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3303B1 -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303B1
KR100213303B1 KR1019970009185A KR19970009185A KR100213303B1 KR 100213303 B1 KR100213303 B1 KR 100213303B1 KR 1019970009185 A KR1019970009185 A KR 1019970009185A KR 19970009185 A KR19970009185 A KR 19970009185A KR 100213303 B1 KR100213303 B1 KR 10021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water
heat exchanger
heat
fluidized b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721A (ko
Inventor
박영재
박상일
최경빈
하영진
박기호
고창복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최수현
재단법인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현, 재단법인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최수현
Priority to KR101997000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30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3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4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mbustion apparatus, e.g. for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부터 다량의 수증기를 함유한 배기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회수할 수 있는 전열관의 부식 가능성을 줄인 보일러 폐열회수용 열교환기로서 전열관 밑에 다공판을 설치하여 전열관 배열사이에 물유동층을 형성하므로서 배기가스와 물이 직접 접촉하여 열교환하게 되므로 전열면에서의 전열을 촉진하여 열교환기의 크기를 적게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일반 열교환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성수분의 반복적인 응축 및 건조에 의한 농축현상으로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작동시간 동안에 전열면을 물에 잠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물유동층을 형성시켜 주므로서 열교환기 전열관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본 발명은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로 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부터 효율적으로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내 부식성의 폐열회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열교환기의 전열관이 배열된 가스통로의 하부에 다공판을 설치하고 다공판위의 전열관 사이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배기가스가 다공판을 통과하면서 전열관 사이에 물 유동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물유동층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물과 직접 접촉하여 급속한 열전달로 인하여 배기가스와 물 유동층은 급속하게 열평형을 이룬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수분은 물 유동층에서 응축하게 되어 물 유동층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현열과 함께 다량의 잠열까지 효과적으로 회수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보일러로 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배기가스로 부터 효율적으로 폐열을 회수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보일러 배기가스의 폐열회수용 열교환기에서는 배기가스 내에 함유된 부식성의 염소성분이 열교환기의 전열면에 응축되어 부식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동시에 일반 열교환기에서는 열교환기의 상태변화에 따라 전열면에서의 염소성분을 함유한 산성수분의 반복적인 응축 및 건조에 의한 농축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일반 강관은 물론 스테인레스 강관을 사용한 전열관에서 부식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아니라 열교환기의 전열관이 배관된 사이로 배기가스가 직접 통과하게 되므로 전열면 사이의 열전달계수가 비교적 낮아 열교환기의 전열면의 크기가 커지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의 전열관이 배열된 가스통로의 하부에 다공판을 설치하고 다공판위의 전열관 사이에 물을 공급하므로서 배기가스가 다공판을 통과하면서 전열관 사이에 물유동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물유동층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물과 직접 접촉하여 급속한 열전달로 인하여 배기가스와 물 유동층은 급속하게 열평형을 이룬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수분은 물 유동층에서 응축하게 되어 물 유동층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현열과 함께 다량의 잠열까지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전열면 사이에 물 유동층이 형성되므로서 열교환기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전열면이 항상 물속에 잠겨 있게 된다. 따라서 산성수분의 농축으로 인한 전열관의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전열관 배열 상부에 물 유동층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 작동시간 도안에 급수관을 통하여 소량의 물이 자동으로 급수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수구로 배수시키므로서 물유동층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각동체 1a : 사각외동체
1b : 저면판 2 : 열교환 전열관
3 : 다공판 4 : 물방울 제거필터
5, 5a : 배기가스 유도통로 6 : 배기유도구
7 : 자동조절밸브 7a : 급수관
8 : 배기가스 배출구 9 : 바이패스관
10 : 배수구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을 실시예시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동체(1)의 내저부에 설치된 열교환 전열관(2)의 저면에 다공판(3)을 설치하고 사각동체(1)의 상부에는 물방울 제거필터(4)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사각동체(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 유도통로(5)가 형성되게 배기유입구(6)를 갖은 사각외동체(1a)를 설치하여 다공판(3)의 저면에서 점차 경사진 배기가스 유도통로(5a)를 이루도록 사각외동체(1a)의 저면판(1b)을 경사지게 형성하되 사각외동체(1a)와 저면판(1b)의 연접부를 도1에서와 같이 각이 지게 연접하거나 도3에서와 같이 호형으로 만곡시켜 연접시킨다. 그리고 사각동체(1)의 상부 일측에 자동조절밸브(7)를 설치한 급수관(7a)을 연관시켜 이 급수관(7a)을 통하여 적당량의 물을 공급시키면 보일러 가동 중지시에는 다공판(3)을 통하여 배기가스 유도통로(5)(5a)와 사각동체(1)의 저면에 모여 있다가 보일러 가동시에는 공급되는 배기가스압력에 의하여 다공판(3)을 통하여 사각동체(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 전열관(2) 사이에서 물 유동층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3에서와 같이 사각외동체(1a)와 저면판(1b)의 연접부를 호형으로 만곡시켜 연접시키면 배기가스 유도통로에 들어있는 물을 다공판(3)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사각동체(1)에 유입시켜 물 유동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각외동체(1a)의 상부에는 배기가스 배출구(8)와 연통되게 배기가스 바이패스(by-pass)관(9)을 설치하여 고온의 배기가스 일부가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배기가스 배출구(8)로 유입되어 물방울 제거필터(4)를 통과하여 나오는 냉각된 수분 포화상태의 배기가스와 혼합되므로 수분이 포화된 배기가스는 재가열되어 배기가스 배출구(8) 이후의 연도에서는 배기가스의 냉각으로 인한 수분의 응축현상을 방지한다.
미설명 부호 10은 배수구이다.
본 발명은 사각동체(1)의 내저부에 설치된 열교환 전열관(2)의 저면에 다공판(3)을 설치하고 사각동체(1)의 상부에는 물방울 제거필터(4)를 설치하며, 사각동체(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 유도통로(5)가 형성되게 배기유입구(6)를 갖은 사각외동체(1a)를 설치하여 다공판(3)의 저면에서 점차 경사진 배기가스 유도통로(5a)를 이루도록 사각외동체(1a)의 저면판(1b)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사각동체(1)의 상부 일측에는 자동조절밸브(7)를 설치한 급수관(7a)을 연관시켜 이 급수관(7a)을 통하여 적당량의 물을 공급시키면 보일러 가동 중지시에는 다공판(3)을 통하여 배기가스 유도통로(5)(5a)와 사각동체(1)의 저면에 모여 있다가 보일러 가동시에는 공급되는 배기가스압력에 의하여 다공판(3)을 통하여 사각동체(1)의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 전열관(2) 사이에서 물 유동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물 유동층에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고온의 배기가스가 물과 직접 접촉하여 급속한 열전달로 인하여 배기가스와 물 유동층은 급속하게 열평형을 이룬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수분은 물 유동층에서 응축하게 되어 물 유동층은 배기가스에 함유된 현열과 함께 다량의 잠열까지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위에서와 같이 열교환 전열관(2)의 사이에 물 유동층을 형성하므로서 물 유동층과 열교환 전열관(2) 사이의 열전달계수는 급격히 상승하여 열전달이 촉진되며, 따라서 전열면적의 필요면적이 크게 적어진다. 열교환 전열관(2)의 재질로서는 스텐레스강이 요구되나 비경제적인 핀튜브 등의 전열촉진관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일반 스틸강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열교환기의 크기가 적어져 경제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열교환기의 전열면사이에 물 유동층이 형성되므로서 열교환기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전열면이 항상 물속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산성수분의 농축으로 인한 전열관의 부식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전열관 배열 상부에 물유동층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 작동시간 도안에 자동 조절밸브(7)를 설치한 급수관(7a)을 통하여 소량의 물이 자동으로 급수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구(10)를 설치하여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배수구(10)로 배수시키므로서 물 유동층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열교환 효과를 더욱 높힐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각외동체(1a)의 상부에는 배기가스 배출구(8)와 연통되게 배기가스 바이패스(by-pass)관(9)을 설치하여 고온의 배기가스 일부가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배기가스 배출구(8)로 유입되어 물방울 제거필터(4)를 통과하여 나오는 냉각된 수분 포화상태의 배기가스와 혼합되므로 수분이 포화된 배기가스는 재가열되어 배기가스 배출구(8) 이후의 연도에서는 배기가스의 냉각으로 인한 수분의 응축현상을 방지하므로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높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사각동체(1)의 내저부에 설치된 열교환 전열관(2)의 저면에 다공판(3)을 설치하고 사각동체(1)의 상부에는 물방울 제거필터(4)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사각동체(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 유도통로(5)가 형성되게 배기유입구(6)를 갖은 사각외동체(1a)를 설치하되 다공판(3)의 저면에서 점차 경사진 배기가스 유도통로(5a)를 이루도록 사각외동체(1a)의 저면판(1b)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배기가스가 다공판(3)을 통과하여 사각동체(1)내로 공급될 때 열교환기 전열관(2) 배열사이에 일정한 높이의 물유동층이 형성되게 하여서 된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동체(1)의 일측으로 배기가스 유도통로(5)가 형성되게 배기유입구(6)를 갖은 사각외동체(1a)를 설치하여 다공판(3)의 저면에서 점차 경사진 배기가스 유도통로(5a)를 이루도록 사각외동체(1a)의 저면판(1b)을 경사지게 형성하되 사각외동체(1a)와 저면판(1b)의 연접부를 호형으로 만곡시켜 연접시켜서된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각외동체(1a)의 상부에는 배기가스 배출구(8)와 연통되게 배기가스 바이패스관(9)을 설치하여 고온의 배기가스 일부가 바이패스관(9)을 통하여 배기가스 배출구(8)로 유입되어 물방울 제거필터(4)를 통과하여 나오는 냉각된 수분 포화상태의 배기가스와 혼합되므로 수분이 포화된 배기가스는 재가열되어 배기가스 배출구(8) 이후의 연도에서는 배기가스의 냉각으로 인한 수분의 응축현상을 방지케 하여서된 물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전열관(2)의 배열 상부에 물유동층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 작동시간 동안에 자동조절밸브(7)를 설치한 급수관(7a)을 통하여 소량의 물이 자동으로 급수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구(10)를 설치하여 일정수위 이상의 물을 배수구(10)로 배수시키게 한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교환기.
KR1019970009185A 1997-03-18 1997-03-18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Expired - Lifetime KR10021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85A KR100213303B1 (ko) 1997-03-18 1997-03-18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185A KR100213303B1 (ko) 1997-03-18 1997-03-18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21A KR19980073721A (ko) 1998-11-05
KR100213303B1 true KR100213303B1 (ko) 1999-08-02

Family

ID=1950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185A Expired - Lifetime KR100213303B1 (ko) 1997-03-18 1997-03-18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3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792A1 (en) * 2012-08-23 2014-02-27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Fluidized bed heat exchange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of flue gas for producing high temperature water
KR20160145242A (ko) 2015-06-09 2016-12-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가스 전단 열교환기와 흡수액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배가스 응축열 회수 시스템 및 회수 방법
KR20170014080A (ko) 2015-07-28 2017-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응축형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KR101705993B1 (ko) 2015-10-29 2017-02-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액 다단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최적화 응축열 회수시스템 및 응축열 회수방법
KR20180116930A (ko) 2017-04-18 2018-10-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다단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KR20210123874A (ko) 2020-04-06 2021-10-14 첨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물체를 사용한 자체청소형 유동층 열교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53792A1 (en) * 2012-08-23 2014-02-27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Fluidized bed heat exchange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of flue gas for producing high temperature water
US9360232B2 (en) 2012-08-23 2016-06-07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Fluidized bed heat exchange apparatus for recovering heat of flue gas for producing high temperature water
KR20160145242A (ko) 2015-06-09 2016-12-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가스 전단 열교환기와 흡수액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배가스 응축열 회수 시스템 및 회수 방법
KR20170014080A (ko) 2015-07-28 2017-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응축형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KR101705993B1 (ko) 2015-10-29 2017-02-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흡수액 다단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최적화 응축열 회수시스템 및 응축열 회수방법
KR20180116930A (ko) 2017-04-18 2018-10-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다단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KR20210123874A (ko) 2020-04-06 2021-10-14 첨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형물체를 사용한 자체청소형 유동층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721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83007A (zh) 锅炉余热回收系统
KR100691029B1 (ko) 이중관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US3733777A (en) Flue gas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KR100213303B1 (ko) 물 유동층을 이용한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열 교환기
KR101294005B1 (ko) 고온수 생산을 위한 연소 배가스 열회수형 유동층 열교환 장치
KR100296949B1 (ko) 다단물유동층을이용한열회수겸용집진장치
CN202012904U (zh) 锅炉余热回收系统
KR101950574B1 (ko)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다단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KR100257573B1 (ko) 콘덴싱가스보일러용 이중구조 열교환기
KR100242226B1 (ko) 배기가스 폐열회수용 고체입자 순환유동층 열교환기
KR100500697B1 (ko) 다단계 열회수형 물유동층 열교환기
CN219828799U (zh) 蒸汽锅炉系统
JP2000046413A (ja) 排気ガス廃熱回収用熱交換器
KR101715488B1 (ko) 다중열원 동시 열회수를 위한 응축형 물 유동층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회수 시스템 및 열회수방법
CN116474527A (zh) 多级烟气吸收系统
KR200190319Y1 (ko) 복수 층의 물유동층이 형성된 열 교환기
JP4570187B2 (ja) 排ガス用熱交換器
RU2215253C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RU2132527C1 (ru) Воздушно-конденса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RU211611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и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горячих газов
KR100639422B1 (ko) 축열식 폐열회수시스템
KR200146333Y1 (ko) 콘덴싱열교환기
KR100511166B1 (ko) 보일러의 축열탱크
KR200355938Y1 (ko) 보일러의 축열탱크
KR200294811Y1 (ko) 가스보일러용 물유동층 열교환기의 압력손실 저감형 다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