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8378B1 -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 Google Patents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378B1
KR100198378B1 KR1019970700720A KR19970700720A KR100198378B1 KR 100198378 B1 KR100198378 B1 KR 100198378B1 KR 1019970700720 A KR1019970700720 A KR 1019970700720A KR 19970700720 A KR19970700720 A KR 19970700720A KR 100198378 B1 KR100198378 B1 KR 10019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able
undergarment
longitudinal
wrapping element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4402A (ko
Inventor
피터 콜스
아구스틴 라모스 블랑코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97070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3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e.g. with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요실금자용 패드와 같은 흡수제품(20)에 관한 것이며, 이들은 흡수제품의 각 측방향 측면상에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면 가장자리 둘레에서 절첩되는 측면 랩핑 요소(50)를 갖는다. 구성요소들은 신장성 대역을 가짐으로써, 언더가멘트를 끌어 당길 때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면을 자동적으로 감싸도록 디자인된다. 중요하게는, 신장성 대역(56)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 유형에 상관없이 개선된 착용감을 제공하게 위하여 최적의 측방향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각 측방향 측면에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면 가장자리 주위에서 절첩되는 측면 랩핑 요소를 갖는, 생리대, 팬티 라이너 및 실금자용 패드와 같은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요소는 신장성 대역을 갖기 때문에 언더가멘트를 끌어올릴 때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면을 자동적으로 감싸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중요하게는, 신장성 대역은 착용자의언더가멘트 종류와는 상관없이 개선된 착용감을 제공하기위해 최적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배경기술]
생리대, 팬티라이너 및 실금자용 패드와 같은 흡수 제품은 전형적으로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에 착용되는 제품이다. 이러한 제품은 신체로부터 액체 및 기타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하고 신체 및 의류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생리대는 여성이 통상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신체의 회음부에 근접하게 팬티에 착용하는 흡수 제품이다. 특히 종종 측면 플랩(side flap)또는 윙(wing)이라고도 하는 측면 랩핑 요소(side wrapping elements)를 갖는 생리대는 문헌에 개시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리대가 측면 플랩을 가질 때, 측면 플랩은 중앙 흡수 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신장되며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서 팬티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측면 플랩에는 측면 플랩을 착용자의 팬티 하면 또는 반대쪽 측면 플랩에 고착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측면 플랩은 배출물이 착용자의 팬티 가장자리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기에 특히 효과적이다.
다양한 종류의 윙 또는 측면 플랩을 갖는 생리대는 미국 특허 제 4,687,478호(발명의 명칭 플랩을 갖는 성형 생리대(S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미국특허 제 4,608,047 호(발명의 명칭 생리대 부착 수단(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 미국 특허 제 4,589,876 호(발명의 명칭생리대(Sanitary Napkin)) 및 그의 재심사 특허 제 B1 4,589,876 호, 및 미국 특허 제 4,285,343 호(발명의 명창 생리대(Sanitary Napkin))에 개시되어 있다. 윙을 갖는 생리대는 통상적으로 우수한 더럽힘 방지 기능을 제공한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몇몇 여성들은 측면 플랩을 갖는 생리대를 사용하는 일이 여러 이유로 불편하다고 느낀다. 예를 들면, 몇몇 여성들은 측면 플랩을 그들의 팬티 가랑이 하면에 부착하는 것을 어렵게 여긴다. 이는 측면 플랩을 적당하게 절첩하여 생리대에 접착시키는 것과 같은 일을 어렵게 여기기 때문이다. 그 결과, 몇몇 여성들은 여전히 측면 플랩이 없는 생리대를 선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측면 플랩이 있는 생리대를 선호하는 몇몇 여성들도 가끔은(예를 들면 양이 적은 기간)측면 플랩이 없는 생리대를 선호한다. 따라서, 여전히 유사한 보호성을 제공하면서도 종래의 측면 플랩을 갖는 생리대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생리대가 필요하다.
종래의 측면 플랩을 갖는 생리대의 몇몇 변형물이 제시되어 왔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911,701 호는 중앙 흡수체의 신체-접촉부에 보다 굴곡있는 형태를 제공하고 측면 플랩을 팬티에 접착제 없이 위치시킬 수 있는 탄성 스크랜드를 갖는 생리대를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 4,940,462 호는 종방향으로 신장가능한 플랩을 갖는 생리대를 개시한다. 플랩은 착용자의 팬티의 외면위에 절첩되고 팬티의 굴곡에 맞게 확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추가의 개선 내용은 1993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8/124180 호 및 1994년 7월 20일자로 출원된 제 08/27773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제일 나중에 언급한 종래 기술 참고 문헌(미국 특허원 제 08/277733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신장부에 의해서 언더가멘트 주위로 측면 플랩을 절첩하는 것은 맞춤성 및 안락감을 위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특히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다리선이 깊이 파인 언더가멘트는 최근에서야 인기가 있지만 이미 상당수의 여성 특히 유럽의 여성들에 의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언더가멘트를 착용하고 신장부를 갖는 측면 플랩을 갖는 생리대를 사용하는 여성들은 신장부의 과도한 부분이 언더가멘트 내부에서 뭉치는 것 또는 언더가멘트의 탄성부 외부에서 나팔꽃처럼 벌어지는 것(flaring)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경우, 이는 안락감을 덜 느끼게 하거나 심지어 물리적인 자극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리선이 깊이 파인 언더가멘트의 경우, 측방향 대향면의 측면 플랩내의 신장부가 사용 도중에 언더가멘트 내부에서 뭉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흡수 제품은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선호하는 착용자에게 이미 충족된 바람직한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신장부를 갖는 종래 기술의 측면 플랩의 모든 성능 (더럽힘 방지 및 취급의 용이성 등)을 제공하고 전술된 문제점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종래의 측면 플랩에 대한 측면 츨랩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팬티 패스너가 있는 측면 플랩을 갖지 않고 착용자의 팬티 측면 주위로 감쌀 수 있고 탄성 스트랜드가 생리대에 부착될 필요없이도 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생리대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생리대를 밑에서 올려다 본 평면도이다.
제3도은 다리선인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다.
제4도는 제3도의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엉덩이 부분에서 절개하여 펼친 평면을 나타낸다.
제5도는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다.
제6도은 제5도의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엉덩이 부분에서 절개하여 펼친 평면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종래의 플랩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자의 팬티 측면 더럽힘(예를 들면 팬티 가랑이 가장자리가 얼룩지는 것)을 감소하기 위한 덮개를 제공하는 한쌍의 측면 랩핑 요소(또는 언더가멘트 덮개 요소)를 갖는다.
생리대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주몸체부를 포함한다. 측면 랩핑 요소는 주몸체부와 일체형이거나 주몸체부의 종방향 가장자리의 내부에 있는 주몸체부의 가멘트-접촉면에 연결된다. 측면 플랩 요소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가장자리부를 지나 신장되는 한쌍의 가요성 요소를 포함한다.
각 측면 랩핑 요소는 흡수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에 대칭적으로 위치된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이격된 신장성 대역을 갖는다. 신장성 대역은 측면 랩핑 요소의 인근 영역보다 더 크게 신장되는 랩핑 요소 영역이다. 신장성 대역은 종방향 중심선에 가장 가깝게 위치된, 측방향으로 가장 내부에 위치된 지점을 갖는다. 이러한 측방향 가장 안쪽 지점은 종방향 중심선과 4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mm 내지 60mm의 거리로 떨어져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는다면,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경우 신장성 대역을 위치(흡수 제품의 종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목적하는 안락감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언더가멘트에서 요구되는 신장성은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에서만큼 크지 않다. 따라서 신장성 대역이 요구되는 최대 신장성을 갖도록 구성된다면, 이들은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에서 다소 과도한 부분을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부분은 언더가멘트의 탄성부 외부에서 퍼지거나 서로 뭉치기 쉽고 착용자에게 자극감 또는 실제 자극을 느끼게 할 것이다.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장성 대역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 가랑이 가장자리부에 근접한 내부 가장자리에 위치할 것이다. 즉 제품을 언더가멘트에 위치시켰을 때 신장성 대역은 주로 언더가멘트 가랑이 영역 외부에 있게 될 것이다. 측면 플랩을 아래로 절첩 시켰을 때, 예를 들면 언더가멘트를 제 위치로 들어올렸을 때, 신장성 대역은 착용자의 관점에서 언더가멘트 아래에 위치한다. 따라서 연신되지 않고 서로 뭉칠 가능성이 있는 신장성 대역내 부분은 언더가멘트 외부에서 뭉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지 않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는 실제적인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는다. 동시에 언더가멘트를 끌어내렸을 때 (예를 들면 생리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신장성 대역내의 부분이 서로 뭉쳐져 있는 것이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영역 아래에 감추어져 있어 착용자가 이들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장성 대역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가장자리부위에 측방향으로 신장되면서 놓여져 있다. 즉, 신장성 대역은 필수적으로 언더가멘트 가랑이 가장자리 주위에 집중될 것이다. 특히 폭이 넓은 가랑이를 갖는 언더가멘트에서 신장성 대역은 주로 언더가멘트 가랑이 가장자리 내부에 있을 수 있다. 측면 플랩을 아래로 절첩시킬 때, 예를 들면 언더가멘트를 제 위치로 들어올릴 때, 신장성 대역은 언더가멘트의 내부 및 언더가멘트 가랑이 가장자리 주위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 및 이러한 위치에서 신장성 대역은 거의 완전히 신장되기 때문에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면 플랩의 잇점이 유지되면서도 뭉침 또는 벌어짐이 일어나지 않는다.
측면 랩핑 요소가 흡수 제품의 제몸체부와 일체형인 경우, 주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는 측면 랩핑 요소의 주면부 및 주몸체부의 종방향 가장자리의 교차점의 주위로 신장하는 노치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일체형 측면 랩핑 요소의 경우, 대칭적인 한쌍이상의 신장성 대역이 상기 노치 영역으로 신장되는 것, 즉 각 신장성 대역이 주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의 요소로서 제공되고 상기 가멘트-접촉면에 부착된(또한 이들이 부착된 지점의 바깥쪽에서는 부착되지 않은) 측면 랩핑 요소에 대한 대안으로서, 신장성 대역의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에서 종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40mm 내지 50mm이다.
일반적으로 신장성 대역은 주로 종방향 중심선 또는 주로 횡방향 중심선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 일체형인 측면 랩핑 요소의 경우, 신장성 대역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흡수 제품의 외부 주변부와 가능한한 가까운 방향을 따라 신장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신장성 대역은 절첩선이 있는 주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측면 랩핑 요소는 측면 랩핑 요소의 횡방향 중심선의 각 측면에 하나이상의 신장성 대역 및 측면 랩핑 요소의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더 강성이 있고 덜 신장성인 중간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랩핑 요소의 횡방향 중심선의 대향면에 있는 신장성 대역들간의 종방향 거리는 20mm 내지 100mm이다.
상기 실시태양에서, 측면 랩핑 요소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되고 전 길이에 걸쳐 신장성을 갖는 유사한 측면 랩핑 요소보다 굴곡, 구겨짐 및 기타 종방향 변형에 대해 보다 잘 견딘다. 측면 랩핑 요소의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위치된 더 강성이 있고 덜 신장되는 중간 영역은 측면 랩핑 요소가 굴곡 및 구겨짐에 보다 잘 견디도록 한다. 이로 인해 측면 랩핑 요소가 착용자의 팬티의 탄성화된 측면에 절첩되게 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의해 흡수 제품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구겨지지 않도록 한다.
측면 랩핑 요소가 구겨짐에 견디고 본 발명에 따라 이격된 신장성 대역을 갖기 때문에 측면 랩핑 요소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가장자리부 주위로 언더가멘트의 하면을 향해 자동적으로 절첩되고, 흡수 제품이 언더가멘트에 위치하고 언더가멘트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끌어올려질 경우 상기와 같이 가랑이 가장자리부에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신장성 대역 및 더 강성이 있는 중간 영역은 또한 측면 랩핑 요소의 절첩 방식 및 위치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측면 플랩을 갖는 종래의 생리대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측면 랩핑 요소는 착용자가 그의 팬티아래로 생리대 플랩을 접거나 이들을 팬티에 부착시키는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다. 측면 랩핑 요소는 착용자의 팬티 하면에 고착되지 않고도 착용자의 팬티의 측면 가장자리를 덮기에 충분히 잘 위치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특히 주몸체부에서 밖으로 멀리 떨어진 측면 랩핑 요소의 경우, 생리대는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패스너를 가질 수 있다. 접착 패스너는 주몸체부의 가멘트-접촉면에 제공될 수 있고 측면 랩핑 요소의 가멘트-접촉면으로 신장될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특히 가랑이가 좁은 팬티에서, 측면 랩핑 요소의 일부가 겹칠 수 있도록 측면 랩핑 요소는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의 측면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측면 랩핑 요소의 절첩된 부위 사이에 팬티의 측면 가장자리가 끼인 신규한 구조가 형성된다.
제1도 내지 제2도는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 제품(20)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생리대와 같은 흡수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주 몸체부(21), 및 착용자가 생리대를 자신의 팬티에 놓고 팬티를 당겨 올릴 때 착용자의 팬티의 측면을 둘러싸는 한 쌍의 측면 랩핑 요소(50)를 갖는 생리대와 관련된다.
생리대(20)는 두 개의 면, 즉 액체 투과성 신체-접촉 표면 또는 신체 대향면(23) 및 액체 불투과성 가멘트 대향면을 갖는다. 제1도에는 신체 대향면(23)으로부터 바라본 생리대(20)가 나타나 있다. 신체 대향면(23)은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여 착용되게 한다. 생리대(20)의 가멘트 대향면은 제2도에 나타나 있고, 이는 반대쪽 면이며 생리대(20)의 착용시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인접하여 착용되게 한다.
생리대(20)는 두 개의 중심선, 즉 종방향 중심선(L) 및 횡방향 중심성(T)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종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생리대(20)를 착용하였을 때 직립 착용자를 좌반신과 우반신으로 이등분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즉,거의 평행하게) 정렬된 생리대(20) 평면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에 수직인 생리대(20)의 평면 안에 놓여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제1도는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1)를 나타낸다. 이러한 주 몸체부(21)는 측면 랩핑 요소를 제외한 생리대의 부분을 포함한다. 주 몸체부(21)는 두 개의 이격된 종방향 가장자리(22)를 갖는다. 생리대 및 이의 주 몸체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미국 특허 제 4,690,68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1)는 임의의 두께일 수 있으며, 비교적 두껍거나 비교적 얇거나 심지어는 매우 얇을 수도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생리대(20)의 실시양태는 비교적 얇은 생리대, 바람직하게는 초박형 생리대의 예로서 고안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제 5,009,653 호에 기재된 초박형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약 3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제1도 또는 제2도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1)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생리대의 주 몸체부(21)는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0) 및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42)를 포함한다. 그러나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같은 이러한 구성요소중의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 이상이 하기 설명될 측면 랩핑 요소(50)의 일부로서 작용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 코어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외형으로 (소위,샌드위치 제품 및 튜브 제품을 포함하여) 조립될 수 있다.
몇몇의 바람직한 생리대의 구성이 일반적으로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참조: 미국 특허 제 4,321,924 호, Bordered Disposable Abosorbent Article; 미국 특허 제 4,425,130 호, Compound Sanitary Napkin;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미국 특허 제 5,308,346 호, Elasticised Sanitary Napkin; 1993년 7월 22일자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란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8/096,121 호; 1993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Comprising Extensible Web Materials Which Exhibit Elastic-Like Behavior란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8/124,180 호]. 생리대의 주 몸체부(21)는 또한 이러한 생리대 및 다음 문헌에 기재된 생리대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신장성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참조: PCT 공개특허 WO 93/01785 및 제 93-01786 호].
제1도 및 제2도는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가 흡수 코어(42)의 길이보다 일반적으로 더 긴 크기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샌드위치 구조로 조립된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는 흡수 코어(42)의 가장자리 밖으로 연장됨으로써 주변부(26)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주 몸체부(21)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22) 밖으로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한 쌍의 측면 랩핑 요소(50)를 포함한다. 흡수 코어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주 몸체부에 구조적 일체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면시이트가 임의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변부를 따라 배면시이트에 연결된다. 제1도 또는 제2도에 있어서, 이는 배면시이트에 상면시이트를 권축(crimping)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 및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랩핑 요소(50)는 앞에서 언급한 미국 특허원 제 08/096,121 호 및 제 08/124,180 호 및 특히 미국 특허원 일련번호(case 5354)에 기재된 팬티 덮개 요소에 대해 개시된 임의의 치수 및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 랩핑 요소(50)는 주 몸체부(21)와 일체형일 수 있다. 그러나 측면 랩핑 요소(50)는 선택적으로, 주 몸체부(21)에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연결된이란 용어는 하나의 qnwod가 다른 부재에 직접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적으로 고착된 구성;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중간 요소(들)에 부착됨으로써,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고착된 구성; 및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와 일체형인 구성, 즉 하나의 부재가 필수적으로 다른 부재의 일부분인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측면 랩핑 요소(5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 몸체부(21)의 상면시이트(38) 및 배면시이트(40)의 일체형 연장부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일체형 대신, 측면 랩핑 요소(50)가 흡수 제품의 가멘트 대향면에 접착되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측면 랩핑 요소(50)는 그 안에 두 신장성 대역(56)을 갖는 웹물질을 각각 포함한다. 측면 랩핑 요소(50)상의 모든 신장성 대역(56)에서의 신장성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56)은 상이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신장성 대역(56)에서의 신장성이 경우에 따라 변할 수도 있다.
신장성 대역(56)은 생리대를 팬티에 착용하는 힘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20내지 약 9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8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0% 신장될 수 있다. 신장성 대역(5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탄성없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신장성 대역(56)중위 임의의 고유 탄성(즉, 신장성 대역을 포함하는 물질이 그의 원래 치수로 돌아가려는 경향)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거나 전혀 없다.
제1도 및 제2도는 신장성 대역(56)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와 결정된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생리대의 종방향 중심선 및 생리대의 횡방향 중심선은 흡수 제품의 모든 구성 요소들의 대칭선이기도 하다. 따라서, 신장성 대역의 위치 결정은 대역중의 하나만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신장성 대역의 가장 안쪽 지점은 종방향 중심선과 평행한 이론적인 선을, 이론적인 선이 신장성 대역에 접촉할 때까지 신장성 대역쪽으로 움직여서 알아낼 수 있다. 이 때, 신장성 대역과 접촉하는 이러한 이론적인 성과 종방향 주심선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각각의 신장성 대역에 있어서, 이 거리는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이어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품의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22)는 종방향 중심선의 각 측면상에 측면 랩핑 요소 주변부의 두 개의 교차점 P를 갖는다. 각각의 교점 P 주위로 흡수 제품의 주 몸체부 부분 뿐만 아니라 측면 랩핑 요소 부분을 혼입하는 노치(notch) 영역이 연장된다. 적어도 일부분의 신장성 대역이 측면 랩핑 요소로부터 주 몸체부 노치 영역으로 연장되지만 흡수 코어(42)의 영역으로는 연장되지 않도록, 신장성 대역이 노치 영역 이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해 변함이 없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 랩핑 요소(50)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신장성 대역(56)들 사이에 위치한 사다리꼴 모양의 중간 영역 또는 대역(58)을 갖는다. 중간 영역(58)은 측면 랩핑 요소의 원위 가장자리(54) 부분을 포함한다. 중간 영역(58)은 신장성 대역(56)보다 강성이 더욱 크다(즉, 굴곡에 대한 저항성이 더욱 크다). 중간 영역(58)은 또한 신장성 대역(56)을 포함하는 측면 랩핑 요소 부분보다 덜 신장될 수도 있다. 중간 영역(58)은 굴곡 및 구겨김에 대해 더욱 큰 저항성을 갖는 측면 랩핑 요소(50)를 제공하여, 측면 랩핑 요소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의해 가압될 때, 구겨지지 않고 오히려 팬티 탄성부상에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강성이 더욱 큰 중간 영역(58)은 착용자가 생리대의 오염을 확인하려 팬티를 끌어 내리고 다시 팬티를 끌어 올릴 때,팬티 탄성 덮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강성이 더 큰 물질은 측면 랩핑 요소가 주 몸체부의 상부에서 위쪽으로 절첩되지 않고 생리대의 주 몸체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며, 이 때 더 얇은 물질은 팬티를 아래로 당기는 동작중에 위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팬티를 다시 올릴 때 상면시이트상에 위쪽으로 절첩되는 경향이 있다. 팬티 및 생리대를 다시 당겨 올릴 때, 더욱 얇은 물질은 또한 착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잡혀지지 않고 그 자리로 돌아간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사용중 구겨지기 보다는 절첩되어 착용자의 팬티의 가장자리를 자동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충분한 굴곡 저항성 및 구겨짐 저항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생리대의 주 몸체부의(21)의 제조시 사용된 임의의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실시양태중의 측면 랩핑 요소(50)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시이트 물질 및 배면시이트 물질과 같은 두 물질의 적충물을 포함한다. 별도로 접착된 측면 랩핑 요소는 동일한 방법으로, 또는 상이한 적층물로부터. 예를 들면 종방향으로 신장성 스펀본드 부직 웹 또는 연성 신장성 성형 필름과 같은 연성 신장성 커버스톡 물질, 3차원 성형 필름과 같은 선택적인 신장성 중간층 및 폴리에틸렌 필름 배면시이트 물질과 같은 신장성 액체 불투과성 배면을 적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측면 랩핑 요소를 위한 적절한 물질은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선택적으로, 중간층을 제공하기에 유용한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적절한 부직 웹은 스펀본드 PE[공급원: 버지니아주 웨이네스보로 소재의 폴리본드 인코포레이티드(Polybond, Incorporated)]로서 공지된 제품 및 코롤린드(COROLIND) PE[공급원:독일 코로빈(Corovin) GMBH]로서 공자된 제품을 포함한다.
신장성 중간층으로서 또는 상면시이트 물질로서,드라이-위브(DRI-WEAVE)로서 공지된 다양한 3차원 성형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드라이-위브는 미국 특허 제 4,342,314 호 및 제 4,463,045 호하에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The Procter Gamble Company)에 의해 제조된 생리대의 상면시이트로서 사용된다. 3차원 필름은 0.38 내지 0.89 ㎜의 엠보싱 두께를 갖고, 측면 랩핑 요소에 사용하기 위해 천공되거나 또는 드라이-위브 상면시이트 물질의 경우와 같이 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체성 측면 랩핑 요소의 경우, 측면 랩핑 요소의 상면시이트 측면을 형성하는 필름의 종방향 측면상에서 천공부가 폐쇄되도록 드라이-위브 상면시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배면시이트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04 ㎜의 두께를 갖는 LLDPE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유용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P18-1401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의 클로패이(Clopay)코포레이션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제의 나선형 도포 또는 슬롯(slot)피복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부직 필름 및/또는 성형 필름과 함께 측면 랩핑 요소의 적층물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함께 용융접착되거나 압출될 수 있다.
복합 적층물은 바람직하게는 0.13 내지 1.5의 두께를 갖고, 파열되지 않고 약 25 내지 80% 연장될 수 있다. 연성 신체-접촉 대향면, 내부에 대역이 형성될 때 신장성 대역에서의 우수한 신장성, 절첩 및 구겨짐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 및 액체 불투과성 차단제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적층물이 선택된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무수한 상이한 방법으로 신장성 대역(56)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랩핑 요소(50)는 신장성 대역을 위한 신장성 여여역을 갖추고 있는 실질적으로 비신장성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신장성 영역은 기계적 인장, 주름잡기, 링 롤링(ring rolling), 가열하여 변형, 측면 랩핑 요소(50)부분을 매팅(mating)판 사이에서 압축시키는 방법 등을 포함하는(단,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측면 랩핑 요소의 상이한 신장성을 갖는 물질로 측면 랩핑 요소를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면 랩핑 요소(50)는 신장성 물질 및 비신장성 물질의 적층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비신장성 물질이 측면 랩핑 요소의 구성부중에 제공될 수 있다. 비신장성 물질은 신장성 대역이 위치하는 곳에서 절단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러한 비신장성 물질은 신장성 물질에 적층되어, 비신장성 물질로부터 구멍이 절단된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면 랩핑 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난 실시양태는 측면 랩핑 요소의 두 영역을 롤링(또는 예비-주름잡기)하여 형성된 신장성 대역(56)을 갖는다. 링 롤링을 위한 적절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 4,107,364 호, 미국 특허 제 4,834,741 호, 미국 특허 제 5,143,679 호, 미국 특허 제 5,156,793 호 및 미국 특허 제 5,167,897 호에 기재되어 있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종방향 중심선(L)으로부터 각이 진 절첩선(60)을 갖는 링 롤링된 주름을 가질 수 있다. 절첩선(60)은 종방향 중심선과 임의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도의 실시양태에 나타난 각 A는 30˚이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태양에서 신장성 대역(56)의 일반적인 위치는 몇가지 이유에서 바람직하다. 신장성 대역(56)이 이격되어 떨어져 있고 강화된 중심영역(5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굴곡 및 구겨짐에 대해 저항성이 개선되고,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 둘레에서 접히는 방식에 대한 조절성이 커진다. 이러한 측면 랩핑 요소(50)는 전적으로 신장성 대역(56) 및 중간 영역(58)에서 접힌다. 이로 인해 측면 랩핑 요소는 더 견고해지고 측면 랩핑 요소가 오로지 신장성이도록 제조되고/제조되거나 전체 면적에 걸쳐 동일한 강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보다 더 쉽게 접힐 수 있다.
제1도 또는 제2도에 도시된 신장성 대역이 바람직한 다른 이유는 언더가멘트의 상이한 치수를 고려할 때 알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 다리선이 얕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구별할 수 있다. 제3도는 다리선이 많이 파인 언더가멘트를 착용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제4도는 제3도의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언더가멘트의 둔부에서 잘라 편평하게 펼친 것을 도시한다. 제5도는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착용하였을 때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제5도의 동일한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를 언더가멘트의 둔부에서 잘라 편평하게 펼친 것을 도시한다. 제4도 및 제6도로부터, 언더가멘트의 가량이 폭 부분(102)이 언더가멘트의 두 스타일 사이의 중요한 차이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는 가랑이 폭이, 예컨대 74㎜인 한편,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언더가멘트는 가랑이 폭이, 예컨대 118㎜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언더가멘트의 다리 개구부(104)의 중심 부분을 따라 구부러진 특정 형태는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보다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경우 더 완만하다. 이로 인해 가랑이 폭은 측면 랩핑 요소의 신장성 대역의 신장성에 의해 조정되도록 된다.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매우 최근에 생리대 착용자 들에게 점차 인기를 모으고 있음)의 가랑이 영역에 생리대를 위치시키는 경우, 생리대가 신장성 대역과 종방향 중심선 사이에 매우 짧은 거리를 갖는다면, 신장성 대역의 실질적인 부분은 착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언더가멘트의 안쪽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형태로 인하여 이러한 신장성 물질은 최대한으로 연신되지 않으므로 언더가멘트의 내부에 접혀지거나 또는 주름진 상태로 남게된다.
이러한 문제는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에서는 분명히 일어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신장성 구역과 종방향 중심선 사이의 거리가 짧은 생리대는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측면 가장자리의 특정 형태 및 더 넓은 가랑이 폭으로 인하여 언더가멘트의 측면 가장자리주위에서 펼쳐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는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착용자에게 필요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특정 형태에 의해 야기된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다리선이 깊게 파인 언더가멘트의 경우 신장성 대역은 대부분의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가장자리 둘레에서 절첩되어 나머지 주름부 또는 절첩부가 착용자 입장에서 볼 때 언더가멘트의 외부에 놓여지게 된다. 그러나, 다리선이 얇게 파인 언더가멘트에 의해 요구되는 연신성 증가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언더가멘트의 가랑이 가장자리에 대한 신장성의 위치는 언더가멘트내의 신장성 대역의 일부가 신장되지 않은 채로 있다면, 매우 적절하다.
생리대(20)의 가멘트 대향면은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생리대를 부착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기는 가랑이 영역에 고정시키는데 적합한 중심 패드 패스너(44)를 도시한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패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를 포함하는 패스너는 이러한 목적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생리대(20)를 사용시 위치시키기 전에, 접착성 패스너를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는 사용전에 팬티의 가랑이 부분이 아닌 표면에 점착되지 않도록 전적으로 제거가능한 커버 스트립 또는 릴리이스 라이너로 덮혀진다. 적합한 릴리이스 라이너는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제2도는 종방향 중심선(L) 주위에 집중된 한 쌍의 이격된, 종방향-배향된 접착제 스트립 또는 대역을 서용하는 바람직한 태양을 도시한다. 또한, 측면 랩핑 요소상의 접착제 덮개, 스트립 또는 대역(48)도 종방향 중심선(L) 주위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에게 동일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또 다른 더 강력한 접착제 물질이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사용 전에 릴리이스 라이너에 의해 덮혀진다.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예컨대 릴리이스 라이너를 제거한 후 접착제(44) 및 다른 패스너(48)가 팬티에 접촉하여 생리대를 사용중에 팬티내의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팬티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측면 랩핑 요소(50)는 착용자가 팬티를 끌어 당기는 단순한 행동에 의해, 또는 착용자가 언더가멘트 가랑이 가장자리 둘레로 부드럽게 밀어냄으로써 자동적으로 착용자의 팬티의 측면을 감싼다. 그 다음, 측면 랩핑 요소(50)는 착용 위치를 취한다.
측면 랩핑 요소(50)의 기능은 통상의 측면 플랩의 기능과는 몇가지 면에서 구별될 수 있다. 첫째, 한 쌍의 팬티에 통상의 플랩을 갖는 생리대를 위치시키고, 팬티를 끌어 당기는 것은 본 발명의 자동 지속성 겹짐 특징을 일정하게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통상의 플랩에는 굴곡 및 구겨짐에 대한 저항성이 제공되어 있지 않아서, 이들은 일반적으로 팬티를 둘러싸서 신장성 대역을 가지면, 이들은 착용자에게 실제로 불편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과잉의 신장성 플랩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측면 랩핑 요소는 팬티의 (탄성 함유) 가장자리를 둘러싸지만, 과잉의 플랩 물질과 관련된 문제는 피한다.
[또 다른 태양]
다수의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측면 랩핑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한 거울상을 가지며,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이다. 그러나, 본원에 기술된 측면 랩핑 요소의 형태 및 위치는 바람직한 태양이며, 다른 태양도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측면 랩핑 요소(50)는 주 몸체부의 각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대칭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 측면 랩핑 요소가 다른 하나보다 더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측면 랩핑 요소(50)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주 몸체부의 다른 쪽보다 한쪽 말단 가장자리를 더 향하여 치우칠 수도 있다.
팬티 라이너란 용어는 여성이 일반적으로 생리기간에 착용하는 생리대 보다 부피가 적은 흡수제품을 지칭한다. 본원에 기술된 측면 랩핑 요소가 제공될 수 있는 팬티라이너 형태의 적합한 흡수제품은 팬티라이너란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38,6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요실금자용 제품이란 용어는 성인, 어린이 또는 유아가 착용할 수 있는 패드, 언더가멘트(벨트 등과 같은 동일한 유형의 서스팬션(suspension) 시스템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는 패드), 흡수제품용 삽입물, 흡수제품용 용량 부스터(capacity booster), 브리이프, 취침용 패드 등을 지칭한다. 본원에 기술된 측면 랩핑 요소가 제공 될 수 있는 적합한 요실금자용 제품은 미국 특허 제 5,300,054 호 및 미국 특허 제 5,304,161 호에 개시되어 있다.

Claims (11)

  1. 종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신체 대향면, 가멘트 대향면, 및 한 쌍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주 몸체부; 및 상기 주 몸체부에 결합되어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 너머 측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의 측면 가장자리둘레에서 절첩되는 한 쌍의 측면 랩핑(wrapping)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각각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신장성 대역이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을 가지고, 상기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이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상기 신장성 대역안의 지점이고, 상기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에서 상기 종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가랑이 영역을 갖는 착용자의 언더가멘트에 착용하기 위한 흡수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에서 종방향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40㎜ 내지 60㎜인 흡수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대역이 주로 종방향으로 신장성인 흡수제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대역이 주로 횡방향으로 신장성인 흡수제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대역이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신장성인 흡수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흡수제품의 상기 종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횡방향 중심선을 가지고,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상기 횡방향 중심선의 대향측면상에 둘 이상의 신장성 대역 및 이들 신장성 대역 사이에 위치란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이 상기 횡방향 중심선을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방향 중심선의 대향 측면상의 상기 신장성 대역들 사이의 종방향 거리가 20㎜ 내지 100㎜인 흡수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절첩선을 갖는 주름부가 하나 이상의 신장성 대역에 제공되는 흡수제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상기 주 몸체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측면 랩핑 요소의 주변과 상기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의 교선 둘레에서 연장되는 노치(notch)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 너머로 연장되는 흡수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한쌍 이상의 대칭적 신장성 대역이 상기 노치 영역내로 연장되는 흡수제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상기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 안쪽의, 상기 주 몸체부의 가멘트 대향면에 결합된 별도의 요소로서 제공되고, 상기 측면 랩핑 요소가 이들이 결합된 곳으로부터 바깥쪽의 상기 가멘트 대향면에 부착되지 않는 흡수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대역의 측방향으로 가장 안쪽의 지점과 상기 종방향 중심선 사이의 상기 거리가 40㎜ 내지 50㎜인 흡수제품.
KR1019970700720A 1994-08-03 1995-07-13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198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202252A EP0695542A1 (en) 1994-08-03 1994-08-03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EP94202252.6 1994-08-03
PCT/US1995/008754 WO1996003948A1 (en) 1994-08-03 1995-07-13 Absorbent articles having laterally spaced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4402A KR970704402A (ko) 1997-09-06
KR100198378B1 true KR100198378B1 (ko) 1999-06-15

Family

ID=821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0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8378B1 (ko) 1994-08-03 1995-07-13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695542A1 (ko)
JP (1) JPH10503685A (ko)
KR (1) KR100198378B1 (ko)
AU (1) AU3008095A (ko)
CA (1) CA2196421C (ko)
WO (1) WO1996003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9841B1 (en) * 1996-03-30 2002-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wings predisposed towards their in-use-position
KR100322312B1 (ko) * 1996-06-11 2002-06-20 데이비드 엠 모이어 주름진언더가멘트덮개성분을갖는흡수제품
EP1035814B1 (en) * 1997-12-05 2003-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und sanitary napkin having flaps and zone of extensibility
IL139123A0 (en) 1998-05-08 2001-11-25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443936B1 (en) 1999-08-06 2002-09-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ve system to provide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US7252656B2 (en) 2004-02-18 2007-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wings having corrugated reg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7811271B2 (en) 2005-09-09 201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 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462A (en) * 1988-02-26 1990-07-10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flaps
US4917697A (en) * 1988-03-31 1990-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MA22660A1 (fr) * 1991-10-01 1993-04-01 Procter & Gamble Article absorbant comportant des rabats et des zones d'extensibilite differentielle .
SE508450C2 (sv) * 1992-11-11 1998-10-05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jämte sätt för framställning hära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0856A (es) 1997-09-30
JPH10503685A (ja) 1998-04-07
CA2196421C (en) 2001-01-30
AU3008095A (en) 1996-03-04
KR970704402A (ko) 1997-09-06
EP0695542A1 (en) 1996-02-07
CA2196421A1 (en) 1996-02-15
WO1996003948A1 (en) 199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8276B2 (ja) 下着の端部の周りに折り曲げるのに適した下着カバー用要素を有する吸収性の製品
US5391162A (en) Sanitary napkin or an incontinence guard having flexible side-flaps
AU662068B2 (en) Curved sanitary napkin with garment attachment panels
EP0790816B1 (en) A panty-type sanitary napkin
JP3532196B2 (ja) 単一使い捨て吸収物品
EP1117361B1 (en) Absorbent product with laterally movable portions
EP1027874A2 (en) Disposable absorbent pull-up type diapers and incontinent briefs
JP3902648B2 (ja) 下着の側部を自動的に覆う下着被覆構成要素を有する吸収物品
JPH07509164A (ja) パンティの両サイドを自然に包むパンティカバー部材を有する吸収用品
JP4040085B2 (ja) 調整可能な下着保護システムを備えた吸収物品
US20080071240A1 (en) Article with adjustable elastomeric waist belt
RU2711069C1 (ru) Комплект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содержащий изделия с тремя или более разными размерами
KR100198378B1 (ko) 신장성 대역을 갖는 측방향으로 이격된 언더가멘트 측면 랩핑 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WO2017105521A1 (en) Pants-type absorbent article with ergonomic fit channel
US20030040731A1 (en) Absorbent article
JP2974970B2 (ja) 吸収物品
KR100322312B1 (ko) 주름진언더가멘트덮개성분을갖는흡수제품
KR19990063606A (ko) 당김 날개를 가진 일회용 흡수성 제품
KR100279175B1 (ko) 사용중 위치를 향하여 사전에 배치된 날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EP0764434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pull out wings fixed in a delivery position
JP2009136600A (ja) 吸収性物品
AU730745B2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laterally spaced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
JP2023111752A (ja) 吸収性物品
HK101323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MXPA97000856A (en) Absorbent articles that have side elements of interior clothing, laterally separated, with extens capacity z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