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1471B1 -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471B1
KR100201471B1 KR1019960070489A KR19960070489A KR100201471B1 KR 100201471 B1 KR100201471 B1 KR 100201471B1 KR 1019960070489 A KR1019960070489 A KR 1019960070489A KR 19960070489 A KR19960070489 A KR 19960070489A KR 100201471 B1 KR100201471 B1 KR 10020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knuckle
trailing link
hing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580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7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4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부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횡강성을 높일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한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너클(3)에 힌지결합되는 트레일링 링크(7)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링크(7)는 그 타단부가 볼결합부에 의해 너클과 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트레일링 링크의 일단부를 스핀들에 일체화 상태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한 현가장치는 승용차의 경우 독립현가식이 적용되고, 비교적 중량이 큰 대형차의 경우 차축현가식이 적용되는데, 상기 독립현가식은 위시본형, 맥퍼슨형, 트레일링 링크형 등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독립현가식은 자동차의 중심을 낮춤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타이어의 접지성이 향상되고, 코일 스프링 하부의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승차감이 향상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독립현가식은 조인트 부분이 많아 휠 얼라인먼트가 변화되기 쉽고, 차축현가식에 비해 롤링이 심하게 되는 약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는 서브프레임의 양측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에 휠을 회전가능케 결합시킨 너클에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래터럴링크와 스테빌라이저가 힌지 또는 볼 조인트로 연결되고, 상기 너클에 일단이 결합된 한쌍의 트레일링링크 타단이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너클에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연장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자동차의 주행중 허브, 즉 너클이 상하운동하게 되면 이를 지지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가 승강운동함과 아울러 래터럴링크가 서브프레임측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승강운동하게 되고, 상기 래터럴링크가 승강운동하게 되면 이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스테빌라이저와 트레일링링크가 연동하면서 주행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링 링크는 너클과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폭이 상대적으로 작게되고, 트레일링 링크의 측부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횡강성이 낮을 뿐 아니라,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폭의 증대에 따라 측부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횡강성을 높일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한 볼결합구조로 너클과 그 타단이 결합된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독립현가식의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발명에 의한 트레일링링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너클 7 : 트레일링링크
12 : 나사단 14 : 부싱
16 : 외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는 일단이 메인 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너클에 힌지결합되는 트레일링 링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링크는 그 타단부가 볼결합부에 의해 너클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볼결합부는 트레일링링크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단과, 상기 나사단이 관통된 후 너트와 체결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이 압입되며, 너클에 구면접촉되는 외피가 구비된 완충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서브프레임(1)과, 상기 서브프레임(1)의 양측에 일측이 힌지로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이 휠(2)을 회전가능케 결합시킨 너클(3)에 힌지결합된 다수개의 래터럴 링크(4)와, 상기 래터럴 링크(4)에 연동작동되도록 힌지 또는 볼 조인트로 연결된 스테빌라이저(5)와, 상기 너클(3)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도시생략)의 하측에 결합된 한쌍의 트레일링링크(7)와, 상기 너클(3)에 세워설치된 스트러트 어셈블리(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중 허브, 즉 너클(3)이 상하운동하게 되면 이를 지지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8)가 승강운동함과 아울러 래터럴링크(4)가 서브프레임(1)측의 힌지를 중심으로 승강운동하게 되고, 상기 래터럴링크(4)가 승강운동하게 되면 이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스테빌라이저(5)와 트레일링링크(7)가 연동하면서 주행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링크(7)의 타단은 볼결합부에 의해 너클(3)과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볼결합부는 트레일링링크(7)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단(12)이 관통되는 부싱(14)이 구비되고, 이 부싱(14)이 압입되며, 너클(3)에 구면접촉 상태하에서 압입되는 외피(16)가 구비된 완충부재(30)로 이루어져 있다.(도2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는 볼결합부로부터의 유동폭 증대에 따라 측부로부터 움직일 수 있는 횡강성을 높일 뿐 아니라,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일단이 메인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너클(3)에 힌지결합되는 트레일링 링크(7)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링크(7)는 그 타단부가 볼결합부에 의해 너클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볼결합부는 트레일링링크(7)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단(12)과, 상기 나사단(12)이 관통된 후 너트와 체결되는 부싱(14)과, 상기 부싱(14)이 압입되며, 너클(3)에 구면접촉되는 외피(16)가 구비된 완충부재(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1019960070489A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10020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489A KR100201471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489A KR100201471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80A KR19980051580A (ko) 1998-09-15
KR100201471B1 true KR100201471B1 (ko) 1999-06-15

Family

ID=1949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489A KR100201471B1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4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580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7986A (en) Vehicle body assembly used in common for two-wheel-and four-wheel-steering vehicles
US7784807B2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GB2300162A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6997468B2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US20040262876A1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201471B1 (ko) 자동차용 독립현가식 현가장치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200147905Y1 (ko) 이탈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캠버 심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0915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90028172U (ko) 자동차의 리어 세미 트레일링 아암의 부시
KR100831495B1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져바의 구조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100199741B1 (ko) 위시본식 전방서스펜션
KR100211575B1 (ko)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00398211B1 (ko) 자동차용 반독립 후륜 현가장치
KR200153166Y1 (ko) 후륜 현가장치용 마운팅부쉬의 구조
KR100192404B1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KR96000590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9980046660U (ko) 스태빌라이저의 피봇 링크 결합 구조
KR19980038190U (ko) 2중링크식 리어서스펜션
JPH04237611A (ja) 操舵駆動輪用サスペンションの組立て方法
KR19980029888U (ko) 판 스프링에 의한 자동차 어퍼 암 축핀의 핀 볼트 고정구조
KR19990019135U (ko) 현가아암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