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21803B1 -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 Google Patents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803B1
KR100221803B1 KR1019960055446A KR19960055446A KR100221803B1 KR 100221803 B1 KR100221803 B1 KR 100221803B1 KR 1019960055446 A KR1019960055446 A KR 1019960055446A KR 19960055446 A KR19960055446 A KR 19960055446A KR 100221803 B1 KR100221803 B1 KR 10022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ggregate
magnesia
dolomite
composition rat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817A (ko
Inventor
손동환
Original Assignee
신승근
포철로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근, 포철로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승근
Priority to KR101996005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80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8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03Inorganic additives
    • C04B35/6316Binders based on 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에 관한 것으로, 노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양생기간을 단축하며, 내식성이 향상된 스프레이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 및 카본류를 합한 총 100wt%에 대하여, 실리카류의 무기질결합제 2-8wt%와;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슘의 금속 및 이의 합금 1종 이상으로 된 산화방지제 1-5wt%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시아 골재 및 돌로마이트 골재의 함량에 대하여 카본류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7 : 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5 : 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재료내의 피치와 수지가 유동화한 후, 탄화하여 강한 카본 본드조직을 생성함으로써, 노의 수명연장과 원단위 절감에 기여하는 동시에 양생시간을 단축하고, 접착성과 카본의 산화를 방지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제
본 발명은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로 등 용융금속용기의 열간보수에 사용하는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로 등의 용융금속용기는 수명연장을 목적으로 노벽에 스프레이 보수를 실시하게 된다. 또한 용기의 가동률 향상을 위하여, 스프레이 보수는 열간에서 실시되고 있다.
초기에, 스프레이 보수에는 실리카계 무기결합제가 사용되었으나, 노의 조업조건의 가혹화, 즉 고온취련에 의해 내용성이 심하게 저하되어, 보수빈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돌로마이트(MgO, CaO)인산계 스프레이재가 사용되어 노체의 수명연장과 원단위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특수강제조를 위한 탈인, 마그네시아-카본계 연와와의 접착성 및 내용성에 착안한 무인산카본계 스프레이재가 병행 사용되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카본계 스프레이재로서 일본특허 소55-4221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제로서 페놀수지, 푸란수지 등의 수지를 사용한 스프레이재가 제안되었으며, 일본 특허 소59-8672호 공보에는 피치(Pitch)를 결합제로 한 스프레이재가 제안되었고, 일본특허 평4-280877호에는 수지 및 피치에 결합제를 첨가한 스프레이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재는 스프레이 후, 노열에 의해 결합제가 탄화하는 것에 의해 내식성 및 접착강도에서 우수한 카본 본드(Carbon Bond)를 생성하여 특히, 열간보수용으로서 적당하였다.
그러나, 카본 본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지나 피치은 시공시 수분과 섞이기 어렵고, 연소하여 부착하는 양생시간이 필요하며, 물과 공기 등에 의해 산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로 등의 고온취련과 같이 최근의 노 조업조건이 가혹화됨에 따라 빠른 양생시간으로 강고한 접착이 요구되며, 내용성을 더욱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스프레이재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노의 수명연장과 원단위 절감에 기여하는 동시에, 양생시간을 단축하고, 접착성이 카본의 산화를 방지하여 내식성을 높이게되는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는,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를 원료로 하고, 카본류를 부원료로 하되, 원료와 부원료를 합한 총 100wt%에 대하여, 실리카류의 무기질결합제 2-8wt%와;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시아의 금속 및 이의 합금 중 1종 이상으로 된 산화방지제 1-5wt%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마그네시아와 돌로마이트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5 : 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 및 카본류로 이루어진 원. 부원료 중, 원료(마그네시아+돌로마이트) 대 부원료(카본류)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7 : 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원료인 카본류는 피치와 노보락페놀수지로 구성되며, 그 비율이 5 : 5 내지 9 : 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를 원료로 하고, 카본류를 부원료로 하되, 원료와 부원료를 합한 총 100wt%에 대하여, 실리카류의 무기질 결합제 2-8wt%와;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슘의 금속 및 이의 합금 중 1종 이상으로 된 산화방지제 1-5wt%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마그네시아골재 및 돌로마이트 골재의 구성비율은 9 : 1 내지 5 : 5로 이루어지고,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 및 카본류로 이루어진 원.부원료 중, 원료(마그네시아+돌로마이트) 대 부원료(카본류)의 구성비율은 9 : 1 내지 7 : 3으로 이루어진다.
또, 부원료인 카본류는 피치와 노보락페놀수지로 구성되며, 그 비율이 5 : % 내지 9 : 1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카본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첨가되는 산화방지제인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슘 등의 금속 및 이의 합금은 카본계 스프레이재에서 반드시 첨가하여야 하는 첨가제로, 그 함량은 원.부원료 100wt%가 가장 적당하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별 함량에 대한 수치한정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의 구성비율을 9 : 1 내지 5 : %로 한정하는 이유는, 마그네시아 골재를 단독 사용할 경우에 내식성은 양호하나 접착불량 및 사용중 탈락 등 내용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돌로마이트 골재의 단독 사용은 접착성은 양호하나 골재의 수화 및 사용중 된 용손 등 내용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를 공용하되, 그 적정비율이 9 : 1 내지 5 : 5이어야 각 골재의 효과가 유효하게 된다.
또, 원료(마그네시아+돌로마이트) 대 부원료(카본류)의 구성비율을 9 : 1 내지 7 : 3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부원료인 카본류의 함량이 10wt%이하일 경우에는 잔탄량의 부족으로 슬래그가 과다 침입하여 내용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카본류의 함량이 30wt%이상이 될 경우에는 부피증가에 따른 기공율 상승으로 내용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부원료인 카본류의 구성에 있어서, 피치와 노보락페놀수지의 함량비율을 5 : 5 내지 9 : 1로 한정하는 것은, 노보락페놀수지 대비 피치의 함량이 90wt%이상일 경우, 시공후 양생시간이 길어 조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산화가 심하여 기공율을 증가시켜 내용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노보락페놀수지 대비 피치의 함량이 50wt%이하가 되면, 잔탄량 저하 및 가격상승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카류 무기질결합제의 함량을 2-8wt%로 한정하는 이유는, 2wt%이하가 되면, 결합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기 되며, 8wt%이상이 될 경우에는, 저융점물질의 과당 생성으로 내용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화방지제의 첨가량을 원·부원료 100wt%에 대해 1~5wt%로 제한하는 것은, 1wt%이하일 경우, 산화방지제의 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5wt%이상일 경우에는 플럭스(Flux)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분석 및 시험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마그네시아-카본계 벽돌을 쌓은 노의 벽면 온도를 1200℃로 가열한 다음, 건식 건(Gun)을 사용, 스프레이를 실시하여 스프레이재의 부착율을 측정하였다. 양생시간은 수분 15%를 첨가한 시료 500g을 채취하여 1000℃ 노에 투입, 연소시켜 부착되는 양생기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동 시료에 대해 시편(시편길이 35mm)을 만들어 150℃에서의 물성 및 내식성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은 원료를 마그네시아 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이고, 비교예 2는 카본류중 피치만을 사용한 경우이며, 비교예 3은 무기결합제 중 인산결합제를 첨가한 경우이고, 비교예 4는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로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율 및 양생시간과 물성, 내식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압축강도 및 곡강도가 크고, 기공율이 작으며, 양생시간이 실시예와 동일한 반면에, 본 발명의 요지인 부착율이 떨어지고, 부피비중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부착율은 실시예와 비슷한 반면에, 양생시간이 길고, 기공율이 크며, 압축강도 및 곡강도가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및 4의 경우에는 부착율 및 양생시간은 실시예와 동일하나 압축강도 및 곡강도가 실시예에 비해 훨씬 낮으며, 내식성이 저하되는 취약함이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부착율이 크며, 양생시간이 작고, 적정한 기공율 및 압축강도를 나타내며, 내식성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는, 탄화하여 강한 카본 본드조직을 생성함으로써, 노의 수명연장과 원단위 절감에 기여하는 동시에, 양생시간을 단축하고, 접착성과 카본의 산화를 방지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 및 카본류를 합한 총 100wt%에 대하여, 실리카류의 무기질결합제 2-8wt%와;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슘의 금속 및 이의 합금중 1종 이상으로 된 산화방지제 1-5wt%가 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네시아 골재 및 돌로마이트 골재의 함량에 대하여 카본류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7 : 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네시아 골재와 돌로마이트 골재의 구성비율이 9 : 1 내지 5 :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류는 피치와 노보락페놀수지로 구성되되, 그 구성 비율이 5 : 5 내지 9 : 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KR1019960055446A 1996-11-19 1996-11-19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Expired - Lifetime KR100221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446A KR100221803B1 (ko) 1996-11-19 1996-11-19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446A KR100221803B1 (ko) 1996-11-19 1996-11-19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17A KR19980036817A (ko) 1998-08-05
KR100221803B1 true KR100221803B1 (ko) 1999-09-15

Family

ID=1948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446A Expired - Lifetime KR100221803B1 (ko) 1996-11-19 1996-11-19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360B1 (ko) * 2002-11-08 2005-07-04 주식회사 원진 로벽 보수용 포스테라이트계 스프레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17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3893B (zh) 一种转炉大面热态修补料
CN100339170C (zh) 耐侵蚀连铸中间包干式工作衬料
CN105367092A (zh) 一种防粘渣喷涂料
JPH0352428B2 (ko)
KR100221803B1 (ko) 제강용기용 카본계 스프레이재
CN1238137C (zh) 防止炼钢容器粘渣的氧化钙涂料
CN105060911B (zh) 一种转炉补炉料及其制造和使用方法
US5731249A (en) Spray-on refractory composition
CN112552059A (zh) 一种钢包渣线修补料
JPH0648846A (ja) レススラグ操業転炉用熱間補修吹付材
JPS5834423B2 (ja) 塩基性耐火組成物
KR100259979B1 (ko) 정련로 보수용 스프레이재
KR100689154B1 (ko) 내식성 및 내산화성이 우수한 마그네시아-카본질내화벽돌용 내화조성물
JP4163783B2 (ja) アルミナ−炭化珪素質耐火物
CN113860890B (zh) 一种精炼炉用CaC2-C耐火材料及制备工艺
CN103820598A (zh) 一种硼泥用于溅渣护炉的调渣及护炉方法
KR100293201B1 (ko) 카본함유 염기성 내화벽돌 산화방지용 내화조성물
CN1070827C (zh) 一种用于电炉炼钢吹氧管外壁的高温陶瓷压涂涂料
CN108101562A (zh) 一种高锰钢冶炼用钢包浇注料及其制备方法
JPS63248765A (ja) MgO−CaO−Cれんが
JPS5934674B2 (ja) 塩基性耐火組成物
JP2004010458A (ja) 転炉用等の吹付け材
JPH10212169A (ja) 吹付け用不定形耐火物
JPS62148378A (ja) 流し込み耐火物
KR20200053932A (ko) 고부착성 열간보수용 마그네시아-돌로마-카본계 스프레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0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