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0573B1 -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573B1
KR100210573B1 KR1019920009398A KR920009398A KR100210573B1 KR 100210573 B1 KR100210573 B1 KR 100210573B1 KR 1019920009398 A KR1019920009398 A KR 1019920009398A KR 920009398 A KR920009398 A KR 920009398A KR 100210573 B1 KR100210573 B1 KR 10021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shaped
flange
decorative strip
strip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814A (ko
Inventor
디. 라론드 폴.
에이. 플레테릭 제임스
웨슬리 스로브 제이.
Original Assignee
딘 에이치.구쎈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708,975 external-priority patent/US5195289A/en
Application filed by 딘 에이치.구쎈, 유에스지 인테리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딘 에이치.구쎈
Publication of KR92002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5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supporting construction for curved cei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00Static structures, e.g. buildings
    • Y10S52/08Imitation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현수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를 장식하는 지지 시스템은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을 제공하며 이것은 근접한 격자 T형 부재의 벌브(bulb) 상에 장착되고,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에 끼워져서 이것과 쇄정되는 면 부분을 제공한다. 연결구 클립은 노출된 고정구없이 근접한 격자 부재로부터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며 마무리된 모서리의 간섭되지 아니한 외관을 제공한다. 연결구 클립들의 몇 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중 하나는 면 부분에 주축 연결된 지지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장식부 스트립은 근접한 격자 부재에 평행한 위치 및 이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근접한 격자 부재상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장식부 스트립의 연접 단부 사이를 브리지 연결하여 상기 연접 단부를 적절한 정열상태로 쇄정시키는 겹침 판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겹침 판은 직선 또는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내측 코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제1도는 현수 천정을 아래로부터 도시한 것이며, 이것은 현수 천정 아래에 매달린 고립부를 지니며 모서리를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식부가 제공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식부 장착용 클립(clip)의 사시도이며 그러한 클립에 장착될 수 있는 한 형태의 장식부 채널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가 장착된 클립의 측면도이며 이것의 격자위에는 클립이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되어 있다.
제4도는 제2도의 장식부가 장착된 클립의 측면도이며 상대적으로 넓은 장식부 스트립이 그위에 장착되어 있다.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장식부 장착용 클립의 사시도이며 여기에서는 장식부가 실제로 장착되는 클립의 면 부분이 장착부에 대해 주축 연결되어,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제6도는 제5도의 장착용 클립을 도시한 것이며 이것은 수직으로 연장되는 격자 T형 부재 사이의 교차부에 있는 격자상에 장착된다.
제7도는 격자 T형 부재에 대한 각도로 연장되는 장식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위치한 제5도의 장식부 장착용 클립을 도시한다.
제8도는 격자 T형 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된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위치한 격자 T형 부재의 단부상에 장착된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정위치된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위치에 해당하며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된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는 장식부 장착용 클립을 수직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제6도에 해당하며 근접한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된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고 교차부에 있는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제12도는 제5도 내지 제11도의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의 변형된 실시예이며, 여기에서 탭(tab)은, 면부분이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주축 회전할 때,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의 웨브(web) 측면에 연계되게끔 제공된다.
제13도는 장식부 스트립 지지용 클립이 격자 T형 부재와 함께 설치되는 방식을 도시하며 이것은 하부 측면상에서 개방된 박스 형태의 패널 지지용 플렌지 구조를 지닌다.
제14도는 제13도와 유사하지만 동일한 장식부 스트립 및 지지용 클립이 모자 형태의 패널 지지용 플렌지를 지니는 격자 T형 부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15도는 장식부 스트립 지지용 클립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이것은 단일 조각의 박판 금속으로 형성되어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장식부 스트립과 지지용 클립의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7도는 겹쳐져서 이어질 수 있는 판의 측면도이며, 이것은 정열된 위치 또는 내측 모서리에서 직선의 장식부 스트립의 연접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8도는 제17도의 선 18-18를 따라 취한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제19도는 제17도의 선 19-19를 따라 취한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겹침판 위에 장착된 관련 장식 스트립을 도시한다.
제20도는 제17도 내지 제19도에서 설치된 바와 같은 겹침 판을 도시한 것이며 이것은 정열된 직선의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 연결한다.
제21도는 2개의 직선 장식부 스트립 사이에 형성된 내측 모서리에서 겹침 판의 설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2도는 겹침 판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며, 이것은 정열된 상태에서나 또는 내측 코너에서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3도는 제22도의 선(23-23)을 따라 취한 바를 도시한 것이다.
제24도는 제22도의 선(24-24)을 따라 취한 바를 도시한 것이며 장식부 스트립은 여기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5도는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제22도 내지 제24도의 겹침 판의 설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립부 11 : 천정
12 : 격자 T형 부재 13 : 횡단 T형 부재
23 : 장착용 클립 29 : 지지용 플렌지
36 : 고정구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현수 천정(suspension ceiling)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이러한 현수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장식부를 제공하는 신규이며 향상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일부예에서 현수 천정은 모서리가 노출되었으며, 이것은 단정한 외관이 필요한 경우 장식부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일부 현수 천정에는 고립부가 제공되며 이것은 근접한 천정 표면보다 항상 아래인 다른 높이에 매달리게 된다. 그러한 고립부는 천정 및 벽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노출 모서리를 지닌다. 만약 그러한 모서리가 어떤 방식으로든 정리되지 않는다면 다듬어지지 않은 외관이 초래된다.
다른 예에서, 천정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 또는 근접 벽면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위치에서 종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만일 마무리 장식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다듬어지지 않은 모서리가 나타날 수 있다.
과거에는 노출된 모서리가 일반적으로 두가지 방법중 하나로 정돈되었다. 모서리를 장식하는 방법들중 하나는 천정 모서리의 높이보다 위에 있는 건물 구조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내륜 형태(soffit-type)의 스터브(stub) 벽면 구조를 포함한다. 현수 천정은 이후에 그러한 스터브 벽면에 연장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그러한 방법에 있어서, 건축 구조에 의해 지지되고 분리 구성되어야만 하는 내륜 자체는, 이렇게 되지 않을 경우 현수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가 될것에 대한 장식부를 제공한다. 다른 방법에 있어, 예를들면 채널 또는 L자 형상의 스트립일 수 있는 장식 스트립은 리벳 또는 나사에 의해 격자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방법은 모두 노력이 많이 들면 따라서 비용이 비싸다. 또한 후자의 방법에서는 리벳 또는 나사가 시야에 노출되어 천정의 마감된 외관의 질 저하를 일으킨다.
미국특허 제4,774,188호(본 발명 출원인에게 양도됨)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식부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식부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채널(channel)형상이며, 격자 T형 부재의 플렌지 아래에 끼워지는 하부 다리를 제공한다. 그러한 채널의 상부 다리는 격자 T형 부재의 벌브(bulb)에 고정된다. 그러한 장식부 스트립은, 격자 T형 부재가 모서리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곳인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서만 설치될 수 있으며, 천정 격자에 대한 각도에서는 설치될 수 없고, 또한 격자 T형 부재의 단부만이 노출된 모서리에 존재하는 위치에서도 설치될 수 없다. 상기 특허는 본원에 참조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현수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모서리 장식부를 장착하는데 있어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한 시스템으로서, 장식부는 천정의 격자 자체에 의해 위치되어 지지되며, 따라서 상기에 설명된 제1의 방법에서 필요한 바와 같은 천정 모서리를 감추기 위하여 분리 지지된 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시스템은 고정구의 노출이 없이 천정의 격자로부터 장식부를 지지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장식부의 마감된 외관이 노출 고정구등과 같은 것에 의해 저하되지 않게 한다.
또한 장식부는 정위치된 격자 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설치될 수 있어서, 장식부가 지지 격자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또는 각도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도시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저가의 연결구 클립에 채널 형상의 지지부가 제공되며, 이것은 현수 천정 격자 T형 부재의 구형위에 맞게 되며 또한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에 끼워지는 면 부분도 제공한다. 그러한 연결구는 현수 천정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격자 T형 부재 단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식부 설비의 완성은 단지 장식부 채널을 면 부분에 끼움으로서 완성된다. 이렇게 도시된 실시예는 장식부 스트립이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장식부가 격자 T형 부재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지닐 때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에에서, 연결구 클립에는 다시 통상의 격자 T형 부재의 구형위에 맞게되는 채널 형상의 지지 부분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면 부분은 지지 부분에 연결되며, 이 연결은 추축회전 형태의 운동으로 지지부분에 대하여 면 부분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면 부분은 간단한 스냅(snap)연결로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면 부분은, 주축 회전운동 때문에,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장식부에 본 실시예가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사실상 관련된 격자 T형 부재에 대해 평행 위치로부터 수직 위치로의 모든 각도로 연장되는 만곡되거나 또는 직선인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시키는데 있어 본 실시예의 연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면 부분은, 격자 T형 부재의 높이와 거의 같은 폭을 지니는 협소한 장식부 스트립이나 또는 이보다 큰 높이를 지니는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되도록 크기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한 장식부 스트립을 연결시키는 간단한 연결구 클립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격자 T형 부재의 높이보다 충분히 큰 높이를 지니는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장식부 스트립이 근접 단부를 연결시키는 신규하고 향상된 겹침 판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내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장식부 스트립뿐만 아니라 배열된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겹침 판도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반 사항을 첨부된 도면 및 다음의 명세에서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현수 천정(11)의 잔여부 아래에 위치한 고립부(10)를 도시한다. 현수 천정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고립부가 천정 표면의 아래에 이격되어 있는 사실을 강조한다.
특정의 고립부(10)에는 천정(11)과 같이 주 격자 T형 부재(12) 및 횡단 T형 격자(13)가 제공되며 이것은 패널 수용 개방부(14)를 형성하도록 통상의 방법으로 함께 연결된다. 전체 고립부는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내에 포함되어 고립부에 대한 마무리된 모서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정의 예에서 고립부의 일부는 직선의 장식부 스트립(16,17,18,19)에 의해 둘러싸인다. 고립부의 잔여부는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21,22)내에 포함된다. 장식부 스트립(21)은 오목하게 만곡되며 장식부 스트립(22)은 볼록하게 만곡된다.
이러한 장식부 스트립의 모든 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에 의해 관련 T형 부재(12) 및 횡단 T형 부재(13) 상에 장착된다. 제1도에서 그러한 장착용 클립은 이것이 패널 및 장식부에 의해 감추어지기 때문에 시야에 들어오지 아니한다. 또한, 장착용 클립은 노출된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며 따라서 장식부 스트립은 전체 고립부 둘레에 마무리된 경계를 형성한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부 스트립 장착용 클립(23)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장착용 클립(23)은 채널 형상 또는 도립 U자 형상의 지지 부분(24)을 제공하며 이것은 관련된 격자 T형 부재(27)의 벌브(bulb, 26) 위에 끼워진다. 그러한 격자 T형 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도시된 모든 격자 T형 부재와 같이, 공동(hollow)이며,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벌브(bulb, 26)를 웨브(28)의 상부 모서리에 제공하며, 웨브(28)의 하부 모서리를 따라 반대편에 연장된 패널 지지용 플렌지(29)를 제공한다.
천이 부분(31)은 지지 부분(24)을 평탄한 면 부분(32)에 접합시킨다. 천이 부분(31)의 상부 표면으로 연장된 3쌍의 쇄정용 탭(33)은 쇄정 모서리(34)를 향해 상향 및 후방으로 경사진다. 보통 지지 부분(24)은 나사 또는 리벳 고정구(36)에 의해 벌브(26)에 고정되며 이것은 장착용 클립(23)이 관련 격자 T형 부재(27)에 대해 운동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지지 부분이 천공되어 상부 및 측부에 개방부를 제공함으로써 고정구(36)가 각각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면, 천정의 간극이 고정구들을 상부에 설치할 수 없게 할 때 고정구들(36)은 벌브의 측면상에 설치된다.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37)은 장착용 클립(23)상의 위치로 끼워지며 따라서 관련 격자 T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된다. 그러한 장식부 스트립(37)은 평탄한 부분(38)을 제공하며 이것은 장착용 클립의 면 부분(32)에 대해 맞게 된다. 하부 플렌지(39)는 면 부분의 저부 모서리(41) 아래에 맞게되며 상부 플렌지(42)는 장착용 클립의 천이 부분(31)의 상부 표면을 따라서 뒤로 맞게된다. 상부 플랜지(42)에는 가장자리 부분(43)이 제공되며 이것은 쇄정 탭 쌍들의 하나에 대해 쇄정되어 상부 플렌지를 면 부분의 상부 단부에 대해 단단히 유지시킨다. 마찬가지로 하부 플렌지에는 가장자리 부분(44)이 제공되지만, 그러한 가장자리 부분은 면 부분(32)의 하부 모서리(41)의 후방 측면과 연계될 필요는 없으며 이것은 상부의 가장자리와 쇄정용 모서리(34) 사이의 연계가 면 부분으로부터 뒷편으로 이격되어 있고 장식부 스트립의 하부 단부를 면 부분에 대해 단단히 유지시키는 경향의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제3도, 제4도 및 다른 도면의 일부에는 도시의 목적상 장착용 클립과 장식부 스트립의 다양한 부분들 사이에 간극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장식부 스트립은 장착용 클립의 면 부분(32)에 단단히 연계되게끔 치수가 정해지며, 실질적으로 일단 장식부 스트립이 장착 위치내로 끼워지면 이것은 장착용 클립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간섭 끼워맞춤이 요구된다. 하부 플렌지(39)는 패널 지지용 플렌지(29)의 근접 부분 아래에 연장된다. 가장자리 부분(44)은 하부 플렌지(39) 상에 제공되므로 마무리되지 아니한 모든 모서리가 감추어진다.
제4도는 격자 T형 부재(27)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지닌 장식부 스트립(37a)이 장착용 클립(23)상에 장착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예에서, 장식부 스트립은 하부 부분(46)을 제공하며 이것은 장착용 클립(23)의 면 부분 및 상부 부분(47)상으로 끼워진다. 이것은 격자 T형 부재위에 연장되어 후방으로 이격된 것이다. 도시된 장식부 스트립(37a)에는 쇄정용 탭과 쇄정되도록 상부 부분의 하부 단부에 구슬선(bead, 48)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장식부 스트립의 장착은 단지 장식부 스티립을 관련 장착 클립(23)에 끼움으로서 이루어진다.
장착용 클립(23)은, 장식부 스트립이 관련된 격자 T형 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어야만 하고 격자 T형 부재가 모듈(module)을 이탈한 곳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러한 장착용 클립(23)은, 제1도에 도시된 장식부 부분(16)을 메인 러너(main runner, 12)의 단부에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연결구(23)는 단일의 박판 금속으로부터 형성되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므로, 장식부 스트립이 격자 T형 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모듈을 이탈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5도 내지 제14도는 제2실시예의 장착용 클립의 용도 및 구성상의 변형을 도시한다. 그러한 장착용 클립은 다양한 높이의 직선이거나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을 연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착용 클립은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으로 연장되거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착용 클립(51)의 다양한 변형예는, 제1실시예의 지지 부분과 유사한 방식으로 관련된 T형 격자 부재위 벌브에 끼워지도록 채널 형상이거나 또는 도립된 u자 형상인 지지 부분(52)을 제공한다. 한쌍의 개구(50)는 지지 부분(52)내에 제공되며 이를 통해서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면 부분(53)은 리벳에 의해 지지 부분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180°를 통해 지지 부분에 대하여 면 부분의 주축 회전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면 부분(53)은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수직으로 연장되거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거나 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면 부분(53)은 번호(56)에서 절단되어 측면상으로 연장된 혀 모양이 부분, 즉 설부(57)를 제공한다. 설부(57)는 이것이 지지 부분의 단부에 근접하게 겹쳐져서 라벳(54)에 의해 연결되는 위치로 후방향 연장된다.
면 부분(53)의 상부 단부는 후방향으로 연장된 플렌지(58)와 함께 형상되며 이것은 관련된 장식부 스트립(59)내로 끼워져서 쇄정된다. 마찬가지로, 면 부분(53)의 하부 단부에는 후방향 연장된 플렌지(61)가 제공되며 이것은 장식부 스트립(59)의 하부 단부내로 끼워져서 쇄정된다. 상기 플렌지(58)에는 오목한 중앙부(62) 및 한쌍의 상향 연장된 쇄정부(63)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그러한 구조로써, 스크류 드라이버등과 같은 것이, 설치된 장식부 스트립(59)의 상부 플렌지와 요부(62)사이에 삽입되어 장식부 스트립의 상부 플렌지를 상향으로 죄며 장식부 스트립을 장착 위치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 쇄정 돌출부(63)를 제거할 수 있다.
지지 부분은 단부의 연장부(64)와 함께 형성되어, 장착용 클립(51)이 제6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교차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의 부분을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예에서, 연장부(64)는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격자 T형 부재(67)의 격자 위에 주축회전 고정구(54)를 위치시키도록 지지 부분((52)이 격자 부재(66)위에 위치된다. 또한, 설부(57)는 이것이 면 부분(53)을 격자(70)의 플렌지의 근접 모서리를 지나서 위치시키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따라서, 장식부 스트립(59)은 이것이 격자 T형 부재(66)에 의해 지지되고 격자 T형 부재(60)에 수직으로 연장될지라도 격자 T형 부재(70)에 평행으로 연장되게끔 적절히 위치된다. 그러나 제10도에서, 장착용 클립(51)의 지지 부분(52)은 근접한 격자부재(70)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는 교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착에 있어서 면 부분(53)은 지지 부분(52)에 수직인 위치에 주축회전 연결되며 면 부분은 격자 T형 부재(67)에 평행하게 장식부 스트립(59)을 지지하도록 적절히 위치된다.
설부(57)의 길이는, 주축(54)이 근접 격자 T형 부재의 벌브위에 직접적으로 위치하고 면 부분(53)이 그러한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위치할 때, 면 부분이 장식부 스트립을 수용하게끔 적절히 위치하도록 선택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평탄한 표면은 격자 T형 부재의 패널 지지용 플렌지들중 하나의 폭보다 약간 큰 거리로, 주축에서부터 이격되어 있다.
장착용 클립은, 면 부분과 지지 부분 사이에서의 주축 연결 때문에,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수직 및 수평 위치 사이의 모든 각도에서 연장된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용 클립(51)은 제1도에 도시된 장식부 스트립들을 지지하고 연결시키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장식부 스트립(16)을 장착시킬때는, 장식부 스트립(16)이 제8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관련 격자 T형 부재의 단부를 둘러싸고 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근접 격자 T형 부재의 단부에 대해 위치한다. 각도가 진 장식부 스트립(17,18)을 지지할때에는, 면 부분이 이러한 장식부 스트립과 적절히 배열되도록 지지 부분에 대하여 주축 연결된다. 장식부 스트립(19)을 지지할때에는, 장착용 클립이 제11도에 도시된 교차부 또는 제10도에 도시된 교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21,22)을 지지할 때에는 면 부분이 지지용 격자 부재에 적절히 주축 연결되어 지지점에서의 특정 각도를 수용하게 된다. 장착용 클립(51)이 유니버설 장착 클립이어서, 지지용 격자 T형 부재에 대하여 어느 방향에서나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게끔 조절될 수 있으면 효과적이다.
제12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제2의 탭(tab,71)은 면 부분(72)으로부터 뒤로 굽어진다. 이러한 탭(71)은, 면 부분이 격자 T형 부재(74)의 길이에 평행한 위치로 주축회전될 때, 관련된 격자 T형 부재(74)의 웨브(73) 측면과 연계되도록 위치한다. 이러한 탭은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변형예에서, 상부 플렌지(76)은 요부(78)의 각 측면상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쇄정용 모서리(77)를 제공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구조는 이전에 설명된 플렌지 쇄정 시스템보다 큰 면적으로 장식부 스트립(79)과 접촉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설치된 장식부 스트립의 제거가 필요할 때는 요부가 스크류드라이버등의 삽입을 허용한다.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탭(71)은 면 부분(72)으로부터 창(lance)처럼 절단되어 최초에는 면 부분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이것의 뒷편에 있게 된다. 탭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때는 최초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탭의 사용이 필요할때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부분에 수직으로 뒷편으로 굽히기만 하면된다.
제13도 및 제14도는 제2실시예 장착용 클립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장식부 스트립은 관련 격자 T형 부재의 높이에 거의 동등한 높이를 지니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이러한 예에서, 면 부분(53a)은 측면상으로 연장되도록 굽혀져서 제5도의 설부(57)에 해당하는 측면 플렌지(57a)를 제공한다. 그러한 플렌지는 주축 고정구(54)에 의해 지지 부분(52)에 연결된다. 이러한 예에서, 쇄정용 설부(65)는 플렌지(57a)로부터 굽혀져 나와서 장식부 스트립(59a)의 상부 플렌지와 쇄정된다.
장착용 클립의 다양한 비율은, 장식부 스트립(59 또는 59a)의 하부 플렌지(67)가 통상의 격자 T형 부재 플렌지의 하부 표면 아래에서 짧은 거리로 연장하고 또한 이것이 다른 형태의 격자 T형 부재에 대해 적절히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면 제13도에는, 격자 T형 부재(68)에 박스(box)와 같은 하부 플렌지가 제공되어 저부 측면상에 개방되어 있다.
격자 T형 부재(68)는 미국 특허 제4,535,580호에 설명된 형태이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써 포함된다. 그러한 격자 T형 부재는, 상기 특허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입술과 같은 부분, 즉 순부(68a)내에 틈새를 제공하며, 따라서 연귀이음(miter joint)이 교차부에 제공된다. 그러한 틈새는 교차하는 격자 T형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외측면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장식부 스트립이 하부 플렌지(67)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순부(68a)의 내측 모서리와 정확하게 정열되어 연장되도록 비율이 이루어져 위치한다. 따라서, 틈새는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다. 탭(71)은 플렌지(68a)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마찬가지의 장착용 클립 및 장식부 스트립(59a)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격자 T형 부재(71)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격자 T형 부재는 모자 형태의 플렌지 구조를 제공하며 이것은 상향으로 연장된 중앙의 채널(72)을 지닌다. 이러한 예에서, 장식부 스트립(59a)의 하부 플렌지(67)는 근접한 플렌지 표면을 내측으로 연장되지만, 채널(72)로부터 뒤쪽에서 종단된다.
주축 연결된 실시예로서, 면 부분은 다양한 높이의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고 이에 연결되도록 어떠한 높이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면 부분은 근접한 장식부 스트립의 접하는 단부에서 겹침 판으로서 기능하도록 더 넓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제15도 및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착용 클립(81)은 단일 조각의 박판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유사한 다리(82)는 면 부분(83)의 반대 측부로부터 뒷편으로 굽혀지며 관련 격자 T형 부재(87)의 웨브(84) 및 벌브(86)에 맞게끔 형상이 갖추어진다. 각각의 다리(82)는 웨브(84)의 측면과 연계되는 제1의 모서리(88)를 제공한다. 모서리(88) 위에서 다리는 벌브(86)둘레에 맞게끔 절단된다. 탭(91)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굽혀져서 장착용 클립과 관련된 러너(runner, 87)에 설치될 수 있게 하며, 클립이 위치된 이후에는 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탭(91)이 굽혀져서 벌브의 이격된 측면과 연계된다. 여기에서 쇄정용 플렌지(92,93)가 면 부분의 상부 및 하부 단부에 제공되어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94)과 쇄정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되는데만 사용될 수 있어서 관련된 격자 T형 부재에 평행하게 연장되지만, 장착용 클립이 간단한 박판 금속 조각으로 형성되어 필요한 플렌지 및 다리를 만들도록 굽혀지기 때문에 단순성의 장점을 지닌다.
제17 내지 제21도는 상기에서 설명된 형태의 장식부 스트립의 신규하며 향상된 겹침 판을 설명한다. 이러한 겹칩 판은, 접하는 단부가 정열되어 있는 조건 및 접하는 단부가 내측의 코너를 형성하는 조건에서 모두 장식부 스트립의 접하는 단부를 상호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장식부 스트립의 상부 및 하부 플렌지가 연귀이음 형태의 접합을 형성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장식부 스트립이 외측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굽혀질 때, 연귀 이음 형태의 절단부는 마무리된 외관을 제공하도록 폐쇄된다. 다른 한편으로, 통상적인 직선의 장식부 스트립의 접하는 단부는 때대로 직선 부분 및 내측 코너에 제공되어야만 한다. 제17도 내지 제21도의 겹침판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열된 조건에서 장식부 스트립의 접합 단부를 상호연결시키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 코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제17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면, 제19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겹침판(111)은 채널 형상이며, 중앙의 평탄한 면 부분(112) 및 면 부분의 모서리(116,117)로부터 연장된, 마주하여 측면상으로 연장되는 플렌지(113,114)를 제공한다. 겹침 판의 면 부분 및 플렌지의 치수는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118)내로 끼워질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모서리(121,122)는 장식부 스트립(118)의 근접한 가장자리 부분(123,124) 뒷편에 끼워져서 장식부 스트립(118)과 상호 쇄정 연결을 제공한다.
면 부분(112)은 측면상으로 연장된 창 절단부(lance cut, 126)와 함께 형성되며, 이것은 관련된 모서리(116,117)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단부(127,128)에 대하여 겹침 판의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면 부분은 간섭되지 아니한 연속적인 부분(125)을 제공하며 이것은 창 절단부의 양쪽 단부에서 창 절단부(126)를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창 절단부는 굽힘선(130)을 만들며, 내측 코너를 형성하는 장식부 스트립의 접합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때 이선을 따라 굽혀진다.
부가적으로, 2개의 플렌지(113,114)가 개방부(131,132)와 함께 형성되어, 이것은 창 절단부(126) 및 굽힘선(130)과 함께 정열된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서도 정열된다. 이러한 개방부는 제18도에 가장 잘 나타나있는 바와같이 플렌지의 관련 모서리(121,122)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플렌지(113,114)는 간섭되지 아니한 연속 부분(133)을 제공하여 굽힘선을 지나 연장되며, 면 부분(112)의 간섭되지 아니한 근접부(125)와 연게되어 겹침 판을 직선의 상태로 정상 유지한다.
겹침 판이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정열된 장식부 스트립(118,118a)의 접합 단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겹침 판이 2개의 장식부 스트립 사이에서 브리지(bridge)를 형성하며 이것의 근접 단부를 쇄정시키기 때문에, 접합 단부는 접합 조건에서 정열된다. 제20도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창 절단부의 굽힘선이 접합 연결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완전히 중앙인 위치에서 겹침 판을 연접하는 장식부 스트립내에 끼워넣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창 절단부(126)가 접합 연결부와 정열되도록 겹침 판이 설치될지라도, 겹침 판은 2개의 장식부 스트립 사이에서 연결을 이어주는 적절한 상호 연결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제공한다.
외관이 단정한 내측 코너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때에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개의 연접하는 장식부 스트립이 연접 관계로 위치될 때 폐쇄되는 각도로 절단된 플렌지를 지니는 장식부 스트립 단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측 코너는 장식부 스트립의 연접 단부를 정열상태로 유지하고 그러한 단부에서 각도를 이루고 있는 플렌지를 연접 연결상태에서 유지하도록 코너에서 겹침 판을 필요로 한다.
겹침 판이 내측 코너를 형성하는데 사용될때에는 근접한 모서리(121,122)로부터 관련된 개방부(131,132)로 간섭되지 아니한 부분(133)을 통해 절단할 필요성이 있다. 일단 그러한 절단부가 형성되면, 내측 코너에 필요한 각도에 맞는 각도로 창 절단부(126)에 의해 형성된 굽힘선(130)을 따라서 겹침 판이 날카로운 코너 굽힘부와 함께 용이하게 굽혀질 수 있다.
그러한 코너에서, 굽힙선(130)과 2개의 겹침 단부 사이에 있는 겹침판의 일부는 각기 제2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련 장식부 스트립(118b,118c)내로 끼워진다. 이후에 겹침 판은 브리지 연결을 제공하여 연접 단부를 서로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로 유지한다.
이러한 간단한 겹침 판 구조로써, 장식부 스트립의 직선인 상호 연결 및 내측 코너에서의 장식부 스트립의 연결 양측에 대해 겹침 판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선행기술에서는 창 절단부(126) 또는 개방부(131,132)가 없어,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형상만을 지닌 겹침 판이 정열된 채널 형상의 부재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겹침 판은 내측 코너에서 사용될 수 없었다.
제22도 내지 제25도는 직전에 설명된 겹침 판의 변형을 도시한다. 이러한 겹침 판(141)은 채널 형상이며 중앙의 평탄한 면 부분(142)을 제공하고, 중앙에 위치한 측면상으로 연장된 창 절단부(143)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플렌지(144,146)는 면 부분(142)의 마주하는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일반적으로 채널 형상인 구성을 제공한다. 플렌지(144,146)는 다시 개방부(145)와 함께 형성되어 창 절단부와 정열을 이루며 플렌지의 근접 모서리로부터 이격되어 플렌지의 중앙 부분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며 창 절단부(143)의 굽힘 선(143a)을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겹침 판도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의 연접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 겹침 판(141)을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내에 설치할 수 있다. 플렌지에는 이것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거리로 측면의 노취(notche,147)가 형성되어, 이격된 플렌지 부분(147a)을 제공한다. 이러한 것은 창 절단부로부터 이격된 길이를 따라 면 부분이 간격을 두어 굽혀져서 관련된 만곡 장식부 스트립의 곡률에 접근하게 한다. 각각의 측면 노취(147)에 근접하여, 각각의 부분(147a)의 근접 코너는 부호(148)에서 외측으로 굽혀져서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의 가장자리와 지점 쇄정 연계를 형성한다. 노취(147)는 근접한 부분(147a)을 이격시키는 폭을 지닌다. 따라서, 겹침 플레이트의 2개 단부는 내측 및 외측으로 굽혀져서, 겹침 판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볼록하거나 또는 오목한 장식부 스트립과 일치된다.
여기에서 제22도 내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겹침 판이 사용되어 연접한 만곡 장식부 스트립 사이에서 브리지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내측 코너가 형성되어야만 할 때, 개방부(146)를 지나는 플렌지의 부분이 절단되어 겹침 판이 창 절단부(143)에 의해 형성된 굽힘선을 따라 굽힐 수 있게 되어 날카로운 코너를 형성한다. 따라서, 겹침판은 만곡되거나 또는 직선인 장식부 스트립이 연결하는 곳에서 정열을 이루는 만곡되거나 또는 직선인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을 날카로운 내측 코너에서 접합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개방부(40)의 각각의 측면상에 있는 노취에 근접한 모서리는 개방부(146)의 각각의 측면상에서 쇄정용 코너를 형성하도록 모두 상향으로 각도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노취(147)들 사이의 잔여 플렌지 부분은 한쪽 코너에서만 굽혀져서 각각의 플렌지 부분만이 만곡된 장식부 스트립의 근접 플렌지와 한 지점에서 쇄정된다. 이러한 것은, 겹침 판이 장식부 스트립의 곡률과 일치하게끔 완만하게 만족되지 아니하고 단지 장식부 스트립의 곡률에 근접하도록 굽혀질지라도 양호한 상호연결을 제공한다. 그러나 중앙 부분에 2개의 코너 탭(148a,148b)을 제공함으로써 연접 단부는 연접 단부와 근접한 정열내로 쇄정되어 양호한 정열이 이루어진다.
제24도는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되도록 굽혀진 겹침 판(141)을 도시하며 여기에서는 겹침 판의 일단부가 장식부 스트립의 곡률에 근접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굽혀지며 타단부는 다른 장식부 스트립의 곡률에 근접하도록 블록한 형상으로 굽혀진다.
도시된 장착용 클립의 실시예들중에서, 장착용 클립은 관련된 격자 T형 부재상에 최초로 장착되며 장식부 스트립은 이것을 단지 장착용 클립상에서 장착 위치로 끼워넣음으로써 설치된다. 장식부 스트립을 장착용 클립에 연결시키는데 필요한 고정구가 있지 않기 때문에, 설비의 마무리된 외관을 해칠 수 있는 고정구의 노출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장착용 클립은 관련된 격자 T형 부재에 대해 적절한 거의 어느 방향으로나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장식부는 거의 어떠한 형상의 모서리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예 및 부분품의 재배열이 본원의 청구범위에 나타난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상향의 중앙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의 하부 모서리부터 서로 반대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 지지용 플렌지를 지니는, 상호 연결된 격자 T형 부재로 형성된 현수 천정 격자의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서 장식부 스트립을 격자 T형 부재상에 장착시키며, 상기 중앙 부분 및 수직으로 연장된 면 부분을 연결시키도록 적용된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면 부분은, 분리된 고정구의 사용없이 채널 형상의 신장된 장식부 스트립과 연결되도록 적용된, 수직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상호 쇄정을 제공하며, 노출된 고정구 없이 근접한 격자상에 채널-형상의 장식부 스트립을 장착하도록 작동되는, 현수 천정 장식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의 부분은 한 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플렌지에 접합된 웨브를 제공하며 상기 웨브의 반대 모서리를 따라 벌브(bulb)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 벌브상에 장착되도록 적용된 장식부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 벌브의 상부 및 측면을 따라 맞게 적용된 도립의 u자 형상을 지니는 장식부 연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 부분은 상기 지지 부분에 수직인 위치와 상기 지지 부분에 평행한 위치 사이에서의 주축 회전 운동을 위해 상기 지지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장식부 연결구는, 상기 격자 부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또한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장식부 스트립을 장착하도록 적용된 장식부 연결구.
  5. 제4항에 있어서, 주축 요소는 상기 지지 부분과 상기 면 부분을 연결시키며,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의 도립된 u자 형상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부 연결구가 상기 격자 부내의 교차부에서 장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면 부분은 평탄한 부분 및 측면의 부분을 제공하고, 상기의 주축 요소는 상기의 측면 부분을 상기의 지지 부분에 연결시키는 장식부 연결구.
  6.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연결구 클립들은 상기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간격을 두어 상기 격자상에 장착되며 상기 장식부 스트립은 마무리된 노출 장식부를 상기 노출된 모서리를 따라 제공하며, 상기 장식부 스트립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근접한 연결구 클립이 장착되어 있는 격자 T형 부재에 대한 각도로 근접 연결구 클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장식부 연결구.
  7.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2개의 단부가 연접하는 장식부 스트립을 지니는 복수개의 장식부 스트립을 포함하고, 겹침 판은 상기의 단부 연접 장식부 스트립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의 겹침판은 채널 형상의 동체를 포함하고, 이 동체는 중앙의 겹침판 면 부분 및, 상기 연접 단부에 근접한 상기 채널 형상의 장식부 스트립의 상기 연접 단부들과 쇄정되고 그들 사이의 브리쥐(bridge)에 비례하는 마주보는 플렌지를 지니며, 상기의 겹침판이 내축 코너를 제공하도록 굽혀질 때 상기의 부분은 굽힘 선을 만드는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의 겹침 판이 정열되어 연접하는 채널 형상의 부재를 상호 연결시킬 때 상기의 겹침 판 플렌지는, 상기의 굽힘 선을 지나서 간섭되지 않은채 연장되며 상기 굽힘선을 지나서 상기의 겹침 판을 직선으로 유지시키는 연속적인 부분을 제공하고, 상기 겹침 판이 내측 코너에서 연접하는 채널 형상의 부재를 상호 연결할 때 상기 연속적인 부분은 상기 굽힘선을 따라 상기 겹침 판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절단되는 장식부 연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겹침 판 면 부분은 폭을 지니며, 상기 수단은 상기 굽힘 선을 따라 연장된 창 절단부(lance cut)내에 상기 굽힘 선을 제공하고, 상기 창 절단부는 상기의 폭보다 작은 길이를 지니며, 상기 겹침 판 면 부분의 일부는 상기 굽힘 선을 지나 간섭되지 않게 연장되며 상기 플렌지의 상기 연속적인 부분과 공조하여 상기 겹침 판이 정열된 연접 채널 형상의 부재와 상호 연결될 때 상기 겹침 판을 상기 굽힘 선을 지나 직선으로 유지시키는 겹침 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들은 각각 상기 면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관련 플렌지의 모서리부터 이격된 상기 굽힘 선과 정열된 개방부를 제공하며, 상기 플렌지의 상기 연속적인 부분은 관련된 플렌지의 관련 모서리내에 있는 각각의 개방부 사이에서 상기의 굽힘 선을 지나 연장되며, 상기의 겹침 판이 내측 코너를 제공하도록 굽혀질 때 상기의 연속적인 부분은 절단되는 겹침 판.
KR1019920009398A 1991-05-31 1992-05-30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210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08,975 1991-05-31
US07/708,975 US5195289A (en) 1991-05-31 1991-05-31 Trim system for suspension ceilings
US819,272 1992-01-10
US07/819,272 US5201787A (en) 1991-05-31 1992-01-10 Trim system for suspension ceil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814A KR920021814A (ko) 1992-12-18
KR100210573B1 true KR100210573B1 (ko) 1999-07-15

Family

ID=2710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398A Expired - Lifetime KR100210573B1 (ko) 1991-05-31 1992-05-30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201787A (ko)
EP (1) EP0516330B1 (ko)
JP (1) JP3098323B2 (ko)
KR (1) KR100210573B1 (ko)
AT (1) ATE169362T1 (ko)
AU (2) AU643410B2 (ko)
CA (1) CA2069837C (ko)
DE (1) DE69226476T2 (ko)
MX (1) MX9202521A (ko)
NZ (1) NZ242960A (ko)
SG (1) SG439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787A (en) * 1991-05-31 1993-04-13 Usg Interiors, Inc. Trim system for suspension ceilings
US5247769A (en) * 1992-11-19 1993-09-28 Becker Kenneth G Flexible edge molding for curved surfaces
EP0795657B1 (en) * 1996-03-14 2001-10-24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A ceiling mounting system
US6047512A (en) * 1998-10-21 2000-04-11 Usg Interiors, Inc. Drywall suspension grid system
US6689451B1 (en) 1999-11-19 2004-02-10 James Hardie Research Pty Limited Pre-finished and durable building material
DE10011285C2 (de) * 2000-03-08 2002-02-28 Stefan Thermann Anschlußprofil für Deckenverkleidungen
DE10017638C2 (de) * 2000-04-08 2002-02-07 Profil Vertrieb Gmbh Befestigungselement zum Anbringen C-förmiger Tragteile an Walzstahlprofilen
US6374564B1 (en) * 2000-05-31 2002-04-23 Usg Interiors, Inc. Suspended curved ceiling system
US6298623B1 (en) 2000-06-09 2001-10-09 Usg Interiors, Inc. Adjustable trim strip system
WO2002081840A1 (en) 2001-04-03 2002-10-17 James Hardie Research Pty Limited Two-piece siding plank,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DE10217574B3 (de) * 2002-04-19 2004-02-19 Welser Profile Ag Bausatz mit Eckverbinder
DK1534511T3 (da) 2002-07-16 2012-07-09 Hardie James Technology Ltd Emballage til præfabrikerede fibercementprodukter
US8281535B2 (en) 2002-07-16 2012-10-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Packaging prefinished fiber cement articles
US20050217194A1 (en) * 2004-03-30 2005-10-06 Eric Krantz-Lilienthal Trim system for a suspended ceiling
AU300238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7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2237S (en) 2004-06-17 2005-06-29 James Hardie Int Finance B V Sheet cutting knife
AU300234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2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3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40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5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6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239S (en) 2004-06-17 2004-11-18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system component
AU300671S (en) 2004-06-29 2005-02-11 Hardie James Technology Ltd Trim element
US7998571B2 (en) 2004-07-09 2011-08-16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Composite cement article incorporating a powder coating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810294B2 (en) * 2004-09-29 2010-10-12 Ig Creative Solutions, Inc. Housing construction system
WO2006039664A2 (en) * 2004-10-01 2006-04-13 Carrier Corporation Trim joint for sealing gaps between panes of flat glass
US7752821B2 (en) * 2004-10-27 2010-07-13 Chicago Metallic Corporation Suspended ceiling system
US7690168B2 (en) * 2005-07-29 2010-04-06 Usg Interiors, Inc. Wall mold attachment clip
US20070256390A1 (en) * 2005-09-29 2007-11-08 Carrier Corporation Trim joint for sealing gaps between panes of flat glass
US7788875B2 (en) * 2005-11-21 2010-09-07 Usg Interiors, Inc. Trim system clip for island ceiling
US7578107B2 (en) * 2005-12-02 2009-08-25 Worthington Armstrong Venture Suspended ceiling segment
PL1811098T3 (pl) * 2006-01-18 2009-01-30 Chicago Metallic Continental Sufitowy układ wyspowy
NZ571874A (en) 2006-04-12 2010-11-26 Hardie James Technology Ltd A surface sealed reinforced building element
US7392629B1 (en) * 2006-12-28 2008-07-01 Usg Interiors, Inc. Suspended ceiling system
US8215075B2 (en) * 2008-03-18 2012-07-10 Awi Licensing Company Up-tight surface covering and attachment system
EP2182128A1 (en) 2008-10-30 2010-05-05 Chicago Metallic Continental A suspendable ceiling island system
USD612224S1 (en) 2009-02-11 2010-03-23 Usg Interiors, Inc. Perimeter trim mounting bracket
US7930864B2 (en) * 2009-02-11 2011-04-26 Usg Interiors, Inc. Mounting clip
US20110056011A1 (en) * 2009-08-21 2011-03-10 Drechsel Lamont Corner assemblies for swimming pools
US8453407B2 (en) * 2009-12-22 2013-06-04 Usg Interiors, Llc Seismic clip
WO2012050554A1 (en) 2010-10-11 2012-04-19 Ig Creative Solutions, Inc. Housing construction system
US8813457B2 (en) 2012-06-29 2014-08-26 Usg Interiors, Llc Grid runner to perimeter trim clip
US8511023B1 (en) * 2012-11-06 2013-08-20 Usg Interiors, Llc Wall panel mounting system
US9255403B1 (en) * 2014-08-19 2016-02-09 Usg Interiors, Llc Free span ceiling grid system
US9799177B2 (en) 2014-09-23 2017-10-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haptic covert communication
US9187898B1 (en) 2014-09-24 2015-11-17 Usg Interiors, Llc Perimeter trim clip for suspended ceilings
US10106982B2 (en) 2017-03-13 2018-10-23 Rockwool International A/S High strength grid member for suspended ceilings
USD839078S1 (en) 2018-01-04 2019-01-29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D959251S1 (en) 2020-07-22 2022-08-02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11692340B2 (en) 2020-07-22 2023-07-04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USD959250S1 (en) 2020-07-22 2022-08-02 Clarkwestern Dietrich Building Systems Llc Slide clip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5150A (en) * 1955-08-19 1959-12-01 Ralph W Weidler Basement assembly and prefabricated structural units therefor
US3562973A (en) * 1969-02-14 1971-02-16 Du Pont Collapsible prefabricated structure
US3546842A (en) * 1969-05-27 1970-12-15 Koller Craft Plastic Products Panel assembly
US4055930A (en) * 1976-05-27 1977-11-01 Ceiling Resurfacing Systems, Inc. Grid ceiling trim
US4367616A (en) * 1980-04-25 1983-01-11 Pearson Ronald D Wooden beam suspended ceiling assembly
US4535580A (en) * 1981-07-09 1985-08-20 Donn Incorporated Screw slot runner system
DE3338037A1 (de) * 1983-10-20 1985-05-02 Richter-System GmbH & Co KG, 6103 Griesheim Clip zur befestigung von bekleidungsplatten an walzstahlprofilen
US4742662A (en) * 1986-05-05 1988-05-10 Smith Owen J Ceiling trim support clips
US4744188A (en) * 1987-05-15 1988-05-17 Donn Incorporated Suspended island ceiling system
US4872296A (en) * 1987-07-30 1989-10-10 Duro-Last Roofing, Inc. Corner pieces for single-ply polymer-coated fabric core roof membranes and the product thereby formed
US5031377A (en) * 1989-02-13 1991-07-16 Mccalla/Lackey Products Corporation Artificial beam
US5088261A (en) * 1990-12-20 1992-02-18 Usg Interiors, Inc. Curved grid tees for suspension ceilings
US5201787A (en) * 1991-05-31 1993-04-13 Usg Interiors, Inc. Trim system for suspension ceil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8323B2 (ja) 2000-10-16
SG43919A1 (en) 1997-11-14
NZ242960A (en) 1997-12-19
AU4454293A (en) 1993-11-11
KR920021814A (ko) 1992-12-18
CA2069837A1 (en) 1992-12-01
JPH05156743A (ja) 1993-06-22
ATE169362T1 (de) 1998-08-15
EP0516330A2 (en) 1992-12-02
AU643410B2 (en) 1993-11-11
DE69226476D1 (de) 1998-09-10
EP0516330B1 (en) 1998-08-05
AU1718692A (en) 1992-12-03
US5201787A (en) 1993-04-13
EP0516330A3 (ko) 1994-04-20
AU659388B2 (en) 1995-05-11
CA2069837C (en) 2004-01-20
DE69226476T2 (de) 1999-03-04
MX9202521A (es) 199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573B1 (ko) 현수 천정용 장식 시스템
US5195289A (en) Trim system for suspension ceilings
US5941032A (en) Framing assembly for a door light
US4535580A (en) Screw slot runner system
US4408427A (en) Framing system for demountable walls or the like
AU2010213961B2 (en) Mounting clip
US7856777B2 (en) Clip arrangement for wall panel tiles
NZ198360A (en) Telescoped stud,in floor and ceiling tracks,and including'snap'locking tabs
US8955273B1 (en) Channel cross member
MX2008001087A (es) Sujetador para conexion de molde de pared.
US5560413A (en) Panel connector system
US4780800A (en) Reflective louvre for ceiling fixtures
US10006199B2 (en) Trim strip system for use with underhung ceiling panels
US20070051051A1 (en) Gutter system
US6085477A (en)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tructural parts and complete structural members using interconnected structural elements, and arrangement for interconnecting the structural elements
JP2710087B2 (ja) 横葺き外装面の施工方法
GB2099476A (en) Runner system
JPH0736977Y2 (ja) 交叉部材の結合部の構造
WO2025088008A1 (e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of a sound insulation element, connecting elements for connecting of profile-elements of a sound insulation element and connector for connecting a support profile to at least one profile element of a sound insulation element
JP3503514B2 (ja) 留め付け金具とこれによる四面合决り外装材の施工構造
JPS6237848Y2 (ko)
JPH07252949A (ja) サニタリールームユニット
JPH10183834A (ja) パネル固定具
JPH07158294A (ja) サニタリールームユニット
JPH09170318A (ja) アルミニウム材の組み立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5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0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