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8607B1 -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607B1
KR100208607B1 KR1019960045362A KR19960045362A KR100208607B1 KR 100208607 B1 KR100208607 B1 KR 100208607B1 KR 1019960045362 A KR1019960045362 A KR 1019960045362A KR 19960045362 A KR19960045362 A KR 19960045362A KR 100208607 B1 KR100208607 B1 KR 100208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 sensor
throttle position
operating
rotation
durabi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797A (ko
Inventor
이명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6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6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지그가 설치되어 있고 그 뒷쪽에 스로틀 위치센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홈을 갖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작동지그를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링크를 포함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이것의 직선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로틀 위치센서를 차량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도 그 내구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본 발명은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 브라켓이 지지를 받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작동체를 작업판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체를 구동수단의 축에 설치된 원판에서 가이드수단의 안내를 받는 회전돌기부와 링크로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로틀 위치센서를 차량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로틀 밸브의 축에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센서(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로틀 위치센서(100)는 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지지를 받는 콘텍트 플레이트(120)와, 이것의 일단에 고정되어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를 인식하는 조인트(130)와, 상기 콘텍트 플레이트(1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조인트(1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레지스터(1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로틀 위치센서(100)는 스로틀 밸브의 축에 직접 연결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콘텍트 플레이트(120)가 동시에 회전되고, 이에 따라 레지스터(140)의 저항이 변하면서 그 출력을 전압으로 변화시켜서 댐퍼 및 클러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을 시험할 만한 마땅한 수단이 없는 관계로 차량에 직접 설치한 상태에서 그 내구성을 시험해 왔으나, 그 시험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또 정확한 시험결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지그가 설치되어 있고 그 뒷쪽에 스로틀 위치센서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홈을 갖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작동지그를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링크를 포함하는 작동체와, 상기 작동체의 저부에 설치되어서 이것의 직선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회전지지부를 포함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로틀 위치센서를 차량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도 그 내구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또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 시험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대 11 : 고정브라켓
12 : 슬라이드홈 13 : 작동지그 돌기
14 : 작동지그 15 : 작동홈
16 : 축 20 : 작동체
21 : 장공홈 22 : 수평링크
23 : 작동체 돌기 24 : 핀구멍
30 : 작동수단 31 : 구동수단
32 : 원판 33 : 가이드
34 : 회전돌기부 35 : 수직링크
36 : 돌기부 37 : 조절수단
100 : 스로틀 위치센서 110 : 몸체
120 : 콘텍트 플레이트 130 : 조인트
140 : 레지스터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한쪽에는 슬라이드홈(12)을 갖는 2개의 고정브라켓(11)이 상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와 나란하게 다른 한쪽에는 편심된 작동지그 돌기(13)를 가지면서 회전가능한 작동지그(14)와 이것이 끼워져 지지되는 다수의 작동홈(15)이 갖추어져 있는 작업대(10)와, 상기 2개의 고정브라켓(11)에 그 상단과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하 유동가능하게 되고, 하단에는 작동체 돌기(23)를 갖는 동시에 길이 중간에는 상기 작동홈(15)과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홈(21)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장공홈(21)에 일단 연결되는 수평링크(2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작동지그(14)와 함께 운동가능한 작동체(20)와, 구동수단(31)의 축에 일체 설치되는 원판(32)과, 원판(32)상의 가이드(33)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회전돌기부(34)와, 이 회전돌기부(34)와 상기 작동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체(20)를 상하 운동시켜주는 수직링크(35)를 포함하는 작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회전돌기(13)는 콘텍트 플레이트(120)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회전궤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22)는 회전범위가 9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스로틀 위치센서, 110은 스로틀 위치센서의 몸체, 120은 콘텍트 플레이트, 130은 조인트, 140은 레지스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로틀 위치센서(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조인트(130)를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된 작동지그(14)를 포함하는 작업대(10)와, 이 작업대(10)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작동체(20)와, 이 작동체(20)를 움직여주는 작동수단(30)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0은 작업대를 나타낸다.
상기 작업대(1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쪽에는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1개씩의 고정브라켓(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1)은 사각상자형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각각 한면씩이 없는 판체 조합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바닥판에는 사각형태의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0)의 다른 한쪽에는 상하 고정브라켓(11)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나란한 위치에 베어링을 갖는 작동홈(15)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곳에 작동지그(14)가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다수의 작동홈(15)은 일렬로 나란한 위치에 배치하여 여러 개의 스로틀 위치센서(100)를 동시에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지그(14)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심에는 한쪽으로 축(16)이 연장 형성되고, 다른 한쪽으로 작동지그 돌기(13)가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지그(14)는 상기 작동홈(15)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쪽의 축(16)은 후술하는 수평링크(22)와 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의 작동지그 돌기(13)는 작동홈(15)의 뒷쪽으로 배치되는 스로틀 위치센서(100)의 내부에 끼워져 조인트(130)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작동지그 돌기(13)는 조인트(130)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회전궤적을 가질 수 있도록 원판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됨에 따라 작동지그(14)가 회전되면, 작동지그 돌기(13)에 의해 조인트(130)도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홈(15)의 후면에는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구성 시험을 위해 설치되는 스로틀 위치센서(100)를 쉽게 탈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 20은 작동체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체(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하 2개의 고정브라켓(11)에 있는 슬라이드홈(12)에 끼워져 지지되면서 이것을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체(20)에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다수의 장공홈(2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홈(21)에는 후술하는 수평링크(22)의 한쪽끝이 핀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의 상기 수평링크(22)는 양쪽 끝에 각각 핀구멍(24)을 갖는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핀구멍(24)을 이용하여 한쪽은 상기 장공홈(21)에 핀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작동지그(14)의 축(16)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마치 자동화 엔진의 커넥팅로드와 같은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체(20)측으로 연결되는 수평링크(22)의 한쪽 끝은 작동체(20)에 있는 장공홈(21)내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하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체(20)와 좌우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을 병행하는 수평링크(22)는 서로 간의 간섭없이 함께 원활히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2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작동수단(30)측으로 연결되는 수직링크(35)를 걸 수 있는 작동체 돌기(23)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링크(35)를 통해 구동수단(3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30은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작동수단(30)은 일정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이 축을 갖는 구동수단(31)과, 이것의 축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원판(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31)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모터를 이용하게 되며, 작업대(10)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31)은 원판(32)을 회전시켜서 원판(32)과 수직링크(35)로 연결되어 있는 작동체(20)을 상하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수단(31)의 축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32)이 그 중심을 통해 설치되고, 원판(32)의 전면에는 가이드(33)와 회전돌기부(34)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33)는 ㄱ자형태를 하는 2개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부재는 원판(32)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마주보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돌기부(34)는 사각판체의 양쪽이 절개된 형태 즉, 철(凸)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상기 가이드(33)의 2개의 부재 사이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가이드(33)의 내측에서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34)의 앞쪽에는 돌기부(36)가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수직링크(35)의 하단이 끼워짐에 따라 작동체(2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돌기부(34)는 그 선단까지의 높이가 상기 가이드(33)의 전체 높이보다 높지 않게 만들어서 이 회전돌기부(34)와 상기 돌기부(36)에 연결된 수직링크(35)가 작동수단(30)에 의해 함께 움직일 때, 서로 간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링크(35)는 원판(32)의 회전운동을 작동체(20)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작동체(20)는 항상 상하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직링크(35)는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됨에 따라 상기 수평링크(2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넥팅로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34)의 저부에는 조절수단(37)이 갖추어져 있어서, 회전돌기부(34)가 가이드(33)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링크(35)의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조절수단(37)은 원판(32)상에서 그 중심을 향하는 자세로 설치되며, 회전돌기부(34)에 체결되는 보울트부위와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작업대(10)의 작동홈(15)에 작동지그(14)를 설치하고, 작동홈(15)의 뒷쪽으로 내구성 시험을 위한 스로틀 위치센서(100)를 설치한다.
이때, 작동지그(14)의 작동지그 돌기(13)는 스로틀 위치센서(100)에 내장된 조인트(13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그 축(16)은 수직링크(22)의 한쪽 끝에 억지로 끼워서 연결시킨다.
계속해서, 원판(32)에 있는 조절수단(37)을 조작하여 작동지그(14)에 있는 작동지그 돌기(13)의 회전반경을 설정한다.
즉, 조절수단(37)의 보울트부를 돌려서 가이드(33)내에 있는 회전돌기부(34)의 위치를 조절해 주면, 상기 작동지그 돌기(13)의 회전반경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수단(31)을 구동시키면, 원판(32)과 함께 회전돌기부(34)가 회전되면서 수직링크(35)의 커넥팅로드 운동에 의해 작동체(2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작동체(20)가 상하로 움직이면 이 작동체(20)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링크(22)의 커넥팅로드 운동에 의해 작동지그(14)가 그 축(1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스로틀 위치센서(100)의 조인트(130)도 회전하게 되므로서, 스로틀 위치센서(100)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스로틀 위치센서를 차량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그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측정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고,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한쪽에는 슬라이드홈(12)을 갖는 2개의 고정브라켓(11)이 상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와 나란하게 다른 한쪽에는 편심된 작동지그 돌기(13)를 가지면서 회전가능한 작동지그(14)와 이것이 끼워져 지지되는 다수의 작동홈(15)이 갖추어져 있는 작업대(10)와, 상기 2개의 고정브라켓(11)에 그 상단과 하단이 끼워져 지지되면서 상하 유동가능하게 되고, 하단에는 작동체 돌기(23)를 갖는 동시에 길이 중간에는 상기 작동홈(15)과 일대일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홈(21)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장공홈(21)에 일단 연결되는 수평링크(22)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작동지그(14)와 함께 운동가능한 작동체(20)와, 구동수단(31)의 축에 일체 설치되는 원판(32)과, 원판(32)상의 가이드(33)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회전돌기부(34)와, 이 회전돌기부(34)와 상기 작동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체(20)를 상하 운동시켜주는 수직링크(35)를 포함하는 작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13)는 콘텍트 플레이트(120)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회전궤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22)는 회전범위가 9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위치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9960045362A 1996-10-11 1996-10-11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08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362A KR100208607B1 (ko) 1996-10-11 1996-10-11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362A KR100208607B1 (ko) 1996-10-11 1996-10-11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97A KR19980026797A (ko) 1998-07-15
KR100208607B1 true KR100208607B1 (ko) 1999-07-15

Family

ID=1947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362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8607B1 (ko) 1996-10-11 1996-10-11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6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7253A (zh) * 2012-11-30 2013-03-13 遵义长征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节气门位置传感器耐久性试验台及其试验方法
CN106404378A (zh) * 2016-11-14 2017-02-15 湛江德利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节气门动作耐久试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706479B (zh) * 2024-08-29 2025-01-03 扬州东博电子科技有限公司 电子油门疲劳试验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7253A (zh) * 2012-11-30 2013-03-13 遵义长征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节气门位置传感器耐久性试验台及其试验方法
CN106404378A (zh) * 2016-11-14 2017-02-15 湛江德利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节气门动作耐久试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9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65903B (zh) 用于汽车的转换装置
EP0065360A2 (en) Parallel motion displacement transducers
KR101573856B1 (ko) 다자유도 전동기 시험장치
KR100208607B1 (ko) 스로틀 위치 센서의 내구성 시험장치
US6247242B1 (en) Mechanism for detecting position of a movable member
KR101391931B1 (ko) 차량용 측정장비의 모터고정지그
JPH09229607A (ja) 形状測定機
KR0181422B1 (ko) 로터리스위치 내구시험장치
US5233883A (en) Mechanical actuator with scales indicating the position at which a limit control element will be operated
CN211577734U (zh) 适用多种运动控制产品的功能测试装置
CN206959771U (zh) 摆杆式位置检测机构及线控换挡执行器
KR200258768Y1 (ko) 6축 병렬 로보트를 이용한 타이어 힘과 모멘트 시험장치
CN115468729B (zh) 电动振动台水平滑台自动回复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CN217542368U (zh) 截割试验组件和截割试验设备
CN222419886U (zh) 碳膜耐磨工艺测试装置
CN115712068B (zh) 电池包耐久测试仪
JP4469944B2 (ja) 首振り運動光てこ駆動装置
CN117685152B (zh) 水泵水轮机模拟装置、水泵水轮机模拟系统及控制方法
CN211697865U (zh) 基于施耐德m340plc和组态王的转速信号校验装置
KR0123559Y1 (ko) 파워브레이크의 내구성시험장치
CN220499099U (zh) 可调负载装置
KR102366309B1 (ko) 회전결합기 검증용 시험 치구
SU1472765A1 (ru) Арре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0140505Y1 (ko) 씨알티 화면 계측용 지그
JP3513637B2 (ja) 電動操作機のスイッチ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