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1838B1 -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838B1
KR100211838B1 KR1019960006353A KR19960006353A KR100211838B1 KR 100211838 B1 KR100211838 B1 KR 100211838B1 KR 1019960006353 A KR1019960006353 A KR 1019960006353A KR 19960006353 A KR19960006353 A KR 19960006353A KR 100211838 B1 KR100211838 B1 KR 10021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xel
register
lin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650A (ko
Inventor
김규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0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838B1/ko
Publication of KR97006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원래의 화상이미지를 공간영역에서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할 시 외곽선 성분이 손실됨을 방지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화상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화소선택률에 따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할 시 각 라인의 선택여부 및 각 화소의 선택여부를 판별한 후 선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라인 및 화소들을 버리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이후에 선택되는 것으로 판별된 라인 및 화소가 입력될 시 이 입력된 라인 및 화소가 상기 일시적으로 저장된 라인 및 화소를 논리합연산하여 출력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 또는 디지털 복사기.

Description

화상 이미지 축소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서브샘플링방법에 따라 입력화소가 축소될 시 특정의 화소만이 선택됨을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일반적인 서브샘플링방법에 따라 축소되는 화상이미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에 포함되는 수직방향축소부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의 수직방향축소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방향축소부의 동작타이밍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의 수평방향축소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방향축소부의 동작타이밍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에 의해 화상이미지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1,701 : 변환비율 레지스터 502,702 : 전가산기
503,703 : 확산비율 레지스터 504 : 라인버퍼메모리
505,706,710 : 인버터 506∼509, 705,709,712 : 논리합게이트
510,707,711 : 논리곱게이트 704,708 : 디플립플롭
713 : 카운터 714 : 직병렬변환기
본 발명은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래의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할 시 외곽선 성분이 상실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 똔느 디지털 복사기와 같이 스캐너를 필요로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시 사용자들은 종종 스캐닝된 화상이미지를 축소할 필요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화상이미지의 축소방법으로 스캐닝된 화상을 주파수영역으로 변환(transform)하여 처리한 후 다시 역변환하는 방법과, 공간영역에서 스캐닝된 화상의 각 화소를 변환비율에 따라 서브샘플링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후자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래의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1단위까지의 변환이 가능하며, 변환비율을 a라고 가정할 때 a가 1보다 작으면 화상이미지는 축소 또는 압축된다. 일례로 a가 0.7이라고 할 때 화상이미지는 7압축되는데, 입력 화소가 10개인 1라인분의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방법에 따라 70압축하는 경우에 각 화소들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제1도에서, I(i)는 i번째 입력화소이고, a는 변환비율(또는 고유확률이라고도 함)이고, d(i)는 확산확률이고, S(i)는 화소선택률이고, O(i)는 출력화소를 나타낸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a가 0.7이므로 선택을 위한 각 화소의 고유확률은 0.7이 된다. 그리고 각 화소의 고유확률 a와 확산확률 d(i)을 더한 값이 해당 화소의 선택률 S(i)가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샘플링방법에 따르면, 첫 번째 입력화소인 I(1)은 화소선택률 S(i)가 0.7이므로 선택되지 않으며, 두 번째 입력화소인 I(2)는 화소선택률 S(i)가 1.4이므로 선택되어 O(1)로 출력된다. 이러한 방법을 열번째 입력화소 I(10)까지 적용해보면 10개의 입력화소 중 첫 번째, 네 번째 및 일곱 번째 화소를 제외한 나머지 화소들이 선택되어 출력된다.
제2도는 상술한 서브샘플링방법에 따라 축소된 화상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원래의 10×10 화상이미지 7×7 화상이미지로 축소되었는데, 이렇게 축소된 것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소선택률에 따라 1,4,7번째 행과 1,4,7번째 열의 화소들이 선택되지 않음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화소의 선택여부는 화소의 밝기값에 상관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축소된 화상이미지로부터 원래의 화상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0 화상이미지로 표현된 영문자 K를 축소된 화상이미지인 7×7의 화상이미지로부터 확인할 수 없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방법에 따라 외곽선 성분들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화상이미지인 문서를 축소할 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선 성분들이 버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서의 중요한 정보를 손실하게 되고, 또한 화질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36623호 제목 화상데이타 압축방법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따르면 선택되지 않고 버려지는 라인(수직방향 축소인 경우)과 선택되지 않고 버려지는 화소(수평방향의 축소인 경우)가 화상이미지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인 경계선 성분인지를 판단한 후 버려지는 화소(또는 라인)가 경계선 성분에 해당하는 경우 그다음 화소(또는 그다음 라인)에 확산시켜 그 다음 화소(또는 그 다음 라인)와 논리합연산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동작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CPU가 저속의 CPU이고 처리하여야 할 일이 많을수록 현저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할 시 화상이미지의 중요한 벙조가 상실됨을 방지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하더라도 화질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할 시 그 처리시간을 단축시키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속의 CPU를 이용하더라도 화상이미지를 빠른 시간에 축소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화소선택률에 따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할 시 각 라인의 선택여부 및 각 화소의 선택여부를 판별한 후 선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별된 라인 및 화소들을 버리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이후에 선택되는 것으로 판별된 라인 및 화소가 입력될 시 이 입력된 라인 및 화소와 상기 일시적으로 저장된 라인 및 화소를 논리합연산하여 출력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축소할 시 화상이미지의 중요한 정보가 손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는 수직방향으로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 장치와, 수평방향으로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하는 장치는: 미리 설정된 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축소비율과 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될 확산비율로 이용할 전가산값과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캐리값을 출력하는 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화상이미지가 라인단위로 입력될 시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라인으로 판별된 화상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할 라인으로 판별된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이 화상이미지와 상기 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상이미지를 논리합연산하는 논리합게이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저장수단은 라인버퍼메모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미지를 수평방향으로 축소하는 장치는: 미리 설정된 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축소비율과 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될 확산비율로 이용할 전가산값과 각 화소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캐리값을 출력하는 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화상이미지의 각 화소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화소로 판별된 화소가 입력될 시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할 화소가 입력될 시 이 화소와 상기 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소를 논리합연산하는 논리합게이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저장수단은 디플립플롭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팩시밀리의 구성을 예로 나타내고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CPU(301)는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스캐닝부(302)는 화상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는 수직방향축소부(303A)와 수평방향축소부(303B)로 구성되어 화상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하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축소한다. 화상메모리(304)는 스캐닝부(302)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이미지 또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에 의해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저장한다. 메인메모리(305)는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프린팅부(306)는 스캐닝부(302)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이미지 또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에 의해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프린팅한다. 통신부(307)는 스캐닝부(302)에 의해 스캐닝된 화상이미지 또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에 의해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는 수직방향축소부(303A)와 수평방향축소부(303B)로 구성되어 화상이미지를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축소한다. 통상의 팩시밀리에 있어서 화상이미지는 라인단위로 스캐닝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3030는 먼저 수직방향축소부(303A)를 이용하여 화상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한다.
제4도는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스캐닝부에 의해 라인단위로 스캐닝된 직렬데이타(serial data) 형태의 화소열이 수직방향축소부(303A)로 입력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수직방향축소부(303A)는 라인단위의 화상이미지를 선택할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를 나타내는 라인선택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라인을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였다면(라인선택신호가 1 레벨인 경우) 선입선출(First-In First-Out)메모리로 구현되는 라인버퍼메모리에는 직렬화소열이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물론 상기 라인버퍼메모리는 모두 0의 값으로 초기화된다. 상기 라인버퍼메모리의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화소가 가장 먼저 입력된 화소이고, 왼쪽 끝에 위치하는 화소가 가장 나중에 입력된 화소이다. 그리고 그 다음 라인이 입력되면 역시 그 라인을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라인을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축소비율이 50이하인 경우)에는 그 이전에 이미 라인버퍼메모리에 저장된 직렬화소열과 현재 입력되는 직렬화소열을 일대일 논리합연산하여 다시 라인버퍼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 라인이 입력되면 역시 선택여부를 판단하여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다시 처리한다.
그러나 현재 입력되는 라인이 선택대상인 경우(라인선택신호가 0레벨인 경우)에는 라인버퍼메모리에 입력되는 값은 모두 0이 된다. 이와 동시에 라인버퍼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직렬화소열(선택되지 않았던 라인의 정보)은 현재 입력되는 직렬화소열과 일대일 논리합연산된다. 즉, 상기 라인버퍼메모리는 선택되지 않고 버려지는 라인의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선택되어지는 라인이 생길 때마다 두 라인의 정보를 논리합연산시켜 주므로서 화상이미지의 외곽선 성분(보통 디지털 이미지에서 1의 값을 가짐)을 축소시에도 보존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능하는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CPU는 데이터버스를 통해 화상이미지를 축소하고자하는 변환비율(축소비율, 제1도의 고유확률)을 변환비율레지스터(501)에 저장시킨다. 확산비율레지스터(503)는 확산비율값이 저장되는 레지스터이고, 초기값은 모든 비트가 0의 값을 갖는다. 전가산기(502)는 임의의 라인을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를 판별, 즉 라인선택값(수평축소의 개념으로 보인 화소선택값과 동일한 개념)을 계산한다. 즉, 전가산기(502)는 변환비율레지스터(501)의 값과 확산비율레지스터(503)의 값을 전가산하여 sum과 carry를 발생한다. 이때 carry가 발생하면(합이 1보다 큰 경우) 그 라인은 선택되고 라인선택신호 SEL이 발생된다. 그리고 sum값은 확산비율레지스터(503)에 다시 피드백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개념은 제1도에서 설명한 소프트적인 방법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다시말하면, 전가산기(502)는 제1도의 고유확률(변환비율레지스터에 저장된 값)과 확산확률(확산비율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가산하여 그 가산값이 1보다 큰 경우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 SEL을 출력한다. 그이후에 새로운 직렬화소열을 생성하는 동작은 라인버퍼메모리(504)와 논리합게이트(510) 및 논리곱게이트(506)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제4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제5도에서 CLK_V2와 CLK_H2은 수평방향축소부(303B)의 수직동기신호와 화소전송클럭으로 이용될 신호들로서, CLK_V2는 논리곱게이트(507)에 의해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수직동기신호 CLK_V1과 전가산기(502)의 carry값이 논리곱연산되어 출력되는 값이고, CLK_H2는 논리곱게이트(508)에 의해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화소전송클럭 CLK_H1과 전가산기(502)의 carry값이 논리곱연산되어 출력되는 값이다. 상기 CLK_V2와 CLK_H2는 라인이 선택된 구간에서만 유효한 수직동기신호 및 화소전송클럭이다.
제6도는 상기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동작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6도에서 CLK_H1은 스캐닝부(302)로부터 제공된 수평화소전송클럭으로, 스캐닝부(302)에 의해 스캐닝된 직렬화소열을 전송하기 위한 기준 클럭이다. CLK_V1은 새로운 라인의 시작을 나타내는 수직동기신호이다. SP1은 제2도에서 예를 든 10×10의 화상이미지를 첫 번째 라인부터 차레대로 나열한 형태이다. 이것은 스캐닝(302)부가 10×10의 화상이미지를 라인단위로 스캐닝하여 흑부분은 1의 값으로, 백부분은 0의 값으로 변환한 후 수평화소전송클럭 CLK_H1에 동기시켜 수직방향축소부(303A)로 전달하는 직렬화소열이다. carry는 각 라인의 선택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되는 신호로, 제5도의 전가산기(502)의 carry출력을 나타낸다. 여기서 축소비율이 0.7, 즉 입력이미지를 70로 축소하는 경우로 가정할 때 첫 번째 라인은 선택되지 않고, 두 번째, 세 번째 라인은 선택됨은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다. SEL신호는 carry를 반전한 신호로 라인선택신호로서 기능한다.상기 SEL신호가 0인 경우 현재 입력되는 라인은 선택되고, 1인 경우 현재 입력되는 라인은 선택되지 않고 라인버퍼메모리(504)에 저장된다.
CLK_V2는 스캐닝부(302)로부터 제공된 수직동기신호 CLK_V1과 전가산기(502)의 carry출력이 논리곱게이트(507)에 의해 논리곱연산되어 출력되는 값으로 수평방향축소부(303B)로 제공된다. CLK_H2는 스캐닝부(302)로부터 제공된 수평화소전송클럭 CLK_H1과 전가산기(502)의 carry출력이 논리곱게이트(508)에 의해 논리곱연산되어 출력되는 값으로 수평방향축소부(303B)로 제공된다. 상기 CLK_V2와 CLK_H2는 각각 라인이 선택된 구간에서만 수직동기신호 CLK_V1과 수평화소전송클럭 CLK_H1이 유효하도록 하는 신호들이다. SP2는 전가산기(502)의 carry출력과 논리합게이트(510)의 출력이 논리곱게이트(509)에 의해 논리곱연산된 후 수평방향 축소부(303B)로 제공되는 새로운 화소열이다. 상기 SP2의 두 번째 라인은 SP1의 첫 번째 라인의 화소와 두 번째 라인의 화소를 논리합연산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제7도는 제3도의 수평방향축소부(303B)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7도에서 변환비율레지스터(701), 전가산기(702), 확산비율레지스터(703) 각각은 제5도의 수직방향축소부(303A)의 변환비율레지스터(501), 전가산기(502), 확산비율레지스터(50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비율레지스터(701)는 화상 이미지의 축소를 위한 변환비율을 CPU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확산비율레지스터(703)는 각 화소의 확산비율을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그 초기값은 모든 비트값이 0이다. 전가산기(702)는 변환비율레지스터(701)의 값과 확산비율레지스터(703)의 값을 전가산하여 sum과 carry를 발생한다. carry신호는 두 레지스터의 가산값이 1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며, 수평방향의 각 화소에 대해 그 화소를 선택할 것인가 선택하지 않을 것인가를 판별하는 화소선택신호(수직방향축소부의 라인선택신호에 해당)이다. carry신호값이 1인 경우 화소는 선택되고, 0인 경우 그 화소는 선택되지 않는다. sum값은 그 다음 화소의 선택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시 확신비율레지스터(703)에 저장된다. 위와 같은 과정은 제1도에 나타낸 소프트웨어적인 과정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한다.
현재의 입력화소가 선택되지 않는다고 판별될 경우(carry신호값이 0인 경우)에 그 화소는 디플립플롭(708)에 저장되고, 디플립플롭(708)에 저장된 값은 논리합게이트(711)를 통해 직병렬변환기(714)의 데이터입력단자(DATA_IN)로 제공된다. 그러나 직병렬변환기(714)의 클럭단자(CLK)로는 클럭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수직방향축소부(303A)로부터 제공된 직렬화소열의 실질적인 이동은 없고 단지 디플립플록(708)에 저장된다. 왜냐하면 논리곱게이트(712)의 출력이 직병렬변환기(714)의 클럭으로 제공되는데 상기 논리곱게이트(712)의 한 입력단자로는 0의 carry신호가 인가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입력된 화소가 역시 비선택으로 판단되는 경우(carry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화소(비선택화소)와 그 이전에 발생한 비선택화소는 논리합게이트(707)에 의해 논리합되어 디플립플롭(707)에 저장된다.
이와 달리 다음에 입력된 화소가 선택으로 판단되는 경우(carry가 발생한 경우) 그 화소는 디플립플롭(704)에 저장된다. 디플립플롭(704)에 저장된 화소는 디플립플롭(708)의 출력(그 이전에 선택되지 못한 화소)과 논리합게이트(7111)에 의해 논리합연산된 후 직병렬변환기(714)의 데이터입력단자(DATA_IN)로 제공된다. 이때 논리곱게이트(712)의 출력이 직병렬변환기(714)의 클럭단자(CLK)로 제공된다. 왜냐하면 논리곱게이트(712)의 입력단자로는 전가산기(702)로부터의 carry가 인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논리곱게이트(712)의 출력은 카운터(713)의 클럭단자(CLK)로 인가된다. 상기 카운터(713)는 8개의 유효한 직렬데이타를 1바이트의 병렬데이타로 만들기 위해 직렬데이타의 수를 헤아리는 8진 카운터이다. 논리합게이트(712)의 출력인 S1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카운터(713)는 카운팅값을 하나씩 증가하여 카운트 하므로 직병렬변환기(714)로 입력되는 직렬화소열이 유효하게 된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선택되지 못하고 디플립플롭(708)에 저장되어 있던 화소는 그 다음 선택되어지는 최초이 화소에 한번만 논리합연산 되어야 한다 반전딜레이(710)는 이를 위해 S1신호를 제공받아 플립플롭(708)을 클리어시켜 준다. 상기 직병렬변화기(714)는 논리합게이트(711)로부터 제공되는 직렬화소열 S7을 병렬변환하여 각 출력단자(DO∼07)로 출력한다. 이렇게 병렬변환되어 출력된 화소열은 데이터버스를 통해 화상 메모리(304)에 저장되어 프린팅부(306)에 의해 프린팅되거나 통신부(307)에 의해 외부로 전송된다.
제8도는 상기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수평방향축소부(303B)의 동작타이밍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8도에서 CLK_H2는 제6도에서의 CLK_H2와 동일하다. 즉 수직방향축소부(303A)에서 발생한 새로운 수평화소전송클럭이다. carry는 제7도의 전가산기(702)에서 출력되는 carry신호이다. 상기 전가산기(702)는 상기 CLK_H2의 하강에지(falling edge)에 동기되어 변환비율레지스터(701)의 값과 확산비율레지스터(703)의 값을 전가산한다. 상기 carry는 변환비율이 0.7인(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변환비율은 70를 예로 하였음)경우의 전가산기(702)의 출력값이다. S1, S2신호는 CLK_H2와 carry가 논리곱게이트(712) 및 논리곱게이트(705)에 의해 논리곱연산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로, 8진카운터(713), 직병렬변환기(714) 및 디플립플롭(704)의 클럭으로 제공된다. S3신호는 상기 S1, S2신호가 발전딜레이소자(710)에 의해 반전지연(delay)되어 출력되는 신호로, 디플립플롭(708)을 클리어시키는데 사용된다. S4신호는 carry를 반전시킨 신호이고, S5신호는 상기 S4신호와 CLK_H2가 논리곱게이트(709)에 의해 논리곱연산되어 출력되는 신호이다. S6신호는 디플립플롭(708)의 출력신호로, S5신호가 상승에지(rising edge)일 때 수직방향축소부(303A)로부터 제공되는 직렬화소열인 SP2와 한 클럭 이전의 자신의 신호를 논리합한 결과를 출력하고, S3신호가 0을 가질 때마다 출력이 클리어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디플립플롬(704)과 디플립플롭(708)은 서로 다른 클럭에서 동작함을 알 수 있다. 디플립플롭(704)이 동작하는 경우에 디플립플롭(708)은 동작하지 않고, 디플립플롭(708) 동작하는 경우에 디플립플롭(704)은 동작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디플립플롭(704)은 carry가 발생하는 화소만을 출력하고, 디플립플롭(708)은 carry가 발생하지 않는 화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기능하기 때문이다. S7신호는 디플립플롭(704)의 출력신호와 디플립플록(708)의 출력신호가 논리합게이트(711)에 의해 논리합연산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로, 직병렬변환기(714)의 데이터입력단자(DATA_IN)로 제공된다. 직병렬변환기(714)의 입력은 S1신호의 하강에지(falling edge)에서 유효하므로 S7신호 중 빗금으로 표시된 부분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S7신호에서 선택되지 않고 버려지는 화소중 그 값이 1인 경우(제8도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경우)에 그 값은 다음 선택되어지는 화소로 확산되어 논리합 연산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선택되지 않고 버려지는 화소값이 0인 경우에도 논리합연산되지만 이 논리합연산된 결과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에 의해 화상이미지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된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9(a)도는 화상이미지가 수직방향축소부(303A)에 의해 축소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제9(b)도는 상기 제9(a)도에 도시된 화상이미지가 수평방향축소부(303B)에 의해 축소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축소결과를 보여주는 제2도와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이미지 축소장치는 화상이미지를 축소할 시 외곽선 성분을 더욱 더 많이 보전하여 왜곡을 적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이미지를 서브샘플링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축소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CPU로부터 단지 변환비율만을 제공받으면 되므로 저속의 CPU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화상이미지 축소할 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화상이미지의 외곽선 성분을 보존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가 상실됨을 방지할 수 있고, 화질이 저하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화상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축소비율과 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될 확산비율로 이용할 전가산값과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캐리값을 출력하는 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화상이미지가 라인단위로 입력될 시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안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라인으로 판별된 화상이미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할 라인으로 판별된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이 화상이미지와 상기 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상이미지를 논리합연산하는 논리합게이트로 구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라인버퍼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3. 화상이미지를 수평방향으로 축소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축소비율과 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될 확산비율로 이용할 전가산값과 각 화소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캐리값을 출력하는 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화상이미지의 각 화소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화소로 판별된 화소가 입력될 시 이 화소와 상기 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소를 논리합연산하는 논리합게이트로 구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출력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이 디플립플롭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5. 화상이미지를 축소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1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제1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제1축소비율과 제1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될 제1확산비율로 이용할 제1전가산값과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제1캐리값을 출력하는 제1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화상이미지가 라인단위로 입력될시 각 라인의 화상이미지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제1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제1판별수단과: 상기 제1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라인으로 판별된 라인의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1저장수단과; 상기 제1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할 라인으로 판별된 라인의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이 화상이미지와 상기 제1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상이미지를 논리합연산하여 수직방향으로 축소된 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1논리합게이트와; 미리 설정된 제2축소비율을 저장하는 제3레지스터와, 미리 설정된 제2확산비율을 저장하는 제4레지스터와, 상기 제3레지스터와 상기 제4레지스터에 각각 저장된 제2축소비율과 제2확산비율을 전가산하여 상기 제4레지스터에 저장될 제2확산비율로 이용할 제2전가산값과 각 화소의 선택여부를 나타내는 제2캐리값을 출력하는 제2전가산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논리합게이트로부터의 화상이미지가 입력될 시 화상이미지의 각 화소를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여부를 상기 제2캐리값에 따라 판별하는 제2판별수단과; 상기 제2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하지 않을 화소로 판별된 화소가 입력될 시 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장수단과; 상기 제2판별수단에 의해 선택할 화소로 판별된 화소가 입력될 시 이 화소와 상기 제2저장수단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소를 논리합연산하여 수평방향으로 축소된 화상이미지를 출력하는 제2논리합게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수단이 라인버퍼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수단이 디플립플롭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KR1019960006353A 1996-03-11 1996-03-11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KR10021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53A KR100211838B1 (ko) 1996-03-11 1996-03-11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53A KR100211838B1 (ko) 1996-03-11 1996-03-11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650A KR970068650A (ko) 1997-10-13
KR100211838B1 true KR100211838B1 (ko) 1999-08-02

Family

ID=1945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353A KR100211838B1 (ko) 1996-03-11 1996-03-11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343B1 (ko) 2005-10-1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650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137A (en) Pixel density converting apparatus
US603478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ing or reducing an image in an image processing system
US4503469A (en) Picture image enlarging/reducing system
US5901274A (en) Method for enlargement/reduction of image data in digit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ircuit adopting the same
US574240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937677A (en) Method of enlarging/reducing dithered images
EP0211611A2 (en) Image signal coding apparatus
KR100211838B1 (ko) 화상이미지 축소장치
JPH0771189B2 (ja) 画像データの変倍処理装置
US571271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724497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which can perform a plurality of types of image processing at high speed
JP2829931B2 (ja) 画像処理装置
EP0840495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rrecting image data levels
JP2829930B2 (ja) 画像処理装置
JP2777189B2 (ja) 立体影付加処理装置
KR100196865B1 (ko) 팩시밀리에서의 해상도 변환 장치
KR100374581B1 (ko) 디지탈 화상의 축소방법 및 장치
EP0903692A2 (en) System and method for two-dimensional interpolation
JP2955300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GB2288946A (en) Image enlargement/reduction method
AU673556B2 (en) Colour display system
JP3089355B2 (ja) 画像処理装置
JP2714141B2 (ja) 画素密度変換装置
JPH0420071A (ja) 画像処理装置
JPS59147565A (ja) 画像の倍率変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3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