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3164B1 -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164B1
KR100213164B1 KR1019960066531A KR19960066531A KR100213164B1 KR 100213164 B1 KR100213164 B1 KR 100213164B1 KR 1019960066531 A KR1019960066531 A KR 1019960066531A KR 19960066531 A KR19960066531 A KR 19960066531A KR 100213164 B1 KR100213164 B1 KR 100213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hood
control unit
vehicle
eng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004A (ko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16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1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후드의 개폐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후드부 외주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전자석과, 상기한 후드에 배치되는 전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의 엔진 룸에 배치되어 역시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또 다른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과 연결되어 이 전자석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과,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드부의 전자석 및 엔진 룸부의 전자석의 극성을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중에 전원을 공급하는 알터네이터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오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엔진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플라이 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와, 엔진 등을 포함하는 새시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엔진은 승용차량의 경우에 있어서 자동차의 프론트 측에 배치되는 엔진룸에 설치된다. 상기한 엔진 룸에는 엔진 뿐만 아니라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보조장치가 배치되고 있다.
자동차 후드는 상기한 엔진룸을 덮는 덮게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럭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럭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럭 어셈블리는 자동차 엔진룸의 프론트 측에 설치되며 후드와 엔진룸을 이루는 바디를 서로 고정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럭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개폐스위치는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잡아 당기거나 스위치 버튼을 가압함으로서 럭 어셈블리의 럭상태를 해제하여 후드가 엔진룸으로부터 이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엔진룸과 후드가 이격되면 차량의 프론트 측에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후드를 상방으로 당기면 후드가 오픈 된다. 그리고 오픈 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엔진룸(101)의 일측에 설치되는 후드 고정지지대(103)를 사용하여 후드(105)를 지지함으로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후드(105)를 닫고자 할 때는 후드 고정지지대(103)의 지지상태를 제거하여 엔진룸(101)의 일측에 보관하고 후드(105)를 가볍게 놓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후드(105)가 엔진 룸(101)의 럭 어셈블리(도시생략)에 의하여 럭상태가 되어 잠기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는, 후드를 작업자 또는 운전자가 손으로 들어 올리게 되어 있어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후드는 무게가 무거워 특히, 여성운전자는 개폐가 용이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드의 개폐시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후드부 외주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전자석과, 상기한 후드에 배치되는 전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의 엔진 룸에 배치되어 역시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또다른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과 연결되어 이 전자석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과,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드부의 전자석 및 엔진 룸부의 전자석의 극성을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오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엔진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플라이 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후드의 개폐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자동차(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1)는 엔진룸(3)과, 상기한 엔진룸(3)의 상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후드(5)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엔진룸(3)에는 엔진 및 그밖에 차량의 기동에 필요한 다수의 장치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엔진룸(3)의 외주에는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전자석(7)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엔진룸(3)의 전자석(7)에 대응하여 후드(5)의 외주에도 전자석(9)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전자석(7)(9)은, 제2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유닛(11)과 연결되는 구조로 일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컨트롤 유닛(11)은 배터리(13) 및 알터네이터(15)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컨트롤 유닛(11)은 플라이 휠 센서(17)와 연결되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19)와도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엔진룸 부 및 후드부의 전자석(7)(9)은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컨트롤 유닛(11)에 의하여 극성이 가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후드(5)와 마주하는 부분이 서로 다른 극성 또는 같은 극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플라이 휠 센서(17)는 엔진의 작동 또는 비작동상태를 센싱하여 컨트롤 유닛(11)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플라이 휠 센서(17)에 의하여 엔진의 시동중에는 알터네이터(15)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엔진의 정지 중에는 배터리(13)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는, 우선 엔진의 작동상태에서 정차시에 후드(5)를 열고자 하면 스위치(19)를 온 상태로 변환시킨다. 이때 플라이 휠 센서(17)가 플라이 휠(도시생략)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엔진의 작동상태임을 컨트롤 유닛(11)에 전달하고 따라서 컨트롤 유닛(11)은 알터네이터(15)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후드부와 엔진룸부의 전자석(7)(9)을 서로 같은 극성이 되도록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후드(5)와 엔진 룸(3)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여 서로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후드(5)의 오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역시 정지시에 후드(5)의 닫고자 할 때는 스위치(19)를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면 역시 플라이휠 센서(17)가 플라이 휠의 회전상태를 센싱하여 컨트롤 유닛(11)에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 받은 컨트롤 유닛(11)은 알터네이터(15)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후드(5) 및 엔진룸(3)에 배치되는 전자석(7)(9)의 극성을 달리하여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엔진룸(3)에 후드(5)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의 작동상태에서 정지시 및 주행시의 작동은 동일하며, 엔진의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한 후드(5)의 온/오프 작용은 동일하나 플라이휠 센서(17)에 의하여 플라이 휠이 회전하지 않음을 센싱하여 이를 컨트롤 유닛(11)에 전달함으로서 컨트롤 유닛(11)은 전원을 알터네이터(15) 내신에 배터리(19)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는, 운전자가 운전석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위치의 조작으로 후드를 개폐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자동차의 후드부 외주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전자석과, 상기한 후드에 배치되는 전자석과 대응하는 위치의 엔진 룸에 배치되어 역시 선택적으로 자성의 성질을 갖는 또다른 전자석과, 상기한 전자석과 연결되어 이 전자석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과,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후드부의 전자석 및 엔진 룸부의 전자석의 극성을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차량의 시동 오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엔진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플라이 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컨트롤 유닛과 연결되어 알터네이터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중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후드부의 전자석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컨트롤 유닛의 제어됨에 따라 극성이 바뀜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 룸부의 전자석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컨트롤 유닛의 제어됨에 따라 극성이 바뀜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KR1019960066531A 1996-12-17 1996-12-17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531A KR100213164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531A KR100213164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04A KR19980048004A (ko) 1998-09-15
KR100213164B1 true KR100213164B1 (ko) 1999-08-02

Family

ID=1948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3164B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004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1173A3 (en) Vehiclular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KR100213164B1 (ko) 자동차 후드 개폐구조
JP2000318622A (ja) レーンキープ装置
KR0131772Y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내에 형성되는 배터리 홀더
KR100236491B1 (ko) 자동차의 물품수납장치
JP2005534550A (ja) 電話機用保持装置
JPS6452834U (ko)
KR0166518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암레스트
KR200144502Y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자동개폐장치
KR100236210B1 (ko) 차량용 실내등
JPH0468182U (ko)
KR19990059946A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0126236Y1 (ko) 자동차 실내등 스위치 구조
KR20000018792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의 레귤레이터 제어 모드
KR19990059963A (ko) 윈도우 개폐장치
KR19980051986U (ko) 더블 캐브 트렁크의 스텝 팬 장치
JPH04108050A (ja) オートマチックシートベルト
JPH0429456U (ko)
KR19980044423U (ko) 자동차용 실내등 구동장치
KR19980051360U (ko) 자동차용 퓨즈박스의 전동식 격납구조
KR19980060307A (ko) 운전자 승·하차시 시트의 자동 이동장치
JPH0363440U (ko)
JPH04137913U (ja) サンルーフ制御装置
JPS6337462U (ko)
KR19990020975U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