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173B1 -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0173B1 KR100220173B1 KR1019970034088A KR19970034088A KR100220173B1 KR 100220173 B1 KR100220173 B1 KR 100220173B1 KR 1019970034088 A KR1019970034088 A KR 1019970034088A KR 19970034088 A KR19970034088 A KR 19970034088A KR 100220173 B1 KR100220173 B1 KR 100220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ack
- reinforcing bar
- inner diameter
- structure according
- connect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단축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구조를 제공할 목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양 선단부를 단부 유효직경이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연결부를 각각 성형하고, 일측 철근의 연결부 테이퍼 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잭과, 내경부 후측부분이 사이 철근과 연결되는 다른 철근의 연결부의 테이퍼면을 가압하면서 내경부 전측부분이 상기 잭과 나사 체결되는 커플러에 의하여 2개의 철근이 연결되도록 한 철근 연결구조를 제공한다.To provide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and the connection work is very easy to reduce air shortening and cost; Each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tapered to form a tapered shape so that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end consists of a large diameter part, and jacks capable of pressing the connection taper surface of one bar as a whole, and the rear part of the inner diameter part connects with the reinforcing bar It provides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two reinforcing bar is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front side portion by the coupler screwed to the jack while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other reinforcing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토목 현장에서 시공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단축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s forming the skeleton of the construction in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work is very easy to reduce the air shortening and cost It relates to the connection structure.
예컨대, 건설 및 토목 현장에서는 철근을 이용하여 기본 골격을 세운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과정으로 시공물을 건축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 after constructing the basic skeleton by using reinforcing ba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is built by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그리고 상기 철근은 제조업체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시공물의 크기에 따라 철근을 절단하거나 상호 연결하여 요구하는 길이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에 관계한다.And since the reinforcing bar is cut and supplied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manufacturer, the reinforcing bar is cut or interconn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to make the required leng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는데, 그 대표적인 연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at is, a variety of methods are known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먼저,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맞대어 놓고 가스불을 이용하여 그 연결부위를 용융온도까지 가열하여 융착시키는 가스 압접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특수장비가 필요치 않고 현장에서 위치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대구경 철근의 경우 1급이상의 기능사 자격 보유자가 필요하고, 용융온도까지 가열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연결부위가 취약해지고, 초음파, X 레이등 비파괴검사에 의하여 연결부위의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First of all, there is a gas welding method in which a steel bar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gas fire is used to heat the connection part to a melting temperature for fusion. This method requires no special equipment and can be constructed regardless of location. However, in case of large diameter reinforcing bars, a qualified technician of level 1 or higher is required, and heating up to the melting temperature requires a lot of time, weakening the connection area, and inspecting the connection area by non-destructive inspection such as ultrasound and X-ray.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done.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연결부위에 파이프 형상의 슬리이브를 끼워 놓고 이의 슬리이브를 가압하여 철근에 압착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철근에 별도의 가공공정이 필요치 않고 비숙련공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철근 마디 형상에 따라 품질이 변화하고,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불가능하며, 작업시 특수장비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inserting a pipe-shaped sleeve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pressed and pressing the sleeve to compress the steel reinforcing bar. Although there is an advantage, the quality var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bar bar, it is impossible to work in a narrow space, and has a problem that requires special equipment when working.
또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겹쳐 놓고 슬리이브를 끼운 후에 철근과 철근사이에 쐐기를 박아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특수 장비가 요구되고, 연결부위의 단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 단면적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overlapping reinforcing bars and inserting sleeves, and then connecting wedges between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This method requires special equipment and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crete due to the lar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necting part. Has a problem.
그리고 상기 방법 이외에 연결하고자 하는 부위에 슬리이브를 끼워놓고 철근과 슬리이브 사이에 화학약품(레진)을 투입하는 화학약품에 의한 방법과, 철근 선단에 테이퍼 나사를 가공하여 원통형의 연결부재를 체결하는 방법등 여러 가지 방법과, 철근 양 선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내경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이브의 체결하는 방법등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And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by inserting a sleeve in the area to be connected to the chemicals (resin) between the reinforcement and the sleeve by the chemical method, and taper screw on the end of the rebar to fasten the cylindrical connecting member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and a method of forming a threaded portion at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and fastening a sleeve having a female thread in the inner diameter are known.
그러나 이들 방법은 공통적으로 연결부위의 기계적 강도가 기준치에 못미치는등 연결부위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연결작업이 어려우며, 비용이 크게 상승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se methods have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is degraded, the connection work is difficult, and the cost is greatly increased, such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is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또한, 철근에 나사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업셋팅(Up Setting)에 의하여 얻어진 섬유상 조직을 외주 가공 및 나사가공에 의하여 파괴시키므로 그 부위에 노치(Notch)부를 발생시켜 취약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forming the threaded portion in the reinforcing bar, it is very difficult to form the threaded portion, and the notched portion is generated at the site because the fibrous structure obtained by the upsetting is broken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processing and the threading process. It has the problem of making it vulner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예의 연구한 결과,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단축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철근 연결구조를 제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a result, it has been proposed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work is very easy to reduce the air shortening and cost.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 연결되는 철근의 양 선단부를 단부 유효직경이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연결부를 성형하고, 일측 철근의 연결부 테이퍼 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잭과, 내경부 후측부분이 상기 철근과 연결되는 다른 철근의 연결부의 테이퍼면을 가압하면서 내경부 전측부분이 상기 잭과 나사 체결되는 커플러에 의하여 2개의 철근이 연결되도록 한 철근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nnecting portion in a tapered shape so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are formed to have a large diameter portion at the end, and a jack capable of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tapered surface of one rebar as a whole, and the inner diameter rear sid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reinforcing bar connection structure such that two bars are connected by a coupler in which an inner diameter front part is screwed with the jack while the part presses the tapered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of another reinforcing bar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조립 단면도.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3a, 도3b, 도3c, 도3d, 철근의 단부에 연결부의 성형예를 보인 도면.3A, 3B, 3C, 3D and Fig. 3 show examples of forming the connecting portion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도4는 철근 단부의 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end;
도5a, 도5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의 제2실시예도.5A and 5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a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의 제3실시예도.Figure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의 제4실시예도.Figure 7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a, 도8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의 제5실시예도.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fth embodiment of a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a, 도9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의 제6실시예도.9A and 9B show a sixth embodiment of a ja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조립 단면도.10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슬리이브 잭의 제2실시예도.Figure 11 is a second embodiment of a sleeve jack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슬리이브 잭의 제3실시예도.Figure 12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sleeve jack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길이 조절수단의 분해 사시도.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a, 도14b, 도14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단면도이다.14A, 14B and 14C are sectional views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철근(2)(4)의 양 선단부를 테이퍼 형의 연결부(6)(8)로 성형하고, 이의 연결부(6)(8)를 맞댄 상태에서 잭(10)과 커플러(12)를 이용하여 연결하였다.1 and 2 show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bar (2) (4)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apered connection (6) (8), It was connected by using the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는 도3a, 도3b, 도3c, 도3d에서와 같이, 상하로 이형되는 상형(14)과 하형(16)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철근(2)(4)을 물리고, 그 선단부를 성형핀(18)으로 타격하여 선단면의 유효직경이 대직경부로 이루어지는 테이퍼 형의 연결부(6)(8)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form the connecting portion, as shown in Figs. 3A, 3B, 3C, and 3D, the
그러면 상기와 같이 연결부(6)(8)를 형성한다는 것을 결국 소성가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소정가공에 의하여 연결부(6)(8)는 도4에서와 같이 섬유상 조직(S)이 손상되지 않고, 조직이 미세하고 균일하게 되며, 수축공이나 기공을 압축시켜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forming 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의 잭(10)은 원통형 부재로서, 그 내경부는 연결부(6)(8)의 테이퍼 면과 대응되는 테이퍼 면(20)을 보유하게 되며, 그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숫나사부(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잭(10)의 삽입시에는 연결부(6)의 외주 테이퍼 면이 잭(10)의 테이퍼 면(20)과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커플러(12)는 원통형 부재로서, 내경부 후측에는 철근(8)의 연결부(8) 테이퍼 면과 대응되는 테이퍼 면(24)이 형성되고, 이 테이퍼 면(24)의 전측부에는 상기 잭(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숫나사부(22)와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부(26)가 형성된다.The
이에 따라 철근(2)(4)을 연결하기 위하여는 먼저 철근(2)(4)의 선단부에 연결부(6)(8)를 성형하고, 하나의 철근(2)에는 잭(10)을 삽입시키고, 이에 연결되는 철근(4)에는 커플러(12)를 삽입시킨 후에 잭(10)과 커플러(12)를 상호 체결하면 도2와 같은 상태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connect the
이와 같이 철근(2)(4)을 상호 연결하게 되면, 불이 사용되지 않는 바, 열에 의한 연결부의 취약해질 염려가 없으며, 비 숙련공이라도 간단히 철근을 연결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 또한 종래 방법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다.When the reinforcing bars (2) and (4) are interconnected in this way, the fire is not used, there is no fear of weakening of the connection by the heat, even non-skilled workers can simply connect the rebar, mechanical strength is also great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s improved.
또한, 상기의 요인으로 인하여 공기 단축으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y shortening the air due to the above factors.
그리고 상기의 연결부(6)(8) 성형과정에서는 철근(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길이방향의 리브(28)와 원주방향의 리브(30)는 완전 압착되는 것은 아니며, 다소 압축되더라도 도1, 도2, 도3a, 도3b, 도3c, 도3d에서와 같이 테이퍼 면 보다는 돌출 형태를 취하게 된다.In the forming process of the connecting
이에 따라 잭(10)에 있어서의 테이퍼 면(20)은 도1, 도2, 도3a, 도3b, 도3c, 도3d에서와 같이 테이퍼 면(20)을 단순히 원형의 상태로 형성하여도 좋으나, 도5a, 도5b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리브(28)가 삽입될 수 있는 리브홈(32)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즉, 도5a, 도5b는 리브홈(32)을 180도 간격으로 2개를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며, 도6은 90도 간격으로 4개를 형성한 예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잭(10)을 철근(2)에 삽입시키는 경우 잭(10)의 나사조임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조임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FIGS. 5A and 5B show an example in which two
또한, 철근(2)(4)의 길이방향 리브(28)는 보통 철근(2)(4)의 원주면 양측에 2개가 형성되는 바, 도5a, 도5b와 같은 잭(10)은 이를 고려한 것이며, 도6의 잭(10)은 삽입초기에 리브홈(32)과 리브(28)가 일치하지 않을 때 최대 90도만을 회전시키면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wo
그리고 도7은 잭(10)의 테이퍼 면(20)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에서는 연결부(6)(8)를 원형으로 성형한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으로 형성하였을 때, 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7 illustrates that the
도8a, 도8b와 도9a, 도9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잭(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잭(10)의 내경부에 전체적으로 세레이션(34)을 형성하거나, 내경부에 리브홈(32)을 제외한 면에 세레이션(34)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8A, 8B and 9A, 9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는 잭(10)과 커플러(12)의 체결시 세레이션(34)에 의하여 철근(2)(4)의 연결부(6)(8)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바, 그 연결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prevents slipping between the connecting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커플러(12)와 철근(4)의 연결부(8)사이에 슬리이브 잭(36)을 개재시킨 것이다.Fig. 10 show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즉, 상기 슬리이브 잭(36)은 상기의 잭(10)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외주면에 숫나사부(22)를 형성하지 않은 구조를 갖게 된다.That is, the
그리고 슬리이브 잭(36)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커플러(12)의 내경부에는 테이퍼 면(24)을 생략하고, 암나사부(26)만 형성하면 된다.In the case where the
도11과 도12는 상기 슬리이브 잭(3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1에서는 슬리이브 잭(36)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탄성홈(38)을 형성함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보유토록 한 것이다.11 and 12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즉, 커플러(12)를 체결시 탄성홈(38) 부분이 벌어지면서 슬리이브 잭(36)이 커플러(12)의 내면과 더욱 큰 힘으로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연결부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그리고 도12에서는 슬리이브 잭(36)을 좌우 2개로 분할 형성한 것이며, 그 작용은 상기 탄성홈(38)을 갖는 슬리이브 잭(36)과 동일 효과를 갖는다.In FIG. 12, the
도13과 도14a, 도14b, 도14c는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철근(2)(4)의 상호 연결시 길이 조정이 요구될 때, 이를 가능하게 한 연결구조로서, 상기 잭(10)의 선단 연장부(40)의 내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부재(42)와 상기 고정부재(42)의 내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길이 조절부재(44)로 이루어지는 길이 조절수단이 적용된다.13, 14A, 14B, and 14C show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this when length adjustment is required when interconnecting the reinforcing
즉, 도14a에서와 같이 고정부재(42)와 조절부재(44)의 조립체를 우선적으로 잭(10)의 선단 연장부(40)에 나사 결합시킨 후에 길이 조절부재(44)를 회전시켜 도14b와 같이 길이를 조절한 후에 도14c와 같이 커플러(12)와 잭(10)과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4A, the assembly of the fix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토목 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의 연결시 철근의 선단을 테이퍼 형으로 성형하고, 잭과 커플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공기단축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tip of the reinforcing bar in the tapered form when connecting the reinforcing bars used i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by using a jack and a coupler to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connection work is very easy, reducing the air shortage and cost.
또한, 그 중간부에 길이조절수단을 개재시켜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 시공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be usefully used at the time of precision construction by interposing the length adjustment means in the middle portion thereof.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4088A KR100220173B1 (en) | 1997-07-21 | 1997-07-21 |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4088A KR100220173B1 (en) | 1997-07-21 | 1997-07-21 |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120A KR19990011120A (en) | 1999-02-18 |
KR100220173B1 true KR100220173B1 (en) | 1999-09-01 |
Family
ID=1951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40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0173B1 (en) | 1997-07-21 | 1997-07-21 |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017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3838A (en) * | 2001-08-09 | 2003-02-15 | 칭 피아오 후 |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ing ba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584B1 (en) * | 2005-06-17 | 2007-06-08 | (주)윈윈개발 | A steel reinforcing linking device |
CN110616855A (en) * | 2019-09-16 | 2019-12-27 | 机械工业第六设计研究院有限公司 | Steel bar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fabricated concrete structure |
-
1997
- 1997-07-21 KR KR1019970034088A patent/KR1002201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13838A (en) * | 2001-08-09 | 2003-02-15 | 칭 피아오 후 |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reinforcing 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1120A (en) | 1999-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0099B1 (en) | Rebar connection structure | |
KR100248963B1 (en) | Thread formation on rods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of them | |
EP0867578B1 (en) | A method for connecting a connector to a concrete reinforcing bar and a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such bar | |
JP2016176229A (en) | Reinforcement joint, and steel bar and sleeve | |
KR100220173B1 (en) | Connector for the reinforcing steel | |
US6263547B1 (en) | Clamping joint for interconnection of a clamping lock | |
KR100309611B1 (en) | Steel reinforcing coupler | |
JPH10131303A (en) | Rebar joint structure | |
KR20030079253A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by just one step | |
KR20150004637A (en) | Large diameter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s | |
KR100272745B1 (en) | A connector of concrete reinforcing bar | |
EP0057292A1 (en) | A method of interconnecting at least two load transmitting members by pressure jointing and a coupling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KR200257716Y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200333103Y1 (en) | A connector of steel bar | |
KR20010048018A (en) | Connector for reinforceing rod | |
KR20170123943A (en) | Reinforcing rod connector | |
KR101132681B1 (en) | Reinforcing bar coupler | |
JP2002227342A (en) | Reinforcement connecting device | |
KR101566610B1 (en)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for hooped reinforcement | |
KR20050045014A (en) | Steel bars splicing device | |
KR100449977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reinforced bar for reinforced concreate | |
PL206354B1 (en) | Sleeve-type joint for reinforcement bars | |
KR200242782Y1 (en) | Wire connect | |
KR100406140B1 (en) | Taper thread coupler | |
KR200254894Y1 (en) | coupler of steel reinforc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