20)의 돌출부(22)에 밀착되도록 세로로 요철부(20)가 형성되어서, 상기 유격조절구(2)의 양측 플랜지가 요철부(20)의 홈부(24)에 끼워져 가열관(1)과 유격조절구(2)가 요철결합방식으로 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KR1019970037893A 1997-08-08 1997-08-08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KR10022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93A KR100222016B1 (ko) 1997-08-08 1997-08-08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7893A KR100222016B1 (ko) 1997-08-08 1997-08-08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63A KR19990015663A (ko) 1999-03-05
KR100222016B1 true KR100222016B1 (ko) 1999-10-01

Family

ID=1951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893A KR100222016B1 (ko) 1997-08-08 1997-08-08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09B1 (ko) * 2012-08-10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제트렌스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09B1 (ko) * 2012-08-10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제트렌스 보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63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29B1 (ko) 용융 구리 주조용 라운더
US4207060A (en) Vessel for metal smelting furnace
US5955120A (en) He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injection molds for the processing of thermoplastic materials
CA2546085C (en) Heated trough for molten metal
WO2010073736A1 (ja) 連続鋳造方法及びノズル加熱装置
KR100458936B1 (ko) 저온 도가니에서 유리를 용융하기 위한 유도로
KR100342274B1 (ko) 용광로용냉각판
US3502847A (en) Apparatus for heating the heads of ingot moulds or the gates of casting moulds
US5892790A (en) Cold crucible induction furnace
KR100222016B1 (ko) 용탕유동관의 가열히터
KR100327644B1 (ko) 고로의 송풍트와이어
JP4660343B2 (ja) 溶融金属の注入用ノズルの加熱装置
JPH05286018A (ja) 押出機シリンダ加熱装置
US4719961A (en) Vertical or bow-type continuous casting machine for steel
US4610015A (en) Electrode assembly for arc furnaces
JPS61116282A (ja) 直流電流を用いる冶金用電気炉の炉壁電極
JPS6150707B2 (ko)
KR20000048581A (ko) 용융액 배출 방법, 배출 장치 및 개폐 장치
JP2007253230A (ja) ダイカストマシン用高周波誘導加熱装置
KR20020016820A (ko) 전기 아크로 및/또는 저항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장치
US1271093A (en) Electric-furnace contact.
JP4129914B2 (ja) 融解金属の直接及び連続出湯に適した金属類の溶解炉
JP3150653B2 (ja) 灰溶融炉出滓樋の冷却構造
JP3941276B2 (ja) 真空誘導加熱炉
GB2069672A (en) Furnace tap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