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6639B1 -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 및 이 송풍구설비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 및 이 송풍구설비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639B1
KR100206639B1 KR1019930701944A KR930701944A KR100206639B1 KR 100206639 B1 KR100206639 B1 KR 100206639B1 KR 1019930701944 A KR1019930701944 A KR 1019930701944A KR 930701944 A KR930701944 A KR 930701944A KR 100206639 B1 KR100206639 B1 KR 10020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yere
tube
sleeve
cylindrical body
tub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469A (ko
Inventor
윌리암 웰스
게오르크 라이들
발터 수멜쩌
Original Assignee
엑케르트 하. -요트.
코르텍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케르트 하. -요트., 코르텍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엑케르트 하. -요트.
Publication of KR93070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63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00Treatment of fused masses in the ladle or the supply runners before casting
    • B22D1/002Treatment with gases
    • B22D1/005Injection assembli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8Bottoms or tuyéres of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Nozzl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 Blast Furnace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Glanulat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기(2)의 벽(1)내에 끼워 맞춤될 수 있고 삽입된 송풍구튜브(6,7)와 함께 원통형 몸체(4)를 포함하는 내화물질로 되어 있는 천공된 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의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통형몸체(4)로 상기 천공된블럭(39)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고, 소모되는 송풍구팁는 상기 원통형몸체(4)의 후속하는 이동에 의해 대체된다.

Description

용탕내에 약제를 도입하기 위한 풍구설비 및 이 풍구설비의 작동방법
DE-C2-38 09 828호 공보에는 그러한 종류의 풍구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금속용융 용기내에 가스 및/ 또는 고상 반응제 및 첨가제를 도입하기 위한 공지의 설비는, 가스도관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한개의 가스관을 구비하고 있는 소기 또는 세척블럭(scavenging or flushing block)을 축방향으로 미끄럼움직임 가능하게 수용하며, 용기벽에 끼워맞춤되는, 천공된 블럭 또는 벽돌을 포함한다. 가스관의 출구개구는 소기 또는 세척블럭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출구개구가 노출되며, 소기 또는 세척블럭의 내부단부가 천공된 블럭의 환형단면을 넘어섰을때에만 약제는 용탕내로 도입될 수 있다. 소기 또는 세척시스템에 연속적으로 가스압을 가할 필요없이 소기 또는 세척블럭의 퇴피가 폐쇄효과를 보장하므로, 풍구설비는 레이들과 같은 이동성용기에 특히 적합하며, 이 경우 용기내 용융물의 전체 체류시간 동안 소기 또는 세척시스템에 가스를 공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소기 또는 세척블럭의 축방향 이동으로 약제의 도입은 물론 폐쇄부재로서의 활용도 가능하다.
DE-C-23 24 086 공보에는 용탕면 밑으로 정련용기의 벽을 통하여 정련가스(refining gas), 특히 산소를 도입하기 위한 풍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정련가스는 내부 튜브를 통하여 용탕내로 도입되고, 보호약제는 동심의 외부 튜브를 통하여 용탕내로 도입되며, 이 두 튜브는 고정된 튜브케이스내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다. 내부 및 외부 튜브는 적어도 하나의 튜브케이스내의 각각의 공간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설비는 보호약제의 도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환상공간을 제공하는데, 이로 인해, 풍구 최근방에서의 벽돌 마모에 대응하여 두 배치 사이의 내부와 외부튜브를 바꾸거나 이들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풍구설비의 출구 개구영역에서의 마모에 의해 깔대기 형상의 송풍통이 생기는 경우, 내부 및 외부튜브를 전진시킨다음 분무 혹은 플러그를 이용하여 깔때기 형상을 메울 수 있다.
EP-B1-0 182 965공보에는 적어도 2개의 환상관과 한개의 중앙관을 형성하는 적어도 3개의 중앙튜브로 구성되는 풍구의 보호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산소함유 가스는 중앙관을 통하여 주입되고, 분무된 물안개는 냉각유체로서 환상관을 통하여 주입되며, 물의 분무는 풍구 입구측의 풍구헤드내의 운반가스에 의해 수행된다. 냉각유체는 풍구의 수명 연장에 특히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용탕내로 약제를 도입하기 위한 풍구설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명을 늘리고 유지보수작업을 단순화하며 그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풍구설비를 작동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설비는 제1항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지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2항의 특징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 따른 풍구설비에 있어서, 소모되고 있는 풍구튜브의 팁과 팁을 둘러싸는 내화재료는 금속풍구튜브를 포함하는 슬리브의 후속 이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대체된다. 상기 풍구는,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 이외에도, 용탕면 하부에서 사용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호 이동가능한 표면들사이의 환상 틈내로 용융물이 도입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장은, 슬리브가 열하중을 견딜 수 있는 윤활층으로 피복되고, 환상틈이 슬리브의 외측과 천공된 블럭의 내측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환상틈이 시멘트층으로 밀봉되어 있는 사실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슬리브를 구비하면서, 약 120℃이 온도에서 용융납용탕과 같은 저 점성 용융물에 대해서도 미끄럼움직이는 표면사이에 내구성이 있는 밀봉작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 면적에 따라 노즐팁이 1000 내지 2000℃사이의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에, 환상틈을 밀봉하기 위한 시멘트층 뿐만아니라 축방향 미끄럼움직임을 가능하게하는 윤활층도 열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더욱이, 윤활층의 재로는 인접한 시멘트층에 대한 습윤경향이 매우 작아야 한다. 마그네사이트 도는 크롬-마그네사이트 기대상의 시멘트층의 경우에 흑연과 몰리브덴 화합물을 윤활층용 물질로서 특히 유효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풍구설비의 사용 초기에 슬리브는 천공된 블럭의 외측으로 상당한 부분만큼 돌출된다. 풍구 튜브와 금속 풍구 튜브를 수용하는 슬리브의 계속적인 내향 이동은 문제를 발생시키는데, 즉 슬리브에 손상을 발생시키는데, 그 이유는 밀어 넣어지는 슬리브에 의해 발생되는 굽힘하중에 의한 금속과 세라믹물질이 굽힘탄성의차이 때문이다. 상기의 차이는, 금속풍구 튜브가 슬리브내의 구멍에 견고하게 끼워맞추어 지지않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목적에서, 슬리브의 내측에 인접한 풍구튜브의 외측은 열하중에 견딜 수 있는 윤활층으로 도포되고, 풍구튜브의 외측과 슬리브의 내측사이에 환상틈이 제공되며, 틈은 시멘트층으로 밀봉된다.
이것은 풍구튜브의 외측과 슬리브의 내측사이의 축방향 힘의 전동을 감소시켜서, 후속이동과정중의 슬리브에 대한 손상위험을 감소시킨다.
슬리브 외측면상의 윤활층과 외부 풍구튜브의 외측표면상의 윤활층은 각각 천공된 블럭내에 또는 슬리브에 삽입하기 전에 도포되는 한편, 각각의 환상틈을 밀봉하기 위한 시멘트층은 각각 천공된 구멍에 슬리브를 도입한 후 또는 슬리브내에 풍구튜브를 삽입한 후에 도입된다. 이를 위하여, 시멘트를 강제로 주입할 방사상 구멍이 천공된 블럭 또는 슬리브내에 대략 그 축방향 길이의 중간쯤에 제공된다.
풍구설비의 수명은 풍구팁의 연속적이거나 주기적인 대체에 의하여 이미 실질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산소나 석탄분진등과 같은 처리제이외에 냉각유체가 도입된다면 수명이 추가적인 향상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천공된 블럭과 슬리브 사이 또는 슬리브와 외부 풍구 튜브 사이의 미끄럼움직이는 표면을 따라 온도를 감소시키면 오랜 시간 동안의 상호 대체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슬리브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풍구튜브를 구비하고 있는 풍구설비에 있어서, 냉각 유체가 처리제와 함께 예컨대 취입(blown in)등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만약, 중앙관과 중앙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관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동심상 금속 풍구튜브가 슬리브에 끼워맞춤되고, 처리제는 어느 한 관을 통해, 냉각유체는 다른 관을 통하여 도입되도록 풍구설비를 활용한다면, 이는 냉각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특히 더 바람직하다. 분무된 물안개가 냉각유체로서 어떤 한 관 특히, 외부환상관에 공급되면, 특히 효과적인 냉각작동이 달성된다. 용탕내로 도입되는 순간, 관내에서의 분무 안개내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물방울이 증발하고 이산되므로, 슬리브의 열하중을 받는 길이 전체는 물론 풍구팁에도 강한 냉각작동이 행해지며, 이 강한 냉각작동은 슬리브의 안쪽으로의 이동과 협력하여 예상외의 긴 수명을 가져온다.
용기의 내면을 향하는 천공 블럭의 끝면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서, 슬리브가 천공된 블럭으로 부터 용탕내로 소정의 돌출길이 예컨대 100mm정도의 크기로 항상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망하는 돌출길이는 슬리브의 안쪽으로의 후속이동에 의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풍구 설비는 특히, 금속용탕, 철용탕 및 납 용탕과 같은 다른 용탕과 관련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가스상, 액상, 페이스트 또는 먼지상일 수 있는 도입될 각각의 약제에 그 크기의 잇점을 살려 적용될 수 있다.
본원을 4개의 도면을 참고로한 2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에 설명되어 있는 풍구설비는 용기(2)의 벽(1)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내화물질로 되어 있는 천공된 블럭(3)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벽은 용기의 바닥벽 또는 측벽일 수 있다. 천공된 블럭은 풍구 설비를 통하여 도입되는 약제가 용탕의 표면준위 이하에서 용탕에 공급되도록 삽입된다.
천공된 블럭(3)은 내화물질로 된 슬리브(4)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하며, 이는 축방향보어(5)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동심 금속 풍구튜브(6과7)는 상기 축방향보어(5) 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풍구튜브(6과7)는 중앙관(8)과 상기 중앙도관의 둘레에 배설되어 있는 환상관(9)을 형성한다. 상기 풍구튜브의 외부단부에서 이들 관들은 약제가 도입되도록 컨넥터(10과 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풍구튜브(6과7) 및 상기 슬리브(4)는 용기의 내부쪽으로 향하는 풍구팁이 돌출된 상태, 다시 말해서, 그 내부단부가 천공된 블럭(3)의 내부단부면(12)을 넘어(a)길이만큼 돌출되고, 그 외부단부는 천공된 블록(3)의 외부단부(13)를 넘어 상당한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도시된 예에서는 대략 천공된 블록(3)의 길이에 대응하는 정도만큼 천공된 블록(3)을 통해 뻗어있다. 슬리브(4)의 외부단부에는 하우징의 벽에 고정되어 슬리브(4)와 평행하게 뻗어있는 안내봉(15)에 의해 안내되는 제1압력판(14)이 구비되어 있다. 부재번호(16)은 안내봉(15)을 지지하고 노용기(2)의 외부강 케이싱(17)에 고정된 플랜지를 나타낸다. 플랜지(16)는 또한 밀봉설비(18)를 구비하고 있다.
동심 풍구튜브(6과7)의 외부단부는 제1압력판(14)에 강제 잠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압력판(20)을 그 외부단부에 구비하고 있는 풍구헤드(19)에 고정되어 있다. 제2압력판(20)역시 안내봉(15)에 의해 안내된다.
확대도인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는 윤활층(21)으로 도포되며, 슬리브(4)의 외측과 천공된 블럭(3)의 내측사이의 환상틈은 시멘트층(22)으로 밀봉되어 있다. 윤활층(21)은 슬리브(4)를 천공된 블럭(3)에 삽입하기전에 도포한다. 이것은 예컨대 몰리브덴 화합물과 같은 활동물질(slipping material)로 된 커버층이며 슬리브(4)에 고체상태로 도포된다. 윤활층은 스리브(4)를 삽입하기 직전에 필름형태로 슬리브(4)에 도포될 수도 있다. 방사상보어(23)는 밀봉시멘트층(22)을 도입하기 위하여 천공된 블럭(3)에 구비되는데, 상기 시멘트층은 방사상보어(23)를 통하여 안으로 강제 주입된다. 밀봉시멘트층으로 메워질 환상틈의 두께는 방사상보어(23)를 통해가 강제 주입되는 층이 천공된 블럭(3)의 단부면(12와13)까지 관통하여 도달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치수로는, 0.5 내지 1mm정도의 값이 시멘트물질에 의해 메워질 환상틈의 두께로서 적절하다.
내부풍구튜브(7)는 외부풍구튜브(6) 내의 공간에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되어 환상관(9)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해서, 스페어서가 환상관(9)을 통한 약제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외부튜브(6)는 외부튜브의 외측과 슬리브의 내측사이를 밀봉폐쇄하는 한편, 슬리브와 외부튜브가 약간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다시말해서, 슬리브와 외부튜브 사이의 경계면에서 축방향 힘의 진동이 실질적으로 회피되도록 슬립(4)내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윤활층(25)은 외부튜브(6)에 도포되고- 튜브제조시에 도포되는 고상피복 또는 튜브의 삽입전에 도포되는 피복일 수 있다.-튜브(6과7)의 삽입후에, 시멘트(27)이, 슬리브(4)내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보어(26)에 의해 외부튜브(6)와 슬리브(4)사이의 환상틈을 밀봉하도록 강제주입된다.
용융철 용탕의 처리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시멘트는 인산마그네사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용융납 용탕의 처리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시멘트는 크롬마그네사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한편 용융글라스의 처리를 위해서는 사용되는 시멘트는 실리콘마그네사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강용탕내로 산소 또는 석탄분진과 같은 처리제를 용탕하방 주입(under-bath injection)하기 위한 풍구설비를 사용하는 경우에 산소가스 또는 운반가스에 현수된 분상석탄을 공급하기 위한 도관은 내부풍구튜브(7)의 중앙관(8)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0)에 연결되는 한편, 냉각유체, 바람직하게는 분무된 물안개의 공급을 위한 도관은 환상관(9)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11)에 연결되어 있다. 물의 분무는 또한 예컨대 EP-182 965에 개시되어 있는 풍구헤드(19)내의 분무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용탕내로 돌출하는 풍구 팁에 작용하는 열적 그리고 기계적 하중에 기인하여 풍구 팁이 얼마만큼 타서 짧아졌을 경우에, 제2가압플레이트(20;화살표 29 참조)에 가해지는 축방향 힘과 제1플레이트(14)와 제2플레이트(20)사이의 강제 잠금연결해 의해, 풍구튜브(6과7)와 함께 슬리브(4)는 적절한 길이만큼 안쪽으로 밀어져서 소모된 풍구 팁이 대체된다. 상기 작동은 시간간격을 갖고 수행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와 같은 대체에 대한 선택사양이 없는 풍구설비에 비해 그 수명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둘러싸고 있는 천공블럭이, 슬리브 전체길이에 걸쳐 외부환상관(9)을 통과하는 냉각유체에 의해 냉각된다는 사실은 장기적인 대체성을 보장할뿐만 아니라 풍구설비의 수명을 더욱 향상시킨다. 공지의 풍구설비와 비교해서 실질적으로 수명이 증가되는 한편으로, 슬리브(4)의 후속한 내향이동에 의해, 열적하중과 기계적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노즐팁에서의 소모된 내화물질을 대체하는 것은 용탕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행될 수 있다.
제3도와 제4도의 일부분만이 도시된 풍구설비는 동심배열로 되어 있는 천공된 블럭(3)과 단지 한개의 풍구튜브(6)를 포함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동일한 부재번호가 제1풍구설비의 대응하는 부재에 대하여 사용되었으므로, 이들 부재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관련된 기술을 참조해야 한다.
제2실시예의 풍구튜브는 납원광을 산화시키고 납산화물 슬래그를 환원시켜 금속납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처리공정은 2부분, 산화부분과 환원부분으로 구성된다.
산화철과 산화납을 높은 분율로 포함하는 슬래그는 산화부분에서 생산된다. 그 작동온도는 1000 내지 1100℃이다. 이 과정이 풍구 마모와 더욱 밀접하게 관련된 공정이다.
환원부분은 1200 내지 1300℃의 작동온도에서 수행되며, 슬래그는 낮은비율 즉 약 2%정도의 산화납을 포함하고 약20%의 산화철을 포함한다.
크롬마그네사이트 블럭이 마그네사이트 블럭보다 수명이 길다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크롬마그네사이트가 동심의 천공된 블럭(3)과 슬리브(4)에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처리제는 풍구튜브(6)의 중앙관을 통하여 도입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서 기술하는 바와같이 용탕내에 약제(agent)를 도입하기 위한 풍구설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풍구설비의 작동방법에 관한것이다.
제1도는 풍구설비의 제1실시예의 종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 선Ⅱ-Ⅱ을 따라 취한 부분의 확대도.
제3도는 풍구설비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에 대한 종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풍구설비의 우측면도이다.

Claims (14)

  1. 용기(2)의 벽(1)에 끼워 맞춤될 수 있고, 가스나 처리제를 도입하도록 축방향보어(5)를 가지는 내화물질로 된 원통형 몸체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내화물질로 된 천공된 블록을 포함하며, 원통형몸체는, 설치상태에서 용기 내부쪽으로 면하는 풍구팀에 대하여, 그 대향 외부단부가 천공된 블록(3)을 넘어서도록 돌출되고, 이 단부는 몸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1가압판(14)을 구비하도록 된 용탕내로 약제를 도입하기 위한 풍구 설비에 있어서 원통형 몸체는, 상호 동심을 이루어 공간상 간격을 두고 위치한 외부금속풍구튜브(6) 및 적어도 하나의 내부금속 풍구튜브(7)로 구성된 풍구 수단이 삽입되는 슬리브 형상이며, 상기 풍구튜브는 중앙관(8)과 중앙관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관(9)을 형성하고, 상기 풍구수단중의 풍구튜브(6)는 상기 슬리브(4)내로 밀접하게(즉, 밀봉되도록), 그리고,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며, 상기 관(8,9)들은 약제가 도입되도록 풍구튜브의 외부단부에서 연결구(10,1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4)는 열적하중을 견딜 수 있는 윤활층(21)으로 피복되어 있고, 슬리브(4)의 외측과 천공된 블럭(3)의 내측사이의 환상틈은 시멘트층(22)으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4)는 외측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의 리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브는 슬리브의 원주둘레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4)의 내측에 인접해 있는 풍구튜브(6)의 외측은 열적하중을 견딜 수 있는 윤활층(25)이 도포되어 있고, 풍구튜브(6)의 외측과 슬리브(4)의 내측사이의 환상틈은 중간층(27)으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천공된 블럭(3) 및/또는 슬리브(4)는 그 축방향 길이의 대략 중간에 시멘트를 강제주입하는 방사상보어(각각 23 또는 2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풍구튜브(6)의 외부단부 또는 풍구튜브들(6,7)의 외부단부는 제1가압 플레이트(14)에 강제 잠금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가압 플레이트(20)를 그 외부 단부에 구비하고 있는 풍구헤드(19)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14,20)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하우징벽에 고정되며, 슬리브에 평행하게 연장된 안내봉(15)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천공된 블럭(3) 및/또는 슬리브(4)의 내화물질은 주로 마그네사이트 또는 크롬마그네사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층(21,25)은 주로 흑연 페이스트, 몰리브덴화합물, 동석(凍石; soap stone) 또는 활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층(22,27)은 주로 인산 마그네사이트화합물, 크롬마그네사이트화합물 또는 실리콘마그네사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
  11. 용탕을 수용하며, 그를 통해 약제가 용탕면의 하부로 도입되는 용기(2)의 벽(1)에 끼워맞춤되도록 한 적어도 두 개의 동심금속튜브를 가지는 풍구설비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내화물질로 된 원통형 몸체와 풍구튜브(6,7)를, 상기 풍구설비를 관통하여 용기내부로 연장된 구멍을 가진 용기벽내에 배열된 블록(3)을 통해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 시킴으로써 상기 풍구설비의 소모된 풍구팁을 연속적으로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천공된 블럭(3)의 내부끝단면(12)을 넘는 돌출길이(a)가 항상 슬리브의 후속한 내향이동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구설비를 작동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동심 금속풍구튜브(6,7)를 구비하고 있는 풍구설비를 사용하는 경우, 냉각유체는 관(9) 중 하나를 통하여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분무된 물안개가 냉각유체로서 관(9)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701944A 1991-11-06 1992-11-03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 및 이 송풍구설비의 작동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06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36552A DE4136552A1 (de) 1991-11-06 1991-11-06 Dueseneinrichtung zum einleiten von medien in eine schmelze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dueseneinrichtung
DEP4136552.6 1991-11-06
PCT/EP1992/002520 WO1993009255A1 (de) 1991-11-06 1992-11-03 Düseneinrichtung zum einleiten von medien in eine schmelze und verfahren zum betrieb dieser düsen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469A KR930703469A (ko) 1993-11-30
KR100206639B1 true KR100206639B1 (ko) 1999-07-01

Family

ID=644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9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6639B1 (ko) 1991-11-06 1992-11-03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 및 이 송풍구설비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465942A (ko)
EP (1) EP0565690B1 (ko)
JP (1) JPH0781790B2 (ko)
KR (1) KR100206639B1 (ko)
CN (1) CN1027596C (ko)
AT (1) ATE149574T1 (ko)
AU (1) AU659242B2 (ko)
BR (1) BR9205420A (ko)
CA (1) CA2099781C (ko)
DE (2) DE4136552A1 (ko)
ES (1) ES2098551T3 (ko)
RU (1) RU2080393C1 (ko)
TR (1) TR27311A (ko)
UA (1) UA32416C2 (ko)
WO (1) WO1993009255A1 (ko)
ZA (1) ZA9284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405B4 (de) 2000-09-04 2011-09-15 Schott Ag Vorrichtung,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m Einleiten von aggressiven Gasen in eine Glasschmelze
DE60204575T2 (de) * 2001-07-12 2006-03-16 Rockwool International A/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u fasern verarbeitbaren schmelze eines mineralmaterials
FR2843974B1 (fr) * 2002-08-28 2005-01-28 Pechiney Rhenalu Dispositif d'injection d'un gaz de traitement dans un metal liquide
DE10252276C1 (de) * 2002-11-11 2003-10-30 Rhi Ag Wien Metallurgisches Schmelzgefäß und Verfahren zur sekundärmetallurgischen Behandlung
DE10253463A1 (de) * 2002-11-16 2004-06-03 Gecon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ühlung von Blaslanzen
RU2244019C1 (ru) * 2003-06-16 2005-0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СМА титано-магниевый комбинат" Фур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газов в тепловой агрегат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RU2235135C1 (ru) * 2003-06-16 2004-08-27 Хлопонин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Фур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газовых сред под уровень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DE10328420B3 (de) * 2003-06-25 2004-08-26 Rhi Ag Düseneinrichtung und deren Verwendung in einem metallurgischen Schmelzgefäß
DE10347947B4 (de) * 2003-10-15 2007-04-12 Maerz-Gautschi Industrieofenanlagen Gmbh Industrieofen und zugehöriges Düsenelement
RU2262536C1 (ru) * 2004-06-25 2005-10-20 Техком Импорт Экспорт Гмбх Аппарат для введения веществ в емкость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агрегата под уровень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расплава
RU2374328C2 (ru) * 2007-04-26 2009-11-27 Техком Гмбх Фур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газовых сред под уровень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RU2471874C1 (ru) * 2011-12-19 2013-0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СиС"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титана из высокохромистых расплавов
KR101447581B1 (ko) * 2013-11-25 2014-10-07 국도정밀(주) 제련로용 인젝션 노즐 인입장치
DE102013114080A1 (de) * 2013-12-16 2015-06-18 Norma Germany Gmbh Element einer Schellen-Flansch-Verbindung
WO2019014914A1 (en) * 2017-07-21 2019-01-24 Linde Ag NOZZLE ARRANGEMENT FOR MELTING A POWDER MATERIAL
CN109163565B (zh) * 2018-09-10 2024-01-26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浸没式喷枪及熔炼设备系统
JP7107141B2 (ja) * 2018-09-27 2022-07-27 日本製鉄株式会社 転炉の羽口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483C (de) * 1924-03-07 Walter R Schlage Tuerschloss
US3397878A (en) * 1965-11-19 1968-08-20 Union Carbide Corp Under-bath tuyere
BE776428A (fr) * 1971-12-08 1972-04-04 Metallurg Ct Voor De Researchi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d'insufflation d'oxygene par le fond d'un convertisseur metallurgique.
US4023781A (en) * 1973-05-12 1977-05-17 Eisenwerk-Gesellschaft Maximilianshutte Mbh Tuyere for metallurgical vessels
DE2324086C3 (de) * 1973-05-12 1985-05-09 Eisenwerk-Gesellschaft Maximilianshütte mbH, 8458 Sulzbach-Rosenberg Düse zum Einleiten von Frischgas
DE2455029C3 (de) * 1974-11-20 1978-10-19 Neunkircher Eisenwerk Ag, Vormals Gebrueder Stumm, 6680 Neunkirchen Verfahren und Schmelzenpfanne für die Herstellung von Vakuumstahl
FR2334751A1 (fr) * 1975-12-10 1977-07-08 Creusot Loire Dispositif de fixation de tuyeres sur la plaque de fond ou sur la cuirasse d'un convertisseur ou d'un four d'affinage
JPS5320241A (en) * 1976-08-10 1978-02-24 Teijin Ltd Automotive floor mat
DE3003884C2 (de) * 1980-02-02 1983-02-10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Verfahren zum Einbau und Austausch eines gasdurchlässigen feuerfesten Einsatzes in der Wandung eine Schmelze enthaltenden Behälters für das Einführen von Gasen, in den Behälter und Anordnung für die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JPS6045685B2 (ja) * 1981-12-11 1985-10-1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底吹用二重管羽口
US4449701A (en) * 1982-08-23 1984-05-22 Pennsylvania Engineering Corporation Tuyere for the injection of gases into a metallurgical vessel
DE3318422C2 (de) * 1983-05-20 1985-03-21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Gasspül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derartigen Anordnung
JPH01208411A (ja) * 1988-02-16 1989-08-22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炉のガスノズルの冷却法
DE3907887A1 (de) * 1988-03-23 1989-10-26 Radex Heraklith Spuelstein
DE3809828A1 (de) * 1988-03-23 1989-10-12 Radex Heraklith Spuelstein
DE3833502A1 (de) * 1988-10-01 1990-04-05 Didier Werke Ag Gasspuelstein
DE3904356A1 (de) * 1989-02-14 1990-08-23 Didier Werke Ag Gasspuel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99781C (en) 1998-08-04
RU2080393C1 (ru) 1997-05-27
CN1074485A (zh) 1993-07-21
ATE149574T1 (de) 1997-03-15
CA2099781A1 (en) 1993-05-07
KR930703469A (ko) 1993-11-30
WO1993009255A1 (de) 1993-05-13
AU659242B2 (en) 1995-05-11
US5465942A (en) 1995-11-14
DE4136552A1 (de) 1993-05-13
EP0565690B1 (de) 1997-03-05
DE59208130D1 (de) 1997-04-10
AU2894892A (en) 1993-06-07
ES2098551T3 (es) 1997-05-01
CN1027596C (zh) 1995-02-08
JPH0781790B2 (ja) 1995-09-06
BR9205420A (pt) 1993-11-23
TR27311A (tr) 1995-01-10
EP0565690A1 (de) 1993-10-20
JPH06500162A (ja) 1994-01-06
ZA928448B (en) 1993-05-05
UA32416C2 (uk)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639B1 (ko) 용탕내에 에이전트를 도입하기 위한 송풍구설비 및 이 송풍구설비의 작동방법
US1542716A (en) Means for protecting furnace electrodes
US3396961A (en) Precast taphole assembly
US3777040A (en) Protection of glass melting furnace electrode
JPS60149709A (ja) 耐火性ガス透過エレメント
CN1315649A (zh) 将固体颗粒状物料喷射进容器中的设备
CS198138B2 (en) Blowing apparatus,dipped under level of molten metal
KR20010093090A (ko) 스토퍼 로드
JP2723210B2 (ja) 羽口を密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349870B1 (ko) 용융금속용가스분사노즐및그사용방법
US689585A (en) Iron-notch for blast-furnaces.
US2492269A (en) Fluid cooled member for blast
US2960555A (en) Furnace electrode assembly, with oxidation shielding
KR19990062680A (ko) 버너의 분사 팁 보호 장치 및 이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가열 장치
GB214405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spraying refractory-forming material
SU1491891A1 (ru) Фурма дл вдувани в металлургическую плавильную печь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KR102255817B1 (ko) 전기로 작업구의 침식 방지 장치
LU505347B1 (en) Tuyere for a metallurgical furnace
KR200261438Y1 (ko) 로타리 조인트
JP2515514Y2 (ja) ランスのシール装置
JP2015101732A (ja) ガス吹込み用円環状羽口
US5863490A (en) Gas blast nozzle for molten meta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2263095A (ja) 直流アーク炉の炉壁電極
SU544680A1 (ru) Фурма дл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US715508A (en) Electric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4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