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3870B1 -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870B1
KR100213870B1 KR1019960031723A KR19960031723A KR100213870B1 KR 100213870 B1 KR100213870 B1 KR 100213870B1 KR 1019960031723 A KR1019960031723 A KR 1019960031723A KR 19960031723 A KR19960031723 A KR 19960031723A KR 100213870 B1 KR100213870 B1 KR 10021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laser
mirror
photosensitive drum
foc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666A (ko
Inventor
박창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31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870B1/ko
Publication of KR98001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그 외의 광학기기에 사용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에 있어서, 특히 레이저 빔의 편차를 보정하여 그 초점이 감광드럼에 정확하게 결상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는 두 개의 반사거울을 이용하므로써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조정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주요 구성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부터 발사된 빛을 콜리메이트 렌즈 및 실린더리칼 렌즈를 통과 시키고, 제1밀러 및 제2밀러로 홀로그램 디스크를 통과시킨 후, 감광드럼에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홀로그램 디스크를 통과한 빛을 임의의 각도를 가진 채 반사면이 서로 대향진 한쌍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초점 조정기구를 통과 시키므로서 주사거리를 조정하여 감광드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구성를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초점 보정렌즈의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를 보인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상태도.
제5도는 본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이져 다이오드 2 : 콜리메이트 렌즈
3 : 실린더리칼 렌즈 4 : 홀로그램 디스크
5 : 제1밀러 6 : 제2밀러
7 : 초점 조정기구 8 : 감광드럼
71,72 : 반사거울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나 그 외의 광학기기에 사용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주사되는 레이저 빔의 편차를 보정하여 그 초점이 감광드럼에 정확하게 결상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홀로그램 주사장치는 제1도 도면에서 보듯이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a)로부터 발사된 빛을 실린더리칼 렌즈(b) 및 콜리메이트 렌즈(c)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조정한 다음 홀로그램 디스크(d)를 통과시켜 주사범위 및 주사성질을 바꾸어 감광드럼(e)에 결상시키게 된다.
이때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a)로부터 제1밀러(f), 또 제2밀러(f)로부터 제2밀러(g), 제2밀러(g)로부터 감광드럼(e)까지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거리는 항상 정확하게 조정되어 있어야만 즉, 감광드럼(e)상에 정확한 초점이 맞아야만 그 상이 선명하게 맺힐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이저 빔의 통과 거리가 항상 정확하도록 제1밀러(f) 및 제2밀러(g)등이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제1밀러(f)와 제2밀러(g)에 의해 홀로그램 디스크(d)를 통과함에 있어서, 상기한 홀로그램의 회전상태가 불완전할 때 예컨데 모터의 축에 진동이 있어 흔들린다든지 정확한 수평상태로 회전하지 못할 때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에 편차가 발생하였을 때 그 편차를 조정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 종래의 기구는 보정용 홀로그램(h)이 있다.
이 보정용 홀로그램(h)은 일측의 입사면(h1)과 반대쪽의 출사면(h2)이 평행하지 않고, 임의의 각도록 가진 투사체로서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길게 하고 싶을 때는 제2도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의 굴절거리를 짧게 하고, 반대로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짧게 하고 싶을 때는 제2도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의 굴절거리를 길게 하여 조정하는 것인 바, 이러한 보정용 홀로그램(h)은 상기한 입사면(h1)과 출사면(h2)의 가공이 어렵고, 그 재질이 고가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임의의 각도를 유지하는 두 개의 반사거울을 이용하므로써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조정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주요 구성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사된 빛을 콜리메이트 렌즈 및 실린더리칼 렌즈를 통과 시키고, 제1밀러 및 제2밀러로 홀로그램 디스크를 통과시킨 후, 감광드럼에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홀로그램 디스크를 통과한 빛을 임의의 각도를 가진 채 반사면이 서로 대향진 한쌍의 반사거울로 이루어진 초점 조정기구를 통과 시키므로서 주사거리를 조정하여 감광드럼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주사 방향의 예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주주사 방향의 예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 도면에서 보듯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레이저 빔의 주사 상태를 보면 먼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빛이 발사되면 콜리메이트 렌즈(2) 및 실린더리칼 렌즈(3)를 통과 시켜 특성을 조정하고, 이와 같이 조정된 빛을 홀로그램 디스크(4)를 투과시키되, 이때는 홀로그램 디스크(4)의 밑에 고정된 제1밀러(5)로써 홀로그램 디스크(4)로 보내고 홀로그램 디스크(4)를 통과한 빛은 제2밀러(6)로써 본 발명의 초점 조정기구(7)로 보낸다.
초점 조정기구(7)는 한쌍의 대향진 반사거울(71)(72)로 이루어 지는바, 이들이 마주하고 있는 사이로 빛을 보내면 네 번의 반사가 이루어진 후 반대방향의 감광드럼(8)을 향해 주사된다.
예컨데 도면상 아랫쪽에 위치한 반사거울(72)로 보내진 빛은 둔각의 상태로 1차 반사되어 여기에 마주하고 있는 윗쪽 반사거울(71)에 의해 예각의 상태로 2차 반사되며, 2차로 반사된 빛은 다시 아랫쪽 반사거울(72)에 의해 예각의 상태로 3차 반사되어 또 다시 윗쪽의 반사거울(71)에 보내지고, 윗쪽의 반사거울(71)에서는 둔각의 상태로 4차 반사되어 감광드럼(8)을 향해 주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초점 조정기구(7)에 있어서, 양쪽 반사거울(71)(72)의 반사상태가 상기와 같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은 대향하고 있는 각도가 0°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임의의 각도(θ)를 유지 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 상기와 같은 초점 조정기구(7)는 제5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반사거울(71)을 고정하고, 그 대향진 반사거울(72)을 상기한 반사거울(71)에 멀리 또는 가까이 이동시킬 수 있는 조절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을 구비하여야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초점 조정장치는 레이저 빔이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콜리메이트 렌즈(2) 및 실린더리칼 렌즈(3)를 통과하고, 제1밀러(5)와 제2밀러(6)에 의해 홀로그램 디스크(4)를 통과한 후 감광드럼(8)을 향해 주사될 때 그 주사거리를 초점 조정기구(7)로써 조정한다.
즉,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짧게 하고 싶을 때는 제5도의 가상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반사거울(71)(72)의 거리를 멀리 유지하여 빛의 굴절거리를 길게 하고, 반대로 레이저 빔의 주사거리를 길게 하고 싶을 때는 제5도의 실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반사거울(71)(72)의 거리를 가까이 하여 빛의 굴절거리를 짧게 하여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축의 정밀도가 떨어진다든지 홀로그램 디스크(4)의 수평회전이 정밀하지 못하여 레이저 빔의 초점이 정확하지 못해도 본 발명의 장치로 이를 보정하면 간단히 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로그램 디스크(4)를 투과한 레이저 빔을 감광드럼(8)에 주사시킬 때 그 주사 거리를 양측 반사거울(71)(72)의 간격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기구(7)로써 간단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홀로그램 디스크용 모터나 기타 주사장치의 정밀도가 낮아도 이를 보상하여 정확한 결상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레이저 다이오드(1)로부터 발사된 빛을 콜리메이트 렌즈(2) 및 실린더리칼 렌즈(3)를 통과 시키고, 제1밀러(5) 및 제2밀러(6)로 홀로그램 디스크(4)를 통과시킨후, 감광드럼(8)에 주사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한 홀로그램 디스크(4)를 통과한 빛을 임의 각도(θ)를 가진 채 반사면이 서로 대향진 한쌍의 반사거울(71)(72)로 이루어진 초점 조정기구(7)를 통과 시키므로서 주사거리를 조정하여 감광드럼(8)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초점 조정기구(7)의 한쌍의 반사거울(71)(72)은 서로 대향진 반사면의 각도가 0° 보다 크고 90° 보다 작은 범위내에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KR1019960031723A 1996-07-31 1996-07-3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723A KR100213870B1 (ko) 1996-07-31 1996-07-3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1723A KR100213870B1 (ko) 1996-07-31 1996-07-3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666A KR980010666A (ko) 1998-04-30
KR100213870B1 true KR100213870B1 (ko) 1999-08-02

Family

ID=1946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7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870B1 (ko) 1996-07-31 1996-07-31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8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666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601A (en) Single facet wobble free scanner
US4475787A (en) Single facet wobble free scanner
JPH04287011A (ja) 光走査装置及び該光走査装置を使用した記録装置
US4537465A (en) Apparatus with two input beams for generating optical scans
US4936643A (en) Light scanner
US44338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ptical scans
US6005703A (en) Optical system for light beam scanning
US4796965A (en) Optical scanning device
US4873435A (en) Laser beam scanning system
JP3334447B2 (ja) 光走査装置の光軸調整方法、光軸調整装置、及び光走査装置
JPH03179420A (ja) 光学装置
US4509819A (en) Optical beam pulse generator
US5532730A (en) Light beam scanning apparatus
KR100213870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용 홀로그램 주사장치의 초점 보정장치
JPH04282606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US5930020A (en) Beam scan device
JP2580824Y2 (ja) 焦点調整装置
US4829322A (en) Laser beam scanning apparatus
JPS62278521A (ja) 光ビ−ム走査装置
KR960009042Y1 (ko) 레이저빔 주사광학계의 빔 위치 조절장치
JPS6223014A (ja) 光学調整機構
KR940006346B1 (ko) 그린 렌즈를 이용한 레이저 빔 주사장치
JP2874806B2 (ja) 光学装置
JPH07181412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JPH03179416A (ja) 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