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4056B1 - 사출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 Google Patents

사출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056B1
KR100214056B1 KR1019920008536A KR920008536A KR100214056B1 KR 100214056 B1 KR100214056 B1 KR 100214056B1 KR 1019920008536 A KR1019920008536 A KR 1019920008536A KR 920008536 A KR920008536 A KR 920008536A KR 100214056 B1 KR100214056 B1 KR 10021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alkyl
carbon atoms
methyl methacrylate
am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289A (ko
Inventor
토마스 케시디 로버트
스테판 콜로드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마크 에스. 아들러
롬 앤드 하스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 에스. 아들러, 롬 앤드 하스 캄파니 filed Critical 마크 에스. 아들러
Publication of KR92002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0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2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based on poly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중합체 사출성형물에 구조식 R1-CO-NH-R2를 갖는 아미드 이형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을 개선시킨다.
단,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각각이 탄소원자수 9∼30를 갖는 같거나 다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칼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본 발명은 개선된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합체 상출성형물질에 특정 아미드 이형제(mold release agent)를 주입함으로써 금형 표면에 이형제 흡착이 없거나 성형된 부품의 표면에 이형제 피막이 없이 물품을 사출성형 할수 있으며 가동기간이 길고 성형된 물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자신 혹은 다른 물질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물질을 탈착제(abherent)라고 한다.
탈착제와 유사한 용어로는 이형제, 분리제, 안티블록킹제, 슬립조제, 및 외부 윤활제등을 들 수 있다.
정적 조건하에서 탈착제인 많은 물질들은 동적 응력하에서 윤활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탈착제는 건조분말(밀가루, 활석), 건조필름(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탄화수소왁스) 혹은 습윤 필름(실리콘 오일, 땅콩유)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을 사용하는 주요 산업분야는 주조, 성형, 표면 릴리이스 코팅, 트랜스퍼 코팅 및 포장등이 있다.
탈착제를 필요로하는 것으로는 음식물, 과자, 주물, 고무, 중합체, 유리, 프린팅, 가구, 포장, 감압테이프 및 트랜스퍼 코팅물 등이 있다.
중합체 처리기술의 성장 및 자동화가 증대함에 따라 이같은 탈착제의 상업적 이용이 크게 확산되었다.
이형제는 그 흡착이 방지되어지는 2가지 물질중 최소 하나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불확성일 것을 필요로한다.
이형제의 사용온도가 중요하다.
저분자량 이형제는 휘발성이 있으며 몇몇 이형제는 고온에서 산화되거나 분해되어 표면에 접착성을 부여한다.
이형제 시스템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요인이 제조 및 소비자의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유독성과 이에 관련된 안전요인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식품, 의약이나 화장품과 접촉하는 어떠한 성형물품에 대하여도 FDA 허가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표준 코팅방법 및 분무, 분말 뿌리기, 침지, 분말코팅 등으로써 금형표면에 가해진다.
이같은 이형제는 또한 성형물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중합물질내에 첨가제로써 주입될수도 있다.
이 이형제는 중합물질과 혼화성이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화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이형제는 배어나와서 주형표면에 흡착되거나 사출성형된 물품의 표면을 열화시켜서는 안된다.
이형제는 주조, 성형 및 가공등 많은 산업조업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실리콘, 왁스, 스테아르산의 금속염, 이형지(release paper), 셀루로오즈 유도체, 몇몇 폴리올레핀 물질 및 기타 유기 및 무기 물질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형물질이 수년간 여러가지 이형목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지방산 비스-아미드(bis-amides),, 지방산 알콜 및 알킬렌디아민을 기초로 한 합성왁스들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중합물질과 제한된 혼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서, 이들이 윤활 및 이형제로 사용되어 왔다.
전형적으로 이들 아미드 이형제는 예를들어 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등과 같은 저급 알킬아미드이다.
지방산 아미드의 피막이 이형제로써 여러 가지 배합물로 부터 침적된다.
아미드 용액은 통상 성형조업사이에 주형표면으로 분사된다.
성형된 고무 제품에 있어서, 아미드 첨가제는 경화 하기전에 고무혼합물에 첨가되어 경화를 도울수 있으며 그 결과 기계적 성질이 개선된다.
이형제의 첫 번째 목적은 주형표면으로 옮겨가서 가동(run)을 연장시키고 성형조업을 빨리하는 것이다.
이 이형제는 주형표면에 손상을 주어서는 아니되며 가공이 끝난 성형수지물의 표면이 양호하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내부 이형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은 주형표면과 성형물품상의 빌드-업(build-up)이다.
성형된 수지제품의 표면을 이용가능한 표면으로 유지하기 위하여는 주형의 빌드-업을 자주 닦아내어야 한다.
이로인하여 작업은 늦어지게 되며 또한 제품 표면검사에 합격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형이탈이 쉽고 성형되는 수지 중합체와 혼화성이 있으며 양호한 표면을 갖는 성형제품을 제공하는 내부이형제가 요구되는 것이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글루타르아미드 단위체를 갖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이들중 어느것과 다른 여러가지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물질과의 혼합물에 대하여, 이들 중합체 혼합물에 성형전 R1-CO-NH-R2구조를 갖는 아미드를 주입시킴으로써 관찰하였다.
단, 상기식에서 R1과 R2는 같거나 다른 알킬, 알케닐 래디컬, 예를들어 탄소원자수 9∼30을 갖는 래디컬,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15∼20의 알킬 혹은 알케닐이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특히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된 저급 알킬에스테를 약 0.5∼15 중량 퍼어센트 함유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가 양호한 청명도, 적절한 인성(toughness) 및 높은 사용온도를 갖는 고품질 사출성형물용 기초 중합체로써 다년간 사용되었었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로부터 제조된 이 성형가능한 중합체 물질은 예를들어 100∼85중량%를 포함하며, 0∼15중량%의 에틸아크릴레이트나 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분자량이 약 50,000∼300,000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MMA/EA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약 80,000∼170,000이다.
최근에는 하기 구조식을 갖는 글루타르이미드 중합체가 알려졌다.
단,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각각, 수소와 치환되었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20알킬, 아릴, 알카릴이나 아랄킬, 혹은 이들의 혼합물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존재하는 치환체는 메틸, 에틸, 히드록실, 에톡시, 할로, 카복실 및 에틸카보닐에서 선택되며, n은 0∼1의 정수이며, 이미드화 정도는 최소 1%이다.
이들 글루타르이미드 중합체는 고온에서의 변형에 대하여 저항성을 갖는 등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특성으로 인해 글루타르이미드 중합체는 사출성형된 물품용으로 아주 유용한 것이다.
이 글루타르이미드 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공중합체나 혹은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의 중합체나 공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들과 혼합되면 광학적 사용을 위한 고품질 성형 파우더가 된다.
이들 성형파우더는 이형제와 함께 사용되면 레이저 디스크 물질을 성형하는데 아주 좋은 것이다.
바람직한 것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소량의 거의 어떠한 종류의 메타크릴레이트나 아크릴레이트 같은 단량체 혼합물을 유기 과산화물 개시제 및 메르캅탄 연쇄 전달제와 함께 사용하여 연속 벌크 공정으로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혼합물은 반응되어 약 50% 변환되며, 이 중합체-단량체 혼합물은 탈휘발압출기, 2-스크류 압출기가 바람직함, 로 보내져서 잔류 단량체가 제거되고 이형제를 포함한 기타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필요하면 단량체 혼합물에 스티렌 단량체 또한 포함될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서스펜션 중합, 용액중합, 에멀션 중합이나 벌크 주조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수 있다.
이형제는 어떠한 공지의 방법으로 사출성형물질내에 편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제를 펠릿형성 단계 직전에 사출성형물질에 혼합하는 것이 좋다.
메틸메타크릴 중합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나 이미드 중합체라고도 하는 글루타르이미드 단위체를 갖는 중합체, 폴리글루타르이미드나 이미드화 아크릴 중합체는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 혹은 기타 입자나 비교적 적은 과립형태로 될수 있는 성형물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될수 있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글루타르이미드 성형파우드 및 펠릿은 여러등급 및 크기로 사용가능하다.
이들 성형 파우더는 플라스틱업계에서 압출이나 사출 성형공정에 사용된다. 가장 흔한 형태의 성형파우더는 3.2mm 펠릿이며, 미세한 비드(beads) 및 과립화된 파우더 역시 판매되고 있다.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사용되는 아미드 이형제는 식 R1-CO, NH-R2를 갖고, 여기서 R1과 R2는 같거나, 다른 C9∼C30알킬이다. 바람직한 것은 R1과 R2가 알킬 혹은 알케닐이고 탄소원자를 15∼20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이형제는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를 지배량 포함하는 지방산 아미드의 혼합물이다.
이 지방산 아미드는 알려져 있거나 혹은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과 그 혼합물로부터 공지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알킬 래디컬이 유도될수 있는 포화지방산은 카프르, 라우드, 미르스트, 팔미트, 스테아르, 아라키드, 베헨, 리그노세르, 세로트산등이다.
알케닐 래디컬이 유도될수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 올레, 리시놀레, 페트로세린, 왁센, 리놀레, 리놀렌, 에레오스테아르, 푸닉, 리칸, 파라나르, 가돌레, 아라키돈, 5-에이콘센산 등이다.
혼합된 지방 아미드는 또한 팜유(palm oil) 및 올리브유와 같이 고함량의 C16∼C20지방산을 갖는 오일로부터도 제조될수 있다.
아민 소스(sources)는 탄소원자 10∼30을 갖는 클로로-히드록시, 혹은 술폰산 알칸이나 알케닐 화합물에 암모니아를 작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방법은 평균분자량 약 50000∼300000, 바람직하게는 80000∼170000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부터 유도된 사출성형가능한 중합물에 식 R1-CO-NH-R2아미드 이형제를 이형유효량 혼합한후 (단, 여기서 R1과 R2는 탄소원자 9∼30의 같거나 다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킬이다.) 이 성형가능한 중합물을 사출성형물품으로 사출성형하여 그 물품을 금형에서 제거하여 얻은 사출성형물품을 개선시킨다.
이 방법은 분자량 약 80000∼120000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물질로부터 비디오 디스크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지방산 아미드 이형제는 여러 소스에서 파우더나 풀레이크 형태로 얻을수 있다.
이들은 과도한 분해없이 245℃의 공정온도를 견딜수 있다.
바람직한 이형제는 지방산아미드의 혼합물이며 거의 C16∼C18산의 아미드를 포함한다.
이들은 대부분 내부식성, 방염성이다.
본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아크릴 성형파우더 중합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50∼100 중량% 포함하고, 나머지는 유리질 온도가 약 25℃이상이며 폴리불포화 단량제 유니트를 포함하지 않고 평균 분자량이 약 50000∼300000인 예를들어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같은 아크릴레이트 혹은 메타크릴레이트인 중합체를 가르킨다.
아크릴 성형파우더는 파우더, 펠릿, 과립형등 주형내에서 성형파우더를 가열하거나 용융된 아크릴 물질을 주형내로 사출하여 성형물품을 제조하는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중합체 성형조성물은 R1-CO-NH-R2구조를 갖는 이형량의 이형제(mold releasing amount of release agent)를 포함하며, 여기서 R1과 R2는 탄소원자수 9∼30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칼로 부터 선택된다.
이미드 유니트를 포함하는 중합체(폴리글루타르이미드)와 폴리글루타르이미드와 다른 중합체의 중간 중합체(interpolymer)와 공중합체는 알려져 있다. 이들 중합체들은 어떠한 형태일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과립형으로 이용가능하다.
혼합물상태의 중합체는 별도로 제조되고, 별도로 분리되어 고체형으로 된후 고체상태로 혼합되어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압출기내에서 균일한 혼합물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는 공지의 방법, 예를들어 서스펜션, 벌크, 용액 혹은 에멀션 중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 펠릿 혹은 과립의 크기는 다양하게 변화될수 있다.
필요하면 몇몇 다른 UV 안정화제가 성형파우더/펠릿에 포함될수 있다.
자외선 안정화제는 중합체와 기타 감광성 물질이 태양광 및 인공 자외선 광원에의해 열화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무색의 혹은 거의 무색의 유기물질이다. 안정화 메카니즘은 UV를 흡수하고, 자유래디컬을 포착하고 광여기된 발색단을 급냉시켜 얻어질수 있다.
UV 안정화제로는 2-히드록시변조페논,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힌더 아민 광 안정화제(HALS)를 포함한다.
성형 파우더/펠릿에 사용하는 기타 UV흡수제는 메틸 살리실레이트이다. 아크릴 성형파우더 혹은 성형파우더/펠릿의 혼합물은 이미 알려진 충격조절제, 안료, 착색제, 충진제 및 기타 다른 것을 또한 포함할수 있다.
충격조절제는 통상 최소 1단계에서 교차결합되고 혼합에 의해 아크릴매트릭스에 더해진다.
이형제는 중합체 성형파우더 혹은 펠릿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퍼센트∼15중량 퍼어센트 량으로 사용될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약 0.1 중량%∼-0.5중량%만큼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아미드를 이용한 이형(Mold Release) 시험]
용융물 흐름속도(MFR)가 약 3g-10min, 조건 I로써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약 0.30중량%의 지방 아미드, R1-CONH-R2이형제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서 조건 I은 용융온도 230℃, 가해진 압력 3.8kg을 가르킨다.
이형제는 탄소원자수 16∼18인 지배량의 알킬 래디컬을 갖는 지방 아미드였으며 펠리트화직전에 분자량이 약 105000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성형파우더와 혼합하였다.
그리고나서 그 중합물을 광학 렌즈디스크 주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였다. 45시간의 연속조작후 아무런 부착물을 검출하지 못했다. 모든 부품이 주형표면에 부착됨이 없이 쉽게 주형으로부터 이탈되었다.
[비교예 1-스테아릴 알콜을 이용한 이형시험]
이형제로써 약 0.30 중량% 스테아릴 알콜을 포함하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MFR이 3g-10min 및 조건 I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주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하였다.
성형후 불과 몇시간이 경과하자 프레이트-아웃(plate-out) 형태(혹은 브러쉬 형태)의 주형 부착물이 관찰되었다.
MFR(ASTM D-128)은 g/10min로 표시되는 용융점도의 측정값이다.
이 시험은 펠릿을 가열실린더내에 넣고 그 용융물에 주어진 압력을 가하여 수행된다.
그후 실린더바닥의 구멍으로부터 스트랜드(strand)가 압출된다.
조건 I은 특정온도 및 특정압력을 의미한다.
아크릴 성형파우더/펠릿에 대한 MFR은 전형적으로 약 1∼30 gm/10min이다.
[실시예 2-아미드를 이용한 이형시험]
MFR이 약 20gm/10min, 조건 I로써 약 0.30 중량% 이형제를 함유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레이져 디스크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정밀도 부품을 제조하는 주형/스탬퍼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였다.
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약 93000의 분자량을 가한다.
사용된 이형제는 탄소원자 16 및 주로 포함하는 알킬래디컬을 갖는 백색 파우더 지방 아미드엿다.
이를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성형물에 혼합하였다.
500 사출후에도 주형표면이나 주형의 부품에 아무런 부착물을 발견할수 없었다.
성형도중 어느때에도 스탬퍼에 부착하는 징후는 없었으며, 이는 이 플라스틱물이 뛰어난 이형어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비교예 2-스테아릴 알콜을 이용한 이형시험]
MFR이 약 20gm/10min, 조건 I이며, 이형제로써 약 0.25 중량% 스테아릴 알콜을 포함하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주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였다.
500 사출후 옅은 황갈색의 부착물이 주형 표면에서 검출되었다.
이 옅은 황갈색의 부착물은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다.
비교예 1 및 2는 널리 알려진 윤활제/이형제: 스테아릴 알콜,에 대하여 단지 500회 사출후 주형표면상에 부착물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와 같은 R1-CO-NH-R2아미드에 대하여는 동일조건하에서 아무런 주형부착물이 검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형제로써 R1-CO-NH-R2아미드가 사용된 실시예 1 및 2에서는 부품이 주형으로 부터 쉽게 이탈되고 이는 이중합체 사출성형물이 우수한 이형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아미드를 이용한 이형시험]
MFR이 약 20gm/10min이고 분자량이 약 93000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조건 I이며, 이형제로써 하기 표에 나타난 수준의 R1-CO-NH-R2아미드를 포함시켜 실시예2에 사용된것과 같은 주형을 사출성형하였다.
이들 부품의 성형도중 어느때에도 주형/스탬퍼에 부착되는 징후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이 플라스틱물질이 우수한 이형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17)

  1. 성형된 중합물에 구조식 R1-CO-NH-R2인 아미드를 유효이형량 만큼 혼합시킴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사출성형 방법. 단,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같거나 다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컬에서 선택되며, 각 래디컬은 9∼30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과 R2는 같거나 다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컬에서 선택되며, 각 래디컬은 15∼20 탄소원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는 중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1.5중량%만큼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는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글루타르이미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혹은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물품이 레이져 디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 약 100∼85 중량%를 포함하고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80000∼17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A) (1) 하기 구조식의 아미드 단위체를 포함하는 제1종합체와 (2) 평균 분자량이 약 80000∼150000이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서 유도된 단위체로 지배적으로 형성된 제2중합체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단, 상기 식에서 R1, R2및 R3는 수소, 치환되었거나 치환되지 않은 C1∼C20알킬, 아릴, 알카릴 혹은 아랄킬이나 이들의 혼합물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존재하는 어떠한 치환체는 메틸, 에틸, 히드록실, 메톡시, 에톡시, 할로, 카복실 혹은 에틸카보닐에서 선택되며, n은 0 혹은 1인 정수이고, 이미드화도는 최소1%이다.) (B) 주형으로 부터의 양호한 이탈을 위해 효과량의 구조식 R1-CO-NH-R2, 의 아미드와 함께 제1 및 제2 중합체를 혼합하는 단계: (단, 상기식에서 R1과 R2는 같거나 다른 알킬 혹은 알케닐래디컬일수 있으며, 각 래디컬은 약 10∼30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C) 상기 혼합물을 사출성형 물품으로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D) 그 물품을 주형으로부터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체 혼합물로 형성되는 물품의 사출성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합체는 약 90∼99.5중량의%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약 0.5∼10 중량%의 C1-C4알킬아크릴레이트 혹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나아가 안료, 토너, 열안정화제, 정전방지제나 자외선 안정제중 하나 혹은 그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R1-CO-NH-R2구조를 갖는 이형제를 이형효과량만큼 포함하는 중합체 성형조성물.
    단,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탄소원자수 9∼30을 갖는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칼로부터 선택된다.
  12. 제11항에 있어서, R1과 R2는 알킬 혹은 알케닐 레디칼이며, 각 래디칼은 탄소원자수 15∼2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성형조성물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체로 형성된 중합체, (b) 내부에 이미드 단위체를 갖는 중합체, (c) (a) 및 (b) 단독의 혼합물 혹은, (d) 다른 첨가제와 (a) 및 (b)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는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a) 0∼15중량%의 C1∼C4알킬아크릴레이트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b) 주형으로 부터 조성물의 양호한 이탈에 효과적인 량의 구조 R1-CO-NH-R2를 갖는 아미드(단, R1은 탄소 원자수 15∼19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칼이며, R2는 탄소원자수 16∼20인 알킬 혹은 알케닐 래디칼이다.) 를 포함하는, 성형후 성형된 물품이나 주형 표면상에 아무런 부착물을 남기지 않는 사출성형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내부에 글루타르이미드 중합체 단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20008536A 1991-05-21 1992-05-20 사출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214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344491A 1991-05-21 1991-05-21
US703,444 1991-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289A KR920021289A (ko) 1992-12-18
KR100214056B1 true KR100214056B1 (ko) 1999-08-02

Family

ID=2482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5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4056B1 (ko) 1991-05-21 1992-05-20 사출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515092B1 (ko)
JP (1) JP3201647B2 (ko)
KR (1) KR100214056B1 (ko)
AT (1) ATE139926T1 (ko)
CA (1) CA2068441A1 (ko)
DE (1) DE69211914T2 (ko)
ES (1) ES2089400T3 (ko)
TW (1) TW2154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153A1 (ko) * 2011-12-06 2013-06-1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16145T2 (de) * 1996-02-05 2003-06-12 Teijin Ltd., Osaka Biaxial orientierte Verbundfolie
JP6332073B2 (ja) 2015-02-13 2018-05-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GB201701817D0 (en) * 2017-02-03 2017-03-22 Lucite Int Speciality Polymers And Resins Ltd Polymer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871A (en) * 1982-05-10 1984-03-13 Rohm And Haas Company Imide-san polymer-blends
CA1202759A (en) * 1982-06-29 1986-04-08 Du Pont Canada Inc. Nylon film with improved slip characteristics and process therefor
IN161868B (ko) * 1984-05-28 1988-02-13 Mitsui Toatsu Chemic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153A1 (ko) * 2011-12-06 2013-06-1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289A (ko) 1992-12-18
DE69211914D1 (de) 1996-08-08
CA2068441A1 (en) 1992-11-22
TW215447B (ko) 1993-11-01
JPH05156076A (ja) 1993-06-22
EP0515092A2 (en) 1992-11-25
EP0515092A3 (en) 1993-04-21
ES2089400T3 (es) 1996-10-01
EP0515092B1 (en) 1996-07-03
ATE139926T1 (de) 1996-07-15
JP3201647B2 (ja) 2001-08-27
DE69211914T2 (de) 199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493B1 (ko) 침착물형성이감소되는그라프트중합체성형조성물
CA2659869A1 (en) Lubricious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3121070A (en) Thermally modified polymers of polypropylene and other polym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050014866A1 (en) Use of waxes as modifiers for fillers
KR100214056B1 (ko) 사출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성형조성물
US3299181A (en) Thermally modified polyethylene and other polym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S62277470A (ja) 合成樹脂用改質剤
US3235529A (en) Free flowing polystyrene powders containing 10-40% plasticizer
CA126297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3294532A (en) Hot melt composition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KR20240121230A (ko) 메타크릴계 수지 성형 재료, 수지 성형체, 차량용 부재, 주택 설비 부재, 광학 부재, 의료용 부재, 용기, 수지 성형체의 제조 방법
JPH05247311A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US6284823B1 (en) Antistatic acrylic resin composition
JP4062380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H04328108A (ja) 酸化ポリエチレンワックスのエステルおよび可塑性成形材料において滑剤として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H0439315A (ja) 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JPS63284264A (ja) 易滑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7091810A (ja) 押出成形品
KR960009932B1 (ko) 투명성과 슬립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2608937B2 (ja) 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
JPH06207074A (ja) メタクリル系樹脂成形材料
JPH0428748A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
JPH0567660B2 (ko)
US4104336A (en) Polyethylene modifiers for high nitrile polymers
JPH025094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605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6051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