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8904B1 -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 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 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04B1
KR100198904B1 KR1019930702675A KR930702675A KR100198904B1 KR 100198904 B1 KR100198904 B1 KR 100198904B1 KR 1019930702675 A KR1019930702675 A KR 1019930702675A KR 930702675 A KR930702675 A KR 930702675A KR 100198904 B1 KR100198904 B1 KR 10019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oncrete
holes
casting
concrete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한슨 렌나르트
Original Assignee
요한슨 군네르
콤비포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한슨 군네르, 콤비포름 아베 filed Critical 요한슨 군네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4Patterns or templates; Jointing rulers
    • E04F21/05Supports for jointing ru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Floor Finish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대위에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로서, 베이스부재(1)와, 지지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콘크리트 레벨링장치가 활주평면(3)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활주평면(3)을 갖는 상부 부재(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를 그들 사이에서 길이방향의 공간(6)을 한정하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 안정된 구조의 측벽(4,5)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측벽(4,5)에는 캐스팅하는 동안에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6)을 통해 흘러들어 갈수 있도록 배치된 다수의 관통공(7,8)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공간이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casting)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본 발명은 토대위에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긴형태를 갖는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콘크리트 레벨링장치가 활주평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활주평면을 갖는 상부부재와 베이스부재를 구비한다.
상술한 종류에 대한 공지의 지지부재는 철근 콘크리트의 비임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그 활주 평면은 일반적으로 2.5 - 7cm의 폭을 갖는다. 콘크리트 비임은 활주평면이 완성된 콘크리트 바닥의 표면과 같은 레벨로 되도록 완성된 콘크리트 바닥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캐스트-인(casted-in)된다. 이와같은 캐스트-인 된 콘크리트 비임에 있어서의 결점은 처음에는 비임상부의 한쪽을 따라서 그다음에는 다른쪽을 따라서 크랙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몇 년 후에 비임의 상부와 그 활주평면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손상되거나 파괴되며 고가의 수리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비임의 상부에 대한 손상은 내부의 트러스형 철제에 의해 가속화된다. 비임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등급은 아주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비임을 사용할 경우, 외피층의 시공이 트러스형 철제를 고정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또, 콘크리트 비임은 단지 지반(ground)상에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될수 있다. 반자(ceiling)과 같은 다른 토대상에는 콘크리트비임에 그들을 갈라놓기 때문에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와 응고된 콘크리트 사이의 응집력이 불충분하다.
카세트 즉 콘크리트, 강철 또는 경량 콘크리트의 조립식 장선 골조(joist frame)로 형성된 토대에서는 콘크리트 비임과 카세트사이에 접착이 생길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다른 문제는 콘크리트 비임의 레벨링은 상기 비임이 무겁고 캐스팅작업이 수행되기전에 응고되야만하는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복잡하다. 또한, 제조중의 콘크리트 비임의 처리, 제조공장에서의 보관, 수송, 소매상 및 현장에서의 보관은 그것이 무르고 중량이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경량이어서 쉽게 처리되고, 활주평면이 바람직한 레벨로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쉽게 레벨링되며, 완성된 콘크리트 바닥에 있어서 크랙의 위험을 감소하며, 트러스형 철제를 아주 자유롭게 부착할수 있고, 지반상에 캐스팅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카세트와 반자를 캐스팅할 경우에도 사용될수 있는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체로 지지부재는 그들사이에서 길이방향 공간을 한정하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 구조가 안정된 측벽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는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캐스팅하는 동안 상기 공간대로 흘러들어가도록 배치된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지지부재의 말단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지지부재의 말단도.
제5도 내지 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말단도.
제8도는 제3도 및제4도에 따른 지지부재의 나사가 체결된 발부분의 일부를 위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8도의 IX-IX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지지부재는 긴 레일형 구조를 가지며, 콘크리트 바닥이 그 위에 캐스트 되어지는 토대에 대하여 베이스부재(1)와, 그것을 상반으로 향하는 활주평면(3)을 갖는 상부 부재(2)를 구비하며, 콘크리트 레벨링장치는 그것이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될때 상기 활주평면(3)을 따라 그위로 활주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의 횡단면에서 볼때 베이스부재(1)와 상부부재(2) 사이에 연장되어있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 구조가 안정된 즉 견고한 측벽(4,5)을 구비한다. 그들 사이에서 측벽(4,5)은 지지부재의 단부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된 자유공간(6)을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측벽(4,5)에는 다수의 수평열로 전체측벽에 걸쳐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7,8)이 마련되어 있다. 각 관통공(7,8)은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측벽을 통해 공간(6)내로 자유롭게 흘러들어가서 그안에 쌓여지기에 충분히 크며, 관통공(7,8)의 수 및 분포도 충분하므로, 콘크리트가 응고되기전에 지지부재가 콘크리트내에 묻혀 있는 경우에 전체공간(6)이 콘크리트로 채워질 것이다. 구조가 안정된 측벽 이란 표현은 벽이 변형되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레벨링장치의 중량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4.5)은 그들이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부 부재(2)내에는 측벽(4,5)이 안정된 구조의 유니트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부재(1)는 각 측벽(4,5)에서 발부분(9,10)을 구비한다. 발부분(9,10)은 공간(6)으로 부터 돌출하여 측벽(4,5)에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부분(9,10)에는 특히 발부분이 토대위에서 약간 떨어지도록 조절되는 경우에, 발부분(9,10)의 하측으로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통과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11,12)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공(7,8,9,10)에 의해 재료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고 중량이 감소된다는 것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지부재의 중량의 가장 큰 감소는 공간(6)에 의해 달성된다.
지지부재, 또는 보다 정확하게 지지 및 레벨링 부재는 발부재(9,10)와 측벽(4,5)이 그들사이의 접는선에서 접속되도록 굽어진 평평한 금속박판 블랭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4,5)사이의 접합부 또는 리지(ridge)(13)는 그 자체가 전체 상부부재(2)이거나 이것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지(13)는 레일을 형성하는 구조가 안정된 몸체(14)의 형태로 제2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부재(2)의 일부분을 이루며, 상기 몸체는 리지(13)에 견고하게 고착되고 그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도 및제2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상방으로 향하는 플랜지(15)가 형성되어 있는 리지(13)에 의해 달성되며, 반면 레일(14)에는 플랜지(15)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홈(16)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레일(14)이 리지(13)에 고착된다. 레일(14)은 리지(13)에 착탈하게 접합될수 있으며, 그것은 레일(14)이 캐스팅 후에 제거될 경우에 유리하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부재(2)의 리지(13)에는 길이방향의 홈(17)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부재(2)의 몸체(14)에는 상기 홈(17)의 폭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는 하부(18)가 마련되어 있어서, 레일(14)의 홈(17)안으로 장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 실시예는 다음 2단계로 캐스팅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수 있다. 먼저 두꺼운 콘크리트층을 캐스팅하기 위해 즉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지지부재를 위치결정한 다음, 상승레일(도시하지 않음)을 지지부재의 상부에 인가한다. 이러한 상승레일은 제1도 및 제2도의 레일(14)로서 설계될수도 있으며 제1활주평면(3)위에 예를들면 10mm의 소정거리로 놓여있는 제2활주평면을 형성한다. 이후 단단한 콘크리트의 상부층을 예를들어 상기 10mm의 거리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도록 레벨링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에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레벨링 장치에 대한 소망의 레벨로 되게 하기 위하여 활주평면(3)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벨조절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나사(19)가 관통공의 에지와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발부분(9,10)의 관통공(11,12)의 크기에 상응하는 샤프트를 각각 갖는 나사(19)로 이루어진다. 일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나사(19)를 회전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수직위치가 빠르고 쉽게 조절될수 있다. 나사조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사(19)에 회전부재에 대한 결합수단, 예를들면 장방형의 횡단면을 갖는 나사의 상단에 있는 구멍(20)이 마련될수도 있다.
나사(19)를 위해 설계된 구멍, 또는 선택구멍(11,12), 예를들면 전부 4개의 구멍은 구멍의 에지부분이 나사(19)의 나사산 피치에 상응하도록 유리하게 형성될수도 있다. 이것은 제8도 및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의 에지부분(26)내에 만들어진 슬릿(25)에 의해 쉽게 달성되며, 이 슬릿(25)의 길이는 나사산의 길이보다 약간 더 크다. 슬릿(25)의 양쪽에 있는 구멍의 에지부분(26)은 실제로 나사산에 상응하는 슬릿(25)에 가까운 홈(27)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되어 굽혀 있으며, 굽혀진 경사는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에지 부분의 대칭측으로 가면서 0으로 감소한다. 반자와 같은 단단한 토대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그만 지지헤드가 마련되어 있는 나사의 하단이 토대에 대향하여 정지하기에 충분하다. 토대가 지반일 경우에는 나사(19)가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별도의 지지판(21)상에 놓이는 것이 상책이다. 나사와 지지판을 사용하지 않고, 토대가 지반이나 카세트로 이루어질 경우, 콘크리트 지정은 종래의 방법으로 토대상에 위치될수 있으며, 이 콘크리트 지점에서 지지부재가 정확한 레벨로 조절된다.
토대가 반자나 카세트로 이루어질 경우, 지지부재와 트러스형 철제가 소망의 레벨로 되게 하기 위하여 특수한 플라스틱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측벽(4,5)이 강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발부분(9,10)에 고정되고 그 사이로 뻗은 클램프(22)와 같은 특수한 록킹수단이 사용될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구멍(7,8)은 각 측벽(4,5)에 3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트러스형 철제를 아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콘크리트용 방벽부재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상부 에지가 리지(13)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에지는 자유롭게 발부분(9,10)의 높이 까지 연장한 가요성 재료의 커튼(23)이 공간(6)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공간(6)내에서 자유롭게 매달려 있다.
바닥이 칸막이된 구획내에서 캐스팅 되는 경우, 공간(6)내로 흘러들어가는 콘크리트가 각각 다른쪽 측벽(5) 또는 (4)의 내측과 접촉하여 커튼(23)을 누르기 때문에, 각각 한쪽 측벽(4) 또는 (5)를 통해 들어가는 콘크리트가 다른쪽 측벽(5) 또는 (4)를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렇게하여 구멍(8) 및 (7)이 각각 메워진다. 공간(6)내에 아직 채워지지 않은 부분은 인접구획에서 지지부재의 다른쪽에 캐스팅이 실시될때 콘크리트로 채워질 것이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리지(13)는 평평한 수평면을 가지며 레일을 형성하는 안정된 구조의 몸체(14)는 예를들면 적당한 접착제로 고착될수 있도록 평평한 면을 갖는다.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쪽 측벽(4)은 상술한 바와같이 경사지고 구멍(7)이 마련되어 있으며, 다른쪽 측벽(5)은 수직하며 구멍이 없다. 이 지지부재는 방벽을 형성하며 콘크리트가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들면, 구멍이 뚫려있지 않은 측벽(5)이 벽과 대면해야 하는 경우에는 벽에 대향하여 사용될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측벽(5)은 지지부재가 벽에 대향하여 놓여 있음 경우에 프레임내의 소리를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연질 또는 절연 재료로 덮혀 씌워질수도 있다.
수직한 측벽(5)은 발 부분을 갖지 않는다.
제7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한쪽 측면(4)은 경사지고 다른쪽은 수직한다. 양측벽(4,5)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멍(7,8)이 마련되어 있다. 수직한 측벽(5)은 길이방향의 홈(24)이 형성되도록 그 중간부분이 요입부되어 있다. 이 홈(24)은 완성된 콘크리트 바닥이 홈(24)과 그에 상응하는 돌기를 갖도록 콘크리트로 채워지며, 이 돌기는 제자리에서 사개물림(tongue and grooue joint)을 형성하며 그것에 의해 사개물림부분에서 콘크리트 바닥의 수직변위를 방지한다. 또다른 실시예(도시하지 않음)에 따르면, 수직측벽(5)에는 홈대신에 그에 상응하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면, 그에 상응하는 사개물림이 캐스팅시에 이렇게 행해진다.
발부분(9,10), 측벽(4,5) 및 리지(13)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는 플라스틱, 철강이나 팽창된 금속과 같은 금속, 목재, 충분한 두께(견고함)의 철망(wire-netting)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질수 있다. 레일을 형성하는 몸체(14)는 예를들면 플라스틱, 목재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수 있다. 레일(14)이 착탈가능할 경우에 그것이 제거될 수도 있으며, 원한다면, 콘크리트바닥이 응고되었을때 이렇게 얻어진 홈은 바닥내에서 바닥이 마모되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접합용 합성물로 채워진다.
측벽(4,5)이 상부부재로서 외측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콘크리트는 구멍을 통하여 보다 쉽게 흘러들어 갈 수 있다. 경사진 측벽(4,5)은 적당하게 서로 25°- 90°바람직하게는 30° - 60°의 예각을 이룬다.

Claims (14)

  1. 베이스부재(1)와, 지지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콘크리트 레벨장치가 활주평면(3)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활주평면(3)을 갖는 상부부재(2)를 구비하는, 토대위에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그들사이에서 길이방향의 공간(6)을 한정하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 안정된 구조의 측벽(4,5)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측벽(4,5)에는 캐스팅하는 동안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상기 공간(6)내로 흘러들어 갈수 있도록 배치된 다수의 관통공(7,8)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공간이 콘크리트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5)은 경사져 있으며, 그것에는 관통공(7,8)이 마련되어 있는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4,5)은 서로 25°- 90°, 바람직하게는 30°-60°의 예각을 이루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1)는 각 측벽(4,5)으로 부터 돌출한 발부분(9,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부분(9,10)에는 하측으로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11,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활주평면(3)을 소망의 레벨로 조절하기 위하여 발부분(9,10)에 있는 구멍(11,12)과 나사결합되도록 배치된 레벨조절나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레벨조절나사(19)를 지탱하며 토대에 대향하여 접합하기 위한 지지판(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2)는 측벽(4,5) 사이에서 리지형 접합(13)에 의해 형성된 하부와 상기 활주평면(3)을 가지며 레일을 형성하는 별도의 몸체(14)의 형태를 한 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14)은 리지(13)와 착탈 가능하게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서로 그들의 위치에서 측벽(4,5)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이스부재(1)의 대향하는 발 부분(9,10)과 결합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클램프형 록킹수단(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벽(4,5)에 있는 구멍(7,8)은 트러스형 철제를 조립하기 위한 다양한 임의의 지지레벨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열로 배치되며, 한쪽벽(4)의 구멍(7)과 다른쪽 벽(5)의 구멍(8)은 서로 대향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 방벽부재(23)가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다른쪽 벽(각각5,4)의 구멍(각각8,7)을 통해 흘러들어갈때 한쪽 측벽(4 또는 5)의 구멍(7 또는 8)을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공간(6)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필요한 지지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측벽(5)은 수직하며, 완성된 콘크리트 바닥에 있어서 본래있던 그 장소에서 사개물림을 형성하기 위하여 요입부 또는 돌기(24)가 그 중간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나사(19)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11,12)들은 그 에지부분이 나사의 나사산 피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슬릿(25)이 구멍의 에지부분(26)에 마련되어 있으며, 슬릿(25)의 길이는 나사산의 깊이 보다 약간 더 크고, 슬릿(25)의 양쪽에 있는 구멍의 에지부분(26)은 그 사이로 나사산을 수용하기 위하여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어 굽혀 있으며, 구멍 에지부분의 대칭쪽으로 가면서 굽힘이 0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KR1019930702675A 1991-03-13 1992-03-09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 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Expired - Lifetime KR10019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100759A SE468097B (sv) 1991-03-13 1991-03-13 Stoedelement foer anvaendning vid gjutning av betonggolv
SE9100759-1 1991-03-13
PCT/SE1992/000142 WO1992016701A1 (en) 1991-03-13 1992-03-09 Supporting element for use in casting concrete flo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8904B1 true KR100198904B1 (ko) 1999-06-15

Family

ID=2038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675A Expired - Lifetime KR100198904B1 (ko) 1991-03-13 1992-03-09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 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433051A (ko)
EP (1) EP0575380B1 (ko)
JP (1) JP3002538B2 (ko)
KR (1) KR100198904B1 (ko)
AT (1) ATE147458T1 (ko)
AU (1) AU657120B2 (ko)
BR (1) BR9205761A (ko)
CA (1) CA2105660C (ko)
DE (1) DE69216594T2 (ko)
FI (1) FI106320B (ko)
NO (1) NO179336C (ko)
SE (1) SE468097B (ko)
WO (1) WO1992016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42B1 (ko) 2009-09-26 2010-07-16 박종진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로측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0846C2 (sv) * 1992-12-22 1994-09-19 Combiform Ab Distanselement
FR2701980B1 (fr) * 1993-02-25 1995-05-24 Couvraneuf Système à joint pour la décoration des enduits et son procédé de fixation.
SE502606C2 (sv) * 1993-06-17 1995-11-20 Nivell System Ab Stödelement för uppbärande av konstruktioner såsom t ex formar vid gjutning av betonggolv, reglar vid läggning av golv, m m
DK16194A (da) * 1994-02-08 1995-08-09 Thorbjoern Lund Konsulent I Te Gulvleder til brug ved støbning af betongulve og -dæk
IT1290903B1 (it) * 1997-01-29 1998-12-14 Massimo Ferrante Metodo di fabbricazione di profilati rigidi snodabili manualmente, impiegabili come ossatura di pareti, contropareti, controsoffitti e
DE19722449A1 (de) * 1997-05-28 1998-12-03 Rene P Schmid Abschalelement
GB0015979D0 (en) 2000-06-30 2000-08-23 Fisher & Sons Tilers Ltd W Screeding device and system
ES1053970Y (es) * 2003-02-12 2003-09-16 Oliveras Valenti Centellas Junta de dilatacion para obras de hormigon.
NZ533777A (en) * 2004-06-25 2004-09-24 Christopher John Fothergill Co Controlling cracks in cementitious materials
US7908809B2 (en) * 2006-12-14 2011-03-22 Titan Atlas Manufacturing Screeding apparatus and system for a three dimensional panel
CN102644362B (zh) * 2012-04-20 2014-07-23 深圳广田装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抹灰施工方法
US20220364369A1 (en) * 2018-04-10 2022-11-17 Kurt Meiswinkel Plaster stop, drip screed, plaster reveal, plaster vent expansion joint & casing bead, and processes therefor
FI3887614T3 (fi) * 2018-11-29 2023-04-03 Peikko Group Oy Teräspalkki ja tuentajärjestely teräspalkin tukemiseksi kannattimesta
RU201402U1 (ru) * 2020-08-21 2020-12-14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Попов Пластина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направляющих обрешетки или маяков
WO2022039622A1 (ru) * 2020-08-21 2022-02-24 Сергей Сергеевич ПОПОВ Пластина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направляющих обрешетки или маяков
WO2023023724A1 (en) * 2021-08-23 2023-03-02 Screedex Pty Ltd Screed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69A (en) * 1914-02-28 1914-09-15 Arthur G Bagnall Combined plaster and cement base-screed.
US2156027A (en) * 1937-12-09 1939-04-25 Preble Andrew Young Building concrete structures
US2679156A (en) * 1952-12-11 1954-05-25 Merrill J Mcfarland Faced wall
US3222040A (en) * 1962-06-25 1965-12-07 John S Eckert Support plate for packed tower
US3295268A (en) * 1964-06-22 1967-01-03 Porter Co Inc H K Drip molding trim
FR2482646A1 (fr) * 1980-05-14 1981-11-20 Louis Pierre Profile formant regle perdue pour la construction de revetements de sol coules sur place
SE431667B (sv) * 1982-06-15 1984-02-20 Tremix Ab System for anvendning vid gjutning av betonggolv samt sett och form for tillverkning av i systemet ingaende balkar
AU578852B2 (en) * 1985-12-03 1988-11-03 Keith HONEYMAN Screed rail
GB8709877D0 (en) * 1987-04-27 1987-06-03 Clifton R A Concrete screed rails
WO1988009853A1 (en) * 1987-06-01 1988-12-15 Pell Sune Westh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th for a screeding means
AU604612B2 (en) * 1988-09-05 1990-12-20 Connolly, Alma Irene Concrete keyed joints
EP0436595A1 (en) * 1988-09-29 1991-07-17 WESTHED, Pell Sun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path for a screeding means
SE461671B (sv) * 1989-02-24 1990-03-12 Christer Lundwall Foerfarande vid gjutning av betongplattor samt avstaengarelement foer genomfoerandet av foerfarandet
AU623807B2 (en) * 1989-10-05 1992-05-21 Connolly, Alma Irene Concrete keyed joi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42B1 (ko) 2009-09-26 2010-07-16 박종진 바닥 및 벽면 시공 보조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로측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5660C (en) 2002-05-14
JPH06505775A (ja) 1994-06-30
NO179336C (no) 1996-09-18
NO933202D0 (no) 1993-09-08
FI933944A0 (fi) 1993-09-09
FI106320B (fi) 2001-01-15
AU1352492A (en) 1992-10-21
BR9205761A (pt) 1994-07-26
NO179336B (no) 1996-06-10
US5433051A (en) 1995-07-18
DE69216594D1 (de) 1997-02-20
JP3002538B2 (ja) 2000-01-24
ATE147458T1 (de) 1997-01-15
CA2105660A1 (en) 1992-09-14
DE69216594T2 (de) 1997-04-24
SE468097B (sv) 1992-11-02
SE9100759D0 (sv) 1991-03-13
WO1992016701A1 (en) 1992-10-01
EP0575380B1 (en) 1997-01-08
SE9100759L (sv) 1992-09-14
FI933944L (fi) 1993-09-09
AU657120B2 (en) 1995-03-02
NO933202L (no) 1993-09-08
EP0575380A1 (en) 199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904B1 (ko) 콘크리트 바닥을 캐스팅 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부재
US5839249A (en) Foam block wall and fabrication method
US4633634A (en) Building side wall construction and panel therefor
US7389620B1 (en) Composite pan for composite beam-joist construction
US7240463B2 (en) Structural member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8281551B2 (en) Corrugated shearwall
US8915042B2 (en) Steel frame structur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US4074487A (en) Multi-story wall framing system and method
CA2095695C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member for architectural joint systems
JPH02269267A (ja) 上階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の金属キー溝型枠に用いる調節自在な支持体
WO1995000732A1 (en) Supporting element
EP1548209A1 (en) Corrugated shearwall
US5493834A (en) Building structures, methods of construction, and wall framing section therefor
EP0345823A2 (en) Screed rails
EP0031167A2 (en) Method and mold for constructing a concrete floor
US20070119843A1 (en) Wall framing system
US2268822A (en) Ceiling construction
EP0493860A1 (en) Facade cladding system
JPS5817773Y2 (ja) 道路橋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桁
KR20060003675A (ko) 연결지지구를 이용한 마루판 조립체
JPS6136598Y2 (ko)
JPS60159225A (ja) 基礎型枠接続体
JPH11210211A (ja) 根太方式の二重床
WO1994015038A1 (en) Spacer
JPH0921170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レベル調整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212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