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9474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9474B1
KR100219474B1 KR1019950039042A KR19950039042A KR100219474B1 KR 100219474 B1 KR100219474 B1 KR 100219474B1 KR 1019950039042 A KR1019950039042 A KR 1019950039042A KR 19950039042 A KR19950039042 A KR 19950039042A KR 100219474 B1 KR100219474 B1 KR 10021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memory
page buffer
printer
emp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450A (ko
Inventor
강정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3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474B1/ko
Publication of KR97002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4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G06K15/1856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characterized by its workflow
    • G06K15/1861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characterized by its workflow taking account of a limited available memory space or rasterization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17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라인을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처리함으로써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킨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터는 공라인도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었으나, 본 발명은 공라인은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페이지 버퍼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페이지 버퍼 메모리를 접근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버스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입력되는 데이터중 공라인이 제외된 데이터만 일시 저장하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와, 사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DMA 제어기 및 상기 DMA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인쇄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로 공라인이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레지스터로부터 출력하여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콘트롤부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프린터(printer)
제1도는 종래의 프린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사기 제1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page buffer memory)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라인(blank line)을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처리함으로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킨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서 작성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는 모니터와 프린터가 있는데, 상기 작성된 데이터를 기록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프린터를 이용한다.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 인쇄명령을 준다. 그러면, 데이터는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 프린터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모두 저장된다. 그런 다음, 기억장소직접접근(DMA:Direct Memory Access, 이하 DMA라 약함) 제어기와 프린터 인터페이스 제어기(printer interface controller)에 의해서 데이터를 인쇄한다. 상기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1도에 종래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 구조를 도시하였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진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페이지 버퍼 메모리(31)와 페이지 버퍼 메모리(3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DMA 제어기(33)와 DMA 제어기(33)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인쇄하기 위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5)가 있다.
페이지 버퍼 메모리(31)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페이지(page) 단위로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 DMA 제어기(33)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31)에 접근(access)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바이트(byte) 또는 워드(word) 단위로 읽어서 상기 프린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5)로 전송한다. 그러면 프린터 인터페이스 제어기(35)는 이것을 비디오 데이터로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는 인쇄 용지에 인쇄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page buffer memory)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메모리 공간(43)이 있고 메모리의 각 방마다 주소(41)가 정해져 있다. 메모리의 주소(41)인 1번지부터 10번지까지 데이터(A 내지 G)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중 4번지부터 7번지까지 저장된 데이터(D)는 공라인을 나타낸다. 제2도에서 보듯이 공라인도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공라인은 메모리 내요잉 '1' 아니면 '0'으로서 그 데이터 내용이 항상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이 정보를 가지고 있는 여부에 관계없이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모두 저장되낟.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려면 DMA 제어기를 통해서 읽어내어 프린터 인터페이스 제어기로 전송해야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프린터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공라인을 저장함으로써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둘째, 공라인이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공라인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다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접근을 여러번 해야하므로 버스이용 효율이 낮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라인을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잇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데이터중 공라인이 제외된 데이터만 일시 저장하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DMA 제어기; 및 상기 DMA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인쇄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로 공라인이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레지스터(register)로부터 출력하여 인쇄할 수 잇는 프린터 인터페이스(interface) 콘트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사항으로서, 상기 레지스터는 공라인 또는 공라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린터에서 인쇄시키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로 출력될 때 '0' 또는 '1'로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이용효율과 버스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컴퓨터로부터 전송되어진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페이지 버퍼 메모리(61)와 페이지 버퍼 메모리(61)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내는 DMA 제어기(63)와 DMA 제어기(63)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인쇄하기 위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가 있다.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는 프린터 인터페이스(67) 및 레지스터(69)를 입력으로 갖는 논리회로(logic)(71)로 구성도니다. 또한,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는 집적회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프린터 인터페이스(67)와 레지스터(69)는 서로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버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페이지 버퍼 메모리(61)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페이지(page) 단위로 저장되는데 공라인과 관련되지 않은 정보를 갖고 있는 데이터만 저장이 된다.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쇄하기 위해서 DMA 제어기(63)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61)로부터 데이터를 바이트(byte) 또는 워드(word) 단위로 읽어서 프린터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로 전송한다. 그러면 프린터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61)에 저장된 데이터를 DMA 제어기(63)를 통해서 읽어서 논리회로(71)로 출력하여 인쇄를 진행한다. 그러다가 상기 데이터 중에서 공라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논리회로(71)의 SEL 단자(73)를 온(ON)시켜서 페이지 버퍼 메모리(61)에 있는 데이터는 중단시키고 레지스터(69)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공라인 또는 공라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그러다가 공라인이 끝나면 SEL 단자(73)를 오프(OFF)시켜서 페이지 버퍼 메모리(61)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인쇄한다. 이때, 제3도에서는 데이터의 흐름에 대하여 도시하였는데, 실제의 회로에서는 페이지 버퍼메모리(61)와 DMA 제어기(63) 및 프린터 인터페이스 콘트롤부(65)가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데이터, 어드레스 및 콘트롤 버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페이지 버퍼 메모리(page buffer memory)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 구조는 제2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10개의 메모리 주소만을 가진 페이지 버퍼 메모리를 도시하였다. 메모리 공간(83)이 있고 상기 메모리 공간의 각 방을 지정하는 주소(81)가 있다.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 중 4번지 내지 7번지에는 종래에는 공라인이 차지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라인 다음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다. 즉 공라인은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공라인을 페이지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처리해 줌으로써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둘째, 공라인을 인쇄하기 위해 페이지 버퍼 메모리를 접근하는 시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그만큼 버스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3)

  1. (정정) 입력되는 데이터중 공라인이 제외된 데이터만 일시 저장하는 페이지 버퍼 메모리;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DMA 제어기; 및
    상기 DMA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인쇄하고, 상기 페이지 버퍼 메모리로 공라인이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레지스터로부터 출력하여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 인터페이스(interface) 콘트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는 공라인 또는 공라인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는 프린터에서 인쇄시키기 위한 데이터로 출력될 때 '0' 또는 '1'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19950039042A 1995-10-31 1995-10-31 프린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042A KR100219474B1 (ko) 1995-10-31 1995-10-31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042A KR100219474B1 (ko) 1995-10-31 1995-10-31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450A KR970020450A (ko) 1997-05-28
KR100219474B1 true KR100219474B1 (ko) 1999-09-01

Family

ID=1943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9474B1 (ko) 1995-10-31 1995-10-31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47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450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6343A (en) Image compresssion systems with optimized data access
US62055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torage device in data processing system
US45133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900002894B1 (ko) 어드레스 변환을 사용한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940005790B1 (ko) Dma 기능을 갖춘 정보 처리장치
EP0509994B1 (en) Centralized reference and change table for a multiprocessor virtual memory system
US4916603A (en) Distributed reference and change table for a virtual memory system
JPH04308953A (ja) 仮想アドレス計算機装置
KR100219474B1 (ko) 프린터
JPH0353363A (ja) バスアーキテクチャ変換回路
JP2591514B2 (ja) 1チップメモリデバイス
JP2006011926A (ja) シリアルデータ転送システム、シリアルデータ転送装置、シリアルデータ転送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KR0183749B1 (ko) 프린터
KR100200690B1 (ko) 프린터의 공데이터 처리방법
US6430647B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font card or the like
US6209049B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data from storage devices where the data buss width for input depends on the number of memory devices
US7143211B2 (en) Memory configuration with I/O support
EP0333215B1 (en) Distributed reference and change table for a virtual memory system
JP3166323B2 (ja) 画像処理装置
JPS63245743A (ja) メモリアクセス方式
JP2591515B2 (ja) 1チップメモリデバイス
JPS59123913A (ja) Dmaアクセス方式
JPH0427571B2 (ko)
JPH11194968A (ja) 記憶装置の制御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記憶装置の制御方法
JPH05100999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のバスサイジング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