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5490B1 - 부호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490B1
KR100205490B1 KR1019940019164A KR19940019164A KR100205490B1 KR 100205490 B1 KR100205490 B1 KR 100205490B1 KR 1019940019164 A KR1019940019164 A KR 1019940019164A KR 19940019164 A KR19940019164 A KR 19940019164A KR 100205490 B1 KR100205490 B1 KR 10020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frame
code string
prediction
indepen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693A (ko
Inventor
겐지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즈이 다케오
Publication of KR95000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4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5/926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방송되는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할때에 화상의 움직임이 매끄러운 고속 검색 재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고능률 부호화된 동화상의 부호열이 방송될 때에, 프레임 또는 필드간에 예측 부호화된 예측 부호열을 복호 회로에서 복호하여 재생 화상을 얻는다. 부호화 회로에 의해, 얻어진 재생 화상을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하여 독립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 독립 부호열을 얻는다. 그리고, 부호 교체 회로에 의해, 예측 부호열의 일부를 부호화 회로에서 얻어진 독립 부호열과 교체하고, 이 부호열을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Description

부호 기록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부호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부호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종래의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 기록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부호열 상태의 한가지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6a도 및 6b도는 프레임 형태의 교체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한가지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채널 디코더 10 : 복호 회로
11 : 기록 매체 20 : 부호화 회로
30 : 부호 교체 회로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VTR 등의 동화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레임 또는 필드간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 되어진 동화상의 부호열을 방송 또는 전송하는 경우에 그 부호열을 기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예를 들면, NTSC 방식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의 방송 방식에 대해 고능률 부호화로써 동화상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이의 디지털 데이터인 부호열을 위성방송이나 지상파 또는 CATV 등으로 방송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방송된 정보를 VTR 등에서 녹화하는 경우, 수신된 압축 부호열을 완전히 복호화하여 통상적인 NTSC 방식 등에서와 동일한 화상 신호를 얻는다면, VHS 방식 VTR 등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정용 VTR 로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기록을 수행하는 VTR 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호화 하여 재생 화상 신호를 얻고나서 다시 부호화 하여 기록해도 좋으며, 부호열을 그대로 기록하고 재생시에 이러한 부호열을 복호화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녹화에 따른 화질의 저하가 없으며 부호화 장치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합리적이다.
VTR 등의 축적 미디어에서는, 화상을 보면서 고속 검색하는 재생이 요구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화상의 일부만을 끌어내어 고속으로 표시하므로, 현행민생용 VTR 에서는 정보가 기록된 트랙을 헤드에 의해 비스듬하게 판독하여 얻는 것이 되며, 1개의 필드중에 가로로 분할된 화상의 일부가 동시에 몇 개의 필드분 표시된다. 비디오 디스크의 경우에는 몇 개의 필드에 대해 1개의 필드만이 표시된다.
한편, 고능률 부호화를 이용하는 디지털 정보의 기록 매체의 경우에는,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가 실시되면 일부 프레임만을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ISO에서 표준화된 MPEG 방식 등과 같이, 몇 개의 프레임에 한번의 비율로 프레임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가 실시된다. 그리고, 고속 검색시에는 이러한 독립 프레임(이하, Ⅰ 프레임이라고 기술한다)만이 재생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단위의 처리는 필드 단위일 수 있으며, 추후의 설명에서는 프레임으로 대표하여 기재한다.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에서는 통상적으로 가변 길이 부호화가 실시되므로, 발생 부호량이 변동하고, 각 프레임 정보가 기록된 기록 매체상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고 변동한다. 따라서, 고속 검색시에 독립 프레임(Ⅰ 프레임)만을 판독하기 위해 엑세스해도 Ⅰ 프레임이 판독 시작될 때까지 시간이 걸린다. 또한, Ⅰ 프레임은 부호량이 프레임 평균보다 상당히 많으므로 판독하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검색시에 얻어지는 Ⅰ 프레임은 상당히 적어진다.
따라서, 고속 검색시에 표시된 프레임의 비율이 떨어지고, 저속도 촬영 상태의 재생이 된다. 예를 들면, 고속 검색 상태에서 5 프레임/초의 독립 프레임(Ⅰ 프레임)의 부호밖에 얻어지지 않으면 초당 5 프레임의 화상 표시로 된다.
이러한 비율의 정도는 재생장치의 판독 능력에도 따르지만 기록된 부호열내에 Ⅰ 프레임이 어느 정도 있는가에 의존하며, Ⅰ 프레임의 비율이 많을수록 표시할 수 있는 화상도 많아진다.
다음은 종래의 부호화 장치의 한가지 예에 대해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부호화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디지털 방송을 실시하기 위한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 장치의 한가지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화상 입력 단자(31)에 의해 입력된 화상 신호는 예측 신호 감산기(32)에 제공된다. 예측 신호 감산기(32)에서는 입력 화상 신호로부터 예측 신호가 감산되고 그 얻어진 결과 신호가 프레임내 부호화기(6)에 제공된다.
프레임내 부호화기(6)에서는 이산 코사인 변환 (이하, DCT 라고 기술한다)이 실시되고, 변환된 계수는 소정의 스텝 폭으로 양자화 된 다음에 가변길이 부호화가 행해져 압축된 부호로 되면 채널 인코더(33)와 프레임내 복호기(3)에 제공된다.
프레임내 복호기(3)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역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재생 신호를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한다. 예측 신호 가산기(4)에서는 프레임간 예측기(12)로부터 제공된 예측 신호를 재생 신호와 가산하고 그 얻어진 재생 화상 신호를 프레임간 예측기(12)에 제공한다.
프레임간 예측기(12)에서는 입력 신호가 Ⅰ 프레임 지연되어 프레임간 예측 신호가 생성되고, 예측 신호 감산기(32)와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또한, 프레임간 예측은 순회 처리되므로 부호화 장치와 복호화 장치사이에서 오차가 남을 가능성이 생기며, 따라서, 한 화면내의 100 분의 1 정도의 부분은 화상간 예측을 중단하고 오차가 리프레쉬(refresh)되도록 한다. 이 리프레쉬된 부분은 프레임마다 옮겨지고 수초 동안에 전체 화면이 리프레쉬되도록 한다.
채널 인코더(33)에서는 압축된 부호에 대해 전송로에 적합한 에러 정정 부호가 추가되고 전송로에 적합한 포맷 신호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가 신호출력 단자(34)로부터 출력되어 방송된다. 다음은, 방송되는 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부호 기록장치에 대해서 그 종래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종래의 부호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기록할 때에 화상의 복호 처리가 실시되지 않으며, 에러 정정 부호 또는 신호 형태만이 기록매체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된다.
방송되는 신호는 신호 입력 단자(1)로부터 채널 디코더(2)에 입력되어, 채널 디코더(2)에서 신호가 복조되도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어 그 출력이 채널 디코더(9)에 제공된다.
채널 디코더(9)에서는 기록매체에 적합한 에러 정정 부호가 추가되어 기록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신호가 형성되고 기록매체(11)에 이러한 신호가 기록된다.
다음에는 방송되는 부호열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재생 장치에 대한 종래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종래의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3도에서 기록매체(11)로부터 판독한 신호는 채널 디코더(21)에 제공된다. 채널 디코더(21)에서는 신호가 복조되고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며 프레임내 복호기(3)에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는 제1도에 도시한 채널 인코더(33)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제2도에 도시한 채널 인코더(9)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3도에서 프레임내 복호기(3)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역처리가 실시되고, 얻어진 재생 신호는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예측 신호 가산기(4)에서는 프레임간 예측기(12)로부터 제공된 예측신호와 재생 신호가 가산되고 그 얻어진 재생 화상 신호를 화상 출력 단자(23)로부터 출력하는 동시에 프레임간 예측기(12)에 제공한다.
프레임간 예측기(12)에서는 입력 신호가 Ⅰ 프레임 지연되어 프레임간 예측 신호가 생성되며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프레임 또는 필드간 예측 부호화로 부호화되어 얻어지는 디지털 신호가 방송되는 경우에, 수신되는 그 부호열은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가 리프레쉬만을 위하여 실시되고 있고, 고속 검색만을 위한 재생에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된 프레임이나 부분은 적으며, 수신된 부호열이 직접 기록되는 디지털 VTR 에서는 충분한 고속 검색의 재생이 실시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방송되는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을 기록하는 경우에, 기록매체에서 재생할때에 화상의 움직임이 매끄러운 고속 검색 재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부호 기록 장치는 고능률 부호화된 동화상의 부호열을 기록하는 부호 기록 장치이며, 프레임 또는 필드간에 예측 부호화된 예측 부호열을 복호하여 재생 화상을 얻는 복호 수단, 상기 재생화상을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하고 독립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 독립 부호열을 생성하는 부호화 수단, 및 상기 예측 부호열의 일부를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독립 부호열과 교체하는 부호 교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상기 예측 부호열이 양방향 예측과 편방향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호열인 경우에, 편방향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호열만을 상기 독립 부호열과 교체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부호를 교체할 때에, 독립 부호열의 개시점이 대략 소정의 부호량마다 주기적으로 존재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상기 예측 부호열을 지연시켜 상기 독립 부호열에 동기시키는 지연 수단, 소정 프레임 또는 필드마다 상기 지연 예측 부호열과 독립 부호열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출력 수단, 상기 선택 출력 수단의 출력 부호열이 제공되어 상기 선택 출력시에 생기는 부호량의 변화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 상기 지연 예측 부호열이 제공되어 프레임 또는 필드의 단락을 검출하여 제 1 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 상기 흡수수단에 제공되는 부호열의 부호량을 계수하고 이 부호량이 소정의 부호량에 도달하면 제 2 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수단, 및 상기 제 2의 검출 신호가 제공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 1 의 검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선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선택 출력 수단에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작용]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에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이 방송되는 경우에, 그 부호가 우선 복사되고 그 결과로 얻어진 재생 화상이 프레임내에서 독립부호화 된다.
그리고,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의 일부가,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된 부호(독립 신호)와 교체되어 기록된다. 이에 따라 기록되는 총부호량은 증가되지만, 독립 부호가 방송되어 오는 부호열에 있는 것보다 더 많아진다.
또한, 독립 부호의 시작(개시점)이 소정의 부호량마다 주기적으로 존재하도록 제어되므로, 독립 부호를 판독할 수 있게 되며 다수의 화상이 얻어지므로 재생 화상의 움직임이 매끄러워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부호 기록 장치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실시하기 위한 부호화 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한 부호화 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록 장치와 재생 장치에 관해서만 특별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 기록 장치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4도에서 신호 입력 단자(1)에 입력된 동화상(예측 부호열)이 채널 디코더(2)에 제공되어 복조되고,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어 복호 회로(10)에 제공된다. 복호 회로(10)에서 복호된 동화상은 부호화 회로(20)에 제공되고 프레임내 부호화를 실시할 수 있다. 입력단자(1)에 입력된 예측 부호열의 일부는 부호화 회로(20)로부터 출력된 독립 부호열과 부호 교체 회로(30)에서 교체되고, 기록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신호가 형성되어 기록매체(11)에 기록된다.
상기 복호 회로(10)는 프레임내 복호기(3), 예측 신호 가산기(4), 및 프레임간 예측기(12)로 구성되고, 상기 부호화 회로(20)는 프레임내 부호화기(6)로 구성되며, 상기 부호 교체 회로(30)는 지연기(5), 절환 스위치(7), 버퍼(8), 프레임 동기 검출기(13), 부호 절환 제어기(14), 및 부호량 계수기(15)로 구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부호 기록 장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비해 프레임내 복호기(3), 예측 신호 가산기(4), 지연기(5), 프레임내 부호화기(6), 절환스위치(7), 버퍼(8), 프레임간 예측기(12), 프레임 동기 검출기(13), 부호 절환 제어기(14), 및 부호량 계수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방송되는 신호(예측 부호열)는 신호 입력 단자(1)를 경유하여 채널 디코더(2)에 입력되고 신호가 복조되어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된 후, 그 출력은 프레임내 복호기(3)와 지연기(5)에 제공된다.
여기서, 프레임내 복호기(3)에 제공된 부호는, 종래예의 재생 장치와 동일하게 화상이 재생된다. 프레임내 복호기(3)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역처리가 실시되고, 얻어진 재생 신호가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예측 신호 가산기(4)에서는, 프레임간 예측기(12)로부터 제공된 예측 신호가 재생 신호와 가산되며, 얻어진 신호가 프레임내 부호화기(6) 및 프레임간 예측기(12)에 제공된다.
프레임간 예측기(12)에서는, 입력 신호가 Ⅰ 프레임 정도 지연되고 프레임간 예측 신호가 생성되어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동작은, 제1도에 도시된 종래에의 부호화 장치의 프레임내 부호화기(6)와 동일하지만, 부호화될 입력 신호는 예측 잔차는 아니고, 재생 화상이 직접 프레임내에서 부호화된다. 그리고, 얻어진 부호는 프레임내에서 독립적이므로, 고속 검색에 사용된다. 프레임내 부호화된 신호는 절환 스위치(7)의 1 단자에 제공된다.
한편, 채널 디코더(2)의 출력은 지연기(5)에 제공된다. 지연기(5)로부터 출력된 부호는, 프레임내 복호기(3), 예측 신호 가산기(4), 및 프레임내 부호화기(6) 등에서 발생되는 지연을 보상한다.
지연기(5)로 인한 지연의 결과,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출력과 동기된 부호는, 절환 스위치(7)의 P단자에 제공된다.
절환 스위치(7)는 통상은 P단자에 절환되어 있으며, 프레임간 부호화된 부호가 버퍼(8)에 제공된다. 지연기(5)에 의해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출력과 동기된 부호는 프레임 동기 검출기(13)에도 제공된다. 프레임 동기 검출기(13)에서는, 제공된 부호열 중에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하고, 프레임마다 프레임 단락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플래그(제1의 검출 신호)를 부호 절환 제어기(14)에 제공한다.
한편, 부호량 계수기(15)는 버퍼(8)에 제공된 부호량을 계수하고 독립 프레임을 예측 프레임열에 삽입하는 간격, 즉, 5내지 20 프레임의 전송 레이트에 상당하는 소정의 부호량에 도달할 때, 절환가능 플래그(제2의 검출 신호)를 부호 절환 제어기(14)에 제공한다.
부호 절환 제어기(14)는 제공된 프레임 플래그 및 절환가능 플래그 및 절환가능 플래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스위치(7)에 제공하고, 절환가능 플래그를 제공할 때에 프래임 플래그가 제공되면, 스위치(7)를 1 단자에 절환시킨다. 그리고 절환가능 플래그를 제공할때에 다음의 프래임 플래그가 제공되면, 스위치(7)를 P 단자로 복귀시킨다.
상기와 같은 부호 절환 제어기(14)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로, 5 내지 20 프레임에 한번 정도 스위치(7)의 1 단자가 선택되고, 프레임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된 부호가 버퍼(8)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5 내지 20 프레임에 대해 Ⅰ 프레임이 프레임간 부호화에 따른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에 따른 독립 프레임으로 교체된다.
또한, 버퍼(8)는 프레임간 부호화로부터 프레임내 부호화로의 변경에 따라 발생하는 부호량의 변화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절환 스위치(7)의 제어가 부호량에 따라 실시되는 것은 독립 부호열은 일정 부호량마다 존재하고, 고속 검색을 실시할 때에 사정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부호열의 상태에 대해 제5도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부호열 상태의 한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Ⅰ)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예측 프레임보다 부호량이 많으므로, 전체 부호량은 입력 부호보다 기록 부호 쪽이 커진다. Ⅰ 프레임 은 프레임수로 보면, 반드시 일정 주기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별히 부적합하지는 않다.
제4도에서 버퍼(8)로 부호량의 변동이 흡수된 부호는, 채널 인코더(9)에 제공된다. 채널 인코더(9)에서는, 기록매체에 적합한 에러 정정 신호가 추가되고 기록매체에 적합한 형태로 신호가 형성되어 기록매체(11)에 기록된다.
상기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는, MPEG 방식과 같이 양방향 예측 프레임(이하, B 프레임이라고 기술한다)이 포함된 경우에는, 편방향 예측 프레임(이하, P 프레임이라고 기술한다)을 기초하여,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P 프레임만을 복호하면 P 프레임의 재생 화상이 얻어지는 점, B 프레임은 P 프레임보다 부호량이 적으며 B 프레임을 기초하여 프레임내 부호화하면 부호량의 증가량이 커지는 점, 및 B 프레임은 P 프레임보다 양자화가 거칠어서 화질이 나빠지는 점등이 있기 때문이다.
편방향 예측 프레임을 기초하여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를 하는 경우, 제4도의 프레임 동기 검출기(13)에서는, 지연기(5)로부터 제공된 부호열 중에서 프레임 헤더를 검출하고, 이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프레임 종별 정보에 따라, 제공된 부호열이 P 프레임인 경우에만 프레임마다 프레임 단락을 나타내는 프레임 플래그를 부호 절환 제어기(14)에 제공한다.
프레임 형태의 교체에 대해 제6a도 및 6b도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6a도 및6b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부호 기록 장치의 부호 교체 회로(30)에 의한 프레임 형태의 교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6a도에서는 입력 화상의 프레임 형태가 편방향 예측(P) 프레임만인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12 프레임마다 편방향 예측 (P) 프레임이 독립(Ⅰ) 프레임으로 교체된다. 한편, 제6B도에는 입력 화상의 프레임 형태가 편방향 예측(P) 프레임과 양방향 예측(B) 프레임의 양쪽을 포함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12 프레임마다 편방향 예측 (P) 프레임만이 독립(Ⅰ) 프레임으로 교체된다.
본 실시예의 부호 기록 장치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예와 비교하여 복호 및 재부호화 등의 처리가 증가되는데, VTR 에 내장된 재생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제4도에 도시된 지연기(5), 프레임내 부호화기(6), 절환 스위치(7), 및 버퍼(8)만을 추가하는 것으로 양호하다.
그 내에, 프레임내 부호화기(6)에서는 5 내지 20 프레임에 대해 1 프레임의 비율로 부호화 되므로 저속인 것으로도 실현할 수 있다. 단, 이경우에 지연량은 많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부호 기록 장치로 기록된 기록매체의 재생 장치에 대해서, 그 한 실시예를 제7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재생 장치의 한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7도에서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재생 장치와 동일한 기능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재생 장치와 비교하여, 제7도에 도시된 재생 장치에서는 화상 유형 판별기(23) 및 절환 스위치(24)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동작은 Ⅰ 프레임의 복호에 대응될 수 있는 점 이외에는 종래예와 동일하며 일반적인 것이다.
제7도에서 기록매체(11)로부터 판독한 신호는 채널 디코더(21)에 제공된다. 채널 디코더(21)에서는 신호가 복조되고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채널 디코더(21)의 출력은 프레임내 복호기(3) 및 화상 유형 판별기(23)에 제공된다. 이러한 처리는 제1도에 도시한 채널 인코더(33)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제4도에 도시한 채널 인코더(9)에 대응하는 것이다.
프레임내 복호기(3)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프레임내 부호화기(6) 또는 제4도에 도시된 프레임내 부호화기(6)의 역처리가 실시되고, 예측 프레임에서는 재생 신호가 얻어지며 Ⅰ 프레임에서는 재생 화상 신호가 얻어지고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된다.
예측 신호 가산기(4)에서는, 예측 프레임의 경우에, 절환 스위치(24)로부터 제공되는 예측 신호가 재생 잔차 신호와 가산되어 재생 화상 신호로 되고, Ⅰ 프레임의 경우에는 어느것도 가산되지 않은채 재생 화상 신호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진 재생 화상은 화상 출력 단자(22)로부터 출력되는 동시에, 프레임간 예측기(12)에 제공된다.
프레임간 예측기(12)에서는 입력 신호가 Ⅰ 프레임 지연되고, 프레임간 예측 신호가 생성되어 절환 스위치(24)에 제공된다. 절환 스위치(24)는 화상 유형 판별기(23)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예측 프레임에서는 예측 신호를 제공하며, Ⅰ 프레임에서는 0 값을 예측 신호 가산기(4)에 제공한다.
화상 유형 판별기(23)에서는, 부호열로부터 예측 프레임이 독립 프레임인지의 식별 플래그를 판독해내고, 이러한 식별 플래그에 따라 절환 스위치(24)가 제어 된다.
고속 검색시에는. Ⅰ 프레임만이 복호되지만 Ⅰ 프레임의 부호는 통상의 화상 비율로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Ⅰ 프레임의 복호후에도 다음의 Ⅰ 프레임의 부호가 올때가지 화상은 유지되고 반복 출력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방송되는 프레임 또는 필드간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을 복호하고, 얻어진 재생 화상을 프레임내에서 독립 부호화하여 예측 부호화된 부호열의 일부를 프레임내 독립 부호화된 부호(독립 부호)로 교체하여 기록한다. 이에 따라, 총 부호량은 증가되며 방송되는 부호열의 독립 부호보다 많은 독립 부호가 기록된다.
또한, 독립 부호의 개시점이 소정의 부호량마다 주기적으로 존재하게 부호열의 교체가 실시되므로, 독립 부호에 대해 꼭 필요한 액세스만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호 기록 장치에 따라, 고속 검색시의 재생에 있어서 다수의 독립부호를 판독할 수 있게 되며, 보다 많은 재생 화상이 얻어지므로 동작이 매끄러운 고속 검색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어진 재생 화상은, Ⅰ 프레임이 상이한 복수의 프레임에서 생성되는 것은 아니므로 완전한 Ⅰ 프레임의 화상으로 된다.

Claims (4)

  1. 고능률화된 동화상의 부호화열을 기록하는 부호 기록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또는 필드간 예측 부호화된 상기 부호열의 일부분을 복호하여 재생 화상을 얻는 복호 수단; 상기 재생 화상을 프레임 또는 필드내에서 독립적으로 다시 부호화하여 프레임내 또는 필드내에서 독립적으로 복호가능한 독립 부호열을 생성하는 부호화 수단; 및 상기 부호열의 상기 일부분을 상기 부호화 수단에서 얻어진 독립 부호열과 교체하는 부호 교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상기 예측 부호열이 양방향 예측과 편방향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호열인 경우에, 편방향 예측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부호열 만을 반드시 상기 독립 부호열과 교체하는 부호 교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부호를 교체할 때에 상기 독립 부호열의 개시점이 소정의 부호량마다 주기적으로 존재하도록 하는 부호 교체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교체 수단은, 상기 예측 부호열을 지연시켜 상기 독립 부호열에 동기시키는 지연 수단 ; 소정의 프레임 또는 필드마다, 상기 지연 예측 부호열 및 상기 독립 부호열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 출력 수단; 상기 선택 출력 수단의 출력 부호열이 제공되어 상기 선택 출력시에 생기는 부호량의 변화를 흡수하는 흡수 수단 ; 상기 지연 예측 부호열이 제공되어, 프레임 또는 필드의 끝을 검출하여 제1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검출 수단 ; 상기 흡수 수단에 제공되는 부호열의 부호량을 계수하고, 이 부호량이 소정의 부호량에 도달하면 제2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계수 수단 ; 및 상기 제2의 검출 신호가 제공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의 검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선택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선택 출력 수단에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 기록 장치.
KR1019940019164A 1993-08-04 1994-08-03 부호 기록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205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220893A JP2776212B2 (ja) 1993-08-04 1993-08-04 符号記録装置
JP93-212208 1993-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93A KR950006693A (ko) 1995-03-21
KR100205490B1 true KR100205490B1 (ko) 1999-07-01

Family

ID=1661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164A Expired - Lifetime KR100205490B1 (ko) 1993-08-04 1994-08-03 부호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41942A (ko)
EP (1) EP0637888B1 (ko)
JP (1) JP2776212B2 (ko)
KR (1) KR100205490B1 (ko)
DE (1) DE69419081T2 (ko)
MY (1) MY1119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397A (en) * 1991-05-31 1994-05-31 Kabushiki Kaisha Toshiba Predictive coding using spatial-temporal filtering and plural motion vectors
EP0702493A1 (en) * 1994-09-19 1996-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playout of videos
JP4095681B2 (ja) * 1995-02-24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418485B2 (ja) * 1995-09-14 2003-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蓄積装置
US5949948A (en) * 1995-11-20 1999-09-07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layback features for compressed video data
US6285361B1 (en) * 1996-11-15 2001-09-04 Futurete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ipping video segments from an audiovisual file
WO1998026602A1 (en) * 1996-12-12 1998-06-18 Sony Corpor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mpressing picture data
GB2327548B (en) * 1997-07-18 2002-05-01 British Broadcasting Corp Switching compressed video bitstreams
JP3665456B2 (ja) * 1997-11-19 2005-06-29 株式会社東芝 映像情報の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映像編集方法
US6766105B1 (en) * 1998-03-27 2004-07-20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VTR
JP2000059790A (ja) 1998-08-05 2000-02-25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列変換装置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2543B2 (en) * 1989-05-11 1991-07-11 Panasonic Corporation Moving image signal en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apparatus
JPH05137131A (ja) * 1991-11-13 1993-06-01 Sony Corp フレーム間動き予測方法
US5440345A (en) * 1992-07-17 1995-08-08 Kabushiki Kaisha Toshiba High efficient encoding/decoding system
US5410350A (en) * 1992-10-28 1995-04-25 Sony Corporation Motion picture encoding and/or decoding system
US5377051A (en) * 1993-01-13 1994-12-27 Hitachi America, Ltd. Digital video recorder compatible receiver with trick play image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7888A3 (en) 1995-09-20
KR950006693A (ko) 1995-03-21
MY111900A (en) 2001-02-28
EP0637888B1 (en) 1999-06-16
DE69419081D1 (de) 1999-07-22
US5841942A (en) 1998-11-24
EP0637888A2 (en) 1995-02-08
JP2776212B2 (ja) 1998-07-16
JPH0750840A (ja) 1995-02-21
DE69419081T2 (de) 199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295A (en) Variable length code recording/playback apparatus
US5786858A (en) Method of encoding image signal,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method of decoding image signal,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signal, and image signal recording medium
JP4337248B2 (ja) 画像情報の伝送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伝送方法
KR0185932B1 (ko) 고속재생을 위한 비디오데이타 복호방법 및 그 장치
KR100205490B1 (ko) 부호 기록 장치
EP0632653B1 (en) Digital high definition video recorder having high definition display in trick-play modes
KR2006008830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영상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US6373905B1 (en) Decod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JP4468497B2 (ja) ディジタル符号化ビデオフィルムの原データ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JPH1084545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H0832927A (ja) 画像復号化装置
JP3191439B2 (ja) 符号化画像信号切換装置
JP3233232B2 (ja) 動画像復号化方法および装置
JP3663559B2 (ja) リアルタイム逆方向再生用動画像符号化方式
JP3304634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5892883A (en) Recording of a data reduced digital video signal in slant tracks on a record carrier
JP2763057B2 (ja) 動画像符号化および再生方法
JP2785640B2 (ja) Mpeg方式により高能率符号化された動画像情報からの画像再生方法
KR10068613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캡처된 이미지 편집 및 저장 방법
JPH09298711A (ja) 画像情報記録再生装置の編集用圧縮画像データの発生装置
JP3370659B1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27792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van Gassel et al. MPEG-2 compliant trick play over a digital interface
JP2007036705A (ja) 映像蓄積再生装置
JPH07322191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502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