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5647B1 -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647B1
KR100205647B1 KR1019960027989A KR19960027989A KR100205647B1 KR 100205647 B1 KR100205647 B1 KR 100205647B1 KR 1019960027989 A KR1019960027989 A KR 1019960027989A KR 19960027989 A KR19960027989 A KR 19960027989A KR 100205647 B1 KR100205647 B1 KR 100205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frame
cutting
links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3237A (ko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2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647B1/ko
Publication of KR98001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6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5Details specific to handling of web-shaped media, e.g. paper or film rolls
    • H04N1/00676Cu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보면 기록지가 배출되는 부위에 횡설되는 프레임(30)과 ; 상기 프레임(3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절단날(40)과; 상기 절단날(40)의 전,후면과 이격된 프레임(30)상면에 부착되면서 절단날(40)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탄력부재(50)와; 프레임(30)의 일측단 전후부에 회전축(86)으로 축 결합되고, 타측단 양측 전후부에는 핀(74a,74b,74c)으로 결합되는 4개의 링크(70a,70b,70c,70d)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절단날(40)이 삽입되는 절결홈(62)을 갖고 상기 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된 링크(70a,70b,70c,70d)의 상단에 핀(74a,74b)으로 결합되어 상하 회동되면서 기록지를 프레임(30)의 상부에 밀착 가압하는 압착바(60)와; 상기 링크(70a,70b,70c,70d)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지 절단완료 및 절단장치의 초기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에 의해 상하로 회동하는 압착바가 출력되는 기록지를 압착시켜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이를 절단날에 가압하여 절단시킴으로써 절단날이 다른 부위와 마찰되지 않고 기록지를 절단시킴으로 기록지를 절단할 때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되고, 절단날의 마모가 방지되어 수명이 연장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나 프린터기의 출력방식은 레이저나 잉크젯 등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도록 되어 있으나, 팩시밀리는 소형인 관계로 감열기록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감열기록방식은 수신된 신호를 TPH(Thermal Print Head)가 열로 변환하고 이를 용지에 전사하여 인쇄하는 것으로, 일반 용지는 사용하지 못하고 특수 처리된 감열기록지만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감열기록지는 롤상태로 연속되게 말려 있으므로 출력시 이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팩시밀리에는 기록지 절단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주로 작두방식과 슬라이드식이 채용된다.
상기 작두형식의 기록지 절단장치는 도1a에서와 같이 하부에 기록지의 배출방향과 직각으로 고정된 고정날(10)과, 양측에 일측방향으로 직각절곡된 아암(13)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13)의 중간부가 고정날(10)의 후부 양측에 힌지(11)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고정날(10)과 맞물려 기록지를 절단하는 가동날(12)과, 가동날(12)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또한 구동수단은 모터(14)와, 상기 모터(14)의 축단(15)에 고정된 워엄(16)과, 상기 워엄(16)과 맞물려 회전되는 워엄휠(17)과, 상기 워엄휠(17)에 편심되게 돌출고정된 캠핀(18)과, 상기 캠핀(18)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날(12)의 아암(13)의 후단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링크(1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동날(12)과 고정날(10)의 사이로 기록지가 배출되다가 기록지의 절단신호가 떨어지게 되면, 상기 모터(14)가 작동하여 워엄(16)과 워엄휠(17)을 회전시키고, 상기 워엄휠(17)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핀(18)이 일정한 궤도로 회전하면서 링크(19)의 일단을 당기고 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링크(19)는 가동날(12)의 아암(13) 후측을 상하로 회동시키게 됨으로 가동날(12)은 힌지(11)를 축으로 상하로 회동하게 되면서 고정날(10)과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날(12)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날(10)과 맞물릴 때, 일측단이 먼저 닿게 된 후 타측단은 나중에 맞물리게 됨으로 작두와 같은 형식으로 기록지를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단장치는 가동날(12)이 고정날(10)과 서로 마찰되면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것이므로 날이 빨리 마모되고, 그로인해 절단에러가 발생하여 절단장치에 기록지가 걸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절단작동시 철커덕하는 절단소음이 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가동날(12)을 상하 회동시키기 위해 워엄(16)과 워엄휠(17)을 설치해야 하고, 또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캠핀(18) 및 링크(19)가 설치되어야 함으로 부품 및 조립공수가 늘어나고, 캠핀(18) 및 링크(19)에 의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 손실이 있어 전력소모가 큰 단점이 있으며, 가동날(12)이 고정날(10)과 맞물려 절단될 때,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함으로 절단장치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가동날(12) 및 고정날(10)의 마모로 인하여 기록지가 잘 절단되지 않는 절단불량이 발생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강도의 재료로 크게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제품이 무거워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슬라이드식 절단장치는 실용신안공보 출원번호 89-17879에 개시된 것으로,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가 배출되는 팩시밀리의 배출공(도면에 미도시됨) 내측에 절단장치를 설치하되, 상부에 가이드레일(26)이 형성된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5)와, 상기 슬라이더(25)에 축착되어 기록지를 절단하는 구름날(28)과, 상기 지지판(2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구름날(28)과 맞물리는 고정날(21)과, 상기 지지판(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22a,22b,22c)와, 상기 지지판(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풀리(23a,23b,23c)와, 상기 풀리(23a,23b,23c)와 기어(22a,22b,22c)에 권취되어 슬라이더(25)를 이동시키는 로프(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5)는 양측에 협지구(29)를 통해 로프(24)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절단장치는 별도의 전자회로에 의해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각각의 기어(22a,22b,22c)가 회전하면서 풀리(23a,23b,23c)를 회전시켜 지지판(10)의 풀리(23a,23b,23c)에 걸린 로프(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슬라이더(25)가 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더(25)의 회전축(27)에 축착된 구름날(28)이 고정날(21)에 밀착된 상태로 구르면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절단장치는 구름날(28)이 고정날(21)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기록지를 절단할 때, 구름날(28)이 항상 고정날(21)에 밀착되어 이동함으로 구름날(28)의 마모가 심하게 되고, 또한 구름날(28)이 마모되면 기록지를 제대로 절단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고정날(21)의 설치시 고정날(21)의 수평상태가 정밀하지 않고 또 구름날(28)이 축착된 슬라이더(2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6) 또한 수평정밀도가 떨어지게 되면 구름날(28)이 고정날(2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됨으로 기록지가 잘 절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록지를 가압하는 압착바가 링크를 통해 상하로 회동되면서 기록지 전후부를 압착하여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하부에 설치된 절단날에 가압하여 기록지를 절단시킴으로써 절단날이 다른 부위와 마찰되지 않고 기록지를 확실하게 절단시키는 것은 물론 절단날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절단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기록지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날이 절단되는 기록지에만 접촉되도록하여 기록지의 절단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록지가 배출되는 부위에 횡설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의 전,후면과 이격된 프레임상면에 부착되되 절단날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의 탄력부재와; 프레임의 일측단 전후부에 회전축으로 축 결합되고, 타측단 양측 전후부에는 핀결합되는 4개의 링크와 ; 길이방향으로 상기 절단날이 삽입되는 절결홈을 갖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링크의 상단에 핀 결합되어 상하 회동되면서 기록지를 프레임의 상부에 밀착 가압하는 압착바와; 상기 링크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기록지의 절단완료 및 절단장치의 초기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a, b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의 A-A단면도이다.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압착바가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의 B-B단면도이다.
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압착바가 프레임에 밀착된 후, 탄력부재를 가압하면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제6b도는 제6a도의 C-C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구조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에 따른 절단날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프레임 32a, 32b, 62a, 62b : 핀구멍
40 : 절단날 42 : 톱니
50 : 탄력부재 50a : 제2탄력부재
60 : 압착바 62 : 절결홈
70a, 70b, 70c, 70d : 링크 72 : 핀공
74a, 74b, 74c : 핀 80 : 구동모터
82 : 워엄 84 : 워엄기어
86 : 회전축 88 : 캠
90 : 감지센서 92 : 압착바감지센서
94 : 링크감지센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를 참조하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지 절단장치의 사시도를 보인 도면으로서, 기록지가 출력되어 배출되는 궤도에 판상의 프레임(30)이 횡설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양측단에는 전후로 관통된 핀구멍(32a,32b)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는 날이 상부를 향한 절단날(4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절단날(40)의 전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고무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탄력부재(50)가 프레임(3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탄력부재(50)는 절단날(40)보다 같거나 높은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는 압착바(60)가 위치한다. 상기 압착바(60)는 길이방향으로 절결홈(62)이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기록지가 지나가는 방향으로 핀구멍(62a,6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바(60)와 프레임(30)은 링크(70a,70b,70c,70d)로 연결되는데 상기 링크(70a,70b,70c,70d)는 프레임(30) 및 압착바(60)의 양측전후부에 4개로 구성되며, 각 링크(70a,70b,70c,70d)의 양단부에 핀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링크(70a,70b,70c,70d) 중 프레임(30) 및 압착바(60)의 일측 전후부에 설치되는 링크(70a,70b)는 하단부가 핀공(72)을 통해 상기 프레임(30)의 일측부에 형성된 핀구멍(32a)에 회전축(86)으로 연결되어 회전축(86)과 함께 회전되고, 상단은 압착바(60)의 핀구멍(62a)에 핀(74a)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30) 및 압착바(60)의 타측에 설치되는 링크(70c,70d)의 상하단 또한 핀공(72)을 통해 프레임(30) 및 압착바(60)의 핀구멍(32b,62b)에 핀(74b,74c)으로 연결되어 조립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86)의 일측단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연결되어 정역으로 회전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록지의 절단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회전축(86)의 일단에 워엄기어(84)가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워엄기어(84)에는 구동수단 즉, 구동모터(80)의 회전축(86)에 연결된 워엄(82)이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이 기록지 절단신호를 받아 작동한 후, 기록지가 절단되면 다시 초기상태로 역회전되도록 감지수단이 설치되는데, 상기 감지수단은 회전축(86)의 일단에 설치된 워엄기어(84)의 일측면에 초기상태에서 기록지를 절단완료되는 구간에 돌출형성됨 캠(88)을 구비하고, 상기 캠(88)과 캠(88)사이에 브래킷에 의해 고정설치된 감지센서(90)가 설치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 및 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4a, 4b에서와 같이 링크(70a,70b,70c,70d)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프레임(30)로부터 압착바(60)가 최대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 즉, 초기 상태에서 압착바(60)와 프레임(30)의 사이로 기록지가 출력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기록지 절단신호가 주어지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80)가 회전하게 되고, 워엄(82) 및 워엄기어(84)를 통해 회전축(86)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회전축(86)은 회전하면서 동시에 링크(70a,70b,70c,70d)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링크(70a,70b,70c,70d)의 회전에 의해 압착바(60)는 프레임(30)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압착바(60)는 도면 5a, 5b에서와 같이 프레임(30)의 상면에 부착된 탄력부재(50)의 상면에 밀착시키게 되며, 압착바(60)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하여 탄력부재(5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에 의해 기록지는 팽팽하게 긴장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탄력부재(50)는 압착바(60)의 압력에 의해 점점 수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바(60)의 하면에 프레임(30)에 부착된 탄력부재(50)와 같은 제2탄력부재(50a)가 부착되면 상기 기록지를 좀더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탄력부재(50)가 계속해서 수축하게 되면 도6a, 도6b에서와 같이 절단날(40)의 상단보다 낮아지게 되며, 결국 절단날(40)의 상단이 탄력부재(5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팽팽하게 긴장된 기록지와 접촉되어 기록지는 절단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록지가 절단완료되면, 상기 워엄기어(84)에 설치된 캠(88)이 감지센서(90)에 감지된다. 이 신호를 도면에 도시 생략된 제어부가 인식하여 구동모터(80)를 역회전시킨다.
구동모터(80)의 역회전에 의해 워엄(82) 및 워엄기어(84)와 회전축(86)이 역회전하게 되며, 회전축(86)과 함께 회전되는 링크(70a,70b) 및 타측에 있는 링크(70c,70d) 또한 역회전하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상기 압착바(60)는 상승하게 되고, 압착바(60)가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 워엄기어(84)에 설치된 반대측 캠(88)이 감지센서(90)에 감지되게 되며,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구동모터(8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80)가 정지됨으로써 기록지 절단장치의 작동은 완료되는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구조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은 프레임(30)의 일측 상면에 압착바(60)가 기록지를 절단완료한 시점부터 압착바(60)를 감지하는 압착바감지센서(92)와, 링크(70a,70b,70c,70d)의 작동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의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링크(70a,70b,70c,70d)의 수직상태를 감지하는 링크감지센서(9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감지수단의 구성에 의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착바(60)가 하강하여 기록지가 절단된 후에도 압착바(60) 압력에 의해 탄력부재(50)는 어느정도 수축하게 되며, 압착바(60) 또한 소정폭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상면에 설치된 압착바감지센서(92)가 압착바(60)를 감지하게 된다. 압착바감지센서(92)의 신호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보내지고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80)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구동모터(80)가 역회전되면 워엄(82) 및 워엄기어(84)가 역회전되고, 워엄기어(84)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86)이 회전하여 링크(70a,70b,70c,70d)를 반대로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링크(70a,70b,70c,70d)는 압착바(60)를 상승시켜 초기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상기 압착바(60)를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면서 링크(70a,70b,70c,70d)가 수직상태로 서게되면 링크감지센서(94)가 이를 감지하게 되는데, 그 신호를 제어부가 인식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80)를 정지시키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에 따른 절단날의 구조도로서, 상기 절단날(40)의 상단부가 톱니(42)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단날(40)의 상부가 톱니(42)형태를 가짐으로써 기록지를 절단할 때 먼저 톱니(42)의 뾰족한 부분이 먼저 기록지를 관통하게 되고 이어서 점점더 크게 관통하여 결국에는 절단되게 됨으로 기록지가 용이하게 절된되게 된다.
만일, 기록지가 완전히 절단되지 않더라도 톱니(42)의 뾰족한 부분은 기록지를 관통하여 절취선을 형성함으로 기록지에 약간의 힘을 가하여 강제로 당기게 되면 절취선을 따라 잘라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압착바가 기록지를 절단할 때, 기록지 절단부위의 전후부를 프레임에 압착시켜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하부에 설치된 절단날(40)로 기록지를 절단시키는 구조이므로, 절단날(40)이 다른 부위와 전혀 마찰되지 않아 절단날(40)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또한 그에 따른 절단장치의 수명이 연장되며, 특히 기록지를 절단할 때, 발생하는 절단 소음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기록지가 배출되는 부위에 횡설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절단날(40)과; 상기 절단날(40)과 이격된 프레임(30)의 상면에 부착되되 절단날(40)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는 탄력부재(50)와; 프레임(30)의 일측단 전후부에 회전축(86)으로 축 결합되고, 타측단 양측 전후부에는 핀(74a,74b,74c)으로 결합되는 4개의 링크(70a,70b,70c,70d)와; 길이방향으로 상기 절단날(40)이 삽입되는 절결홈(62)을 갖고 상기 프레임(30)의 양측에 결합된 링크(70a,70b,70c,70d)의 상단에 핀(74a,74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압착바(60)와; 상기 링크(70a,70b,70c,70d)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과; 기록지의 절단완료 및 절단장치의 초기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40)의 상단부가 톱니(42)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바(60)의 하면에는 프레임(30)에 부착된 탄력부재(50)와 같은 제2탄력부재(50a)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기록지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프레임(30)의 일측부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80)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80)의 축단에 설치된 워엄(82)과; 상기 워엄과 맞물리는 워엄기어(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회전축(86)의 일단에 설치된 워엄기어(84)의 일측면에 초기상태에서부터 기록지가 절단완료되는 구간부가 돌출형성된 캠(88)을 구비하고, 상기 캠(88)과 캠(88)사이에 브래킷에 의해 고정설치된 감지센서(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프레임(30)의 일측 상면에 압착바(60)가 기록지를 절단완료한 시점부터 압착바(60)를 감지하는 압착바감지센서(92)와, 링크(70a,70b,70c,70d)의 작동방향과 반대되는 위치의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링크(70a,70b,70c,70d)의 수직상태를 감지하는 링크감지센서(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1019960027989A 1996-07-11 1996-07-11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05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89A KR100205647B1 (ko) 1996-07-11 1996-07-11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989A KR100205647B1 (ko) 1996-07-11 1996-07-11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237A KR980013237A (ko) 1998-04-30
KR100205647B1 true KR100205647B1 (ko) 1999-07-01

Family

ID=1946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9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5647B1 (ko) 1996-07-11 1996-07-11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323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6878B2 (ja) シート材の切断装置
WO2008032444A1 (fr) Coupeuse en feuilles
PL160853B1 (pl) nie do prowadzenia tasmy w prasie z wydluzonym chwytem wstegi papierowejktóry jest polaczony z silnikiem odbierajacym syg- PL PL PL
FI79258C (fi) Fanersvarv.
KR100205647B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US5295384A (en) Sheet-metal bending device
CN217101838U (zh) 一种皮带机的清扫结构
EP0813935B1 (en) Paper cutting device
KR200150205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100742876B1 (ko)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CN218579232U (zh) 一种收卷张力调节机构
KR100205648B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CN214772217U (zh) 一种切膜机用辅助装置
CN210308075U (zh) 一种切纸设备的压纸装置
JP3945028B2 (ja) カッティング装置
KR200150204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JPH0586494U (ja) 画像形成装置
JP4194899B2 (ja) ローリングカットシャー
CN216884464U (zh) 一种改进型连续压机进给轴调整装置
JP6763973B2 (ja) シート要素加工機での二重シートを検出するための検出システム、及びシート要素加工機
JPH02225249A (ja) ウエブ型ワークピースの断続的送り装置
JPH06479Y2 (ja) 摺動形シャワー装置
CN216300220U (zh) 一种具有缓压功能的热熔治具
US4846056A (en) Press dwell linkage
KR0124035B1 (ko) 사무기기의 자동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7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