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6515B1 -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515B1
KR100216515B1 KR1019960068947A KR19960068947A KR100216515B1 KR 100216515 B1 KR100216515 B1 KR 100216515B1 KR 1019960068947 A KR1019960068947 A KR 1019960068947A KR 19960068947 A KR19960068947 A KR 19960068947A KR 100216515 B1 KR100216515 B1 KR 10021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switching
fun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0168A (en
Inventor
이형섭
최성혁
고제수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515B1/en
Publication of KR1998005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1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51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6Time-space-tim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 및 그 신호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은 하나의 모듈에 의하여 TU11 신호와 TU12 신호를 혼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그 구성은 수신방향으로 STM-n급 신호를 BTL 레벨의 소정개수의 78Mbps 속도로 수신하여 TTL 레벨로 변환하며 송신방향에 대하여는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정합부와, 상기 STM-n급 신호에 포함된 12개의 AU3 신호를 종단하거나 형성하며 상기 AU3 신호정합부와 소정개수의 78Mbps TTL 신호로 접속되며 AU 신호를 처리하여 VC 신호로 변환하거나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처리부와, VC 신호에 포함된 TU신호를 역다중하거나 다중화하여 TU 포인터 처리를 수행하는 VC3 신호처리부 및 T-S-T 구조의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용하는 TU1 시간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and a signal configuration method for TU11 / TU12 mixed line distribution. The purpose is to allow a single module to mix TU11 and TU12 signals. The configuration includes an AU3 signal matching unit which receives an STM-n level signal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78 Mbps at a BTL level in the receiving direction, converts the signal into a TTL level, and performs a reverse function in the transmitting direction, and is included in the STM-n level signal. Terminating or forming 12 AU3 signals, connected to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78 Mbps TTL signals, and processing an AU signal to convert to an VC signal or performing a reverse function, and a TU signal included in the VC signal. It consists of a VC3 signal processor which performs TU pointer processing by demultiplexing or multiplexing, and a TU1 time switching unit which accommodates front / rear time switch functions of a TST structure.

Description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 및 그 신호구성 방법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본 발명은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 및 그 신호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and a signal configuration method for TU11 / TU12 mixed line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고속신호 처리 및 영상 처리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망 기술은 광대역 종합정보 통신망(BISDN:Broadband Intergrated Servece Digital Network)을 출현시켰으며, BISDN 망의 진화와 함께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를 기반으로 하는 국간중계망의 전송시스템도 대용량화 및 고속화가 추진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의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기본 전송망에서 수작업에 의해 관리되던 전송로의 재구성, 우회루트의 구성, 중계선 시험 기능등과 같은 DSK-n (Digital Signal Cross-connect-n) 기능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를 기반으로 하는 국간중계망의 전송시스템에서는 완전 전자화 하는것이 요구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SDH 기본의 DXC (Digital Cross-connect)기능을 수행하는 광대역 회선분배 기스템이 개발되었다.In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for providing various services with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signal processing an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has emerged Broadband Intergrated Servece Digital Network (BISDN), SDH (Synchronous) with the evolution of BISDN network The transmission system of inter-national relay network based on Digital Hierarchy has also been promoted in high capacity and high speed. Therefore, DSK-n (Digital Signal Cross-connect-n) functions such as reconfiguration of transmission paths managed by manual operation in PDH basic transmission network, configuration of bypass route, relay line test function, etc. In the transmission system of the inter-station relay network based on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it was required to fully electronicize. To this end, a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was developed to perform the DXC (Digital Cross-connect) function of the SDH.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은 기존 PDH 전송망과 동기식 전송망과의 연동이 요구되는 곳이나 다수의 고속 SDH 신호가 집중되는 전송망 노드에 두며, 기존 전송설비의 수용을 위하여 DSn 신호의 디지탈 신호 분배 및 분기삽입 능력을 제공한다. 기존 PDH 전송망과 연동이 요구되는 곳에서는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은 주요 기능인 DXC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AU(Adiministration Unit)신호의 스위치 기능과 연동하여 T1(TU11형성)과 E1(TU12 형성) 신호를 수용한 TU(Tributary Unit) 신호의 회선분배 및 분기기능이 요구된다. PDH 전송망과 연동이 요구되는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Broadband Digital Cross-connect System)의 TU 스위치부에 있어서 동기식 계위의 클럭을 유지하여 TU11 신호와 TU12 신호를 혼용하여 동시에 회선 분배 및 분기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표준화된 VC3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TUG-2 신호를 처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TU 스위치부 에서는 VC3 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TU11신호와 TU12 신호를 구별하여, 혼용으로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TUG-2 신호를 처리하는 새로운 프레임 및 신호구조가 요구된다.Broadband line distribution system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interworking between existing PDH transmission network and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is required or at the network node where many high speed SDH signals are concentrated, and digital signal distribution and branch insertion capability of DSn signal is provided to accommodate existing transmission facilities. to provide. Where interworking with existing PDH transmission network is required,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accepts T1 (TU11 formation) and E1 (TU12 formation) signals by interworking with switch function of AU (Adiministration Unit) signal to perform DXC function, which is the main function. Line distribution and branching of Tributary Unit (TU) signals is required. When the TU switch part of the broadband digital cross-connect system that requires interworking with the PDH transmission network maintains the clock of the synchronous hierarchy and uses the TU11 signal and the TU12 signal simultaneously to perform the circuit distribution and branching function. It is not easy to process TUG-2 signals using a standardized VC3 frame structure. Therefore, in the TU switch unit, a new frame and signal structure for distinguishing the TU11 signal and the TU12 signal multiplexed on the VC3 signal and processing the TUG-2 signal to be mixed for switching is required.

기존 PDH 전송망과 동기식 전송망과의 연동이 요구되는 곳이나 다수의 고속 SDH 신호가 집중되는 국간 중계망의 전송로 구성은 수작업에 의해 관리되던 전송로의 재구성, 우회루트의 구성, 중계선시험 기능등과 같은 DSX-n(Digital Signal Cross-connect-n) 기능을 완전 전자화하는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이 요구된다.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은 고속의 전송신호내에 포함된 저속 신호간의 상호교차 연결을 통해서 전송로상에서 회선의 재구성, 호선의 교체, 신속한 서비스의 제공, 장애에 대비한 망관리 기능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신호분배 서브시스템(11), 신호분기 서브시스템(12), 장치제어 서브시스템(13), 장치관리 서브시스템(14)으로 구성된다. 시스템의 구성중 신호분배 서브시스템(11)은 STM-n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정합하여 AU3 단위의 고속신호 스위칭을 실시하여 신호의 분배, 분기, 방송, 시험등으로 AU 신호의 라우팅 기능을 갖는 AU 스위칭 기능부(111), AU3 단위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정합하여 TU1의 저속신호 스위칭을 실시하여 TU11신호와 TU12신호의 라우팅 기능을 갖는 TU 스위칭 기능부(112), 외부 타이밍 접속기능과 시스템의 클럭 발생기능 및 분배기능을 갖는 시스템 동기 기능부(113)을 기본 기능부로 하여 구성된다. 현재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기본 전송망은 북미 방식의 TU11 신호와 유럽 방식의 TU12 신호로 구분되고, 현재 국내의 PDH 전송망에는 이 두가지 방식의 시스템이 모두 사용되고 있어서 TU 신호의 회선을 분배하는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의 TU 스위칭 기능부(112)는 북미 방식의 TU11 신호와 유럽 방식의 TU12 신호를 혼용으로 스위칭하는 것이 요구된다. ITU-T 다중화 표준에 의거하여 TU11과 TU12 신호는 4개의 TU11 신호를 다중화하거나 3개의 TU12 신호를 다중화하는 TUG-2로 되고, 이 TUG-2 신호를 7개 다중화하여 VC3 신호를 형성한다. 북미와 유럽의 DS1 계위신호 장치가 PDH 전송망에 혼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회선분배 시스템에서도 TU11과 TU12 신호의 분배기능이 혼용으로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기존의 VC3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TUG-2 신호를 처리하는 회선분배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모듈로 TU11과 TU12 신호를 혼용으로 처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TU 신호의 스위칭을 위한 모듈이 혼용으로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STM-1신호에 포함된 3개의 VC3 신호가 DS1 계위 신호 장치에 따라 TU11과 TU12 신호중 한 신호를 수용하므로 TU11과 TU12 신호를 정합하는 모듈이 요구되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현이 대단히 복잡하게 된다.The transmission path configuration of the relay station between the existing PDH transmission network and the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where the high speed SDH signal is concentrated is composed of the manual reconstruction of the transmission path, the configuration of the bypass route, and the relay line test function. There is a need for a broadband line distribution system that fully electronicizes the Digital Signal Cross-connect-n (DSX-n) function. Broadband line distribution system aims to reconfigure circuits on line, replace line, provide quick service, and strengthen network management function in case of failure through cross link between low speed signals included in high speed transmission signal.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s largely divided into a signal distribution subsystem 11, a signal branch subsystem 12, a device control subsystem 13, and a device management subsystem 14. It is compos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he signal distribution subsystem 11 receives the STM-n signal, matches it, performs high-speed signal switching in units of AU3, and has an AU signal routing function for signal distribution, branching, broadcasting, and test. The switching function 111 receives the AU3 unit signal, matches it, performs low-speed signal switching of the TU1, and has a TU switching function 112 having a routing function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an external timing connection function, and a clock of the system. The system synchronization function unit 113 having a generation function and a distribution function is configured as a basic function unit. The PDH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basic transmission network is divided into North American TU11 signal and European TU12 signal. Currently, both systems are used in PDH transmission network in Korea. The TU switching function 112 of the system is required to switch between the North American TU11 signal and the European TU12 signal. According to the ITU-T multiplexing standard, the TU11 and TU12 signals become TUG-2, which multiplexes four TU11 signals or multiplexes three TU12 signals, and multiplexes the seven TUG-2 signals to form a VC3 signal. Since th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DS1 signaling devices are used in the PDH transmission network,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is required to be mixed in the circuit distribution system, but the TUG-2 signal is processed using the existing VC3 frame structure. In a circuit distribu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mix TU11 and TU12 signals in one module. If the module for switching the TU signal is not mixed, the three VC3 signals included in the STM-1 signal accept one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according to the DS1 hierarchy signal device. This is required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o handle this becomes very complicated.

제2a도는 ITU-T 다중화 표준에 의한 TUG-2 프레임이고, 제2b도는 VC3 프레임 구조로서 28개의 TU11 신호를 다중화하거나, 21개의 TU11 신호를 다중화한다. 이와 같이 VC3 프레임의 7개 TUG 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TU11 및 TU12신호들의 프레임 갯수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TU 스위칭 기능부에서는 TU11 및 TU12 신호를 하나의 TU 스위치 정합 모듈로 구현하여 동시에 스위칭 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ITU-T에서 표준화된 다중화 구조에 의하여 제작된 종래의 회선분배 시스템의 TU 스위칭 기능부에서는 TU 신호를 스위칭하기 위하여 TU11용 스위치 정합 모듈과 TU12용 스위치 정합 모듈이 전용으로 각각 제작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Figure 2a is a TUG-2 frame according to the ITU-T multiplexing standard, Figure 2b is a VC3 frame structure to multiplex 28 TU11 signals, or 21 TU11 signals. Since the number and size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multiplexed on the seven TUG signals of the VC3 frame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for the TU switching function to simultaneously switch the TU11 and TU12 signals as a single TU switch matching module. . Therefore, in the TU switching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circuit distribution system manufactured by the multiplexing structure standardized in ITU-T, a switch matching module for TU11 and a switch matching module for TU12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for switching TU signals. there was.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듈에 의하여 TU11 신호와 TU12 신호를 혼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수신방향으로 STM-n급 신호를 BTL 레벨의 소정개수의 78Mbps 속도로 수신하여 TTL 레벨로 변환하며 송신방향에 대하여는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정합부와, 상기 STM-n급 신호에 포함된 12개의 AU3 신호를 종단하거나 형성하며 상기 AU3 신호정합부와 소정개수의 78Mbps TTL 신호로 접속되며 AU 신호를 처리하여 VC 신호로 변환하거나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처리부와, VC 신호에 포함된 TU신호를 역다중하거나 다중화하여 TU 포인터 처리를 수행하는 VC3 신호처리부 및 T-S-T 구조의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용하는 TU1 시간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enable the TU11 signal and the TU12 signal to be used in combination by one modul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U3 signal matching unit for receiving the STM-n-class signal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78Mbps speed of the BTL level in the receiving direction and converting it to the TTL level and performing a reverse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ing direction. An AU3 signal processor for terminating or forming 12 AU3 signals included in the STM-n-class signal and connected to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with a predetermined number of 78 Mbps TTL signals and converting the AU signal into a VC signal or performing a reverse function; It consists of a VC3 signal 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TU pointer processing by demultiplexing or multiplexing the TU signal included in the VC signal and a TU1 time switching unit accommodating the front / rear time switch functions of the TST structure.

본 발명은 AU 신호 스위치 모듈과 동기된 상태로 VC3 신호에 TUG-2 형태로 다중되어 있는 TU11 또는 TU12 신호들을 역다중한 후, TU11 및 TU12 신호 단위에 따라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의 모듈을 구성하는 것이다. TU 신호 스위치부 구조 및 VC3에 다중되어 있는 7개의 TUG-2 신호를 처리하여 TU11신호와 TU12신호를 동시에 스위칭 하기위한 TU 스위치 정합모듈의 기능 블록의 구성방법 및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능블록들 간에 접속되는 전송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제안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the signal to perform switching according to the TU11 and TU12 signal units after demultiplexing the TU11 or TU12 signals multiplexed in the TUG-2 form to the VC3 signa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U signal switch module. It consists of a module of functions. TU signal switch unit structure and 7 TUG-2 signals multiplexed in VC3 to configure the function block of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to switch the TU11 signal and the TU12 signal at the same time and to perform the switching function The frame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signal connected between them is proposed.

본 발명에서는 STM-n(n=1, 4, 16) 신호을 수신하여 TU11 또는 TU12 신호의 회선분배 및 분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의 TU스위치부의 구성 및 TU 신호 스위칭 기능을 위한 구성방법을 제안하고, 각 VC-3 신호 내에 다중화된 TUG-2 신호에서 TU11과 TU12 신호를 처리하여 혼용으로 TU1 신호를 스위칭 하기 위하여 제안된 구성블록들간의 전송 신호 프레임 구조와 그 프레임 구조에 따른 접속신호 형태를 제안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TU switch unit and the TU signal switching function of the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for receiving the STM-n (n = 1, 4, 16) signal to perform the line distribution and branching function of the TU11 or TU12 signal In order to switch the TU1 signal by mixing the TU11 and TU12 signals in the TUG-2 signal multiplexed in each VC-3 signal, the transmission signal frame structure between the proposed building blocks and the access signal according to the frame structure A form was sugges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데에 있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re in the following.

본 발명은 광대역 회선 분배 시스템의 TU(Tributary Unit) 신호에 대한 회선분배 및 분기기능을 수행하는 TU 스위칭 기능모듈 중에서 TU11 및 TU12 신호의 회선분배 및 분기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AU3 신호를 처리하는 TU 스위치 정합모듈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TU11과 TU12신호의 스위칭을 위하여 모듈의 기능블록들을 제안하고, 제안된 블록들간의 전송신호 프레임 구조와 접속신호 형태를 제안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cess the AU3 signal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line distribution and branching function of the TU11 and TU12 signal among the TU switching function module that performs the line distribution and branching function for the Tributary Unit (TU) signal of the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To implement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module are proposed for the switching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and the transmission signal frame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signal type between the proposed blocks are proposed.

제1도는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제2도는 1TU-T 표준에 의한 VC3신호의 프레임 구조도,2 is a frame structure diagram of a VC3 signal according to the 1TU-T standard,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TU 스위치 정합 모듈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U switch mat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AU3 신호처리부에서 VC3 신호처리부로의 신호 프레임 및 접속신호의 구조도,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ignal frame and a connection signal from an AU3 signal processor to a VC3 signal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VC3 신호처리부에서 AU3 신호처리부로의 신호 프레임 구조도,5 is a signal frame structure diagram from the VC3 signal 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U3 signal processor;

제6도는 본 발명의 VC3 신호처리부와 TU1 시간 스위치부간의 신호 프레임 구조도.6 is a signal frame structure diagram between a VC3 signal processor and a TU1 tim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에 보인 광대역 회선분배 시스템의 구성도와 같이 TU 스위치기능부(112)는 STM-n(n=1, 4, 16)급의 신호용량을 수용하여 VC3 신호에 포함된 TU11 또는 TU12 신호의 회선분배 및 분기기능을 혼용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T-S-T 스위치 구조를 이용하여 TU11 신호 및 TU12 신호를 스위칭한다. 본 발명에서 TU 스위치기능부(112)는 STM-n 신호에 다중된 AU3 신호를 수신하여, AU3 신호를 포인터 처리하여 추출된 VC3 신호 내에 7개 TUG-2 신호에 포함된 TU11 또는 TU12 신호를 정합하여 시간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TU 스위치 정합모듈과 공간스위치 모듈로 구성되며, 제3도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U 스위치 정합모듈의 구조도를 보였다.As shown in FIG. 1, the TU switch function unit 112 accepts a signal capacity of STM-n (n = 1, 4, 16), and compares the TU11 or TU12 signal included in the VC3 signal. It is used to perform the line distribution and branching functions. It uses the TST switch structure to switch the TU11 and TU12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 switch function unit 112 receives the AU3 signal multiplexed on the STM-n signal, matches the TU11 or TU12 signals included in the seven TUG-2 signals in the VC3 signal extracted by pointer processing the AU3 signal. It consists of a TU switch matching module and a space switch module to perform a time switching function, Figure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의 TU 스위치 정합모듈의 구조는 크게 AU3 신호정합부(31) 및 AU3 신호처리부(32), VC3 신호처리부(33, 34, 35, 36) TU1 시간 스위칭부(37) 등의 기능블록으로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of FIG. 3 is largely composed of functional blocks such as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31,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the VC3 signal processing units 33, 34, 35, and 36, and the TU1 time switching unit 37. do.

AU3 신호정합부(31)는 수신방향으로 STM-n(n=1, 4, 16, 예로써 n=4) 급 신호를 BTL 레벨의 8개의 78Mbps 속도로 수신하여 TTL 레벨로 변환하며, 송신방향에 있어서는 역기능을 수행한다. AU3 신호처리부(32)는 STM-4신호에 포함된 12개의 AU3 신호를 종단하거나 형성하는 기능부로서, AU3 신호정합부(31)와 8개의 78Mbps (STM-4 신호용량) TTL 신호로 접속되며, VC3 신호처리부(33, 34, 35, 36)는 모듈의 구조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VC3 신호처리부 신호용량이 STM-1인 4개의 동일기능부로 나뉘어진다. STM-1 신호에는 3개의 VC3 신호가 포함되므로 구현상의 복잡성을 줄이고 동작특성을 반복을 줄이기 위하여 한 개의 VC3 신호처리부(33∼36)는 각각 하나의 VC3 신호용량을 처리하는 세 개의 TU1 신호처리부로 각각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AU3 신호처리부(32) 및 TU1 시간 스위칭부(37)와의 인터페이스 속도는 동기식 계위의 클럭을 유지하는 19.44Mbps 신호로서 3개의 TU 신호 처리부 출력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바이트 다중화한 신호이다.The AU3 signal matching unit 31 receives STM-n (n = 1, 4, 16, e.g., n = 4) level signals at eight 78Mbps speeds of BTL level and converts them into TTL level in the receiving direction. To perform the dysfunction.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is a function unit for terminating or forming 12 AU3 signals included in the STM-4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31 with eight 78 Mbps (STM-4 signal capacity) TTL signals. The VC3 signal processing units 33, 34, 35, and 36 are divided into four identical functional units in which the signal capacity of one VC3 signal processing unit is STM-1, as shown in the module structure diagram. Since the STM-1 signal includes three VC3 signals, one VC3 signal processing unit 33 to 36 is three TU1 signal processing units each processing one VC3 signal capacity in order to reduce implementation complexity and reduce operation repetition. The interface speed between the AU3 signal processor 32 and the TU1 time switching unit 37 is a 19.44 Mbps signal that maintains a clock of synchronous hierarchy, and is a signal obtained by sequentially byte multiplexing three TU signal processor output signals.

한 개의 VC3 신호의 7개 TUG-2 내에는 28개의 TU11신호를 포함하거나 21개의 TU12 신호가 포함되므로, AU3 신호속도로 접속되는 각각의 TU1신호처리부(331, 332, 333)는 VC3 신호내에 포함된 28개의 TU11신호 및 21개의 TU12신호의 포인터를 해석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TU11 신호 및 TU12신호를 혼용으로 스위칭하기 위하여 AU3 신호속도의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TU1 시간 스위칭부(37)는 T-S-T 구조의 전/후단 시간 스위치와 공간 스위치 중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용한다. TU1신호의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 수행시 스위치 내부에서 신호의 블로킹(Blocking)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타임슬롯의 수를 2C-1 만큼 확장하면 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TU1 스위치 정합모듈에서는 2개의 플레인(Plane)으로 구성된다.Since seven TUG-2s of one VC3 signal include 28 TU11 signals or 21 TU12 signals, each TU1 signal processor 331, 332, and 333 connected at the AU3 signal rate is included in the VC3 signal.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analyzing pointers of 28 TU11 signals and 21 TU12 signals, and has a new frame structure of AU3 signal rate in order to switch TU11 and TU12 signals mixed. The TU1 time switching unit 37 accommodates the front / rear time switch function among the front / rear time switch of the T-S-T structure and the space switch. In order to prevent blocking of the signal inside the switch when the front / back time switch function of the TU1 signal is performed, the number of timeslots can be extended by 2C-1. Plane).

TU11 신호 및 TU12 신호를 혼용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본 발명에 위한 TU1 스위치 정합모듈의 구성기능과 신호프레임 및 신호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면, AU3 신호처리부(32)의 주요기능은 수신신호에 있어서 AU3신호 정합부(31)를 통하여 수신된 STM-4 신호에 대하여 프레임내 SOH(Section OverHead)에 포함된 12개의 AU3 신호에 대하여 각각의 포인터를 해석하여 VC3 프레임의 시작점을 추출한다. 포인터 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12개의 VC3 신호는 3개의 VC3 신호를 한 그룹으로 하는 STM-1 신호용량의 4개 신호그룹으로 분리하였으며, 각 신호그룹은 SDH 기반의 동기클럭을 유지하고 구현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155.52Mbps의 STM-1 신호를 기본으로 하였다. 3개의 VC3 신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한 신호프레임 구조를 제4도에 나타내었으며, 신호프레임 구조는 3개의 VC3 데이터가 다중화되는 구조로서 28개의 TU11신화와 21개의 TU12 신호를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VC3신호가 하나의 페일로드(Payload)로 수용되는 51.84Md/s의 전송신호로 VC3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였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signal frame and signal structure of the TU1 switch mat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witching the TU11 signal and TU12 signal mixed, the main function of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is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in the received signal The start point of the VC3 frame is extracted by analyzing the respective pointers of the 12 AU3 signals included in the section overhead (SOH) in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STM-4 signal received through (31). The 12 VC3 signals extracted by the pointer method were divided into 4 signal groups of STM-1 signal capacity, which consist of 3 VC3 signals as a group, and each signal group maintains SDH based synchronization clock and simplifies implementation. The frame structure is based on the STM-1 signal of 155.52Mbps. The signal frame structure of three VC3 signals as one group is shown in FIG. 4, and the signal frame structure is a structure in which three VC3 data are multiplexed to easily accommodate 28 TU11 myths and 21 TU12 signals. The VC3 frame structure was changed to a 51.84 Md / s transmission signal in which a signal is accommodated as a single payload.

AU3 신호처리부(32)와 VC3 신호처리부(33) 사이에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는 다중화된 VC3신호를 구별하여 하나의 VC3신호를 수용하는 TU1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위하여 추출된 VC3 프레임의 시작점을 지시하는 8KHz 신호와, 변경된 프레임 구조에서 VC3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만 인에이블되는 VC3 클럭 인에이블 신호인 갭이 있는(Gapped) 6.264MHz 신호가 요구된다. 따라서, VC3 프레임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8MHz는 제4도와 같이 각각 출력하지만 VC3 클럭 인에이블 신호와 VC3 데이터는 3개가 다중화되어 출력된다.The signal interfaced between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and the VC3 signal processing unit 33 distinguishes the multiplexed VC3 signals and indicate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tracted VC3 frame for the operation of the TU1 signal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one VC3 signal. A Gapped 6.264 MHz signal is required which is a signal and a VC3 clock enable signal that is only enabled for the VC3 frame portion in the modified frame structure. Therefore, 8 MHz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the VC3 frame is output as shown in FIG. 4, but three VC3 clock enable signals and three VC3 data are multiplexed and output.

AU3 신호처리부(32)에서 송신방향의 신호에 대해서는 STM-1 크기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8KHz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역다중 한 후, VC3 신호를 각각에 대하여 포인터값을 삽입하며, 다중된 STM-1급의 데이터(8x19.44Mbps)가 총 4개 입력되므로 모두 12개의 AU3 신호를 형성한다.The AU3 signal processor 32 demultiplexes the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of the STM-1 size based on the 8KHz signal, inserts a pointer value to each of the VC3 signals, and multiplexes the STM-1. A total of four levels of data (8x19.44Mbps) are input, forming all 12 AU3 signals.

8개의 19.44Mbps 속도는 하나의 VC3 신호처리부(33)에 포함된 3개의 TU1신호처리부(331, 332, 333)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단순 바이트 다중된 형태이며, 이의 시작점을 지시하는 8KMz 신호와 같이 입력된다. 이 경우 각 TU1 신호처리부(331, 332, 333)에서 출력되는 송신방향의 프레임 포맷 역시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였으며, 이의 프레임 구조는 VC3 신호처리부에서 설명하는 제5도를 기준으로 하여 구성된다.Eight 19.44 Mbps speed is a simple byte multiplexed form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three TU1 signal processing units (331, 332, 333) included in one VC3 signal processing unit 33, such as 8KMz signal indicating the starting point Is entered. In this case, the frame format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output from each TU1 signal processor 331, 332, 333 is also changed to maintain synchronization, and the frame structure thereof is based on FIG. 5 described in the VC3 signal processor. It is composed.

VC3 신호처리부(33∼36)는 수신방향에 대해서는 제4도의 프레임 구조인 19.44Mbps의 신호속도로 AU3 신호처리부(32)와 접속되며, AU3 신호처리부(32)로부터 수신 VC3 프레임 옵셋신호, VC3 클럭 인에이블 및 VC3 데이를 입력받아 VC3 신호의 경로 오버헤드를 종단한다. 한 개의 VC3 신호 처리부(33)의 용량은 3개의 VC3급 신호를 수용하는 STM-1급으로 3개의 TU1 신호처리부(331, 332, 333)로 구성되며, TU 신호처리부는 한 개 VC3신호에 다중화된 7개 TUG-2 신호내에 포함된 28개의 TU11신호 또는 21개의 TU12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TU11/TU12 신호 각각에 대하여 포인터 해석기능을 수행하고, VC11/VC12 신호에 대한 경로 오버헤드 감시기능 및 언이큅드(Unequipped) 신호에 대한 신호 레이블(Signal label) 값의 삽입기능을 수행한다. 이들 기능이 수행된 VC1 신호들을 수신클럭으로 포인터 버퍼에 쓴 후, 송신클럭으로 읽으면서 포인터 값을 재생성하여 TU1 신호들을 정렬한다. 정렬된 TU1 신호들은 제6도와 같은 신호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전/후단 시간 스위칭부(34)와 접속되며, 전/후단 시간 스위칭부와는 8×19.44Mbps의 신호속도로서 접속신호 프레임은 제6도에 보인 신호 프레임 3개를 순차적으로 단순 다중화한 STM-1 전송속도의 9×270 프레임 구조가 된다.The VC3 signal processing units 33 to 36 are connected to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at a signal rate of 19.44 Mbps, which is the frame structure of FIG. 4 in the receiving direction, and receives the VC3 frame offset signal from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32 and the VC3 clock. The enable and VC3 days are received to terminate the path overhead of the VC3 signal. The capacity of one VC3 signal processor 33 is STM-1 class that accommodates three VC3-class signals, and consists of three TU1 signal processors 331, 332, and 333, and the TU signal processor is multiplexed onto one VC3 signal. By demultiplexing 28 TU11 signals or 21 TU12 signals included in the 7 TUG-2 signals, the pointer analysis function is performed on each of the TU11 / TU12 signals, and the path overhead monitoring function for the VC11 / VC12 signals is determined. This function inserts a signal label value for an unequipped signal. After the VC1 signals having these functions are written to the pointer buffer as the reception clock, the VC1 signals are aligned by regenerating the pointer value while reading the transmission signal as the transmission clock. The aligned TU1 signals are connected to the front / rear time switching unit 34 using the signal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6, and the access signal frame is the sixth signal rate of 8 × 19.44 Mbps to the front / rear time switching unit. A signal structure of 9 x 270 at the STM-1 transmission rate is obtained by sequentially multiplexing three signal frames shown in FIG.

VC3 신호처리부(33)의 송신방향에 대한 기능은 TU1 신호 스위칭부에서 출력되는 다중화된 21개의 TU12 수신신호 또는 28개의 TU11 신호에 대하여 VC3 경로 오버헤드를 삽입후 AU3 신호처리부로 출력한다. 이 경우 각 TU1 신호처리부(331∼333)에서 출력되는 송신방향의 프레임 포맷 역시 AU3 신호처리부와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51.84Mbp/s 의 AU3 전송속도로 변경하였으며, 프레임의 시작점을 표시하는 8KHz 신호를 전송한다. AU3 신호처리부와의 접속속도는 19.44Mbps로서 제5도와 같이 3개의 TU 신호처리부 신호를 단순 다중화하여 형성하며, TU11 신호에 있어서도 28개의 TU11 신호에 대하여 TU12 신호와 동일한 송신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of the VC3 signal processor 33 inserts the VC3 path overhead for the multiplexed 21 TU12 received signals or 28 TU11 signals output from the TU1 signal switching unit and outputs the VC3 path overhead to the AU3 signal processor. In this case, the frame format of the transmission direction output from each of the TU1 signal processing units 331 to 333 is also changed to an AU3 transmission rate of 51.84 Mbp / s to maintain synchronization with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Transmit 8KHz signal. The connection speed with the AU3 signal processor is 19.44 Mbps, which is formed by simply multiplexing three TU signal processors as shown in FIG. 5, and performs the same transmission function as the TU12 signal for the 28 TU11 signals in the TU11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TU 스위치 정합모듈이 VC3 신호에 포함된 TU11과 TU12 신호와는 무관하게 스위칭을 위한 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므로 시스템의 운영과 구현을 간단하게 한다. 또한 STM-1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AU 신호 스위치 모듈과 동기된 상태로 AU3 신호에 다중되어 있는 TU11 또는 TU12 신호들을 다중/역다중화하므로 클럭의 체계를 동기식계위로 통일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과 TU 스위치 정합모듈의 클럭체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광대역 회선 분배 시스템의 TU 스위치 모듈구조와 프레임 구조는 ASIC화하여 수용되어 있으며, TU11 및 TU12 신호의 혼용구조로 회선의 분배/분기기능이 요구되는 DXC 시스템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TU 스위치 정합모듈이 VC3 신호에 포함된 TU11과 TU12 신호와는 무관하게 스위칭을 위한 신호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므로 시스템의 운영과 구현을 간단하게 하고, 동기식 계위의 클럭을 사용하여 구현상의 복잡성을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과 TU스위치 정합모듈의 클럭체계를 단순화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matching function of a signal for switching irrespective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included in the VC3 signal, thereby simplifying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TU11 or TU12 signals multiplexed to the AU3 signal are multiplexed and demultiplex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U signal switch module based on the STM-1 signal, so that the clock system can be unified in the synchronous hierarchy so that the entire system and the TU switch can be unified. The advantage is that the clock system of the matching module can be simplified. The TU switch module structure and frame structure of the proposed broadband circuit distribution system are accommodated by ASIC, and it will be usefully applied to the DXC system requiring the distribution / branching function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Since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matching function of the signal for switching irrespective of the TU11 and TU12 signals included in the VC3 signal, the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re simplified, and the clock of the synchronous hierarchy is implemented. By eliminating the complexity, the clock system of the entire system and the TU switch matching module is simplified.

Claims (5)

수신방향으로 STM-n급 신호를 BTL 레벨의 소정개수의 78Mbps 속도로 수신하여 TTL 레벨로 변환하며 송신방향에 대하여는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정합부, 상기 STM-n급 신호에 포함된 n×3개의 AU3 신호를 포인터 처리하여 종단하거나 형성하며 상기 AU3신호정합부와 소정개수의 78Mbps TTL 신호로 접속되며 AU 신호를 처리하여 VC신호로 변환하거나 역기능을 수행하는 AU3 신호처리부, 상기 AU3 신호처리부와 19.44Mbps의 신호로 접속되어 VC 신호에 포함된 TU 신호를 역다중하거나 다중화하여 TU 포인터 처리를 수행하는 VC3 신호처리부, 및 T-S-T 구조의 전/후단 시간 스위치 기능을 수용하는 TU1 시간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AU3 signal matching unit which receives STM-n level signal at a certain number of 78Mbps of BTL level in the receiving direction and converts it into TTL level, and performs a reverse function in the transmitting direction, and n × 3 signals included in the STM-n level signal AU3 signal processing unit for terminating or forming an AU3 signal and terminating or forming the AU3 signal matching unit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78 Mbps TTL signals, and converting the AU signal to a VC signal or performing a reverse function, and the AU3 signal processing unit and 19.44 Mbps A VC3 signal processor for demultiplexing or multiplexing a TU signal included in the VC signal to perform TU pointer processing, and a TU1 tim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 front / rear time switch function of a TST structure;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mixed line distrib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U3 신호처리부와 상기 VC3 신호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 속도는 동기식 계위의 클럭을 유지하는 19.44Mbps 신호로 만들기 위하여 고정채움 비트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2. The TU11 / TU12 mixed circuit distribution sche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speed between the AU3 signal processor and the VC3 signal processor is a fixed fill bit signal to make a 19.44 Mbps signal for maintaining a clock of a synchronous hierarchy.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AU3 신호속도로 접속되는 각각의 상기 TU1 신호처리 수단이 인에이블 신호와 8KHz 기준클럭을 이용하여 VC3신호 내에 포함된 28개의 TU11 신호 및 21개의 TU12 신호의 포인터를 혼용으로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11/TU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TU1 signal processing means connected at an AU3 signal rate is used to interpret a pointer of 28 TU11 signals and 21 TU12 signals included in a VC3 signal using an enable signal and an 8 KHz reference clock.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2 line distribu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U1 시간 스위칭부가 2개의 플레인(Plan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The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mixed line distribu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1 time switching unit comprises two pla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C3 신호처리부가 각각 하나의 VC3 신호용량을 처리하는 세 개의 TU1 신호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U11/TU12 혼용 회선분배를 위한 TU 스위칭 정합장치.The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C3 signal processing unit is composed of three TU1 signal processing units each processing one VC3 signal capacity.
KR1019960068947A 1996-12-20 1996-12-20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KR100216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947A KR100216515B1 (en) 1996-12-20 1996-12-20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947A KR100216515B1 (en) 1996-12-20 1996-12-20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68A KR19980050168A (en) 1998-09-15
KR100216515B1 true KR100216515B1 (en) 1999-08-16

Family

ID=1948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947A KR100216515B1 (en) 1996-12-20 1996-12-20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5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16B1 (en) * 2001-09-04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read/write address of channel switch in a 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68A (en)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580A (en) Processor device for terminating and creating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JP3663253B2 (en) Multiplex transmission equipment
US7173930B2 (en) Transparent flexible concatenation
US6556593B1 (en) Digital cross connect and add/drop multiplexing device for SDH or SONET signals
US5465252A (en) Method for receiving and delivering section overheads of and for STM-1 signals in a section-overhead server of a network node
US5267239A (en) Cross-connect method for STM-1 signals of the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hierarchy
CN10116728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ous switching of optical transport network signals
US6256326B1 (en) Pseudo-synchronization prevention method in SDH transmission mode, pseudo-synchronization preventing SDH transmission system, and transmitter-receiver in pseudo-synchronization preventing SDH transmission system
US6870877B2 (en) Transmission unit and two-way signal conversion method
US7353288B1 (en) SONET/SDH payload re-mapping and cross-connect
CA2024215C (en) Cross-connect method for stm-1 signals of the synchronous digital multiplex hierarchy
US7526197B2 (en) Utilizing the protecting bandwidth in a SONET network
US20010053146A1 (en) Processor device for terminating and creating synchronous transport signals
KR100216515B1 (en) TU Switching Matching Device for TU11 / TU12 Hybrid Line Distribution and Its Signal Configuration Method
US6915348B1 (en) Valid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arbitrary end-point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an augmented SPE
KR100198438B1 (en) Apparatus for arranging signal frame and surveying signal
KR0179505B1 (en) Frame Aligner for TUI Signals for Slow Switching
KR100195063B1 (en) Ring Alarming Method in Branch Coupling Network of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Device
JPH05336066A (en) Repeating installation
KR100263383B1 (en) Add/drop unit in a fiber loop carrier system
KR0168908B1 (en) Circuit for stm-4 signal access for sdh dxc
KR0179502B1 (en) Time switch connection circuit
KR100237475B1 (en) An apparatus for requesting to switch a remote aumux unit in synchronous transmission system
KR0171763B1 (en) Other Short Circuit Path Configuration Method Using F1 Byte in Synchronous Transmission Device
Thompson et al. Exploitation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features to provide multidestination satellit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