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0393B1 -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 Google Patents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393B1
KR100210393B1 KR1019960024737A KR19960024737A KR100210393B1 KR 100210393 B1 KR100210393 B1 KR 100210393B1 KR 1019960024737 A KR1019960024737 A KR 1019960024737A KR 19960024737 A KR19960024737 A KR 19960024737A KR 100210393 B1 KR100210393 B1 KR 10021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nvironment
responder
requester
call environ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7407A (en
Inventor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2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393B1/en
Publication of KR98000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4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39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포함하는 통화요청신호 전달단계와;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응답자측이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요청자 ID 추출단계; 통화 리스트를 읽어오는 단계;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요청자의 ID에 따른 레벨을 읽어 오는 단계; 통화 환경을 정지 화상 모드, 동화상 모드 또는 실화상 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통화 개시 단계;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통화 개시 단계; 비디오 입출력 장치를 오프시키는 단계; 실화상이 아닌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통화 환경 변경여부 판단 단계; 통화 환경 변경단계; 및 통화 지속 후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 요청자의 ID에 따라 다양한 통화 환경을 설정하므로써, 통화 응답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요청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comprising: a call request signal transmitting step including a requestor ID and a responder ID;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 responder receiving the call request signal; Requestor ID extraction step; Reading a call list;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voice mode; Reading a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or's ID; Setting a call environment into a still picture mode, a moving picture mode, or a real picture mode, respectively;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voice mode; Call initiation step; Deliver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a real picture to a call requester; Call initiation step; Turning off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Delivering call information that is not a real picture to a call requester;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Changing the call environment; And ending the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ss after the call is continue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various call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ID of the call requester, the actual appearance and other information of the call responder are unnecessary to the requester. It is effective to prevent exposure.

Description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system with video call service

제1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종래의 통화 진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all progress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service function.

제2도는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시스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eference model of the Digital Audio Visual Council (DAVIC) system.

제3도는 상기 DAVIC 시스템 참조모델 중 시스템 장치를 도시한 구성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device among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s.

제4도는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4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of a video telephony service.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 station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0 : 망접속 장치 410 : 튜너400: network connection device 410: tuner

420 : 복조부 430 : 암호 해독부420: demodulator 430: decryption unit

440 : 대화형 통신부 500 : 셋탑장치440: interactive communication unit 500: set-top device

505 : 역다중화부 510 : 오디오 복호부505: demultiplexer 510: audio decoder

515 : 비디오 복호부 520 : 비디오 메모리515: video decoder 520: video memory

525 : 중앙 처리 장치 530 : 메모리525: central processing unit 530: memory

535 :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 540 : 그래픽 생성부535: direct memory access control unit 540: graphic generation unit

541 : 그래픽 정보 제어부 542 : 그래픽 메모리541 graphic information control unit 542 graphic memory

543 : NTSC 부호부 545 : 암호 해독부543: NTSC coder 545: decryption unit

550 : 고주파 변환부 555 : 전송부550: high frequency conversion unit 555: transmission unit

560 : 전원부 565 : 리모콘560: power supply unit 565: remote control

600 : 오디오 입출력장치 650 : 비디오 입출력장치600: audio input / output device 650: video input / output device

본 발명은 통화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 통화 요청자의 식별자(Identifier: 이하 ID라 함)에 따라 다양한 통화 환경을 설정하므로써, 통화 응답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요청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call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by setting various call environments according to an identifi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 of a call requestor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the actual appearance and other information of the call respon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call environment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to prevent unnecessary exposure to a requestor.

미래의 초고속 정보고속도로(Information Super Highway)가 개통되면 통신 분야에 있어서도 기존의 음성 통신서비스 이외에 영상과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새로운 서비스 중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가 영상 전화 서비스이다.The opening of the Information Super Highway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emand for a new servic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video and data in addition to the existing voice communication service. The most basic service among the new services is a video telephone service.

상기 영상 전화 서비스는 음성신호와 더불어 방대한 양의 영상신호 및 기타 데이터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고도의 데이터 압축기술 뿐만 아니라 전화 서비스 자체가 단방향 통신이 아닌 양방향 통신이므로 양방향(Interactivity)통신기술 즉 대화형 통신기술도 필요한 서비스이다.Since the video telephone service must transmit a large amount of video signals and other data as well as an audio signal, not only a high data compression technology but also the telephone service itself i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rather than a one-way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lso a necessary service.

이에, 영상 전화 서비스는 고도한 데이터 압축기술과 대화형 통신기술을 포함하는 영상 전화 기능을 가진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Interactive service system)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ideo telephony service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interactive service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function including an advanced data compression technique and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ique.

대화형 서비스는 기존의 TV나 유선방송 시스템(Cable Television: 이하 CATV라함)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이므로, 가입자의 선택조절 신호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되어 가입자가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때에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의 조합이다.Unlike conventional TV or cable broadcasting system (Cable Television), interactive service is an interactive service, so that the subscriber's selection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er so that the subscriber can receive the information he / she wants when desired. It is a combination.

이러한 대화형 서비스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대화형 유선 방송 시스템(Interactive Cable Television: 이하 I-CATV이라 함)을 기술적 기반으로 하는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이하 VOD라 함) 서비스이다.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n interactive service is a video on dem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VOD) service based on a technology based on an interactive cable broadcast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I-CATV).

제1도는 상기의 대화형 서비스 시스템과 같은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통화 진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통화 진행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ventional call progress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service function such as the interactive service system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conventional call progress shown in Figure 1 with reference to Figure 1 as follows.

제1단계(S10)에서 임의의 영상 전화 서비스 가입자는 영상 전화 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와 가입자 자신(이하 요청자)의 ID 및 전화를 받을 상대방(이하 응답자)의 전화번호를 전송망(ISDN)(11)나 전달 시스템(40))을 이용하여 ISDN 중계국(도시되지 않음)이나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의 ID는 특정 식별자나 자신의 이름, 전화번호등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In a first step (S10), any video telephone service subscriber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an ID of the subscriber (hereinafter, the requester) and a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hereinafter, the respondent) to receive the call. Or b) to the ISDN relay station (not shown) or the service supply system 20 using the delivery system 40. Here, the above-mentioned ID should just be able to distinguish itself, such as a specific identifier, its own name, telephone number.

이어서, 제2단계(S20)에서 상기 ISDN 중계국이나 서비스 공급 시스템(20)은 입력된 영상 전화 서비스 요청신호와 요청자의 ID를 입력 받아, 상기 요청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ubsequently, in step S20, the ISDN relay station or service supply system 20 receives the input video telephone service request signal and the requester's ID,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or's ID is registered in the service subscriber list.

이에, 제3단계(S30)에서 상기 제2단계(S2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통화가 개시되기도 하고 통화가 거부되기도 한다.Accordingly, the call may be initiated or the call may be rej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ond step S20 in the third step S30.

즉, 제3-1단계(S31)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요청자와 응답자간의 통화가 개시된다.That is, in step 3-1 (S31), when the subscriber's ID is registered in the service subscriber list, the call between the requester and the responder is started.

반면에, 제3-2단계(S32)에서, 가입자의 ID가 서비스 가입자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S32), 요청자는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가 없어 응답자와 통화를 하지 못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step (S32), if the subscriber's ID is not registered in the service subscriber list (S32), the requester is not able to receive the video telephone service, and thus cannot make a call with the respondent.

이어서, 4단계(S40)에서 요청자가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통화를 종료한다.Subsequently, if the requester puts down the handset in step S40, the call end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 전화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적법한 가입자가 통화를 요청해 왔을 때, 통화 요청을 받은 응답자가 고의로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나 전화를 받을수 없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통화가 개시되고, 일단 통화가 개시되면 개인의 의사에 관계없이 응답자 자신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통화를 요청한 가입자에게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function, when a legitimate subscriber of a video telephony service has requested a call, the caller is called except when the respondent who receives the call request does not knowingly receive a call or cannot receive a call. Is initiated, and once the call is initi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respondent and the other information are unnecessarily exposed to the subscriber who requested the call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individual.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화 요청자의 식별자(Identifier: 이하 ID라 함)에 따라 다양한 통화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to set various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aller's identifier (ID).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화 환경 설정방법은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가입된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요청자가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서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전달하거나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제2단계; 응답자측이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제3단계; 상기 입력된 통화 요청 신호 중 요청자의 ID를 추출하는 제4단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 리스트를 읽어오는 제5단계; 상기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없는 경우,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제7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있는 경우, 요청자의 ID에 따른 레벨을 읽어 오는 제8단계; 상기 읽어 온 레벨에 따라 통화 환경을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 저장된 동화상 모드 또는 실화상 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제9단계; 상기 요청자 ID에 따른 레벨이 없는 경우, 응답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고,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제10단계; 상기 제9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하는 제11단계; 상기 응답자의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제12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또는 상기 제9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이거나 저장된 동화상인 경우, 혹은 상기 제10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하는 제13단계; 비디오 입출력 장치를 오프시키는 제14단계; 응답자측의 저장된 정지 화상이나, 저장된 동화상 혹은 음성만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제15단계; 통화 환경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6단계; 상기 제1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 환경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통화 환경을 변경하는 제17단계; 및 상기 제12단계에서 통화 정보가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된 경우, 또는 상기 제17단계에서 통화 환경이 변경된 경우, 통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한 후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제18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subscribers subscribed to a server provid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wherein a requester sends a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a requester ID and a responder ID to the server. A first step of delivering; A second step of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nd then transmitting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sponder or ending all call sett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third step of receiving, by the responder, the call request signal; Extracting an ID of a requester from the input call request signal; A fifth step of reading a pre-stored call list; A six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A seventh step of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voice mode when the ID of the requester is not in the call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reading a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er's ID when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A ninth step of respectively setting a call environment to a stored still picture mode, a stored moving picture mode, or a real picture mode according to the read level; If there is no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er ID,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responder and setting a call environment to a voice mode; An eleventh step of initiating a call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is a real picture mode; A twelfth step of transmitt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a real picture of the responder to a call requeste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seventh step is the voice mod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is a stored still picture mode or a stored video imag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tenth step is the voice mode, Initiating step 13; Turning off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14); A fifteenth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stored still picture or the stored moving picture or voice of the responder to the call requeste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call environment; A 17th step of changing the call environment when the call environment is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6; And an eighteenth step in which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sses are terminated after continuing the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ll requester in the twelfth step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in the seventeenth step.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 통화 요청자의 ID에 따라 다양한 통화 환경을 설정하므로써, 통화 응답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요청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a variety of cal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ID of the call requestor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the actual appearance of the call responder and other information is prevented from unnecessary exposure to the reques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DAVIC 시스템 참조모델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 will be described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 시스템은 민간 기구인 DAVIC(Digital Audio Visual Council: 이하 DAVIC 라함)에서 정의된 DAVIC 시스템 참조모델(Davic System Referece Model: DSRM)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되고 있다.The video telephone service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ased on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 (DSRM) defined by the Digital Audio Visual Council (DAVIC), a private organization.

제2도는 상기의 DAVIC 시스템 참조모델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2도에 도시된 DAVIC 시스템 참조모델은 시스템 장치(2: System Entities)와 정보흐름(4: Information Flow), 참조점(6: Reference Points) 및 인터페이스 정의(8: Interface Definitions)로 나누어진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bov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 shown in FIG. 2 is divided into a system device (2), an information flow (4: Information Flow), a reference point (6), and an interface definition (8).

여기서, 상기 시스템장치(2)는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 Service Provider System: SPS)과 전달 시스템(2-2: Delivery System: DS) 및 가입자 단말기(2-3: Set Top Unit: 이하 STU 라함)로 나누어진다.Here, the system apparatus 2 includes a service provider system (SP-1), a delivery system (DS-2-2), and a subscriber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U). ).

또한, 상기 정보 흐름(4)은 DAVIC 시스템 참조모델을 통하여 흐르는 정보의 여러 형태를 정의한 것인데, 사용자 측면, 제어 측면, 관리 측면으로 크게 세가지로 구분하여 그 기능을 정의하였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flow 4 defin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lowing through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 The information flow 4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spects, a user side, a control side, and a management side.

즉, 정보 흐름(4)은 사용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내용 흐름(S1)과 서비스 명령 흐름(S2), 제어 측면에서의 서비스 관련 제어 흐름(S3)과 망관련 제어 흐름(S4), 관리 측면에서의 망 및 서비스 관리 흐름(S5)으로 나뉜다.That is, the information flow 4 includes the service content flow S1 and the service command flow S2 on the user side, the service related control flow S3 and the network related control flow S4 on the control side, and the management side. It is divided into network and service management flow (S5).

상기 서비스 내용 흐름(S1)은 MPEC-2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형태로 전달되는 AV(Audio Visual) 비트 스트림 즉, 정보 내용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영화 내용, 정보 데이터 등이다.The service content flow S1 refers to an audio visual (AV) bit stream, that is, information content, transmitted in the form of an MPEC-2 transport stream. For example, movie contents and information data.

또한, 상기 서비스 명령 흐름(S2)은 상기 서비스 내용 흐름(S1)을 제어하는 명령 정보와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딩(Down Loading)받을 수 있는 응답 정보를 말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command flow (S2) refers to the comm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service content flow (S1)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Down Loading).

상기 서비스 관련 제어 흐름(S3)은 상기 서비스 내용 흐름(S1)과 상기 서비스 명령 흐름(S2)에 대한 세션(Session)의 설정이나 종료를 수행하며 서비스의 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결정하는 요소들, 가입자 단말기(2-3)의 성능 요구사항, 세션의 지연, 메뉴 정보같은 기초 서비스에 대한 특수한 정보 등을 처리한다.The service related control flow S3 performs setting or termination of a session for the service content flow S1 and the service command flow S2, and determines a quality of service (QoS). Elements, performance requirements of subscriber station 2-3, session delays, special information about basic services such as menu information, and the like.

여기서, 세션이란 두 사용자(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 또는 가입자 단말기(2-3)) 혹은 더 이상의 사용자간의 논리적 결합을 의미하며 어떤 서비스를 받는데 필요한 자원들을 묶어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Here, the session refers to a logical combination between two users (service provider system 2-1 or subscriber terminal 2-3) or more users, and provides a function of grouping and managing resources required to receive a certain service. .

상기 망관련 제어 흐름(S4)은 상기 세 장치(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과 전달 시스템(2-2) 및 가입자 단말기(2-3))간의 접속을 제공하는 일종의 프로토콜이다. 마지막으로, 망 및 서비스 관리 흐름(S5)은 연결 서비스 관리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정보의 흐름과, 응용 서비스, 세션 서비스, 트랜스 포트 서비스 등의 관리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정보의 흐름을 말한다.The network related control flow (S4) is a protocol that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the three devices (service provider system 2-1 and delivery system 2-2 and subscriber station 2-3). Finally, the network and service management flow (S5) refers to the flow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nection service management requirements, and the information flow including the requirements for management of application services, session services, transport services, and the like.

한편, 상기 참조점(6)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과 전달 시스템(2-2) 및 가입자 단말기(2-3)간의 상호 연결을 위한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A1~A11로 구분된다.Meanwhile, the reference point 6 i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1, the delivery system 2-2, and the subscriber station 2-3, and is divided into A1 to A11 according to its function. do.

그 중, A11(6-1) 참조점은 내용 제공자 시스템(도시되지 않음: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종의 프로그램 제작자이다)과 전달 시스템(2-2)과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A10(6-2) 참조점은 전달 시스템(2-2)과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또한, A9(6-3) 참조점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과 전달 시스템(2-2)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데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를 기본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A1(6-4) 참조점은 전달 시스템(2-2)과 가입자 단말기(2-3)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Among them, the reference point A11 (6-1) is an interface between a content provider system (not shown: a kind of program producer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1) and the delivery system 2-2. A10 (6-2) reference point defines the interface between the delivery system 2-2 and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1. In addition, the A9 (6-3) reference point defines an interface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1 and the delivery system 2-2 based o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And, the A1 (6-4) reference point defines the interface between the delivery system 2-2 and the subscriber station 2-3.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정의(8)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1)과 전달 시스템(2-2) 및 가입자 단말기(2-3)간의 상호 연결 방법에 대해 규정되어진 물리적 정의이다.In addition, the interface definition 8 is a physical definition defined for the inter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1 and the delivery system 2-2 and the subscriber station 2-3.

한편, 제3도는 상기 제3도의 상기 DAVIC 시스템 참조 모델 중 시스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시스템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과 전달 시스템(40) 및 가입자 단말기(60)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device among the DAVIC system reference models of FIG. 3. The system device shown in FIG. 3 is composed of a service provider system 20, a delivery system 40, and a subscriber station 60.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는 내용 서비스부(21)와 응용 서비스부(22), 스트림 서비스부(23), 서비스 게이트웨이부(24), 세션제어부(25), 망제어부(26) 및 망접속부(27)로 구성된다.Here,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0 includes a content service unit 21, an application service unit 22, a stream service unit 23, a service gateway unit 24, a session control unit 25, a network control unit 26, and It consists of a network connection part 27.

또한, 상기 전달 시스템(40)은 서비스 관련관련 제어부(41)와 망관련 제어부(42), 중심망(43: Core Network), 접근망(44: Access Network), 가내망(45: In house Network)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elivery system 40 includes a service-related control unit 41, a network-related control unit 42, a central network 43 (core network), an access network 44 (access network), and a home network 45 (in house network). It consists of.

그리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60)는 망접속 장치(61: Network Interface Unit), 셋탑 장치(62: Set-Top Unit) 및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장치(63)로 구성된다.The subscriber station 60 is composed of a network interface unit 61, a set-top unit 62, and a video / audio input / output device 63.

상기 셋탑 장치(62)는 실물 처리부(62-1: Product Entity)와 응용서비스 처리부(62-2: Application Entity), 동작환경 처리부(62-3: Environment Entity), 망연결 처리부(62-4: Connectivity Entity)로 구성되어 있다.The set-top device 62 includes a product entity 62-1, an application entity 62-2, an environment entity 62-3, and a network connection processor 62-4. Connectivity Entity).

여기서, 상기 전달 시스템(40)의 서비스관련 제어부(41)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의 세션 제어부(25)와 가입자 단말기(60)을 연결하고, 상기 망관련 제어부(42)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의 망제어부(26)와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시킨다.Here, the service-related control unit 41 of the delivery system 40 connects the session control unit 25 and the subscriber station 60 of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0, and the network-related control unit 42 is the service provider. The network control unit 26 of the system 20 and the subscriber station 60 is connected.

또한, 상기 중심망(43)은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과 가입자 단말기(60) 사이의 연결 설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접근망(44)는 상기 중심망(43)과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20) 이외의 시스템에서 가입자 단말기(60)로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의 서비스 정보를 다중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내망(45)은 접근망(44)의 종단점과 가입자 단말기(60)를 연결시킨다.The central network 43 also provid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0 and the subscriber station 60. The access network 44 transmits service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station 60 from systems other than the central network 43 and the service provider system 20, and multiplexes the service information. The home network 45 connects the endpoint of the access network 44 with the subscriber station 60.

그리고, 망접속 장치(61)는 전달 시스템(40)으로부터 전달되는 망의 특정한 내용 정보를 받아들여 가입자 단말기(60)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켜서 망연결 처리부(62-4)로 전달한다.The network access device 61 receives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of the network transmitted from the delivery system 40, converts the specific content information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subscriber station 60, and transmit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network connection processing unit 62-4.

이 망접속 장치(61)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의 교체로 전달 시스템(40)와 가입자 단말기(60)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장치로서 구현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 장치로 구현된다.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61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in order to enabl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livery system 40 and the subscriber station 60 with a minimum replacement of the device even if the specifications of the network change. That is, it is implemented as an external or plug 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실물 처리부(62-1)는 실제 가입자 요구 서비스 정보를 받아 이를 가입자가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기(60)에 적합하게 나타내 주고, 상기 응용서비스 처리부(62-2)는 응용 서비스를 수용하거나 요구하는 역할을 하며 모든 응용 서비스의 제어정보를 다룬다.In addition, the real processor 62-1 receives the actual subscriber request service information and properly displays it to the subscriber station 60 used by the subscriber, and the application service processor 62-2 accepts or requests the application service. It handles the control information of all application services.

상기 동작환경 처리부(62-3)는 상기 응용 서비스 프로그램들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망연결 처리부(62-4)는 가입자 단말기(60)과 망접속 장치(61)를 통해 오류 없는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operation environment processor 62-3 serve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application service programs can operate, and the network connection processor 62-4 connects the subscriber terminal 60 and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61 to each other. Ensure error-free information exchange.

또한, 상기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63)는 상기 셋탑 장치(62)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가 보고나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가입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video / audio input / output device 63 outpu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input from the set-top device 62 so that the subscriber can see or hear the video / audio signal, or receive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subscriber.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다. 영상 전화 서비스의 전체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측(200)과 전송망(220), 가입자 단말기(240)으로 구성된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entire system of a video telephony servi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ystem of the video telephone service is composed of a service provider side 200, a transmission network 220, and a subscriber station 240.

상기 서비스 제공자측(200)은 내용 공급 시스템(Content Provider System: 205)과, 서버(Server: 210)로 구성된다.The service provider side 200 includes a content provider system 205 and a server 210.

또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240)는 망접속 장치(242: Network Interface Unit), 셋탑 장치(244: Set-Top Unit) 및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장치(246)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bscriber station 240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242, a set-top unit 244, and a video / audio input / output device 246.

한편, 상기 내용 공급 시스템(205)은 주소화된 정보 내용을 상기 서버(210)에 공급한다.Meanwhile, the content supply system 205 supplies the addressed information content to the server 210.

또한, 상기 서버(210)는 상기 내용 공급 시스템(205)으로부터 정보 내용을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구성한 후 부호화, 다중화, 암호화, 전진 에러 정정(Forward Error Correcting: 이하 FEC 라함) 및 고주파 변환한 다음 전송망(220)으로 보낸다.In addition, the server 210 receives the information content from the content supply system 205 and configures it as a transport stream, and then encodes, multiplexes, encrypts, forwards error cor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EC) and High frequency conversion is then sent to the transmission network 220.

그리고, 상기 전송망(220)은 상기 서버(210)나 가입자 단말기(240)에서 보내지는 정보의 내용이 에러없이 지정된 목적지까지 전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network 220 allows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server 210 or the subscriber terminal 240 to be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without error.

또한, 상기 망접속 장치(242)는 전송망(220)에서 특정한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받아들여 셋탑장치(244)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셋탑장치(244)에 전달한다. 이 망접속 장치(242)는 망의 규격이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장치(Unit)의 교체로 상기 전송망(220)와 상기 셋탑장치(244)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분리된 유닛으로 구현된다. 즉, 외장이나 Plug Play 장치인 것이다.In addition,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242 receives only a specific transport stream in the transmission network 220, converts it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set-top device 244, and delivers it to the set-top device 244.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242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unit to enable the connection of the transmission network 220 and the set-top device 244 with a minimum replacement of units even if the network standard is changed. That is, it is an external or plug play device.

그리고, 상기 셋탑장치(244)는 상기 망접속 장치((242)로부터 입력받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역다중화와 복호화, 암호 해독하여 상기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246)로 출력한다.The set-top device 244 demultiplexes, decodes, and decrypts the transport stream received from the network access device 242 to output the video / audio input / output device 246.

이에, 비디오/오디오 입출력장치(246)는 상기 셋탑장치(244)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가 보거나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거나, 가입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Accordingly, the video / audio input / output device 246 output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inputted from the set-top device 244 so that the subscriber can see or hear the video or audio signal, or receives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subscriber.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의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 중 가입자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가입자 단말기는 크게 망접속 장치(400)와 셋탑장치(500), 오디오 입출력장치(600) 및 비디오 입출력장치(650)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criber station in the system having the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subscriber station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is composed of a network access device 400, a set-top device 500, an audio input / output device 600, and a video input / output device 650.

여기서, 상기 망접속장치(400)는 튜너(410)와 복조부(420), 암호 해독부(430) 및 대화형 통신부(440)으로 구성된다.Here,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400 includes a tuner 410, a demodulator 420, a decryption unit 430, and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unit 440.

또, 상기 셋탑장치(500)는 역다중화부(505); 오디오 복호부(510); 비디오 복호부(515); 비디오 메모리(520); 중앙처리장치(525: 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 라함); 메모리(530);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부(535: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이하 DMAC 라함); 그래픽 생성부(540); 암호 해독부(545); 고주파 변환부(550); 전송부(555); 전원부(560); 및 리모콘(565)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t-top device 500 includes a demultiplexer 505; An audio decoder 510; Video decoder 515; Video memory 520; A central process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U); Memory 530; A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535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AC); A graphic generator 540; Decryption unit 545; A high frequency converter 550; A transmission unit 555; A power supply unit 560; And a remote controller 565.

여기서, 상기 그래픽 생성부(540)는 그래픽 정보 제어부(541)과 그래픽 메모리(542) 및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부호부(543)로 구성된다.The graphic generation unit 540 includes a graphic information control unit 541, a graphic memory 542, and a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TSC) coder 543.

한편, 상기 튜너(410)는 전송망(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디지탈이나 아날로그 정보 스트림을 담고 있는 특정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전송망상의 고주파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중간주파 트랜스포트 스트림로 변환시킨다.Meanwhile, the tuner 410 selects a specific channel containing a digital or analog information stream from a transmission network (not shown), and converts a high frequency transport stream on the transmission network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transport stream.

또한, 상기 복조부(420)는 상기 튜너(410)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탈 형태로 복조(Demodulation)시키고 FEC 복호화시켜서 암호 해독부(430)로 출력하고, 상기 암호 해독부(430)는 상기 복조된 디지탈 정보 스트림의 암호를 해독한다.In addition, the demodulator 420 demodulates the transport stream input from the tuner 410 in a digital form, decodes the FEC,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ecryption unit 430. The decryption unit 430 Decrypt the demodulated digital information stream.

그리고, 상기 대화형 통신부(440)는 상기 암호 해독된 디지탈 정보 스트림을 셋탑장치(500)의 역다중화부(505)로 출력하는데 대표적인 예가 모뎀이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unit 440 outputs the decrypted digital information stream to the demultiplexer 505 of the set-top device 500.

또한, 상기 역다중화부(505)는 상기 대화형 통신부(440)로부터 입력받은 다중화된 디지탈 정보 스트림을 역다중화 시켜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emultiplexer 505 demultiplexes and outputs the multiplexed digital information stream received from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unit 440.

그리고, 상기 오디오 복호부(510)는 상기 역다중화된 디지탈 정보 스트림 중 부호화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복호화시켜서 두가지 방법으로 출력한다. 그 하나는 오디오 좌/우(Audio-Right/Left) 스트레오 형태로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600)로 출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주파 변조부(550)로 출력하는 것이다.The audio decoder 510 receives an encoded audio signal of the demultiplexed digital information stream, decodes it, and outputs the decoded audio signal in two ways. One is output to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600 in the form of an audio-right / left stereo, and the other is output to the high frequency modulator 550.

그리고, 상기 비디오 복호부(515)는 상기 역다중화된 디지탈 정보스트림 중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복호화시키고, 상기 비디오 메모리(520)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복호화 과정에 필요한 저장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다른 메모리의 기능과 공유되지 않는다.The video decoder 515 receives and decodes a coded video signal of the demultiplexed digital information stream, and the video memory 520 serves as a storage space for the decoding process of the video signal. It is not shared with other memory functions.

또한, 상기 CPU(525)는 서버와 가입자 단말기 간의 양방향 통신과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시스템에서 필요한 논리 및 연산 작용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PU 525 controls the entire system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real-time processing between the server and the subscriber station and performs logic and arithmetic operations required by the system.

그리고, 상기 메모리(530)는 상기 CPU(525)의 동작에 필요한 저장공간을 제공하고, 가입자 단말기를 초기화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전원을 끈 뒤에도 동작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The memory 530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a storage spa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PU 525,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to initialize the subscriber station, and to be operated even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또한, 상기 DMAC(535)는 상기 CPU(525)의 제어없이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MAC 535 enables data input and output without the control of the CPU 525.

그리고, 그래픽 생성부(540)의 그래픽 정보 제어부(541)는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와 상기 CPU(525)로부터 만들어진 그래픽 정보를 각각 8비트(Bit)의 YCbCr포맷(Format)으로 받아 들인 후 오버레이(Overlay)하여 역시 8비트의 YCbCr포맷으로 출력한다.The graphic information controller 541 of the graphic generator 540 receives the decoded video signal and the 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PU 525 in an 8-bit bit YC b C r format. After overlay, it is also output in 8-bit YC b C r format.

또, 그래픽 메모리(542)는 상기 그래픽 정보 제어에 필요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다른 메모리와 공유해서는 안되며 상기 CPU(525)에 의해 직접 제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graphic memory 542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controlling the graphic information, and should not be shared with other memories, but should be controlled directly by the CPU 525.

그리고, 상기 NTSC 부호부(543)는 상기 그래픽 정보 제어부(542)로부터 입력되는 8비트의 YCbCr신호를 아날로그적 신호인 NTSC 복합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NTSC encoder 543 converts an 8-bit YC b C r signal input from the graphic information controller 542 into an NTSC composite video signal, which is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상기 암호 해독부(545)는 상기 아날로그 비디오신호의 암호를 해독해서 출력하는데, 그 출력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상기 암호 해독된 비디오 신호를 기저 대역(Base Band) 비디오 신호 형태로 비디오 입출력장치(650)로 출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주파 변환부(550)로 출력하는 것이다.The decryption unit 545 decrypts the analog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decrypted signal. There are two output methods. One is to output the decrypted video signal to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650 in the form of a base band video signal, and the other is to output to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550.

그리고, 상기 고주파 변환부(550)는 상기 암호 해독부(545)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 비디오신호를 비디오 입출력장치(650)가 잘 수신할 수 있도록 고주파로 변환시켜 비디오 입출력부(650)로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복호부(510)로부터 입력되는 중간주파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입출력장치(600)가 잘 수신할 수 있도록 고주파로 변환시켜 오디오 입출력부(600)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high frequency converter 550 converts the intermediate frequency video signal input from the decryption unit 545 into a high frequency so that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650 can receive it and outputs it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650. The intermediate frequency audio signal input from the audio decoder 510 is converted into a high frequency so as to be well received by the audio input / output device 600 and output to the audio input / output unit 600.

또한, 상기 비디오 입출력부(650)는 상기 기저대역 비디오 신호나 상기 고주파 변조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가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가입자의 모습이나 기타 비디오신호를 입력받는다.In addition,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650 receives the baseband video signal or the high frequency modulated video signal and displays the same to the subscriber, and receives the appearance of the subscriber or other video signals.

그리고, 상기 오디오 입출력부(600)는 상기 오디오 좌/우 스트레오 신호나 상기 고주파로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가입자에게 출력시켜 주고, 가입자의 목소리나 기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audio input / output unit 600 outputs the audio left / right stereo signal or the high frequency modulated audio signal to the subscriber and receives the subscriber's voice or other audio signal.

상기 전송부(555)는 상기 입력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상기 망접속 장치(400)으로 출력하고, 전원부(560)는 가입자 단말기 전체 시스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transmitter 555 outputs the input audi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o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400, and the power supply unit 560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entire subscriber station system.

그리고, 리모콘(565)은 가입자가 직접 가입자 단말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외부 기기이다.The remote controller 565 is an external device used when the subscriber wants to directly control the subscriber terminal.

제6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5, 6도를 참조하여 통화 환경 설정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th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the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s as follows.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가입된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S1)에서 요청자가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달한다.In the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subscribers subscribed to a server providing a video telephony service, in a first step S1, a requester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a requester ID and a responder ID to the server.

제2단계(S2)에서 서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전달하거나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In step S2,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nd then transmits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sponder or terminates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여기서, 상기 가입자 리스트는 서버의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일종의 룩-업 테이블을 말한다.Here, the subscriber list is a kind of look-up table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server.

즉, 제2-1단계(S2-1)에서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의 결과,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없는 경우,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That is,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in step 2-1 (S2-1), if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not in the subscriber list,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dures are performed. To exit.

이어서, 제2-2단계(S2-2)에서 상기 제2-1단계(S2-1)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경우,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Subsequently, when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1 (S2-2), the call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sponder.

제3단계(S3)에서 응답자측 단말기가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다.In a third step S3, the responder terminal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즉, 제3-1단계(S3-1)에서 망접속 장치(400)가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제3-2단계(S3-2)에서 상기 망접속 장치(400)가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CPU(525)로 전달한다.That is, in step 3-1 (S3-1), the network access device 400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Subsequently,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400 transmits the call request signal to the CPU 525 in step 3-2 (S3-2).

제4단계(S4)에서 상기 CPU(525)는 상기 입력된 통화 요청 신호 중 요청자의 ID만을 추출한다.In a fourth step S4, the CPU 525 extracts only the ID of the requester from the input call request signal.

제5단계(S5)에서 CPU(525)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 리스트를 읽어온다. 이어서, 제6단계(S6)에서 상기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단한다.In a fifth step S5, the CPU 525 reads a call list stored in advance. Subsequently, in step S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제7단계(S7)에서 상기 제6단계(S6)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없는 경우,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S6 in the seventh step S7, if the requester's ID is not in the call list,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voice mode.

반면에, 제8단계(S8)에서 상기 제6단계(S6)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있는 경우, 요청자의 ID에 따른 레벨을 읽어 온다.On the other hand, in the eighth step S8, if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S6, the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or's ID is read.

이어서, 제9단계(S9)에서 상기 읽어 온 레벨에 따라 통화 환경을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 저장된 동화상 모드 또는 실화상 모드로 각각 설정한다.Subsequently, in the ninth step S9,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stored still picture mode, the stored moving picture mode, or the real picture mode according to the read level.

즉, 다음 표 1은 통화 리스트를 임의로 작성해 본 것이다.In other words, Table 1 below is a random call list.

제9-1단계(S9-1)에서 상기 읽어 온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한다.In step 9-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ad level is stored in the still picture mode.

이어서, 제9-2단계(S9-2)에서 상기 제9-1단계(S9-1)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을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로 설정한다.Subsequently,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stored in the still pictur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9-1 (S9-1) in step 9-2 (S9-2),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to the stored still picture mode. Set it.

제9-3단계(S9-3)에서 상기 제9-1단계(S9-1)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9-1 (S9-1) in step 9-3,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stored in the still picture mode, the moving picture in which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stored Determine if you are in mode.

이어서, 제9-4단계(S9-4)에서 상기 제9-3단계(S9-3)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을 저장된 동화상 모드로 설정한다.Subsequently,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stored in the moving imag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9-3 (S9-3) in step 9-4 (S9-4),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stored moving image mode. .

제9-5단계(S9-5)에서 상기 제9-3단계(S9-3)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한다.If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stored in the moving picture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step 9-3 (S9-3) in step 9-5 (S9-5),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the real picture mode. Determine authorization.

마지막으로, 제9-6단계(S9-6)에서 상기 제9-5단계(S9-5)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을 실화상 모드로 설정한다.Lastly,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the real picture mode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9-9 step (S9-5) in step 9-6 (S9-6),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real picture mode. do.

제10단계(S10)에서 상기 요청자 ID에 따른 레벨이 없는 경우, 응답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고,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한다.In the tenth step (S10), if there is no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er ID, an erro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responder, and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voice mode.

즉, 제10-1단계(S10-1)에서 상기 제9-5단계(S9-5)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응답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고, 제10-2단계(S10-2)에서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한다.That i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9-5 (S9-5) in step 10-1 (S10-1), if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a real picture mode, an error message is delivered to the responder, In step 10-2, the call environment is set to the voice mode.

이에, 제11단계(S11)에서 상기 제9단계(S9)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한다.Thus,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S9 in the eleventh step S11 is the real picture mode, the call is started.

즉, 제11-1단계(S11-1)에서 상기 제9단계(S9)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음성이나 문자로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S9 in the eleventh step (S11-1) is a real picture mode, the call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spondent by voice or text.

이어서, 제11-2단계(S11-2)에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전달받은 응답자가 통화를 수락하고 제11-3단계(S11-3)에서 통화를 개시한다.Subsequently, the respondent who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in step 11-2 (S11-2) accepts the call and starts a call in step 11-3 (S11-3).

이어서, 제12단계(S12)에서 상기 응답자의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한다.Subsequently, in step 12,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l picture of the respondent is transmitted to the call requester.

즉, 제12-1단계(S12-1)에서 CPU(525)가 상기 응답자의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망접속 장치(400)로 전달한다.That is, in step 12-1 (S12-1), the CPU 525 transmits the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l picture of the responder to the network access device 400.

이에, 제12-2단계(S12)에서 망접속 장치는 응답자의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한다.Therefore, in step 12-2 (S12), the network connection device transmits the call information including the real picture of the responder to the call requester.

제13단계(S13)에서, 상기 제7단계(S7)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또는 상기 제9단계(S9)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이거나 저장된 동화상인 경우, 혹은 상기 제10단계(S10)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한다.In the thirteenth step S13,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seventh step S7 is the voice mod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S9 is a stored still picture mode or a stored video imag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tenth step S10 is the voice mode, the call is started.

즉, 제13-1단계(S13-1)에서, 상기 제7단계(S7)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또는 상기 제9단계(S9)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이거나 저장된 동화상인 경우, 혹은 상기 제10단계(S10)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음성이나 문자로 전달한다.That is, in step 13-1 (S13-1),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seventh step (S7) is the voice mode, or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S9) is stored or stored still picture mode In the case of a moving pictur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tenth step S10 is a voice mode, a call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spondent by voice or text.

이어서, 제13-2단계(S1-32)에서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전달받은 응답자가 통화를 수락하고 제13-3단계(S13-3)에서 통화를 개시한다.Subsequently, the responder who receives the call request signal in step 13-2 (S1-32) accepts the call and starts a call in step 13-3 (S13-3).

제14단계(S14)에서 비디오 입출력 장치(650)를 오프시켜서, 현재 응답자의 모습이나 기타 정보가 출력되지 않게 한다.In operation 14,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650 is turned off so that the current responder's appearance and other information are not output.

제15단계(S15)에서 응답자측의 저장된 정지 화상이나, 저장된 동화상 혹은 음성만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한다.In the fifteenth step S15, call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stored still picture, the stored moving picture, or the voice on the responder's side is delivered to the call requester.

이어서, 제16단계(S16)에서 통화 환경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ubsequently,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call environment in step 16 (S16).

이에, 제17단계(S17)에서 상기 제15단계(S15)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 환경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통화 환경을 변경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fifteenth step S15 in the seventeenth step S17, when the call environment is to be changed,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반면에, 상기 제12단계(S12)에서 통화 정보가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된 경우, 또는 상기 제17단계(S17)에서 통화 환경이 변경된 경우, 통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한 후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all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call requester in the twelfth step (S12), or if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in the seventeenth step (S17),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ss after continuing the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To ex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 통화 요청자의 ID에 따라 다양한 통화 환경을 설정하므로써, 통화 응답자의 실제 모습과 기타 정보가 불필요하게 요청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y service function, various call environments are set according to IDs of call requester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appearance of call responders and other information to the requesters.

Claims (5)

영상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가입된 가입자간의 메시지 교환 방법에 있어서, 요청자가 요청자 ID와 응답자 ID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서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전달하거나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제2단계; 응답자측이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제3단계; 상기 입력된 통화 요청 신호 중 요청자의 ID를 추출하는 제4단계;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 리스트를 읽어오는 제5단계; 상기 요청자의 ID가 상기 통화 리스트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없는 경우,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제7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의 ID가 통화 리스트에 있는 경우, 요청자의 ID에 따른 레벨을 읽어 오는 제8단계; 상기 읽어 온 레벨에 따라 통화 환경을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 저장된 동화상 모드 또는 실화상 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제9단계; 상기 요청자 ID에 따른 레벨이 없는 경우, 응답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고,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제10단계; 상기 제9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하는 제11단계; 상기 응답자의 실화상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제12단계; 상기 제7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또는 상기 제9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이거나 저장된 동화상인 경우, 혹은 상기 제10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음성 모드인 경우, 통화를 개시하는 제13단계; 비디오 입출력 장치를 오프시키는 제14단계; 응답자측의 저장된 정지 화상이나, 저장된 동화상 혹은 음성만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하는 제15단계; 통화 환경을 변경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제16단계; 상기 제16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통화 환경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통화 환경을 변경하는 제17단계; 및 상기 제12단계에서 통화 정보가 통화 요청자에게 전달된 경우, 또는 상기 제17단계에서 통화 환경이 변경된 경우, 통화를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한 후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제18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CLAIMS 1. A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subscribers subscribed to a server providing video telephony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a requester delivering a call request signal including a requester ID and a responder ID to a server; A second step of the server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nd then transmitting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sponder or ending all call sett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third step of receiving, by the responder, the call request signal; Extracting an ID of a requester from the input call request signal; A fifth step of reading a pre-stored call list; A six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A seventh step of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voice mode when the ID of the requester is not in the call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An eighth step of reading a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er's ID when the requestor's ID is in the call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ixth step; A ninth step of respectively setting a call environment to a stored still picture mode, a stored moving picture mode, or a real picture mode according to the read level; If there is no level according to the requester ID,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responder and setting a call environment to a voice mode; An eleventh step of initiating a call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is a real picture mode; A twelfth step of transmitting call information including a real picture of the responder to a call requeste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seventh step is the voice mod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is a stored still picture mode or a stored video image,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tenth step is the voice mode, Initiating step 13; Turning off the video input / output device (14); A fifteenth step of transmitting the call information including only the stored still picture or the stored moving picture or voice of the responder to the call requester;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call environment; A 17th step of changing the call environment when the call environment is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16; And an eighteenth step in which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sses are terminated after continuing the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all requester in the twelfth step or when the call environment is changed in the seventeenth step. Call environment setting method in a system having a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가 상기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의 결과,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없는 경우, 모든 통화 환경 설정 과정을 종료하는 제2-1단계; 및 상기 제2-1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요청자 ID와 응답자 ID가 가입자 리스트에 있는 경우,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제2-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determines whether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nd if the requesto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not in the subscriber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ll call environment setting procedures are terminated. Step 2-1; And a step 2-2 of transmitting a call request signal to the responder when the requester ID and the responder ID are in the subscriber lis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1. How to set up call preferences on your syste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가 상기 읽어 온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1단계와; 상기 제9-1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을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로 설정하는 제9-2단계; 상기 제9-1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정지 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3단계; 상기 제9-3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을 저장된 동화상 모드로 설정하는 제9-4단계; 상기 제9-3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저장된 동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5단계; 상기 제9-5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통화 환경를 실화상 모드로 설정하는 제9-6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tep 9-1 of determining whether the ninth step is a still picture mode in which a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ad level is stored; A step 9-2 of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stored still picture mode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sto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9-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9-1,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stored in the still picture mode,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in the stored moving picture mode; A step 9-4 of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stored moving image mode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stored as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9-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9-3,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stored in the moving picture mode, step 9-5 determining whether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a real pictur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9-5,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the real picture mode, the system having the video telephone servic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9-6 step of setting the call environment to the real picture mode How to set up call preferences i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가 상기 제9-5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레벨에 따른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가 아닌 경우, 응답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10-1단계; 및 통화 환경을 음성 모드로 설정하는 제10-2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nth step comprises: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responder when the cal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level is not the real picture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nineth to fifth step; And setting a call environment to a voice mode in step 10-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가 상기 제9단계에서 설정된 통화 환경이 실화상 모드인 경우, 응답자에게 통화 요청신호를 음성이나 문자로 전달하는 제11-1단계와; 상기 통화 요청 신호를 전달받은 응답자가 통화를 수락하는 제11-2단계; 및 통화를 개시하는 제11-3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전화 서비스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의 통화 환경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eleventh step comprises: an eleventh step of transmitting a call request signal to a responder by voice or text when the call environment set in the ninth step is a real picture mode; Step 11-2, wherein the respondent receiving the call request signal accepts the call; And a step 11-3 of initiating a call.
KR1019960024737A 1996-06-27 1996-06-27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Expired - Fee Related KR100210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37A KR100210393B1 (en) 1996-06-27 1996-06-27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37A KR100210393B1 (en) 1996-06-27 1996-06-27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407A KR980007407A (en) 1998-03-30
KR100210393B1 true KR100210393B1 (en) 1999-07-15

Family

ID=1946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7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210393B1 (en) 1996-06-27 1996-06-27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39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407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5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video conferencing through a streaming device
US90324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onferencing through a television forwarding device
CN102696224B (en) Method for connecting video communication to other devic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CN101257610B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resources in a multimedia system
JP5122102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phone function and videophone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519622A (en) Multimedia decoder for priority two-way communication in broadcast systems
CN1586081A (en) Streamed content delivery
CN104703029B (en) A kind of digital television program flow point enjoys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system
US75714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ssion based conditional access
GB2361609A (en) Providing different levels of communication services, each level with its own encryption key
US20090055878A1 (en) Accessing interactive services over internet
JP2001521332A (en) A system for prioritizing bidirectional broadcast data
EP1838102B1 (e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treaming media services
CN101175095A (en) Family network multimedia access apparatus and method
CN107666617A (en) Method and set-top box for providing IPTV service to multiple terminals
KR100210393B1 (en) Method of establishing the environment of telephone calls in the system with a visual telephone
CN101188733A (en) A home network multimedia access system
KR100210391B1 (en)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system with visual telephone service will receive a call
KR101041989B1 (en) Channel service system and method in IPTV
JP2001128138A (en) CATV system and CATV center device and subscriber terminal device used therein
CN1322757C (en) Universal digital broadcast system and methods
US20130117794A1 (en) Multimedia content broadcast procedure
KR100204491B1 (en) A method of immediately providing services which subscribers bear the expenses of in a near-video on demand service
KR100219228B1 (en) On-demand video system with video telephony service
KR100243465B1 (en) Automatic answering method for video telepho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