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2047B1 -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047B1
KR100202047B1 KR1019910004994A KR910004994A KR100202047B1 KR 100202047 B1 KR100202047 B1 KR 100202047B1 KR 1019910004994 A KR1019910004994 A KR 1019910004994A KR 910004994 A KR910004994 A KR 910004994A KR 100202047 B1 KR100202047 B1 KR 10020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ack
motor
pinion
c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96A (ko
Inventor
고바히로끼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1001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0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턴테이블(50)상에 클램프된 디스크에 대해 픽업(90)을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플레이어는, 샤시(13)상에 로딩 모터(21)을 동력원으로 하는 원동 기어 기구(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90)에는 픽업 이송 방향으로 뻗어 있는 래크(98)을 부착하여 단일 모터로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피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고, 특히 픽업 이송 기구에 이르기까지의 기어의 백래쉬를 감소시켜서 정확한 픽업 이송 제어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 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일부 파단 사시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트레이 이젝트(tray eject) 상태에서 신호 재생 상태에 이르는 일련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모터 승강 기구, 디스크 클램프 기구 및 틸트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일련의 일부 파단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원동 기어 기구의 각 기어의 형상 및 맞물림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2도는 모터 승강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슬라이드 구동판의 측면도.
제14도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5도 내지 제18도는 구동 레버 및 측압 해제 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일련의 평면도.
제19도는 제3 기어의 이면도.
제20도는 캠 곡선을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픽업 장치의 사시도.
제22(a)도 및 제23(a)도는 각각 틸트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
제22(b)도 및 제23(b)도는 각각 제22(a)도 및 제23(a)도에 대응하는 측면도.
제24도는 샤시의 탄성지지 구조를 도시한 일부 파단 측면도.
제25도 내지 제27도는 각각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동 기어 기구 4 : 트레이 구동 기구
5 : 모터 승강 기구 7 : 디스크 클램프 기구
9 : 픽 업 장치 13 : 고정 샤시
21 : 로딩 모터 26 : 제1 피니언
39 : 제2 피니언 44 : 트레이
50 : 턴 테이블 51 : 스핀들 모터
70 : 클램퍼 91 : 슬라이드 베이스
98 : 래크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등의 원반 형태의 기록 매체에 대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스크 플레이어로서 트레이상의 디스크를 턴 테이블의 상방 위치까지 수평 방향으로 반송하고, 그 후 턴 테이블을 상승시켜서 디스크를 트레이에서 들어 올려 최종적으로 턴 테이블 상방 의치의 클램퍼에 디스크를 압착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소) 61-145758[G11B17/04]).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캐비닛 내에 고정된 메인 샤시상에, 서브샤시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 자재하게 지지되고, 상기 서브 샤시상에, 턴 테이블 장치, 픽업 장치등의 설치되어 있고, 메인 샤시상에 설치된 모터의 동력으로 서브 샤시가 상방으로 구동 되면, 이것에 수반하여 테이블이 상승하여 트레이상의 디스크가 턴 테이블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는, 턴 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외에 적어도 메인 샤시상에는 서브샤시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모터, 서브 샤시상에는 픽업을 이송하기 위한 모터, 트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 다수의 모터가 필요로 하여 디스크 플레이어의 대형
Figure kpo00033
중량화 뿐만 아니라, 각 모터의 구동회로가 필요하게 되고 전기 회로의 구성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턴 테이블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이외에는 단일 모터로 트레이의 왕복 구동, 턴 테이블의 승강 구동, 픽업의 왕복 구동을 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기어 기구에 복수의 출력부를 설치하고, 이들 출력부에 트레이 구동 기구, 픽업 이송 기구, 턴 테이블 승강 기구의 복수의 피구동부를 연계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 기구에는 복수의 피구동부로 동력을 절환 전달하기 위한 제네바(Geneva) 기구 등의 동력 전달 경로 절환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픽업 이송 기구는 픽업에 일체로 부착된 레크와 이 래크를 구동하는 피니언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중계용의 기어는 최대의 부하가 걸리는 피구동부를 구동시켜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큰 회전 토어크를 발휘하여야 하므로, 모터에서 중계용 기어에 이르는 동력 전달 경로에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감속 기굴르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 결과, 모터와 픽업 이송 기구의 래크사이에는 상기 중계용 기어를 포함한 다수의 기어가 개재되게 되어, 이들 기어간의 백 래쉬의 누적으로 픽업이송 방향의 전환시에 제어 불감대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모터로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한 복수의 피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고, 특히 픽업 이송 기구에 이르기 까지의 기어의 백래쉬를 감소시켜서 정확한 픽업 이송제어를 행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 기구에 있어서는, 샤시(13)상에 로딩 모터(21)을 동력원으로 하는 원동 기어 기구(2)를 설치함과 동시에, 픽업(90)에는 픽업 이송 방향을 신장되는 래크(98)을 일체로 부착하고 있다.
원동 기어 기구(2)는 상기 래크(98)을 포함하는 복수의 피구동부로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는 중계용의 기어(3), 로딩 모터(21)과 상기 기어(3) 사이에 삽입하고, 상기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피니언(26)과 상기 기어(3)에 의해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피니언(39) 및 상기 기어(3)과 제2 피니언(39) 사이에 삽입되고 래크(98)의 구동시에만 동력 전달 상태로 되는 간헐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피니언(26)은 턴 테이블(50)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의 래크(98)과는 맞물림이 해제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2 피니언(39)는 상기 패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픽업 이송 기구 이외의 피구동부로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는 로딩 모터(21)에 의해 중계용의 기어(3)이 구동되고, 이 과정에서 기어(3)과 제2 피니언(39) 사이의 간헐 회전 기구는 동력 전달 차단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피니언(39) 및 래크(98)은 정지되어 있다.
그후, 턴 테이블(50) 상에 디스크가 클램프 된 상태에서 로딩 모터(21)에 으해 중계용의 기어(3)이 다시 회전 구동되면 상기 간헐 회전 기구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어제2 피니언 (39)가 래크(98)을 구동하여 턴 테이블(50)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래크(98)은 제 피니언(26)과 맞물리게 되고 로딩 모터(21)의 동력은 중계용의 기어(3)을 우회하여 제1 피니언(26)에 의해 래크(98)로 전달되고, 이 맞물림 상태에서 픽업(90)의 이송 제어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픽업 구동 기구에 있어서는 단일의 로딩 모터(21)에 의해 픽업 이송 기구를 포함한 복수의 피구동부를 구동할 수 있다.
또 픽업 이송시에는 중계용의 기어(3)을 개재하지 않는 동력 전달 경로가 형성되고, 이 동력 전달 경로는 로딩 모터(2!)에서 제1 피니언(26), 기어(3), 제2 피니언(39) 등을거쳐서 래크(98)에 이르는 경로에 비해 기어 수가 적어서 상기 동력 전달 경로에서 발생되는 백래쉬는 매우 근소하여 신호 재생시의 픽업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콤팩트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등, 직경 및 두께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디스크의 신호 재생이 가능한 호환성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로 실시한 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청구의 범위로 기재의 발명을 한정하거나 범위를 축소하도록 해서는 안된다.
[전체 구성]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전면 패널 개구(11)에 트레이(44)가 출몰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트레이(44)는 캐비닛(1) 내에 고정된 샤시(13) 상의 복수의 트레이지지 부재(16)에 의해 왕복 운동이 안내 된다.
캐비닛(1) 내에는 샤시(13)상에 트레이(44)를 왕복 구동 시키기 위한 트레이 구동 기구(4), 턴 테이블(50)과 함께 스핀들 모터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모터 승강 기구(5), 광학식 픽업(90) 및 틸트 기구(100)을 갖춘 픽업 장치(9), 이들의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원동 기어 기구(2), 및 클램퍼(70)을 구비한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등이 설치된다. 턴 테이블(50)은 후술한 바와 같이 샤시(13)에 대해 승각 가능 하게 부착되어 있고, 샤시(13)에 설치된 중앙 구멍(17)에서 상방으로 향하고 있다.
원동 기어 기구(2)는 로딩 모터(21)을 동력원으로 하여 벨트 전달 기구(22), 제1 기어(23), 제2 기어(24), 중계용의 제3 기어(3), 제4 기어(27), 제5 기어(41)의 경로로 트레이 구동 기구(4)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제3 기어(3)에 맞물리는 제6 기어(37)과 제2 기어(24) 에 의해 픽업 장치(9)에 대한 출력부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3 기어(3)에 의해 턴 테이블(50)을 승강 구동하기 위한 출력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44)에는 여러 종류의 디스크의 장착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장착부의 중앙에는 턴 테이블(50)이 들어갈 개구(46)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기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원동 기어 기구(2)]
제10(a)도 및 제10(b)도에는 원동 기어 기구(2)를 구성하는 로딩 모터(21), 벨트 전달 기구(22) 및 제1내지 제5 기어(23, 24, 3, 27, 41)을 트레이 구동 기구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따라 일렬로 나열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제11(a)도 및 제11(b)도는 로딩 모터(21), 벨트 전달 기구(22), 제2 기어(24), 제3 기어(3) 및 제6 기어(37)을 픽업 장치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따라 일렬로 나열하여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각각의 기어는 각각 높이 방향으로 구성이 상이한 구성의 다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2 기어(24)는 제1 기어(23)과 항상 맞물리는 대직경 기어부(25), 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부(26), 및 소직경 기어부(20)을 갖추고 있다. 제3 기어(3) 에는 상기 제2 기어(24)의 소직경 기어부(20)과 맞물리는 주 기어부(31)이 전체 주변부에 형성 됨과 동시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톱니면을 갖는 부 기어부(32)를 갖추고 있다. 이 주 기어부(31)의 상단부에는 대략 원주의 반에 걸쳐 기어 절개부(31a)가 설치된다. 제4 기어(27)은 상기 제3 기어(3)의 부 기어부(32)와 맞물릴 수 있는 소직경 기어부(28), 및 대직경 기어부(29)르 갖추고 있다. 제5 기어(41)은 상기 제4 기어(27)의 대직경 기어부(29)와 항상 맞물리는 기어부(42), 및 트레이 구동 기구를 구성하는 래크(45)와 항상 맞물리는 피니언부(43)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6 기어(37)은 상기 제3 기어(3)의 주 기어부(31)과 항상 맞물리는 기어부(38), 및 상기 래크(98)과 항상 맞물리는 피니언부(39)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제3 기어(3)에는 주 기어부(31) 및 기어부(32)의 상부에,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제1 및 제2 볼록면(34, 35), 제4 기어(27)에는 소직경 기어부(28)과 대직경 기어부(29)사이에 원통면의 볼록면(27a), 제6 기어(37)에는 피니언부(39)의 상부에 원통면의 오목면(37a)가 각각 형성 되어 있다. 제3 기어의 오목면(34, 35)는 각각 제4 기어(27)의 오목면(27a), 제6 기어(37a)와 결합할 수 있다.
[트레이 구동 기구(4)]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의 이면에는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신장하는 래크(45)가 설치 되어 있고, 이 래크(45)와 상기 제5 기어(41)의 피니언부(43)이 맞물려 있다.
따라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 모터(21)에 의해 제 기어(2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 기어(24)를 통해 제3 기어(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 기어(3)의 부 기어부(32)가 제4 기어(27)의 소직경 기어부(28)에 맞물린다. 이들에 의해서 로딩 모터(21)의 회전은 다시 제4 기어(27)을 통해 제5 기어(41)로 전달되고, 이 제5 기어(41)의 피니언부(43)이 트레이 수납 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 이 결과, 트레이(4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배출 위치에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 내부를 향해서 반입되고 최종적으로 제4도에 도시된 로딩 완료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트레이(44)의 전단부에 의해 캐비닛(1)의 프론트 패널 개구(11)이 막힌다.
상기 트레이 로딩 과정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이 턴 테이블(50)이 하강단부에 보유됨과 동시에 픽업(90)은 틸트 기구(100)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44)와는 간섭하지 않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7도, 제8도 참조)
또한, 이 과정에서, 제2 기어(24)의 피니언부(26)과 픽업 장치(9)의 래크(98)과는 맞물림이 해제되고(제2도 내지 제4도 참조), 피니언부(26)은 공 회전한다.
또한, 제11도에 도시된 제6 기어(37)의 기어부(38)과 제3 기어(3) 의 주기어부(31)의 기어 절개부(31a)가 대향함과 동시에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기어(37)에 형성된 오목면(37a)가 제3 기어(3)에 형성된 제2 볼록면(35)와 맞물려 제6 기어(37)은 정지 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픽업 장치(9)의 래크(98) 이 구동되는 일은 없다.
제4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 완료 상태에서는 제3 기어(3)의 부 기어부(32)와 제4 기어(27)의 소직경 기어부(28)의 맞물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3 기어(3)의 제1 볼록면(34)와 제4 기어(27)의 오목면(27a)가 맞물려 제4 기어(27)은 정지 상태로 로크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트레이(44)도 로딩 완료 위치에서 로크되게 된다.
또한, 트레이(44)의 언 로딩은 로딩 모터(21)이 역회전하여 제5 기어(4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행해진다.
[모터 승강 기구(5)]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의 이면에 2개의 가이드 샤프트(18, 18)이 하향 돌출 설치되고, 이들의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모터 베이스(52)의 승강이 안내된다. 이 모터 베이스(52)에는 스핀들 모터(51)이 부착되고, 이 모터의 출력축에는 턴 테이블(50)이 고정되어 있다. 모터 베이스(52)의 상부면에는 샤시(13)의 이면에 당접하여 모터 베이스(52)의 상승단을 규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결정 부재(53)이 설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양쪽 측면에는 각각 3개의 핀(54)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모터 베이스(52)가 삽입된 양측에는 1쌍의 슬라이드 구동판(55, 55)가 배치되고, 각 슬라이드 구동판(55)는 샤기(13)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 부재(19)에 의해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7도 내지 제9도 참조).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내면에는 각각 경사 방향으로 신장하는 제1 내지 제3의 캠구(56, 57, 5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캠 구(56) 및 제3 캠구(58)은 동일 형상으로 경사 캠부(56a, 58a)와 수평 캠부(56b, 58b)를 갖추고 있다. 한편, 제2 갬구(57)은 제1 경사 캠부(57a)와 이 캠부 보다도 경사 각도가 완만한 제2 경사 캠부(57b)를 갖추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구동판(55)의 후방 단부에는 긴 구명(55a) 및 정지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52)의 양측에 돌출 설치한 핀(54)가 각각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각 캠구(56, 57, 58)에 맞물리고,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왕복 운동에 의해 모터 베이스(52)를 승강시키는 좌우 한쌍의 캠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 와 55)사이에는 중계 구동판(64) 및 스프링(59)가 개재되어 있다. 중계 구동판(64)는 양측에 형성된 돌출 편(67, 67)를 각각 슬라이드 구동판(55)의 긴 구멍(55a)에 여유 있게 끼워져 있다. 또한, 스프링(59)는 중계 구동판(64)의 전방 연부에 하향 돌출 설치한지지 부재(66)에서 정지하고, 스프링의 양쪽 단부를 슬라이드 구동판(55, 55)의 정지부(55b)에 결합되어 있다.
중계 구동판(64)의 상부면에는 후술한 구동 레버(6)의 핀(62)가 결합된 긴 구멍(6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레버(6)에 의해 중계 구동판(6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59)을 통해 양족 슬라이드 구동판(55, 55)가 후방으로 견인되고, 상기 캠 기구의 동작에 의해 모터 베이스(52)가 상부측으로 구동되게 된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스핀들 모터(51)이 상승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가 로딩 중인 상태에서는 양쪽 슬라이드 구동판(55)는 최대로 전진한 위치에 있고, 스핀들 모터(51) 및 턴 테이블(50)은 트레이(44)와는 간섭하지 않는 위치인 대기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44)가 로딩 완료 위치에 도달한 후 스프링(59)의 견인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판(55)가 후방(제8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모터 베이스(52)의 핀(54)가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1, 제2 및 제3 캠구(56, 57, 58)의 경사 캠부(56a, 57a, 58a)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 베이스(52)와 함께 스핀들 모터(51) 및 턴 테이블(50)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턴 테이블(50)은 트레이(44)상의 디스크(120)을 트레이 탑재면에서 들어 올려, 이 디스크를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의 클램퍼(70)에 접촉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구동판(55)가 좌측으로 견인되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52)의 전
Figure kpo00034
후의 2개의 핀(54, 54)는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1 및 제3 캠구(56, 58)의 수평 캠부(56b, 58b)로 올라감과 동시에 모터 베이스(52)의 중앙의 핀(54)는 슬라이드 구동판(55)의 제2 캠구(57)의 제2 경사 캠부(57b)로 이행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드 구동판(55)가 약간 견인됨으로써 상기 제2 캠부(57b)의 구동으로 인해 모터 베이스(52)상의 위치 설정부(53)이 샤시(13)의 이면에 압접되고, 턴 테이블(50)은 상승단에 정확히 위치 결정되어 보유되게 된다. 이때, 턴 테이블(50)상의 디스크(120)은 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의해 확실하게 클램프된다.
또한, 제9도의 상태에서는 제12도에 도시된 스프링(59)가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중계 구동판(64)의 돌출 편(67, 67)이 슬라이드 구동판(55)의 긴 구멍(55a, 55a)의 나머지 범위내에서 후방으로 변이한다. 따라서 스프링(59)의 반발력에 의해 슬라이드 구동판(55) 의 위치 설정부(53)이 샤시(13)에 압접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구동레버(6)을 회동시키기 위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상에는 L자 모양의 구동 레버(6)이 지축(60)에 회동 자재하게 부착되고, 이 레버의 일단에 설치된 캠 팔로워(follower)(61)을, 제3 기어(3)의 이면에 형성된 소용돌이 형태의 캠구(33)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의 다른 단부에 설치된 핀(60)를 중계 구동판(64)의 긴 구멍(65)에 결합시키고 있다.
제3 기어(3)의 캠구(33)은 제19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이 일정한 제1 캠부(33a), 점차적으로 반경이 작아지는 제2 및 제3의 캠부(33b, 33c), 캠구 외주벽의 반경이 증대하여 구의 폭이 도면에서 W에서 X로 확대되는 제4 캠부(33b), 및 반경이 일정한 제5 캠부(35e)로 구성된다. 제1 캠부(33b)는 트레이 구동중에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과 결합하고, 제2 및 제3 캠부(33b, 33c)는 모터 승강 기구(5)의 구동을 위해 킴 팔로워(61)과 결합하며, 제5 캠부(35e)는 픽업 이송중에 캠 팔로워(61)과 결합하는 것이다.
제2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에서는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이 제3 기어(3)의 제1 캠부(33a)에 결합되어 있고, 제3 기어 (3)이 회전하여도 구동 레버(6)은 회저하지 않으며, 시계 방향의 회전단부에서 정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2장의 슬라이드 구동판(55)는 전방(도면에서 좌측)의 이동단에 설치되고, 턴 테이블(50)은 하강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 후, 제3 기어(3)이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레버(6)의 캠 팔로워(61)은 제3 기어(3)의 캠구(33)의 제2 캠부(33b)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 레버(6)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서 슬라이드 구동판(55)는 후방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2 캠부(33b)의 동작 범위에서 턴 테이블(50)은 제7도의 위치에서 제8도의 위치까지 상승한다.
또한, 제3 기어(3)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구동 되어, 캠구(33)의 제3 캠부(33c)가 동작함으로써 중계 구동판(64)는 제5도의 후방 이동단에 도달함과 동시에 턴 테이블(50)은 제8도의 위치에서 제9도의 위치까지 상승하여 디스크 클램프가 행해진다.
디스크 클램프 기구(7)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은 클램프 힘을 자력에 의해 얻는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3)상에 고정된 금속제의지지 부재(71)에 부착되어 있고, 이지지 부재(71)이 평판 형태로 요크를 구성한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클램프 기구(7)은 원반 형태의 클램퍼(70), 링 형태의 영구 자석(74) 및 자석(74)를 지지하는 홀더(75)로 구성되고,지지 부재(71)을 삽입하고 상부측에는 홀어(75)에 고정된 자석(74), 하부측에는 클램퍼(70)을 배치하여 자석(74)를 보유한 홀더(75)와 클램버(70)을 일체화한 것이다.지지 부재(71)에는 클램퍼(70)의 축부(70a)가 여유있에 관통하는 중앙 구멍(72)가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 부재(71)의 상부면에는 자석(74)의 수용 정지부(73)이 여러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 테이블(5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자석(74)와지지 부재(71)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자석(74)는지지 부재(71)상의 수용 정지부(73)에 밀착하여 클램퍼(70)은지지 부재(71)에서 최대한 거리를 두고 하강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 후, 제8도에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로딩 환료후 턴 테이블(5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클램퍼(70)은 턴 테이블(50)상의 디스크(120)에 의해 밀어 올려지게 되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 테이블(50)이 상승단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자속(74)가지지 부재(71)상의 수용 정지부(73)에서 부상하여 자석(74)와 지지 부재(71)사이에 일정한 자기 갭(G)가 형성된다.
이 결과, 자석(74)와 지지 부재(71)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클램퍼(70)이 턴 테이블(50)을 향해 하부쪽으로 눌려지고, 디스크(120) 이 턴 테이블(50)과 클램퍼(70)사이에 삽입되어 디스크 클램프가 완료한다.
상기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따르면, 클램프해야할 디스크의 두께 차이에 따라 상기 자기 갭(G)가 다소 다르다고 해도 자석(74)의 크기는 자유롭게 설계 할 수 있어서 디스크의 종류에 관계없이 충분한 클램프 힘이 얻어진다.
또한, 신호 재생후의 클램프 해제 동작, 즉 턴 테이블(50)의 하강 동작은 제3 기어(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 됨으로써 행해진다.
픽업 장치(9)
제1도에 도시한 바와 샤시(13)상에는 테이블(50)의 측부에 트레이 출몰 방향으로 신장되는 가이드 샤프트(92)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90) 등이 설치된 슬라이드 베이스(91)은 원동 기어 기구(2)측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샤프느(92)에 섭동가능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반대측의 단부가 샤기(13)상에 섭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에 의해서 픽업(90)은 턴 테이블(500의 반경선을 따라 정확하게 왕복 이동 된다.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91)에는 이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되는 래크(98)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래크(98)에 상기 제2 기어 (24)의 피니언부(26) 및 제6 기어(37)의 피니언부(39)가 맞물려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왕복 구동이 행해진다.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91)상에는 픽업(90)이 직접 고정된 회동 베이스(93)이 설치되고, 이 회동 베이스(93)의 양측에서 외부르 향해 돌출 설치된 한쌍의 추축(樞軸)(95, 95)를 슬라이드 베이스(91)상에 축지(軸支)하여 회동 베이스(93)은 상
Figure kpo00035
하 방향의 일정 가도 범위내에서 회동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동 베이스(93)은 슬라이드 베이스(9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96)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어 있다.
픽업 장치(9)에는 신호 재생시에 픽업(90)의 광축(光軸)의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틸트 기구(100)이 설치된다. 이 틸트 기구(100)은 제8도에 도시된 트레이 로딩시에 트레이(44)와 픽업(9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픽업(90)을 회동 베이스(93)과 함께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픽업 대피 기구를 겸하고 있다.
틸트 기구(100)은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93)의 단부에 후방측으로 돌출 설치된 핀994), 이 핀(94)가 미끄러지면서 접하는 나선 형태의 캠면(104)를 갖춘 캠 부재(103), 이 캠 부재(103)을 회전 구동시키는 기어 기구(102) 및 기어 기구(102)의 동력원인 모터(101)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모터(101)의 구동에 의해 캠 부재(103)을 정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핀(94)가 캠면(104)에 따라서 섭동하여 히전 베이스(93)이 상
Figure kpo00036
하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캠면(104)는 제22(a)도, 제22(b)도 및 제23(a)도,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 경사의 제1 경사면(104a)상을 섭동하는 과정에서 제22(a)도 및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단에 있는 회동 베이스(93)을 급속도로 상승시켜, 그 후의 제2 경사면(104b)의 동작을 거쳐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93)을 수평 자세가 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후술한 신호 기록 재생시에는 제23(a)도 제23(b)도의 수평 상태를 중심으로 하여 제2 경사면(104b)의 동작에 의해 본래의 틸트 조절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샤시(13)상에는 제22(a)도 및 제2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90)이 하강단에 설치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1 포토 센서(106), 제23(a)도 및 제2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93)이 수평 자세로 설치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제2 포토센서(107)이 부착됨과 동시에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이면에는 상기 포토 센서(106, 107)에서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105)가 설치되어 있다.
제22(b)도에서 제23(b)도 까지의 회동 베이스(93)의 회동 각도는 약 8도로 본래의 틸트 조절 동작시의 경사 각도의 변동은
Figure kpo00037
2.5도 이다.
상기 틸트 기구(100)의 동작에 의해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같이 트레이 로딩 중에는 픽업(90)은 하강단에 설치되고,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같이 로딩 완료 후, 픽업(90)은 턴 테이블(50) 상의 디스크(120)과소정의 간격을 갖고 ㄴㅍ은 위치까지 상승 한다.
따라서 상술한바와 같이 턴 테이블(50)및 스핀들 모터(51) 만을 승강시키고, 픽업 장치(9)는 샤시(13)상에 설치된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도 신호 재생시의 디스크(120)과 픽업(90)과의 간격, 즉 픽업(90)의 광학계의 초점 거리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크 언로딩시에는, 다시 픽업(90)이 하강하여 픽업(90)과 트레이(44)와의 간섭이 회피된다.
[픽업 이송 기구]
다음에, 제1도에 도시된 래크(98)을 구동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1)상의 픽업(90)을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 이송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완료 상태에서 제3 기어(3)이 다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제17도에 되한 바와 ㄱㅌ이 제3기어(3
이들에 의해서,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기어(3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제6 기어(37)의 피니언부(39)가 슬라이드 베이스(91)에 고정딘 래크(98)을 좌측으로 구동시키기 시작한다. 이 결과 제18도 및 제11(a)도, 제1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크(98)은 상기 제6 기어(37)과 맞물림과 동시에 제2 기어(24)의 피니언부(26)과도 맞물리게 되어 로딩 모터(21)의 동력은 제2 기어(24)를 거쳐 래크(98)에 이르는 제1 경로와, 제2 기어(24), 3 기어(3) 및 제6 기어(37)을 거쳐 래크(98)에 이르는 제2의 경로의 2가지 동력 전달 경로를 슬라이드 베이스(91)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제1 동력 전달 경로는 로딩 모터(21)과 래크(98)사이에 제1 기어(23) 및 제2 기어(24)의 2개의 기어를 개재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상기 제2동력 전달 경로에 비해 기어간에서 발생되는 백래쉬가 작아지므로, 신호 재생시에 있어서 픽업(90)의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측압 해제 기구]
또한, 픽업 장치(9)에는 픽업 이송시에 제3 기어(3)의 캐구(33)과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과의 압접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측압 해제기구가 설치된다.
이하 측압 해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완료 상태에서는, 구동 레버(6)은 상기 스프링(59)의 반발력을 받아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은 제3 기어(3)의 캠 홈(33)의 외주벽에 압접되어 있어서, 이 상태에서 제3 기어(3)을 구동하여 픽업 이송을 행하려면, 상기 캠 팔로워(61)과 캠구(33)의 벽면과의 마찰력이 부하로서 가해지고, 특히 이 부하가 장치 조립 상태에 따라 분산되면, 픽업 이송 제어를 정확히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구동 레버(6)에는 조편(爪片)(6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샤시(13)상에 는 상기 조편(63)과 결합가능한 후크부(81)을 갖는L자형태의 측압 해제 레버(8)이 설치된다. 측압 해제레버(8)은 상기 후크부(81)과는 반대측에 돌울편(83)을 갖추고 있고, 샤시(13)상의 지축(82)에 의해 회전 자재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샤시(13)과의 사이에 뻗어 설치된 스프링(8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한편, 픽업 장치(9)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이면에는 상기 측압 해제 레버(8)의 돌출편(83)과 접촉 가능한 요부(99)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레버(6)이 시계 반대 방햐의 회동 단부에 있고, 또한 슬라이드 베이스(91)이 좌
Figure kpo00038
우의 이동 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베이스(91)의 요부(99)가 측압 해제 레버(8)의 돌축편(83)을 눌러 측압 해제 레버(8)은 스프링(84)에 반발하여 시계 반대 방향의 회동 단부에 보유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으 후크부(81)는 이탈한다.
그후,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기어(3)이 약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 기어(37)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베이스(91)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요부(99)의 이동에 따라 측압 해제 레버(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레버의 후크부(81)아* 구동 레버(6)의 조편(63)을 향해 이동한다. 또한, 구동 레버(6)이 캠 팔로워(61)은 제19도에 도시된 캠 홈(33)의 제3 캠부(33c)에서 제4 캠부(33d)와의 결합 상태로 이행한다. 제4 캠부(33d)는 구폭이 W에서 X로 외주 방향으로 넓어져서, 상기 캠부의 외주벽에 따라 캠 팔로워(61)이 이동하게 되고, 구동 레버(6)은 제16도의 위치에서 제17도의 위치까지 약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의 후크부(81)이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직전의 상태에 이른다.
그 후, 제3 기어(3)이 다시 시계 반대 방향을로 회전하고 슬라이드 베이스(91)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측압 해제 레버(8)이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의 후크부(81)이 구동 레버(6)의 조편(63)의 조편(63)에 대해서 완전히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해 구동 레버(6)에 작용하는 상기 스프링(59)에 의한 시계 방향의 회전 부세력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구동 레버(6)은 이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이와 동시에,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원(61)은 제19도에 도시된 캠구(33)의 제4캠부(33)에서 구 폭이 큰 제5캠부(33)으로 이행하고, 이 이행에 따라서 캠 팔로워(61)은 캠구(33)의 외주벽에서 이탈하여 캠 팔로워(61)이 캠구(33) 벽면에 미치는 측압이 해제 된다. 이 결과, 제3 기어(3)은 구동 레버(6)의 캠 팔로워(61)에서의 저항력을 받지 않고, 제2 기어(24) 및 제6 기어(37)을 구동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90)을 디스크의 외주부에서 내주부의 사이로 왕복 이송하는 과정, 즉 신호 재생에 있어서는 구동 레버(6)은 상기 측압 해제 상태에서 로크된 채로 회동하는 일이 없이 이 레버(6)의 캠 팔로워(61)은 제19도에 도시된 캠구(33)의 제5 캠부(33e) 내를 내주벽 및 외주벽과 접촉하지 않고 상대 이동한다.
또한, 신호 재생후의 구동 레버(6)의 조편(63)과 측압 해제 레버(8)의 후크부(81)과의 결합 해제 동작은 제3 기어(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슬라이드 베이스(91)을 디스크 외주측의 이동단을 향해 이동시키고, 이 슬라이드 베이스(91)의 볼록부(99)에서 측압 해제 레버(8)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3 기어(3)의 캠구(33)의 제4캠부(33d)의 구동에 의해 구동 레버(6)을 약간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제17도 참조)
상기 측압 해제 기구를 설치 함으로써, 픽업 이송시의 부하를 일정값으로 유지하여 안정한 이송 제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샤시(13)의 지지 구조]
샤시(13)은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저부의 베이스(12)상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14)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지주(14)의 머리부와 샤시(13)사이에는 고무등의 탄성 자재로 이루어진 완충 부재(15)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기구의 동작 등에 수반하뎌 베이스(12)에 진동력이 작동하여도 이 진동력은 상기 완충 부재(15)에 의해 흡수되어, 픽업 신호(90)에 의한 신호 재생에 지장을 초래할 만한 진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진동 억제 구조는 원동 기어 기구(2), 트레이 구동 기구(4), 디스크 클램프 기구(7), 픽업 장치(9) 등의 기구를 모두 고정 샤시(13)상에 설치함으로써 실현된 것이다.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51)의 출력축에 턴 테이블(50)을 취부한 모터 일체형 턴 테이블 장치를 구성하고 있지만, 베이스(52)에는 턴 테이블(50)만을 배치하고, 디스크 회전 구동용의 스핀들 모터는 제14도에 도시된 디스크 클램프 기구(7)에 짜 넣을수도 있다.
제25도 내지 제27도는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5도의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110)에 있어서는 클램퍼(70)의 머리부에 백 요크(122)를 삽입하여 자석(111)을 취부하고, 상기 자석(11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코일(112)를 배치하며, 이 코일(112)는 샤시상에 고정된 비자성 부재(11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백 요크(112), 자석(111) 및 코일(112)와 함께 모터를 구성하는 로터리 요크(116)은 클램퍼(7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비 자성 부재(115)에 고정된 탄성 부재(114)와 클램퍼(70) 머리부와의 사이에는 트러스트 베어링(113)이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터 테이블(50)의 상승에 따라서, 이 턴 테이블(50)상의 디스크(120)이 탄성 부재(114)에 저항하여 클램퍼(70)을 올리면, 탄성 부재(114)의 반발력에 의해 클램프 힘이 발생하여, 이 상태에서 코일(112)로 통전되면, 로터리 요크(116)이 클램퍼(70)과 함께 회전 구동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클램퍼(70)의 높이 위치가 달라도 자석(111)과 로터리 요크(116)의 간격은 불변이므로, 모터 회전 토오크는 일정값으로 유지된다.
제26도에 되시된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에 있어서는, 비자성 부재(115)상에 스테이터 요크(117)을 고정하고, 스테이터 요크(117)상에 코일(112)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코일(11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클램퍼(70)에 백 요크(112)를 삽입하여 지지한 자석(111)을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모터를 구성하는 자석(111)과 스테이터 요크(117)사이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클램프 힘이 얻어진다.
제27도에 도시된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에 있어서는, 클램퍼(70)에 복수의 계합편(118)을 돌출 설치하고, 이 결합편(118)에 대해 축부(121)을 상하 작동 가능, 또는 상대 회전 불가능으로 결합하고 이 축부(121)의 상단부에 백 요크(122)를 삽입하여 자석(111)을 부착하고 있다. 또한, 클램퍼(70)과 축부(121)과 는 탄성 부재(119)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디스크의 두께의 차에 의해 클램퍼(70)의 높이 위치가 달라져도, 그 위치 변동은 탄성 부재(119)에 의해 흡수되어, 자석(111)과 코일(112)사이의 갭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 결과, 디스크 클램프 힘 및 모터 회전 토오크는 소정값으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 일체형 클램프 장치(110)을 설치함으로써 샤시(13)에 대한 승강부는 턴 네이블(50)만으로 이루어져 승강부의 경량화
Figure kpo00039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것으로 한정 하거나 범위를 감축하도록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이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

  1. 턴 테이블(50)상에 클램프된 디스크에 대해 픽업(90)을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샤시(13)상에 로딩 모터(21)을 동력원으로 하는 원동 기어 기구(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픽업(90)에는 픽럽 이송 방향으로 뻗어있는 래크(98)을 일체로 부착하고, 원동 기어 기구(2)가 상기 래크(98)을 포함한 복수의 피구동부로 로딩 모터(21)의 동력을 전달하는 중계용의 기어(3); 로딩 모터(21)과 상기 기어(3)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제1 피니언(26); 상기 기어(3)에 의해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제2 의 피니언(39); 및 상기 기어(3)과 제2 피니언(39)과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 래크(98)의 구동시에만 동력 전달 상태로 되는 간헐 회전 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피니언(26)은 턴 테이블(50)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의 래크(98)과는 맞물림을 해제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피니언(39)는 상기 래크(98)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피니언(39)에 의해 래크(98)이 턴 테이블(50) 측으로 구동됨으로써 제1 피니언(26)과 래크(98)이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신호 기록 또는 재생시의 픽업(90)의 이송이 행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픽업 구동 기구.
KR1019910004994A 1990-03-30 1991-03-29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202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87144A JPH03286478A (ja) 1990-03-30 1990-03-30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駆動機構
JP2-87144 199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96A KR910017396A (ko) 1991-11-05
KR100202047B1 true KR100202047B1 (ko) 1999-06-15

Family

ID=1390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2047B1 (ko) 1990-03-30 1991-03-29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86478A (ko)
KR (1) KR1002020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017B2 (ja) * 1988-03-08 1997-01-16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86478A (ja) 1991-12-17
KR910017396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219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US5119357A (en) Disc player
US5204850A (en) Loading apparatus for a disc-shaped recording medium
US6680896B2 (en) Medium attaching device and disk drive apparatus
KR100202047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구동기구
JPH1139764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
JPH0724490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69303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630848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263206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ピックアップ装置
US6226249B1 (en) Pickup unit having a first chassis and a second chassis supported by a rotary shaft
JP291979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2523644B2 (ja) ディスク装置
JP362035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50855Y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650856Y2 (ja) トレー駆動装置
JP2627140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1124150A (ja) オー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JPH0729283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750055A (ja) ディスク装着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2003123375A (ja) ディスク回転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01124145A (ja) 情報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H04137254A (ja)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H01124144A (ja) 情報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2005310281A (ja) 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3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31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