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2111B1 -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111B1
KR100202111B1 KR1019950058993A KR19950058993A KR100202111B1 KR 100202111 B1 KR100202111 B1 KR 100202111B1 KR 1019950058993 A KR1019950058993 A KR 1019950058993A KR 19950058993 A KR19950058993 A KR 19950058993A KR 100202111 B1 KR100202111 B1 KR 10020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owsiness
vehicle
present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050A (ko
Inventor
한준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5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111B1/ko
Publication of KR97004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시 졸음등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저하될 경우 감지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여러 가지의 장치를 작동시키면 운전자의 지각이 환기되어 여러 가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졸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시 졸음등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저하될 경우 감지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여러 가지의 장치를 작동시키면 운전자의 지각이 환기되어 여러 가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자동차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 운전자가 도로 주행시 교통정체로 인해 발생되는 졸음등으로 속도의 저하등 예기치 못한 사고의 결과를 방지하기 위한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자동차와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와, 운전자의 졸음등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일정 이상의 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스피드 센서, 일정이상의 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타이머, 운전자가 졸음 감지장치 시스템을 온/오프 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레이저 센서와 스피드센서 및 타이머의 동작을 판단하여 콘트롤 하는 콘트롤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자동차가 저속운행시 스피드 센서에서 감지된 속도로 앞차와의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떨어질 경우와 타이머에 의한 시간이 일정 이상일 경우에 운전자의 졸음으로 판단하여 콘트롤러에서 콘트롤 하여 경보음, 경고등 및 오디오를 통하여 운전자의 지각을 환기시키도록 작동한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를 운전자 자신이 자신의 상태를 판단하여 감지장치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를 갖추도록 실시한다. 또한, 레이저 센서는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장치된 것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 자동차의 앞쪽에 장치되도록 실시한다. 또한, 스피드 센서를 갖추어 자동차가 일정 히아의 속도(일정 이상의 시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일정 이상의 시간을 감지하도록 타이머를 갖추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레이저 센서, 스피드 센서, 타이머를 통해 감지된 것을 콘트롤 하여 경보음, 경보등의 발생 및 오디오 등에 의해 운전자의 지각을 환기시키도록 하는 콘트롤러를 갖추도록 실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졸음 감지장치는 일반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중 교통이 정체되어 저속 운행하게 되면 졸음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운전자의 자동차와 앞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 센서와, 운전자의 졸음등에 의해 자동차의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스피드 센서, 일정 이상의 시간을 감지하기 위한 타이머, 운전자가 졸음 감지장치 시스템을 온/오프 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 및, 레이저 센서와 스피드센서 및 타이머의 동작을 판단하여 콘트롤 하는 콘트롤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KR1019950058993A 1995-12-27 1995-12-27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KR10020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993A KR100202111B1 (ko) 1995-12-27 1995-12-27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8993A KR100202111B1 (ko) 1995-12-27 1995-12-27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050A KR970040050A (ko) 1997-07-24
KR100202111B1 true KR100202111B1 (ko) 1999-06-15

Family

ID=1944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8993A KR100202111B1 (ko) 1995-12-27 1995-12-27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1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050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221A (en) System to activate automobile hazard warning lights
JPH07132785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KR100202111B1 (ko) 운전자 졸음 감지장치
KR970041049A (ko) 자동차의 자동 조향 장치
KR100240681B1 (ko) 보행자 감지장치
KR100203488B1 (ko) 차량 자동 주행 시스템
KR20040082110A (ko)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및 점멸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0180385B1 (ko) 운전자의 졸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7043B1 (ko) 사각지역 내 차량검출/경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30023Y1 (ko) 자동차의 졸음운전 방지 장치
KR100337815B1 (ko) 차량의 승객안전 경고장치
KR0146579B1 (ko) 차속감응형 경고장치
KR890008966Y1 (ko) 차량의 차선근접 경보장치
KR970015325A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경고방법 그 장치
KR970039405A (ko)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19990021098A (ko) 자동차의 졸음 운전 경고장치
KR19990038295A (ko) 운전자 주의력 감지장치 및 방법
JPH09240311A (ja) 警報装置
KR920003942Y1 (ko) 자동차용 알콜감지 제어장치
KR20000015128U (ko) 졸음 운전 경보 장치
KR19990015797A (ko) 졸음 운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57891A (ko) 차량충돌 경고장치 및 방법
JPH11115540A (ja) 居眠り運転検知装置
KR20060096580A (ko) 차량용 비상등 자동제어장치
KR20040088261A (ko) 차량의 음주운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