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7233B1 -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233B1
KR100217233B1 KR1019970023884A KR19970023884A KR100217233B1 KR 100217233 B1 KR100217233 B1 KR 100217233B1 KR 1019970023884 A KR1019970023884 A KR 1019970023884A KR 19970023884 A KR19970023884 A KR 19970023884A KR 100217233 B1 KR100217233 B1 KR 10021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mold
forming
joint
t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791A (ko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이윤복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복, 연안알루미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윤복
Priority to KR101997002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23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2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은, 원터치형텐트의 관절을 이루고 있는 관절모울드를 알미늄 또는 두랄미늄파이프에 성형함으로서 보다 가벼운 폴대를 얻을수 있고 고급화를 시킬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원터치형 텐트의 폴대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를 가벼운 파이프에 성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펀치에 의해 펀칭홈을 형성하는 펀칭홈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통공을 형성하는 탈거방지용 통공의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로 성형되는 관절모울드의 사출공정시 성형액이 파이프의 내경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 내부의 펀칭홈에 압입되면서 파이프의 일측부를 막을수 있는 배출방지구를 삽입하는 배출방지구 삽입공정과, 상기 배출방지구가 삽입된 파이프의 통공 부위에 관절모울드를 성형하는 관절모울드 성형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및구조
본발명은 원터치형 텐트의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터치형텐트의 관절을 이루고 있는 관절모울드를 알미늄 또는 두랄미늄파이프에 성형함으로서 보다 가벼운 폴대를 얻을수 있고 고급화를 시킬수 있는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터치형 텐트는 조립을 하지 않고 마치 우산을 펴듯이 단번에 텐트의 설치를 도1과 같이 완료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트를 편리하게 설치할수 있는 이유는 각폴대와 폴대를 연결하는 관절에 의해서 가능하여진다.
종래의 원터치형텐트에 적용되는 폴대의 관절은 도2 및 도3에 나타내었다.
즉, 상기의 폴대(4)를 이루고 있는 속이 꽉찬 화이바그라스 재질로된 봉(3)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힌지역할을 하는 합성수지재로된 관절모울드(2)가 인서트모울딩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의 봉(3)은 텐트(1)의 형상을 유지시켜주게되고 관절모울드(2)는 힌지역할을 하면서 텐트(1)의 절첩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주게된다.
그러나, 상기의 봉(3)은 속이 꽉찬 화이바그라스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
특히,상기의 봉(3) 다수개를 이용하여 폴대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므로 텐트(1)의 전체적인 무게가 상당히 많이 나가게 되어 운반 및 휴대시에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 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원터치텐트의 폴대를 이루는 속이 꽉찬 봉 대신에 속이 비고 가벼운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상기의 파이프 끝단에 관절모울드를 성형함으로서 매우 가벼운 폴대를 얻을수 있는 동시에 운반시의 편리함과 폴대의 고급화등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원터치형 텐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폴대를 이루고 있는 봉에 관절모울드가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폴대를 이루고 있는 봉과 관절모울드의 결합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펀칭홈가공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 탈거방지용 통공의 가공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발명 배출방지구의 삽입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발명 배출방지구의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발명 관절모울드의 성형공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발명 도8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1 : 폴대 102 : 파이프
103 : 펀칭홈 104 : 탈거방지용 통공
105 : 배출방지구 106 : 관절모울드
본발명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원터치형 텐트(1)의 폴대(101)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를 가벼운 파이프(102)에 성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102)의 일측부에 펀치에 의해 펀칭홈(103)을 형성하는 펀칭홈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102)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102)의 일측부에 통공(104)을 형성하는 탈거방지용 통공(104)의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102)로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의 사출공정시 성형액이 파이프(102)의 내경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102)내부의 펀칭홈(103)에 압입되면서 파이프(102)의 일측부를 막을수 있는 배출방지구(105)를 삽입하는 배출방지구 삽입공정과, 상기 배출방지구(105)가 삽입된 파이프(102)의 통공(104) 부위에 관절모울드(106)를 성형하는 관절모울드(106) 성형공정으로 이루어 졌다.
그리고,본발명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구성은,
원터치형 텐트(1)의 폴대(101)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를 가벼운 파이프(102)에 성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102)의 일측부에 펀치에 의해 형성되는 펀칭홈(103)과, 상기 파이프(102)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102)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탈거방지용 통공(104)과, 상기 파이프(102)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의 사출공정시 성형액이 파이프(102)의 내경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102)내부의 펀칭홈(103)에 압입되면서 파이프(102)의 일측부를 막을수 있는 배출방지구(105)와, 상기 배출 방지구(105)가 삽입된 파이프(102)의 통공(104)부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106)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 : 펀칭홈 가공공정
알루미늄재질 또는 두랄미늄재질로된 파이프(102)를 일정길이로 절단한 뒤 관절모울드(106)가 성형되는 부위 즉, 파이프(102)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 펀칭작업에 의한 펀칭홈(103)을 도4와 같이 가공한다.
상기의 펀칭홈(103)은 파이프(102)의 내경을 침범하도록 가공을 하여 후공정의 배출방지구(105)의 삽입이 용이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펀칭홈(103)의 개수는 2개소가 적당하지만 파이프(102)의 관경이나 재질 등을 고려하여 3-5개소 등을 가공하여도 무방하다
제 2 공정 : 탈거방지용 통공의 가공공정
상기의 펀칭홈 가공공정이 완료되면 탈거방지용 통공(104)을 파이프(102)의 일측 또는 양측부에 형성되도록 도5와 같이 가공을 하게 된다.
상기 탈거방지용 통공(104)은 관절모울드(106)를 성형한 후에 충격 등에 의해 관절모울드(106)가 파이프(102)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의 탈거방지용 통공(104)은 드릴링 작업에 의해 천공하여도 되고 파이프(102)의 성형시에 성형을 하여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탈거방지용 통공(104)의 형상은 원형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사각공이나 다각형상의 통공(104)을 천공하여도 된다.
즉, 관절모울드(106)의 성형액이 상기의 통공(104)을 통과하여 냉각후에는 통공(104)을 메울수 있도록 하면 관절모울드(106)가 파이프(10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 할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공정 : 배출방지구 삽입공정
상기의 탈거방지용 통공(104)을 파이프(102)에 가공한 후에는 배출방지구(105)를 도6에서 도7과 같이 파이프(102)내부로 삽입시켜서 제1공정에서 가공된 펀칭홈(103)에 고정을 시키게 된다.
즉, 상기의 배출방지구(105)는 파이프(102)에 관절모울드(106)을 성형시 성형액이 파이프(102)의 내경을 따라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삽입 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의 배출방지구(105)가 파이프(10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성형액이 파이프(10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관절모울드(106)의 성형을 할수 있게된다.
제 4 공정 : 관절모울드 성형공정
상기 배출방지구(105)의 삽입이 완료되면 관절모울드(106)성형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의 관절모울드(106)성형작업은 관절모울드(106)가 합성수지재 이므로 사출기를
이용한 사출작업을 하게 된다.
즉, 상기의 제3공정에서 얻은 파이프(102)를 관절모울드(106)형상을 가지고 있는 사출기의 상,하측 금형에 결합을 시킨 뒤 합성수지성형액을 상,하측금형내로 주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상,하측금형내로 주입된 합성수지성형액은 파이프(102)의 끝단부와 통공(104)으로 충진되어지고 외관은 금형에 의해 성형된 상태에서 냉각공정을 거처서 취출을 시키면 도8과 같은 폴대(101)를 얻을수 있게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중공된 파이프(102)의 끝단부에 관절모울드(106)를 성형시킴으로서 매우 가벼운 폴대(101)를 얻을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의 파이프(102)에 형성된 펀칭홈(103)에 의해 배출방지구(105)가 삽입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작업시에 성형액이 파이프(102)의 내부를 따라 흘러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수 있는 것이므로 파이프(102)에도 인서트 모울딩작업이 용이하여지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02)에 형성된 탈거방지용 통공(104)에도 도9와 같이 관절모울드(106)의 내부가 꽉차여 있는 상태가 되므로 관절모울드(106)와 파이프(102)가 사용도중에 분리되는 일이 없는 견고한 구조가 되어진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속이 중공된 파이프에 관절모울드를 성형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매우 가벼운 원터치형 텐트의 폴대를 얻을수 있게 되므로 운반과 휴대시에 편리함을 얻을수 있고 폴대의 고급화를 달성 할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원터치형 텐트의 폴대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를 가벼운 파이프에 성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펀치에 의해 펀칭홈을 형성하는 펀칭홈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통공을 형성하는 탈거방지용 통공의 가공공정과,
    상기 파이프로 성형되는 관절모울드의 사출공정시 성형액이 파이프의 내경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 내부의 펀칭홈에 압입되면서 파이프의 일측부를 막을수 있는 배출방지구를 삽입하는 배출방지구 삽입공정과,
    상기 배출방지구가 삽입된 파이프의 통공 부위에 관절모울드를 성형하는 관절모울드 성형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2. 원터치형 텐트의 폴대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를 가벼운 파이프에 성형시키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펀치에 의해 형성되는 펀칭홈과,
    상기 파이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탈거방지용 통공과,
    상기 파이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의 사출공정시 성형액이 파이프의 내경을 따라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내부의 펀칭홈에 압입되면서 파이프의 일측부를 막을수 있는 배출방지구와,
    상기 배출방지구가 삽입된 파이프의 통공부위에 성형되는 관절모울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구조.
KR1019970023884A 1997-06-10 1997-06-10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1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884A KR100217233B1 (ko) 1997-06-10 1997-06-10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884A KR100217233B1 (ko) 1997-06-10 1997-06-10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91A KR19990000791A (ko) 1999-01-15
KR100217233B1 true KR100217233B1 (ko) 1999-09-01

Family

ID=1950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8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7233B1 (ko) 1997-06-10 1997-06-10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2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829A (ko) * 2003-07-24 2005-01-31 김현길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폴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그 구조
KR100766447B1 (ko) 2005-02-24 2007-10-18 라제건 텐트폴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829A (ko) * 2003-07-24 2005-01-31 김현길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폴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그 구조
KR100766447B1 (ko) 2005-02-24 2007-10-18 라제건 텐트폴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91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23240A (ja) 複合型拡張栓
KR890702320A (ko) 모터 고정자를 코팅하기 위한 주형성형 방법
KR20030040544A (ko) 면도기 손잡이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CA2228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herringbone gears and pumps incorporating the same
CA1114575A (fr) Corps creux en matiere plast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0217233B1 (ko) 원터치형 텐트의 관절모울드를 파이프에 성형시키는 방법 및 구조
JPH05146041A (ja) 長手方向水封性のケーブルスリーブ
DE3490046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nststoffhohlkörpers
RU2006115618A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и сопособ его выполнения
JP3032872B2 (ja) プラスチック瓶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2433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5516226A (en) Wheelchair frame assembly
EP1544380B1 (de) Distanzrohr zum Führen von Spannstäben
JP2005059394A (ja) 横筋ブロック及び横筋ブロック成型用引抜きコアー
CN219343304U (zh) 一种用于挡墙模板拉模筋的连接件
KR970006611Y1 (ko) 벽부착용 선반의 인서트사출식 합성수지제 지지간
KR200354534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세파타이
KR0130395B1 (ko) 유체저장용 플라스틱용기의 포트 슬리이브 장착구조
KR200163160Y1 (ko) 중앙 분리대의 조립홈 성형장치
DE4336820A1 (de) Spritzgußkunststoffummantelter Sensorkörper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JP2001262828A (ja) メネジ管式セパレーターユニット
CA2193298A1 (en) Removal of Injection-Molded Tie from Mold by Utilizing Bulges at Opposite Ends of Abutment Wall of Tie
EP0115082B1 (de) Isolierkanne
KR900004317Y1 (ko) 다색 봉 립스틱의 제조장치
KR0135300Y1 (ko) 수지제품 성형용 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