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9523B1 -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9523B1 KR100219523B1 KR1019970000530A KR19970000530A KR100219523B1 KR 100219523 B1 KR100219523 B1 KR 100219523B1 KR 1019970000530 A KR1019970000530 A KR 1019970000530A KR 19970000530 A KR19970000530 A KR 19970000530A KR 100219523 B1 KR100219523 B1 KR 100219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tern
- insulating film
- film
- device isolation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6—Selective deposition, e.g. simultaneous growth of mono- and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 H01L21/02639—Preparation of substrate for selective 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반도체기판;상기 반도체기판의 한정된 영역상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실리콘층 패턴; 및상기 실리콘층 패턴 사이의 상기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상기 실리콘층 패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층부로 갈 수록 식각선택비가 점점 우수해지며 특히 상층부는 상기 실리콘층 패턴보다 식각 선택비가 우수한 다층 절연막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절연막 패턴 사이의 기판 전면에는 상기 다층 절연막 패턴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에피텍시(epitaxy) 성장된 실리콘층 패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절연막 패턴은 제1 절연막 패턴과 상기 제1 절연막 패턴 상에 형성된 제2 절연막 패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 절연막 패턴이 열산화막 패턴 또는 적층된 산화막 패턴중 선택된 어느 한 물질막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막 패턴이 나이트라이드막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 (a)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반도체기판의 필드영역을 한정하고 상부 물질막이 하부 물질막보다 식각선택비가 우수한 다층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기판의 전면에서 자연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c) 상기 다층 절연막 패턴 사이의 기판의 전면에 실리콘층 패턴을 상기 다층 절연막 패턴의 높이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a1)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a2) 상기 제1 절연막의 전면에 상기 제1 절연막보다 식각선택비가 우수한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a3) 상기 제2 절연막의 상기 반도체기판의 필드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상에 식각방지용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a4)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절연막의 노출된 전면과 상기 제1 절연막의 대응하는 부분을 기판의 계면을 식각종말점으로하여 식각하는 단계; 및(a5)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막이 열산화막 또는 적층된 산화막중 어느 한 물질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막이 나이트라이드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방지용 마스크 패턴이 상기 제2 절연막 전면에 감광막을 도포한 다음 패터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자연산화막이 불화물(HF)을 사용하는 습식식각방식으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층이 에피텍시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0530A KR100219523B1 (ko) | 1997-01-10 | 1997-01-10 |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00530A KR100219523B1 (ko) | 1997-01-10 | 1997-01-10 |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5507A KR19980065507A (ko) | 1998-10-15 |
KR100219523B1 true KR100219523B1 (ko) | 1999-09-01 |
Family
ID=1949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005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523B1 (ko) | 1997-01-10 | 1997-01-10 |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195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1390B2 (en) | 2002-12-27 | 2006-07-25 | Hynix Semiconductor Inc. |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5581B1 (ko) * | 2000-12-11 | 2007-02-22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
-
1997
- 1997-01-10 KR KR1019970000530A patent/KR10021952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1390B2 (en) | 2002-12-27 | 2006-07-25 | Hynix Semiconductor Inc. |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5507A (ko) | 1998-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50012918B1 (ko) | 선택적 텅스텐 박막의 2단계 퇴적에 의한 콘택 매립방법 | |
KR100219523B1 (ko) | 높은 소자분리능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42852B1 (ko) | 트렌치 소자분리 영역 형성방법 | |
KR19980068057A (ko) |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 |
KR100278274B1 (ko) | 반도체장치의스택콘택형성방법 | |
JPH0396249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0272274B1 (ko) |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 |
KR20010001201A (ko) | 반도체 소자 분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제조 방법 | |
KR100408863B1 (ko) |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 방법 | |
KR20000013286A (ko) |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 |
KR970005703B1 (ko) | 트렌치형 소자분리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29370B1 (ko) | 반도체 소자 분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제조 방법 | |
KR19990055780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970003895B1 (ko) |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 |
KR100587597B1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 |
KR20050119412A (ko) |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 |
KR20000043567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20030001965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
KR19990057376A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 |
KR19990003058A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 |
KR19990006070A (ko) |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 |
KR19990050944A (ko) |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방법 | |
KR20000074984A (ko) | 반도체 소자 분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제조 방법 | |
KR20000026974A (ko) |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를 갖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020051669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