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885B1 - washer - Google Patents
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00885B1 KR100200885B1 KR1019970015956A KR19970015956A KR100200885B1 KR 100200885 B1 KR100200885 B1 KR 100200885B1 KR 1019970015956 A KR1019970015956 A KR 1019970015956A KR 19970015956 A KR19970015956 A KR 19970015956A KR 100200885 B1 KR100200885 B1 KR 1002008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outlet
- waterfall
- water
- induction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승유도관의 폭포출구와 채집출구로 유입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마련하여 저수위시에도 충분한 양의 폭포수류를 형성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which forms a sufficient amount of waterfall water flow at low water level by provid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terfall outlet and the collecting outlet of the rising induction pipe.
본 발명은, 세탁조(30)의 내부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입설되고, 일단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7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폭포수류를 발생하는 폭포출구(74)와 이물질을 채집하는 채집출구(75)를 갖춘 상승유도관(70)의 내부를 분할하는 토출안내수단이 마련되어 유입되는 세탁수를 폭포출구(74)와 채집출구(75)로 각각 안내하는 구성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are plac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30, one end is provided with an inlet 71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and the other end is collected to collect the waterfall outlet 74 and the foreign matter that generates a waterfall flow Discharge guide means for dividing the inside of the rising induction pipe (70) having an outlet (75) is provided to guide the incoming wash water to the waterfall outlet (74) and the collecting outlet (75),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세이터의 회전으로 세탁수가 유동할 때 이를 상측으로 안내하여, 이물질의 채집과 폭포수류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상승유도관을 개선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for guiding the upper side when washing water flows by rotation of a pulsator, improving the induction pipe which is provid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nd a waterfall flow, thereby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will b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기 콘트롤부에 세탁,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등의 행정을 미리 마이콤에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이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구동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로써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되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세탁에 필요한 일정량의 세탁수를 저수하는 수조(2)와 수조(2)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세탁조(3) 그리고, 세탁조(3)의 내부 저면에 설치된 펄세이터(4), 그리고 수조(2)의 외부 하측에 설치된 모터(6)와 모터(6)의 동력을 전달받아 펄세이터(4) 또는 펄세이터(4) 및 세탁조(3)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6a)가 마련된다. 그리고 세탁조(3)의 내부 벽면에는 내부에 유로(7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세탁수를 상향 안내하는 상승유도관(7)이 설치된다.In general, the washing machine program the washing, rinsing, drainage, and dehyd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n the pre-programmed to the microcomputer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washing operation, so that the laundry can be washed automatically. have. As shown in FIG. 1, such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한편 세탁 및 헹굼행정시 정,역회전하는 펄세이터(4)의 하측에는 다수의 깃(5a)들을 구비한 임펠러(5)가 마련되어있고, 상승유도관(7)은 세탁조(3)의 내측면에 부착 설치되며, 세탁조(3)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유로(7c)를 형성시키도록 후방이 개방되고, 하단과 상단은 각각 개구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7a)와 출구(7b)가 된다. 이때 입구(7a)는 임펠러(5)와 인접되어 설치되고, 출구(7b)는 상하로 분리 형성되어 폭포출구(7d)와 채집출구(7e)로 이루어진다. 하측에 위치하는 채집출구(7e)에는 걸름망(7f)이 장착되어 세탁수내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낸다. 또한 상측에 위치하는 폭포출구(7d)는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됨으로써 배수되는 세탁수가 세탁조(3)의 중심으로 폭포수처럼 떨어지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n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펄세이터(4)의 회전시 세탁수의 일부가 입구(7a)로 유입되어 상승유도관(7)을 따라 승강되며 일부는 만곡된 폭포출구(7d)를 통하여 세탁조(3)의 중심부로 낙하되어 세탁물을 두들겨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하측에 형성된 채집출구(7e)에 설치된 걸름망(7f)을 통과하게 되어 세탁찌꺼기가 걸러지게 한다. 즉, 세탁 및 헹굼행정시 세탁수의 일부를 세탁조(3)의 중앙을 향해 퍼부으며 폭포수류를 형성시키고 이 폭포수류가 형성된 세탁수는 펄세이터(4)의 반전에 따라 부상하는 세탁물에 타격을 가하므로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는 한편 세탁물이 세탁수에 침수되도록 함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세제를 완전하게 용해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wash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ar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그러나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수의 수위에 따라 폭포수처럼 낙하되는 세탁수의 양이 변화하여 저수위나 소수위일 때는 두들기거나 난수류를 만드는 것이 미약한 문제가 있었다. 즉, 저수위나 소수위시에는 고수위에 비하여 상승유도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위로부터 상승하여야 하는 거리가 높은 관계로 폭포수류를 발생하는 출구 측까지 도달하는 수량이 줄게 되어 낙하되는 세탁수의 양이 적어진다. 그리고, 세탁수가 폭포출구로 미치기 전에 자중으로 하측에 마련된 채집출구를 통해 세탁조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저수위나 소수위일 때는 폭포수류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However, such a washing machine has a weak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falls like a waterfall in accordance with the washing water level, so that knocking or random water flow is generated at a low water level or a small water level.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low water level or small water level, the amount of water reaching the exit side of the waterfall flow is reduced because the distance to rise from the water level located inside the rising induction pipe is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water level. Lose. 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washing tank through the collecting outlet provided at its lower side before reaching the waterfall exit, the problem of failing to properly perform the role of the waterfall flow in the low water level or the minority level is caus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승유도관의 폭포출구와 채집출구로 유입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마련하여 저수위시에도 충분한 양의 폭포수류를 형성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ashing water flowing into the waterfall outlet and the collection outlet of the rising induction pipe to form a sufficient amount of waterfall water flow even at low water level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hing machine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상승유도관의 확대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ising induction pipe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본체 30:세탁조 50:임펠러10: body 30: washing tank 50: impeller
70:상승유도관 71:입구 72:출구70: Ascension induction pipe 71: Entrance 72: Exit
73:유로 74:폭포출구 75:안내부재73: Euro 74: Waterfall outlet 75: Guide member
76:걸름망 78:안내부재76: strainer 78: guide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벽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입설되고, 일단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입구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폭포수류를 발생하는 폭포출구와 이물질을 채집하는 채집출구가 마련된 상승유도관을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도관의 내부에는 그 내부를 분할하는 토출안내수단이 마련되어 유입되는 세탁수를 폭포출구와 채집출구로 각각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is plac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tank, one end is provid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the other end is collected to collect the waterfall outlet and the foreign matter generating a waterfall flow In the washing machine having a rise induction pipe provided with an outlet, the discharge guide means for dividing the inside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rise induction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guides the incoming washing water to the waterfall outlet and the collection outlet,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승유도관이 채용된 세탁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세탁기의 단면구성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수조(20)가 현가된 채로 마련되며, 수조(20)의 내부에는 원통상의 세탁조(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탁조(30)의 내부 저부에는 펄세이터(40)가 역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조(20)의 하면 외측에는 세탁조(30)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가 설치되는데, 모터(60)는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세탁 또는 탈수에 알맞은 속도로 감속하는 펄세이터(40) 또는 펄세이터(40)와 세탁조(30)에 전달하는 클러치(61)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employing the rising indu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한편 펄세이터(4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깃(51)을 갖는 임펠러(50)가 일체로 설치되어 세탁과 행굼시 세탁수를 세탁조(30)측으로 밀며, 세탁조(30)의 내벽에는 다수개의 상승유도관(70)이 설치되어 임펠러(50)에 의하여 밀리는 세탁수중의 일부가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유도하는 상승유도관(70)이 입설된다.On the other hand, an
도 3은 이러한 상승유도관(70)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유도관(70)은 세탁조(30)의 내측면에 체결수단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설치되며, 그 상,하단부는 전방을 향해 만곡 설치되는데, 세탁조(3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유로(73)를 형성시키도록 후면이 개방된 사각 통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과 상단은 세탁수가 유입되어 토출되도록 개구되어 입구(71)와 출구(72)를 이룬다. 이때 출구(72)는 상하로 분기되어 이루어진 폭포출구(74)와 채집출구(75)로 이루어지며, 채집출구(75)의 단부에는 망상의 걸름망(76)이 장착되어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세탁물 찌꺼기를 걸러낸다.3 is an enlarged view of such a rising
한편 상승유도관(7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인 안내부재(78)가 설치되어 입구(71)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분리 이동시켜 폭포출구(74)와 채집출구(75)로 각각 안내하게 된다. 이 안내부재(78)의 일단은 폭포출구(74)와 채집출구(75)의 사이에 마련되고, 그 타단은 유입구(71)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유로(73)의 상측부분에 만곡된 부분에서 상승하는 세탁수가 외측으로 굽어지기 전의 위치까지 연장되어있다. 이와 같은 안내부재(78)는 유로(73)를 따라 상승하여 출구(72)로 이동하는 세탁수가 자중에 의해 하측에 위치한 채집출구(75)로만 치우쳐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작용과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탁조(30)내에 세탁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세탁에 필요한 급수가 완료되면 세탁행정이 수행된다. 즉, 모터(60)가 정,역회전하면 클러치(61)가 이를 세탁에 알맞은 감속하여 펄세이터(40)에 전달한다. 펄세이터(40)가 모터(60)의 회전을 따라 정,역회전함과 동시에 펄세이터(40)의 하측에 일체로 설치된 임펠러(50)도 좌우 회전하여 세탁수를 세탁조(30)측으로 밀게 된다. 정,역회전하는 펄세이터(40)와 임펠러(50)에 의하여 세탁수의 일부는 입구(71)를 통하여 상승유도관(70)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펄세이터(4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하며 세탁물을 좌,우 반전시키게 된다. 입구(71)를 통하여 상승유도관(70)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유로(73)를 통하여 상측으로 상승한 후, 안내부재(78)에 의해 채집출구(75)측과 폭포출구(74)측으로 분리되어 이동하게 됨으로써, 일부는 채집출구(75)를 통하여 세탁조(30)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며 세탁수에 함유된 보풀라기 등의 세탁찌거기들이 걸름망(76)에 걸러진다. 동시에 나머지 세탁수는 폭포출구(74)를 통해 낙하되어 와류가 발생된 상태에서 세탁조(30)의 중앙을 향해 폭포수를 형성하며 퍼부어지게 된다. 따라서 펄세이터(40)의 반전에 의해 세탁조(30)의 중앙 상측으로 부상하는 세탁물에 폭포수류를 타격하므로서 세탁물을 세탁수에 잠기게 하여 세탁물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그 충격에 의해 세탁물을 두들겨 세탁하는 효과 또한 얻게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the effects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When the water supply for washing is comple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laundry is contained in the
이와 같은 상승유도관(70)은 입구(71)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세탁수의 양이 적은 저수위일 때에도 유입되는 세탁수를 안내부재(78)가 설치되어 유로(73)를 분할하는 비율에 맞게 분할하여 폭포출구(74)와 채집출구(75)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서 저수위시에도 충분한 양의 폭포수류를 형성하게 된다.Such an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저수위와 소수위시에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폭포수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이 폭포수류가 형성된 세탁수는 펄세이터의 반전에 따라 부상하는 세탁물에 타격을 가함으로써 세탁물에 충격을 가하는 한편 세탁물이 세탁수에 침수되도록 함으로써 세탁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세제를 완전하게 용해시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ufficient amount of wash water to form a waterfall even at low water and a small number of water, thereby washing the water formed with this waterfall by hitting the laundry that floats due to the reversal of the pulsator. While impacting the laundry while the laundry is immersed in the wash water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washing efficiency and the advantage of completely dissolving the detergent.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956A KR100200885B1 (en) | 1997-04-28 | 1997-04-28 | 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956A KR100200885B1 (en) | 1997-04-28 | 1997-04-28 | was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8432A KR19980078432A (en) | 1998-11-16 |
KR100200885B1 true KR100200885B1 (en) | 1999-06-15 |
Family
ID=1950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59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0885B1 (en) | 1997-04-28 | 1997-04-28 | 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00885B1 (en) |
-
1997
- 1997-04-28 KR KR1019970015956A patent/KR10020088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8432A (en)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1333928B2 (en) | Washing machine | |
KR100200885B1 (en) | washer | |
KR100223413B1 (en) | The filter of a washing machine | |
CN211546996U (en) | Washing machine without outer drum | |
KR0126120Y1 (en) | A washing machine | |
KR0124281Y1 (en) | A washing machine | |
KR200288763Y1 (en) | Foreign body collect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 |
KR20000065941A (en) | Washing machine | |
KR0134124Y1 (en) | A washing machine | |
KR100220743B1 (en) |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 |
KR200157114Y1 (en) | Foreign body filter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 |
KR100312813B1 (en) | Lint collect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with rotating barrel and its method | |
KR0134129Y1 (en) | A washing machine | |
KR100268270B1 (en) | Dregs collection structure of a washing machine | |
CN109208243A (en) | A kind of novel water draining valve and washing machine applied to washing machine | |
KR100244322B1 (en) | Foreign body filter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 |
KR0137656Y1 (en) | The filter of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 |
KR100220745B1 (en) | The filter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 |
KR200159028Y1 (en) | Foreign body filter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 |
KR200151975Y1 (en) | The pumping apparatus of a washing machine | |
KR100352473B1 (en) | Side stream blower of washing machine_ | |
KR200153697Y1 (en) | A washing machine | |
KR19990037243U (en) |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automatic seam removal | |
KR0125466Y1 (en) | Outlet apparatus of circulating water in a washing machine | |
KR20020044273A (en) | Lint Coll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9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