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1056B1 -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 Google Patents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056B1
KR100201056B1 KR1019960703148A KR19967003148A KR100201056B1 KR 100201056 B1 KR100201056 B1 KR 100201056B1 KR 1019960703148 A KR1019960703148 A KR 1019960703148A KR 19967003148 A KR19967003148 A KR 19967003148A KR 100201056 B1 KR100201056 B1 KR 10020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battery
binder
polymer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오 시미즈
요시히데 히가시하타
다카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노리유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05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로 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껍질부로 하는 평균입경 0.05~1㎛의 심-껍질 복합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분산체, 그렇지 않으면 분말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합미립자의 심부와 껍질부의 중량비가 98:2~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참고예 1에서 얻어진 결착제 분말의 구조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제2도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전극내의 섬유의 형상을 1만배의 배율로 본 주사형 전자현미경사진이다.
제3도는 실시예 3~4 및 비교예 3에서 얻어진 양극을 사용한 충방전 특성평가용 간이전지의 개략도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래에,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퍼스널컴퓨터, 휴대전화 등 소형으로 휴대에 적합한 전기·전자기기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이에 동반하여
소형으로 고성능인 전지가 요구되고, 종래의 납전지나 니켈/카드뮴 전지 이외에, 니켈 수소계나 리튬계 등의 여러가지 새로운 전지가 상품화되어 있다. 전지의 제조에서는, 각종의 전극재료, 예를 들면 이산화망간(MnO2), 수산화니켈[Ni(OH)2], 수소흡장합금, 코발트산리튬(LiCoO2), 니켈산리튬(LiNiO2), 망간산리튬(LiMnO2), 카본, 그래파이트 등을 결착시킬 필요가 있는데, 내약품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결착성을 갖는 플루오르수지 재료가 적합한 결착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3-236258호 공보에서는 리튬 1차전지의 양극재료인 MnO2, 아세틸렌블랙, 그래파이트 등을 결착시키기 위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성분산체를 사용하고 있다. 일본 특공평 6-10980호 공보에서는 공기전지에서 망간산화물과 카본블랙, 활성탄을 PTFE의 수성분산체로 결착시키는 예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PVDF)을 결착제로서 사용하는 예도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평 6-44964호 공보에서는 니켈수소전지에 관하여, 수소흡장합금이나 카르보닐니켈분말과 같은 도전제를 PVDF의 용액에 혼합하여 시트상으로 가공한 전극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리튬이온 2차 전지에서도, 일본 특개평 4-249860호 공보의 예와 같이, LiCoO2와 같은 리튬함유 산화물과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지는 양극 및 탄소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음극 각각에 PVDF의 N-메틸피롤리돈 용액을 혼합하여 시트상으로 가공하고, PVDF를 결착제로서 사용하고 있다.
PTFE는 작은 전단력으로 피브릴화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이 때문에, 다른 분말상 재료와 혼합될 때, 용이하게 피브릴을 발생시키고, 그것을 얽는 작용을 가져온다. 그러나, 지나치게 피브릴화되기 때문에 도리어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어렵고, 필요이상으로 PTFE를 첨가하여 전극의 특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해서, PTFE는 통상 분말상의 것보다도 콜로이드상으로 분산된 수성분산체의 형체의 것이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지나치게 피브릴화되어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수성분산체를 사용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다량의 물이나 그 중에 안정제로서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를 가열등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요하고, 전지에 따라서는 계면활성제나 물이 특성상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리튬이온 2차전지에서 양극으로 사용되는 리튬함유산화물중, LiNiO2는 특히 물과 반응하기 쉬워서 PTFE 수성분산체를 사용할 수 없다. PVDF를 결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용제에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용액상으로 전극재료와 혼합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PTFE 수성분산체와 같이 물이나 계면활성제를 제거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유기용제에 가용(可溶)인 성질은 역으로 전지재료로서 사용되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등의 유기계 전해액에 대하여 팽윤하기 쉬운 경우도 있는데, 팽윤은 경우에 따라서는 전지의 성능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PVDF는 PTFE 보다도 결착성이 뒤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PTFE 수성분산체보다도 균일하게 전극재료와 혼합될 수가 있고, 물이 악영향을 미치는 전극재료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또한 PVDF와 같이 유기계 전해질에 대하여 팽윤하지 않고, 결착성능이 우수한 전지용 결착제,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core)로 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각부(shell)로 하는 평균입경 0.05~1㎛의 심-각 복합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분산체, 혹은 분말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합미립자의 심부와 각부의 중량비가 98:2~50:50인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미립자의 심부를 구성하는 피브릴 형성성의 PTFE는 공지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의 유화중합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평균입경이 0.05~1㎛의 미립자와 동일한 것이고, 시판의 유화중합체를 응석(coagulation)·건조시켜 얻어지는 PTFE 미세 파우더나 유화중합체를 농축·안정화시킨 PTFE 수성분산체(디스퍼젼)를 구성하는 미립자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인 제법은 일본 특공소 37-4643호 공보, 일본 특공소 46-14466호 공보, 일본특공소 56-26242호 공보 등에서 공지이다. 피브릴 형성성은 용융성형가능하지 않은 고분자량(380℃에서의 용융점도가 108포아즈 이상)의 PTFE에서 통상 볼 수 있는 성질이고, 즉 표준비중(ASTM D-1457)으로 표현하면, 2.210 이하, 바람직하게는 2.200~2.130의 PTFE이다(해당 표준비중이 작을수록 고분자량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용융점도는 시마즈 제작소제 고화식 플로우테스터를 사용하여, 폴리머 분말을 내경 11.3㎜의 실린더에 장전하고, 온도 38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피스톤에 하중하고(7 또는 32㎏), 내경(2R) 0.21㎝, 길이(L) 0.8㎝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압출하고, 유출량(Q:cm2/sec)을 측정하여, 하기식으로부터 구한 것이다.
△P: 하중(dyne)
상기 표준비중이 2.210보다 크면, 즉 저분자량으로 되면 피브릴화하기 어렵게 된다. 표준비중이 2.130보다 작은 고분자량의 PTFE는 고분자량 PTFE에 본질적인 피브릴 형성성이 상실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상 곤란하고 실질적이지 못하다. TFE의 유화중합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함플루오르단량체(예를 들면,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펜, 플루오로알킬에틸렌, 플루오로알킬플루오로비닐에테르 등)를 소량 공중합하는 수도 있는데(0.001~2중량%), 이와 같은 소위 변성 PTFE의 미립자일지라도 피브릴 형성성은 손상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다.
표준비중, 혹은 분자량은 피브릴 형성성의 지표가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유화중합으로 생긴 미립자가 페이스트 압출가능한지의 여부가 실질적으로 기준이 된다. 연속된 압출물질이 얻어지는 것, 및 그 신도(伸度)가 실온에서 적어도 1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하미립자의 각부를 구성하는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는 저분자량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혹은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혹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비닐리덴(VDF)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의 적어도 1종을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함플루오르공중합체, 혹은 상온에서 액상인 탄화수소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다. 저분자량 PTFE로서는 380℃에서의 용융점도가 108포아즈 미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102~107포아즈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EE, VDF 및 CTFE의 적어도 1종을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함플루오르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TFE와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의 공중합체 (통칭 FEP로서 알려져 있다), TFE와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VE)의 공중합체(통칭 PFA로서 알려져 있다), TFE와 HFP, PFAVE의 3원 공중합체, TFE와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TFE로 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통칭 ETFE로서 알려져 있다), 에틸렌과 CTFE로 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통칭 ECTFE로서 알려져 있다), TFE와 CTFE의 공중합체, VDF와 TFE, 및/또는 HFP의 2원 또는 3원 공중합체, VDF/TFE/CTFE 3원 공중합체 등이 열거된다. 공중합체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서 글라스 전이온도가 실온보다 높은 수지의 성상을 나타내거나, 실온보다 낮은 고무의 성상을 나타내거나 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분자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TFE의 공중합체의 경우, 다른 단량체 성분이 2중량%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에서 액상인 탄화수소계 단량체로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콕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틸롤메타크릴아미드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아미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말레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스티렌, 알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피롤리돈, 알킬비닐에테르, 피롤 등이 열거된다. 이들의 단독중합체 혹은 공중합체를 각부의 폴리머로 할 수가 있다.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히드록시알킬기함유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및 아미드류는 친수성이 지나치게 높아 단독중합체로 각부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소수성 단량체와 함께 공중합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각부를 구성하는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중, 바람직한 폴리머는 심부의 피브릴형성성의 PTFE를 합성한 후 연속적으로 각부의 반응을 행하기 쉽다는 점에서 TFE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심-각 복합미립자의 제법은 각부가 저분자량 PTFE인 경우, 일본 특개평 4-154842호 공보에, VDF계 수지인 경우는 WO 94/1475호에, 각부가 TFE와 CTFE의 공중합체인 경우는 일본 특공소 63-63584호 공보에, 각부가 ETFE나 ECTFE인 경우는 일본 특개평 2-158651호 공보에, 또 각부가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폴리머인 경우는 일본특개소 63-312836호 공보에 각각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평균입경은 0.05~1㎛이지만, 소위 종(種)중합법 등으로 1㎛보다도 큰 입경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큰 입경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분산체의 경우, 보존상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지나치게 작은 입경은 전극재료와의 혼합에서 충분한 피브릴화가 일어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복합미립자에서의 심부와 각부의 중량비는 98:2~50:50이지만, 각부가 지나치게 적으면 전극재료와의 혼합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유기매체에서의 분산이 나빠진다. 각부가 지나치게 많으면 본래의 결착성능이 저하되거나, 각부가 VDF계 폴리머나 상온 액상의 탄화수소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폴리머의 경우, 전지내에서의 팽윤의 문제가 생기기 쉬워진다. 바람직하게는 95:5~60:4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용 결착제는 수성분산체, 혹은 비수성분산체, 분말의 어느 것도 좋다. 전지의 종류, 전극재료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지만, 복합미립자인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은 비수성분산체 또는 분말이다. 종래, 결착제로서 이용되고 있는 PTFE는 미세 파우더 혹은 수성분산체이고, 비수성분산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비수성분산체는 전극재료와의 혼합이 용이하고, 수성분산체와 같이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이를 최종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전지가 리튬함유산화물을 양극으로 한 비수(非水)전해질 2차 전지인 경우, 수분이 없는 편이 바람직하고, 이 때문에 비수성분산체가 요망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분말은 미세 파우더와 다르고, 분말 그대로도 전극재료와의 혼합성이 우수하지만,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성매체, 혹은 비수유기매체에의 재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극재료와의 혼합방법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전지용 결착제는 전극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 혼합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수성분산체, 혹은 비수성분산체의 폴리머 미립자의 농도는 5~65중량%가 적당하다. 낮은 농도는 전극재료와 혼합하는 경우에 효율이 나쁘고, 지나치게 높은 농도는 분산체가 고점도로 되어 취급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수성분산체 그대로는 수송이나 작업시의 분산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기 쉬우므로, pH를 7~11의 알칼리측으로 조정하고, 또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안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의 적어도 일종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비이온계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폴리옥시화합물의 지방산에스테르형 계면활성제의 일군, 예를 들면, 지방산의 글리콜에스테르, 지방산의 소르비탄 및 만니톨에스테르 등이 열거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형 계면활성제의 일군, 예를 들면,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고급알킬아민, 고급지방산아미드, 고급알킬메르캅탄, 알킬페놀 등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이 열거된다. 첨가량은 수성분산체중의 미립자 전중량에 대하여 1-20%이면 좋다. 지나치게 적으면 분산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많으면, 전지성능에 악영향을 미친다. 전지로서는 계면활성제가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는 그대로도 지장은 없다.
본 발명의 분말은 유화중합법에 의하여 얻어진 수성분산체로부터 통상의 방법(예를 들면, 미국특허 2,593,583호 명세서 참조)에 의하여, 폴리머 미립자를 응석에 의하여 분리하고, 더욱 건조함으로써 얻어진다. 건조는 미립자의 각부끼리 융착하지 않도록 저온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분말의 평균입경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맞은 평균입경은 1~30㎛이다. 1㎛보다 작은 입경의 분말은 실질적으로 얻을 수 없다. 30㎛보다 큰 입경은 전극재료와의 혼합성이 저하된다. 입경의 제어는 응고시의 수성분산체의 농도나 온도, 교반의 강약에 의하여 가능하다. 더욱이 분말은 0.05~1㎛의 미립자의 응집체로서, 그 평균입경은 2차적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비수성분상체는 분말을 분산용매중에 기계적 또는 초음파에 의하여 재분산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혹은 일본 특공소 49-17016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전층법(轉層法)에 의하여 분말화하는 공정을 경유하지 않고 비수성분산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비수성분산체 중에서 폴리머 미립자는 수성분산체중과 같은 미세분산 상태를 얻기 어렵고, 미립자가 어느 정도 응집되어 있다. 통상, 응집된 입자는 1~3㎛의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응집입자는 미립자가 단지 응집되어 있을 뿐으로 융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서 정의되는 평균입경은 응집입자의 입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실질적으로 결착작용을 갖는 심-각 복합미립자의 입경을 가리키고 있다.
비수성분산체의 분산매는 TFE계 폴리머 미립자를 적실 수 있는 유기액체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부틸 등의 케톤·에스테르류, 수용성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N-메틸피롤리돈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독으로는 적시기 어려운 유기액체, 예를 들면 사염화탄소, 트리클로로에틸렌, 디이소부틸케톤에서는 유용성(油溶性)의 계면활성제를 소량 첨가함으로써 오르가노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립자의 분산성이나, 전극제조의 작업성, 혹은 독성을 고려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기액체는 이소프로필알코올, 메틸이소부틸케톤, N-메틸피롤리돈이다. 오로가노졸을 사용하여 전극재료를 제조하는 경우는 건조가 수성분산체에 비하여 용이하고, 또 수성분산체와 같은 계면활성제에 의한 전극에의 악영향을 적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극용 조성물은, 상기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로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각부로 하는 평균입경 0.05~1㎛의 심-각 복합미립자 0.1~10중량%와 분말상의 전극재료로 이루어진다. 분말상 전극재료로서는, 전극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전지용 활성물질, 도전제 및 촉매 등이 열거된다.
전지용 활성물질은 양극활성물질과 음극활성물질로 구분되고, 양극활성물질로서는 코발트산리튬, 니켈산리튬, 망간산리튬, 바나듐산리튬, 철산리튬, 및 이들과 전이금속산화물의 복합산화물의 리튬화합물, 또한 이산화망간, 산화아연, 산화니켈, 수산화니켈, 산화구리, 산화몰리브덴, 플루오르화카본 등의 분말이 열거된다. 또, N-플루오로피리디늄화합물, N-플루오로술폰아미드화합물, N-플루오로퀴누클리디늄화합물, N-플루오로-1,4-디아조니아비시클로[2,2,2]옥탄화합물, N-플루오로디술폰이미드화합물, N-플루오로아미드화합물, N-플루오로카바메이트화합물, N-플루오로피리돈화합물(일본 특개평 7-6756호 공보 참조), 또한 이들의 화합물의 염과 리튬염의 혼합물, 특히 N-플루오로피리디늄염에 대한 리튬염의 몰비가 0.1~5의 범위내에 있는 N-플루오로피리디늄염과 리튬염의 혼합물등도 열거된다. 한편 음극활성물질로서는 금속리튬등의 알칼리금속 및 그 합금, 알칼리금속 흡장가능한 탄소재료, 아연, 수산화카드뮴, 수소흡장합금 등이 열거된다. 도전제로서는 활성탄, 카본블랙, 아세틸렌블랙, 그래파이트, 및 폴리아닐린으로 대표되는 도전성 폴리머등의 분말이 열거된다. 촉매로서는 연료전지등에서 사용되는 백금미립자가 열거된다. 본 발명의 전극용 조성물에는 기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친수성 결착제, 또 과염소산리튬, 붕플루오르화리튬, 탄산세슘등을 용해시킨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등의 단체 혹은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및 수산화칼륨의 수용액 등의 무기계의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비수전해질을 사용한 전지는 본 발명의 결착제를 사용하는 대상으로서 알맞은 것이고, 리튬화합물을 양극으로 한 비수전해질 2차 전지는 특히 알맞은 대상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참고예, 실시예,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페이스트 압출시험은 하기와 같다.
수성분산체를 100℃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중합에서 사용된 유화제,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농축 안정화를 위하여 가해진 계면활성제를 아세톤으로 충분히 추출한다. 그 후, 유리병중에서 케이크상의 폴리머 50g에 탄화수소유인 압출조제[상품명 「IP 1620」, 슛꼬석유화학(주)제] 10.8g을 혼합하고, 실온(25±2℃)에서 8시간 방치하여, 서로 충분히 융합시킨다. 다음에, 실린더(내경 25.4㎜)가 달린 축소각 30도로 하단에 내경 2.54㎜, 랜드길이 7㎜의 오리피스를 갖는 압출다이에 상기 혼합물을 충전하고, 60㎏의 부하를 실린더에 삽입된 피스톤에 가하여 1분간 유지한다. 그 후, 곧 실내에서 램스피드(피스톤의 눌러내림속도) 20㎜/분으로 상기 혼합물을 압출한다. 또한, 연속된 압출물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압출물의 조제를 80℃에서 건조한 후, 실온에서 압출방향으로 인장속도 20㎜/분의 속도로 인장시험을 가한다.
[참고예 1]
심부가 PTFE이고 각부가 ETFE(심-각의 중량비 91:9)인 심-각 복합미립자의 수성분산체를 일본 특개평 2-158651호 공보 기재의 실시예 1에 따라 합성하였다.
우선 스테인레스제 앵커형 교반날개와 온도조절용 재킷을 구비하고, 내용량이 3L인 스테인레스강(SUS 316)제 오토클레이브에 탈이온수 1450㎖, 유동파라핀 90g, 및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 1.5g을 사입하고, 질소가스로 3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으로 2회 계내를 치환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TFE로 내압을 1.0MPa로 하고 교반을 280rpm, 내온을 70℃로 유지하였다.
다음에, 0.2g의 헥사플루오로프로펜(HFP)과 중합개시제인 80㎎의 과황산암모늄(APS)을 용해한 50㎖의 수용액을 계내에 사입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반응중에는 계내의 온도를 70℃, 교반을 280rpm으로 유지하고, 오토클레이브의 내압은 항상 1.0MPa로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TFE를 공급하였다.
개시제를 첨가한 후 반응으로 소비된 TFE가 390g에 도달한 시점에서, 교반과 TFE의 공급을 정지하고, 오토클레이브내의 압력이 0.3MPa로 될 때까지 가스를 방출하고 또한 별도의 라인으로부터 에틸렌이 48mol%인 에틸렌과 TFE의 혼합가스를 1.0MPa이 될 때까지 공급하고, 교반을 재개하여 그 압력을 유지하면서 반응을 계속하였다. 혼합가스가 37g 소비된 시점에서 교반을 멈추고, 가스를 방출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일부를 증발건고하여 얻은 고형분의 농도(대략 폴리머 농도와 같다)는 22.0중량%이고, 폴리머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한 측정으로 0.20㎛이었다.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일부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시판되는 트라이톤 X-100(롬 하스사제)을 포함되는 폴리머의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첨가하고, 또한 암모니아수로 pH를 9.0으로 조정한 뒤, 감압하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폴리머 고형분이 60중량%가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농축된 수성분산체중의 폴리머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한 측정으로 본래의 수성분산체와 같은 0.20㎛이었다.
또, 반응후의 수성분산체 2L를 터빈날개형 교반기가 달린 스테인리스제 5L의 용기로 옮기고, 탄산암모늄 10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응고시켰다. 그렇게 얻은 습윤 분말을 전기로중의 120℃에서 16시간 건조시켜 분말을 얻었다. 건식레이저 광산란법(신퍼텍사제 레이저회절식 입도분포측정장치 HELOS RODOS)으로 평균입경을 측정한 바, 분말의 평균입경은 5㎛이었다. 분말의 구조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을 제1도에 도시한다. 이로써 0.20㎛의 미립자가 응집한 것임이 명백하다. 또한, 수성분산체를 사용하여 페이스트 압출시험도 행하였지만, 연속된 압출물은 전혀 얻을 수 없었다.
다음에, 건조분말 10g과 이소프로필알코올 90g을 200㎖ 용기에 넣고, 주파수 20㎑, 출력 100와트의 초음파를 5분간 조사하여, 비수성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이소프로필알코올에 분산된 미립자의 평균입경을 호리바 제작소제 자동 입도분포측정장치(CAPA -700)를 사용하여, 자연침강모드로 측정한 바, 1.25㎛이었다. 이소프로필알코올 중에서 복합미립자가 어느 정도 응집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의 미립자의 평균입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지만,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하면, 응집입자중의 기본단위의 미립자는 중합직후에 얻어진 처음의 수성분산체중의 미립자와 같은 평균입경이었다.
[참고예 2]
일본 특개평 2-158651호 공보기재의 비교예 4에 따라, 참고예 1의 반응에서 각부의 반응을 행하지 않는 폴리머를 얻었다. 폴리머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전자현미경 사진에 의한 측정으로 0.19㎛이었다.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일부에 대하여, 참고예 1과 동일하게 응석 및 건조를 행하였지만, 응집분말의 평균입경은 400㎛이었다. 표준비중은 2.180이고, 시판의 PTFE 미세 파우더와 동일하게 고분자량이었다. 수성분산체를 사용한 페이스트 압출시험에서는 압출물이 얻어졌다. 인장시험의 신도는 300%이었다.
참고예 1과 동일하게 분말을 이소프로필알코올에 분산시켰지만, 처음의 입경이하로는 분산되지 않았다. 나머지의 수성분산체는 참고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농축을 행하였다.
[참고예 3]
참고예 1에서 스테인레스강제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량이 6L이고, 탈이온수양을 2950㎖, 유동파라핀을 120g,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을 3.0g, 또 헥사플루오로프로펜을 0.4g, 중합개시제인 APS양을 12㎎으로 변경하고, 개시제를 첨가한 후 반응으로 소비된 TFE가 3130g에 도달한 시점에서 교반과 TFE의 공급을 정지하고, 가스 방출을 행하여 PTFE의 수성분산체를 얻었다. 그 고형분 농도는 24중량%이고, 또한 폴리머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0.22㎛이었다.
다음에, 1L의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그 수성분산체 401.6g과 탈이온수를 153.4g 가하고, 0.5g의 퍼플루오로옥탄산암모늄을 용해한 5g의 수용액을 추가 혼합하고, 150rpm으로 교반을 개시하였다.
그리고 플라스크내를 질소기류중에서 70℃까지 승온하고, 중합개시제 APS 100㎎을 물 19.9g에 용해한 것을 추가하였다. 또한 메타크릴산메틸모노머(MMA) 3.4g을 10분 간격으로 6회 분할하여 사입하면서 반응을 행하고, 90분후에 교반을 정지하고 내용물을 계외로 꺼내었다.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일부를 증발건고하여 구한 고형분 농도는 20중량%이고 폴리머미립자의 평균입경은 0.25㎛이었다. 또, 열분해 측정법으로 구한 각부의 PMMA량은 16.2중량%이었다. 그 수성분산체중 250g을 진공건조기를 사용하여 50℃, 24시간으로 건조를 행하고, 약 58g의 백색고형물을 얻었다. 그 고형물을 분쇄하여 평균입경 약 6㎛의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1]
참고예 1에서 얻어진 비수성분산체 25g과 함께, 이산화망간을 20g, 도전성카본 2.5g을 자동유발에 사입하고, 15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페이스트상으로 된 혼합물을 80메시의 니켈도금을 실시한 철망에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시켰다. 계속하여, 도포물을 롤러로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페이스트화가 일어나는 것, 또 전극재료가 철망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복합미립자가 피브릴화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전극내의 섬유의 형상을 1만배의 배율로 본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을 제 2도에 도시한다. 피브릴의 발생이 확인된다.
[실시예 2]
참고예 1에서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농축물 2.8g과 함께, 이산화망간을 20g, 도전성 카본 2.5g, 또한 물 20㎖를 자동유발에 사입하고, 30분간 혼합하였다. 그 후 페이스트상으로 된 혼합물을 80메시의 니켈도금을 실시한 철망에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시켰다. 계속하여, 도포물을 롤러로 압연하여 전극을 제조하였다.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은 제 2도와 동일하였다.
[비교예 1]
참고예 2의 분말은 이소프로필알코올에 미세분산되지 않았지만, 22.5g의 이소프로필알코올에 그 분말 2.5g을 혼합한 것에, 이산화망간 20g과 도전성카본 2.5g를 가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자동유발로 혼합하였다. 그러나 미세 파우더만이 굳어지고, 전체가 페이스트로 되지 않았다.
[비교예 2]
참고예 2에서 얻어진 수성분산체의 농축물 2.8g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페이스트가 얻어지고 전극이 제조되었지만,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미립자의 분산상태가 실시예 2보다도 더 불량하였다.
[실시예 3,4 및 비교예 3]
평균입경 5㎛의 니켈산리튬[혼소케미칼(주)제] 100중량부와 도전제로서의 아세틸렌 블랙[전기화학공업(주)제] 3중량부와 결착제로서 5중량부의 참고예 1의 분말을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50%가 되도록 NMP를 가하여 혼합기로 20분간 혼합하고, 페이스트를 조제하였다.
이 페이스트를 25㎛의 알루미늄박으로 도포하고, 10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후의 도막두께는 120㎛이었다. 이 시트를 도막두께가 100㎛가 될 때까지 롤러로 압연하여 양극시트(1)를 제조하였다. 참고예 3, 참고예 2의 분말을 사용하여 동일한 양극시트(3,2)를 제조하였지만, 양극시트(2)는 표면에 백색의 반점이 발생하고, 균일한 도막은 얻을 수 없었다. 계속하여 커터나이프를 사용하여 도막상에 1㎜×1㎜의 바둑판 눈을 100개 만들고 박리되지 않고 남아 있는 눈을 세었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또한, 이하의 전지 특성평가를 행하였다. 이들의 양극시트를 3×5㎝각으로 잘라내어 리드를 용접하여 양극으로 하고, 음극에는 리튬 금속박을 사용하고, 폴리프로필렌제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대향시키고, 전해액으로서 프로필렌카보네이트에 과염소산리튬을 1mol/l 용해한 것을 사용하여, 제 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전류밀도 1㎃/㎠, 충전종지전업 4.3V, 방전종지전압 3.0V의 조건으로 충방전을 반복하고, 초기용량의 60%를 자른 시점을 사이클 수명으로서 측정하였다. 각 양극시트에 대하여 10셀씩 사이클테스트를 행한 결과의 평균을 동일하게 표 1에 표시하였다. 표로부터 양극시트(1, 3)는 접착성 및 사이클 수명에 있어서 양극시트(2)에 비교하여 현격하게 우수하게 된 것을 알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PTFE 수성분산체보다도 균일하게 전극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물이 악영향을 미치는 전극재료의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며, 또한 PVDF와 같이 유기전해질에 대하여 팽윤하지 않고, 결착성능이 우수한 전지용 결착제,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7)

  1.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로 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각부로 하는 평균입경 0.05~1㎛의 심-각 복합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분산체, 혹은 분말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합미립자의 심부와 각부의 중량비가 98:2~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가 저분자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혹은 폴리플루오르화비닐리덴,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적어도 1종을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함플루오르공중합체, 또는 상온에서 액상인 탄화수소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3. 제 1항에 있어서,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4. 제 1항에 있어서, 전지용 결착제가 1~30㎛의 분말, 혹은 비수성분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5. 제 1항 내지 4항에 있어서, 양극활성 물질로서 리튬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결착제.
  6.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로 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각부로 하고, 심부와 각부의 중량비가 98:2~50:50인 평균입경 0.05~1㎛의 심-각 복합미립자의 0.1~10중량%와 잔부 분말상의 전극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용 조성물.
  7. 활성물질로서 리튬화합물을 포함하고, 필요하면 도전제 등을 결착제로 결착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양극과 음극과 비수전해질을 구비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결착제가 피브릴 형성성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심부로 하고, 비피브릴 형성성의 폴리머를 각부로 하는 평균입경 0.05~1㎛이 심-각 복합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분산체, 혹은 분말로 이루어지고, 해당 복합미립자의 심부와 각부의 중량비가 98:2~50:50인 결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2차 전지.
KR1019960703148A 1994-10-19 1995-10-18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201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81437 1994-10-19
JP28143794 1994-10-19
PCT/JP1995/002150 WO1996012764A1 (en) 1994-10-19 1995-10-18 Binder for cell and composition for electrode and cell prepared therefr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1056B1 true KR100201056B1 (ko) 1999-06-15

Family

ID=176391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1056B1 (ko) 1994-10-19 1995-10-18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KR1019960073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8087B1 (ko) 1994-10-19 1996-06-14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31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8087B1 (ko) 1994-10-19 1996-06-14 자동차의 미끄럼방지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707763A (ko)
EP (1) EP0735093B1 (ko)
JP (1) JP3295939B2 (ko)
KR (2) KR100201056B1 (ko)
CN (1) CN1107090C (ko)
CA (1) CA2179392C (ko)
DE (1) DE69520426T2 (ko)
WO (1) WO199601276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19B1 (ko) 2011-07-07 2014-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전지 수명 특성을 제공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4058450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WO2025028980A1 (ko) * 2023-08-01 2025-02-06 주식회사 씨엔피솔루션즈 코어-쉘 구조 복합 바인더 입자, 그 제조방법,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6839B2 (ja) * 1995-04-10 2002-10-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池用撥水性付与剤および電池
EP0821040A1 (en) * 1996-07-22 1998-01-28 Dsm N.V. Aqueous coating dispers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in anticorrosive paint
US6071489A (en) * 1996-12-05 2000-06-06 Samsung Display Device Co., Ltd. Methods of preparing catho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582518B1 (ko) * 1997-03-04 2006-05-24 제온 코포레이션 전지용 바인더조성물, 전지 전극용 슬러리, 리튬 2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2차전지
JP4066525B2 (ja) * 1997-07-28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極インキ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US6579649B2 (en) * 1998-02-18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battery
US6967183B2 (en) * 1998-08-27 2005-11-22 Cabot Corporation Electrocatalyst powders, methods for producing powders and devices fabricated from same
US7255954B2 (en) * 1998-08-27 2007-08-14 Cabot Corporation Energy devices
DE19841707A1 (de) * 1998-09-11 2000-03-16 Max Planck 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eferenzelektrode für eine galvanische Zelle mit kationenleitenden Festelektrolyten
US6171726B1 (en) * 1998-12-24 2001-01-09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Active electrode composition with nonfilbrillating binder
IT1307756B1 (it) * 1999-02-05 2001-11-19 Ausimont Spa Polimeri elettroliti per batterie ricaricabili al litio.
JP3514155B2 (ja) * 1999-02-19 2004-03-31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装置
DE19929949B4 (de) * 1999-06-29 2005-06-02 Deutsche Automobilgesellschaft Mbh Elektrode mit Speichervermögen für Wasserstoff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U6396900A (en) * 1999-08-20 2001-03-19 Medis El Ltd. A new class of electrocatalysts and a gas diffusion electrode based thereon
US6479188B1 (en) * 1999-10-13 2002-11-12 The Gillette Company Cathode tub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38448B1 (en) 2000-04-26 2007-07-03 The Gillette Company Cathode for air assisted battery
US6773838B2 (en) * 2000-09-04 2004-08-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for the same
JP2006040543A (ja) * 2000-09-04 2006-02-09 Daikin Ind Ltd 電池またはキャパシタに用いる電極用添加剤
ITMI20010580A1 (it) * 2001-03-20 2002-09-20 Ausimont Spa Polimeri a base di ptfe
US6727019B2 (en) 2001-03-22 2004-04-27 Ilion Technology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n ionomer binder of Li-AMPS and associated fabrication
TWI265654B (en) * 2001-11-21 2006-11-01 Polyfuel Inc Catalyst agglomerates for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BR0215428A (pt) * 2002-01-04 2004-12-14 Du Pont Dispersão aquosa,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da dispersão aquosa, substratos revestidos e filme auto-sustentado
CA2472135A1 (en) 2002-01-04 2003-07-3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re-shell fluoropolymer dispersions
JP4103399B2 (ja) * 2002-01-22 2008-06-18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ッ素樹脂粉体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を有する物品
US20030175588A1 (en) * 2002-03-14 2003-09-18 Dong Zhang Cathode compositions, cathodes, methods of producing cathod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same
ATE503799T1 (de) * 2002-05-20 2011-04-15 Daikin Ind Ltd Wässrige fluorharzdispersionszusammensetzung und fluoriert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auf wasserbasis
US20040092638A1 (en) * 2002-08-28 2004-05-13 Martens Marvin M. Polyamide compositions incorporating non-melt-processable fluoropolymers and processes associated therewith
US20040119194A1 (en) * 2002-12-24 2004-06-24 Boyko Aladjov Method for making electrodes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0491026B1 (ko) * 2003-03-05 2005-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특성, 접착성, 코팅특성이 조절된 2상 이상의 구조를가지는 리튬 2차 전지용 바인더
US20050266298A1 (en) * 2003-07-09 2005-12-01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70122698A1 (en) 2004-04-02 2007-05-31 Maxwell Technologies, Inc. Dry-particle based adhesive and dry film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00014215A1 (en) * 2004-04-02 2010-01-21 Maxwell Technologies, Inc. Recyclable dry particle based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352558B2 (en) 2003-07-09 2008-04-01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capacitor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50250011A1 (en) * 2004-04-02 2005-11-10 Maxwell Technologies, Inc. Particle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US7508651B2 (en) 2003-07-09 2009-03-24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adhesive and dry film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342770B2 (en) * 2003-07-09 2008-03-11 Maxwell Technologies, Inc. Recyclable dry particle based adhesive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295423B1 (en) * 2003-07-09 2007-11-13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based adhesive electro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791860B2 (en) 2003-07-09 2010-09-07 Maxwell Technologies, Inc. Particle based 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10165318A9 (en) * 2004-04-02 2011-07-07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ode formation by lamination of particles onto a current collector
DE602004004956T2 (de) * 2003-08-20 2007-11-08 Samsung SDI Co., Ltd., Suwon Elektrolyt für wiederaufladbare Lithium-Batterie und wiederaufladbare Lithium-Batterie enthaltend denselben
US7920371B2 (en) 2003-09-12 2011-04-05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s with separator between electrod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devices
US7495349B2 (en) * 2003-10-20 2009-02-24 Maxwell Technologies, Inc. Self aligning electrode
US7090946B2 (en) * 2004-02-19 2006-08-15 Maxwell Technologies, Inc. Composite electrod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7384433B2 (en) 2004-02-19 2008-06-10 Maxwell Technologies, Inc. Densification of compressible layers during electrode lamination
US7227737B2 (en) 2004-04-02 2007-06-05 Maxwell Technologies, Inc. Electrode design
US20060246343A1 (en) * 2004-04-02 2006-11-02 Maxwell Technologies, Inc. Dry particle packaging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5310658A (ja) * 2004-04-23 2005-11-04 Daikin Ind Ltd 非水電解液一次電池用結着剤
JP2006019274A (ja) * 2004-06-30 2006-01-19 Samsung Sdi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7245478B2 (en) 2004-08-16 2007-07-17 Maxwell Technologies, Inc. Enhanced breakdown voltage electrode
WO2006064342A2 (en) * 2004-12-14 2006-06-22 Nissan Motor Co., Ltd. Electrode for use in a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6080259A1 (ja) * 2005-01-27 2006-08-03 Kureha Corporation フッ化ビニリデン系コア/シェル型重合体およびその非水系電気化学素子における利用
US7440258B2 (en) 2005-03-14 2008-10-21 Maxwell Technologies, Inc. Thermal interconnects for coupling energy storage devices
US7492574B2 (en) 2005-03-14 2009-02-17 Maxwell Technologies, Inc. Coupling of cell to housing
US20070154774A1 (en) * 2006-01-05 2007-07-05 More Energy Ltd. Hydrophilized anode for a direct liquid fuel cell
WO2007061915A2 (en) * 2005-11-18 2007-05-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blending process
EP1948734B1 (en) 2005-11-18 2014-01-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composition
US7647210B2 (en) * 2006-02-20 2010-01-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ametric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conceptual vehicle design
UA83075C2 (uk) * 2006-04-27 2008-06-10 Елена Моисеевна Шембель Електрод для первинних, вторинних літієвих джерел струму та суперконденсаторів і спосіб його виготовлення
US8518573B2 (en) * 2006-09-29 2013-08-27 Maxwell Technologies, Inc. Low-inductive impedance, thermally decoupled, radii-modulated electrode core
US20080201925A1 (en) 2007-02-28 2008-08-28 Maxwell Technologies, Inc. Ultracapacitor electrode with controlled sulfur content
EP2306563A1 (en) * 2008-07-17 2011-04-0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Anode composite for nonaqueous electrolyte cell
CN102598375B (zh) * 2009-11-06 2015-12-16 旭硝子株式会社 二次电池用粘合剂组合物、使用其的二次电池用电极合剂以及二次电池
JP5434753B2 (ja) * 2010-03-31 2014-03-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のオルガノゾル組成物
TW201219458A (en) 2010-06-30 2012-05-16 Daikin Ind Ltd Organosol composition of fluorine-containing polymer
KR101277996B1 (ko) 2010-06-30 2013-06-2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바인더 조성물
JP4849286B1 (ja) * 2011-06-06 2012-01-11 Jsr株式会社 正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JP2013084502A (ja) * 2011-10-12 2013-05-09 Jsr Corp 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
DE102012203019A1 (de) * 2012-02-28 2013-08-29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Kathode für Lithium-haltige Batterien und lösungsmittelfreies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2843740B1 (en) * 2012-04-27 2019-04-03 AGC Inc. Binder for storage battery device
JP6354135B2 (ja) * 2013-02-12 2018-07-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材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6321404B2 (ja) 2014-02-26 2018-05-0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材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6291903B2 (ja) 2014-02-26 2018-03-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混練装置
CN105085762B (zh) * 2014-05-13 2017-08-08 浙江蓝天环保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长支链高分子量聚偏氟乙烯及其制备方法
JP6442943B2 (ja) * 2014-09-12 2018-12-26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蓄電材料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10347934B2 (en) 2014-09-26 2019-07-09 Ut-Battelle, Llc Shear activated impact resistant electrolyte
US10381167B2 (en) * 2015-01-15 2019-08-13 Kemet Electronics Corporation Cathode materials containing core shell nanoparticles
CN104953128B (zh) * 2015-07-15 2017-05-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性粘合剂及其制备方法,应用了该水性粘合剂的电极片、隔离膜和电池
KR102290317B1 (ko) * 2015-12-11 2021-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양극, 그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N108292755A (zh) * 2015-12-21 2018-07-17 株式会社大阪曹達 电池电极用粘合剂、电极及电池
WO2017216179A1 (en) * 2016-06-14 2017-12-21 Solvay Sa Flexible battery
DE102016217386A1 (de) * 2016-09-13 2018-03-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lösungsmittelfreien Herstellung einer Aktivmaterialzusammensetzung
CN106384829B (zh) * 2016-11-18 2019-01-25 山东精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粘结剂及其制备方法
KR102711230B1 (ko) * 2017-03-21 2024-09-27 테슬라, 인크. 전극 바인더의 패시베이션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E102017213388A1 (de) 2017-08-02 2019-02-07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Elektrodenherstellungsverfahren mittels Binderfibrillierung mit partikulärem Fibrillierungshilfsmittel
DE102017213403A1 (de) * 2017-08-02 2019-02-07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Elektrodenherstellungsverfahren mittels Binderfibrillierung
EP3595052B1 (en) * 2017-09-25 2021-07-2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manufactured thereby
US10347945B2 (en) 2017-12-08 2019-07-09 Ut-Battelle, Llc Stabilized shear thickening electrolyte
CN112055883A (zh) * 2018-03-02 2020-12-08 阿科玛股份有限公司 在电化学装置中使用的含氟聚合物粘结剂涂料
US10637100B2 (en) 2018-04-20 2020-04-28 Ut-Battelle, Llc Fabrication of films and coatings used to activate shear thickening, impact resistant electrolytes
CN111653778A (zh) * 2020-05-20 2020-09-1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锂锰电池用正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4210127A4 (en) * 2020-09-01 2025-01-29 Daikin Industries, Ltd. Electrode mixture for secondary batteries, electrode mixture sheet for secondary batteries, method of production for same, and secondary battery
WO2022138940A1 (ja) * 2020-12-25 2022-06-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ptfeとを複合した結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極作製用組成物及び二次電池
CN112751032A (zh) * 2020-12-30 2021-05-04 上海瑞浦青创新能源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及其正极极片
FR3122528B1 (fr) * 2021-05-03 2024-12-13 Arkema France Liant polymere fluore
WO2023286787A1 (en) 2021-07-12 2023-01-19 Daikin America, Inc. Composite fluoropolymer bind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composite binder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lectrode, energy storage device, binder powde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binder for electrochemical device, electrode mixtur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JP7303468B2 (ja) * 2021-09-30 2023-07-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粉末、電極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及び、二次電池
WO2023054711A1 (ja) * 2021-09-30 2023-04-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粉末、電極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及び、二次電池
EP4411897A1 (en) * 2021-09-30 2024-08-07 Daikin Industries, Ltd. Polytetrafluoroethylene powder, electrode binder, electrode mixtur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N117832485A (zh) 2022-09-29 2024-04-0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循环锂离子的电化学电池的改性粘合剂及其形成方法
TW202415742A (zh) * 2022-09-30 2024-04-16 美商科慕Fc有限責任公司 用作鋰離子二次電池組電極中之黏合劑之乾燥易碎氟聚合物黏聚物組成物
KR20240077862A (ko) * 2022-11-25 2024-06-03 (주)에코케미칼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이를 포함하는 커패시터 및 바인더의 제조방법
JP7583341B2 (ja) * 2023-01-18 2024-11-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系ポリマー組成物、電気化学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及び、二次電池
WO2024154809A1 (ja) * 2023-01-18 2024-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系ポリマー組成物、電気化学デバイス用バインダー、電極合剤、電極、及び、二次電池
WO2025038789A1 (en) * 2023-08-16 2025-02-20 The Chemours Company Fc, Llc Fluoropolymer binder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od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6323A (ja) * 1982-12-13 1984-06-20 Stanley Electric Co Ltd 逆行防止装置
JPS60131320A (ja) * 1983-12-17 1985-07-13 Yasuo Suzuki 逆行防止装置付自動車
JPS6372065A (ja) * 1986-09-12 1988-04-01 Toshiba Battery Co Ltd 非水溶媒二次電池
JP2611400B2 (ja) * 1988-12-12 1997-05-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重合体水性分散体および含フッ素重合体オルガノゾル組成物
JP3102002B2 (ja) * 1989-03-23 2000-10-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水素吸蔵電極及びその製造法
JP2925589B2 (ja) * 1989-08-11 1999-07-2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アルカリ・マンガン電池
JP3000654B2 (ja) * 1990-10-19 2000-01-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微粒子および粉末
CA2083001C (en) * 1991-12-17 1996-12-17 Yuzuru Takahashi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a non-aqueous solvent
JP3267667B2 (ja) * 1992-04-16 2002-03-18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JP3303408B2 (ja) * 1992-07-09 2002-07-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含フッ素樹脂複合微粒子
JP3235223B2 (ja) * 1992-11-05 2001-12-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の製法
KR960012040B1 (ko) * 1994-07-07 1996-09-11 김석태 자동차의 역진방지방법
KR19980046114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차량 등판길 출발시 미끄러짐 방지장치
KR19980061260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액슬축 역회전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419B1 (ko) 2011-07-07 2014-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전지 수명 특성을 제공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4058450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전지용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WO2025028980A1 (ko) * 2023-08-01 2025-02-06 주식회사 씨엔피솔루션즈 코어-쉘 구조 복합 바인더 입자, 그 제조방법, 상기 입자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84A (zh) 1996-12-04
EP0735093A1 (en) 1996-10-02
CN1107090C (zh) 2003-04-30
DE69520426T2 (de) 2001-10-18
KR100428087B1 (ko) 2004-09-01
EP0735093A4 (en) 1998-05-06
DE69520426D1 (de) 2001-04-26
US5707763A (en) 1998-01-13
WO1996012764A1 (en) 1996-05-02
KR960706535A (ko) 1996-12-09
CA2179392C (en) 2001-05-29
JP3295939B2 (ja) 2002-06-24
EP0735093B1 (en) 2001-03-21
CA2179392A1 (en) 199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056B1 (ko) 전지용 결착제 및 이를 사용한 전극용 조성물 및 전지
JP3336839B2 (ja) 電池用撥水性付与剤および電池
JP6797223B2 (ja) バインダー組成物、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5733314B2 (ja)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合剤、そ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二次電池
JP4233276B2 (ja) 電極材料用結着剤
KR101662656B1 (ko) 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 수계 조성물 및 그 용도
JP5499951B2 (ja) 二次電池用バインダー、製造方法、二次電池負極用組成物、及び二次電池
KR20150135207A (ko) 축전 디바이스용 결합제 조성물
CN102694175A (zh) 正极用粘合剂组合物
WO2013099990A1 (ja) 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の製造方法、スラリー組成物、並びに二次電池
US20240222635A1 (en) Fluoropolymer binder
JP2015162384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スラリー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13178926A (ja) 非水系二次電池用正極合剤
JP2015041570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多孔膜組成物、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多孔膜、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多孔膜の製造方法
JPH1053682A (ja) 含フッ素ポリマー水性分散体又はオルガノゾルの製造方法及びその分散体又はオルガノゾルを用いて製造した電池
KR20020035876A (ko) 불소계 접착성 수지 조성물
CN114868208B (zh) 用于锂离子电池的具有聚合物粘合剂的涂层电极
WO2019065931A1 (ja) 正極活物質塗料、正極、および二次電池
WO2025038789A1 (en) Fluoropolymer binder for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anode
WO2022138004A1 (ja) 電気化学素子正極用組成物、電気化学素子正極用スラリー組成物、電気化学素子用正極、および電気化学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