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856B1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4856B1 KR100214856B1 KR1019960077706A KR19960077706A KR100214856B1 KR 100214856 B1 KR100214856 B1 KR 100214856B1 KR 1019960077706 A KR1019960077706 A KR 1019960077706A KR 19960077706 A KR19960077706 A KR 19960077706A KR 100214856 B1 KR100214856 B1 KR 100214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conductive
- electrostatic discharge
- gate
- semiconducto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9/00—Aspects of integrated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84/00 - H10D88/00
- H10D89/6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 H10D89/60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 H10D89/81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using FETs as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4)
- 상부에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제1전도형 반도체 기판; 상기 필드 산화막 한 측의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 양 측의 기판에 형성된 제2전도형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구비한 트랜지스터; 상기 필드 산화막의 다른 측 기판에 형성된 제1전도형 정전하 방전용 불순물 영역; 상기 기판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와 상기 불순물 영역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콘택홀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필드 산화막 상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트렌치를 구비한 제1절연막; 상기 트렌치에 매립된 제2전도형의 정전하 방전용 도전막 패턴; 상기 제1절연막 및 도전막 패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콘택홀을 공유함과 더불어 상기 도전막 패턴 상에 형성된 제3콘택홀을 구비한 제2절연막; 및, 상기 제1 내지 제3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와 상기 불순물 영역 및 도전막 패턴과 각각 콘택됨과 더불어 상기 제2절연막 상에서 서로 절연된 제1 및 제2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깊이는 1,000 내지 5,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필드 산화막과 동일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비정질 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패턴은 상기 제2배선층을 통하여 상기 불순물 영역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막은 TEOS막 또는 BPSG막 또는 TEOS막과 BPSG막의 복합막 중 선택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의 두께는 500 내지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은 TEOS막 또는 BPSG막 중 선택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형은 n형이고 상기 제2전도형은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전도형은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 제1전도형 반도체 기판 상에 필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 산화막 일 측의 상기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양 측의 기판에 제2전도형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여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 산화막 다른 측의 기판에 제1전도형 정전하 방전용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1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드 산화막 상의 제1절연막을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에 매립된 제2전도형 정전하 방전용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막 패턴 및 상기 제1절연막 상에 제2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및 불순물 영역과 상기 도전막 패턴을 소정 부분 노출시켜 제1 내지 제3콘택홀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3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게이트와 상기 불순물 영역 및 상기 도전막 패턴과 각각 콘택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절연막 상에서 서로 절연되도록 제1 및 제2배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막은 TEOS막 또는 BPSG막 또는 TEOS막과 BPSG막의 복합막 중 선택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1,000 내지 5,000Å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상기 필드 산화막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에 매립하도록 상기 제1절연막 상에 제2전도형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막을 상기 제1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에치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폴리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막은 비정질 실리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백은 화학 기계 연마 기술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의 두께는 500 내지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막은 TEOS막 또는 BPSG막 중 선택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선층은 상기 도전막 패턴과 상기 불순물 영역이 서로 접속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형은 n형이고, 상기 제2전도형은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전도형은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7706A KR100214856B1 (ko) | 1996-12-30 | 1996-12-30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7706A KR100214856B1 (ko) | 1996-12-30 | 1996-12-30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8382A KR19980058382A (ko) | 1998-10-07 |
KR100214856B1 true KR100214856B1 (ko) | 1999-08-02 |
Family
ID=1949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77706A KR100214856B1 (ko) | 1996-12-30 | 1996-12-30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14856B1 (ko) |
-
1996
- 1996-12-30 KR KR1019960077706A patent/KR1002148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8382A (ko) | 199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096609A (en) | ESD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ing a plurality of dummy gate electrodes as a salicide mask for a drain | |
KR100207302B1 (ko) |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
KR920004541B1 (ko) | 반도체 소자에서 식각베리어층을 사용한 콘택홀 형성방법 | |
EP0534631B1 (en) | Method of forming vias structure obtained | |
US5747383A (en) |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lines and stacked vias | |
US5073813A (en) | Semiconductor device having buried element isolation region | |
KR100214856B1 (ko)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EP0087472A4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TACT ON REGIONS OF SEMICONDUCTOR SUBSTRATES. | |
KR100314473B1 (ko) |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 |
JP3932443B2 (ja) | 半導体素子 | |
KR20010053237A (ko) |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제작 방법, 그리고 집적 회로 제작 방법 | |
KR100259075B1 (ko) |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
JP3129703B2 (ja) | Mosトランジスタを備えた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204425B1 (ko) | 정전하 방전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289661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100462365B1 (ko) | 매몰 트랜지스터를 갖는 고전압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79262B1 (ko) | 에스오아이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010004602A (ko) | 이중 실리콘 모스펫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06050B1 (ko) |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 |
KR20000039307A (ko) | 반도체장치의 콘택 형성방법 | |
JP2828089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0317333B1 (ko) |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
JP2006351998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 |
KR20000045290A (ko) | 에스오아이 기판의 디램 디바이스 형성방법 | |
KR20000046947A (ko) | 아날로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4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