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6641B1 -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41B1
KR100196641B1 KR1019950066349A KR19950066349A KR100196641B1 KR 100196641 B1 KR100196641 B1 KR 100196641B1 KR 1019950066349 A KR1019950066349 A KR 1019950066349A KR 19950066349 A KR19950066349 A KR 19950066349A KR 100196641 B1 KR100196641 B1 KR 10019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signal
digital
mobile phon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957A (ko
Inventor
강대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5006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641B1/ko
Publication of KR97005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신호 발생부(10)와, 핸드폰과 음성신호 발생부(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메모리부(21)에 저장한 후 저장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0)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1신호 변환부(CODEC1)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30)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 변환부(CODEC2)와, 결합단자(CON1)를 통해 입력되는 핸드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한편, 제2신호 변환부(CODEC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결합단자(CON1)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달하는 결합부(40) 및, 음성신호 볼륨 감지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하는 중앙 처리장치부(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전체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전체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신호 발생부 20 : 디지털 신호처리부
21 : 메모리부 30 : 음성신호 출력부
40 : 결합부 50 : 중앙처리장치부
R : 저항 VR : 가변저항
OP : 증폭기 C : 커패시터
M : 마이크 S : 스피커
CODEC : 코더디코더 CON : 결합단자
ARAM,EPROM : 메모리 CPU : 중앙처리장치
HHP : 휴대폰 Vcc : 전원전압
LC : 레벨비교기 TA : 송신감쇄기
RA : 수신감쇄기
본 발명은 이동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디지털신호 프로세싱 집적회로(DSP IC), 메모리, 코더디코더 및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한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핸즈프리장치는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M101)와, 상기 마이크(M101)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OP101)와, 상기 증폭기(OP101)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레벨을 감쇄시키는 송신감쇄기(TA)와, 상기 송신감쇄기(T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레벨을 증폭시키는 증폭기(OP102)와, 상기 증폭기(OP102)의 출력단과 휴대폰(HHP)을 연결하는 결합단자(CON101)와, 상기 결합단자(CON101)의 수신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103)와, 상기 증폭기(OP103)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레벨을 감쇄시키는 수신감쇄기(RA)와, 상기 수신감쇄기(R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신호레벨을 증폭시키는 증폭기(OP104)와, 상기 증폭기(OP104)의 출력단과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가변저항(VR101)과, 상기 가변저항(VR101)에 접속된 증폭기(OP105)와, 상기 증폭기(OP105)의 출력단에 접속된 스피커(S101)와, 상기 증폭기(OP105)의 입력단에 접속된 가변저항(VR101)과, 상기 증폭기(OP101, OP104)의 출력단과 접속된 레벨비교기(LC1)와, 상기 증폭기(OP102, OP103)의 출력단과 접속된 레벨비교기(LC2)와, 상기 송신감쇄기(TA)와 수신감쇄기(RA) 및 레벨비교기(LC1, LC2)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구성된다.
종래의 핸즈프리장치에서의 음성신호의 송수신과정을 설명하면, 마이크(M101)→증폭기(OP101)→송신감쇄기(TA)→증폭기(OP102)→결합단자(CON101)의 송신단자→핸드폰(HHP)로 이루어지는 송화로 또는 핸드폰(HPP)→결합단자(CON101)의 수신단자→증폭기(OP103)→수신감쇄기(RA)→증폭기(OP104)→증폭기(OP105)→스피커(S101)로 이루어지는 수화로 중에 일방의 신호레벨이 우세한 경우에는 레벨비교기(LC1, LC2)는 송화로와 수화로의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송화로의 신호레벨이 수화로의 신호레벨보다 크면 수화로에 음성신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송화로의 신호레벨을 크게하고, 반대로 수화로의 신호레벨이 송화로의 신호레벨보다 큰 경우에는 수화로의 신호레벨을 크게하므로 음성신호는 일방향으로 송신 또는 수신된다.
종래의 음성신호의 송수신과정에 따르면 핸즈프리장치의 송화로, 수화로의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이동전화의 특성상 연속되는 주변잡음 및 에코등을, 송화로, 수화로의 신호레벨을 감쇄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함으로써, 통화품질이 저하되고, 또한 자동응답, 자동안내, 신호레벨조정, 리모트제어, 음성명령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화로, 수화로의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다시 코드처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듀플렉스로 음성신호가 송수신되고, 자동응답, 자동안내, 신호레벨조정, 리모트제어, 음성명령기능이 구현된 이동 전화용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발생부와, 핸드폰과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코트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서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1신호 변환부와, 상기 제1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와, 휴대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 변환부와, 핸드폰과 접속되는 결합단자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단자의 수신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핸드폰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한편, 상기 제2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결합단자의 송신단자를 통해 핸드폰으로 전달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1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되어 입력되고 상기 제2신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어 핸드폰으로 전달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되어 입력되는 결과에 따라서 음성신호 볼륨 감지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로 구성된다(제2도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성신호 발생부(10)는 마이크(M1)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기(OP1)으로 증폭한다.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는 마이크(M1)에 접속된 커패시터(C2)와, 상기 마이크(M1) 및 커패시터(C2)에 접속된 저항(R2)과, 상기 저항(R2)에 접속되고 일단이 접지된 커패시터(C1)와, 상기 커패시터(C1) 및 저항(R2)에 접속된 저항(R1)과, 상기 커패시터(C2)와 접속된 저항(R3)과, 상기 저항(R3)과 반전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1)와, 상기 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5)과, 상기 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저항(R4)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핸드폰(HHP)과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코트화하여 메모리부(21)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서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디지털신호처리 집적회로(DSP IC)로 구성되며, 아래의 제1,2 신호 처리부(CODEC1,2)와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중으로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부(21)는 EPROM과 ARAM1 및 ARAM2 메모리로 구성되며, 버스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특히, 상기 ARAM1,2에는 통화메세지, 필요한 기능수행에 필요한 음성명령어 등이 임시 저장되며, 상기 EPROM에는 사용에 필요한 정보나 기기의 동작상태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명령신호가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제1신호 변환부(CODEC1)는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는 부호화기인 코더(CODER)와 복호화기인 디코더(DECODER)로 구성되며, 펄스코드변조(PCM)방식으로 음성신호를 변조한다.
음성신호 출력부(30)는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기(OP2)로 증폭하고 스피커(S1)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30)는 아래의 제1신호 변환부(CODEC1)에 접속된 커패시터(C3)와, 상기 커패시터(C3)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저항(R6)에 접속된 가변저항(VR1)과, 상기 가변저항(VR1)에 접속된 저항(R7)과, 상기 가변저항(VR1)에 접속된 커패시터(C4)와, 상기 커패시터(C4)와 접속된 저항(R8)과, 상기 저항(R8)과 반전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2)와, 상기 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10)과, 상기 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저항(R9)과, 상기 증폭기(OP2)의 출력단과 반전단자와 접속된 저항(R11)과, 상기 증폭기(OP2)의 출력단 및 저항(R11)과 접속된 커패시터(C5)와, 상기 커패시터(C5)와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23)과, 상기 증폭기(OP2)의 출력단, 저항(R11) 및 커패시터(C5)에 접속된 커패시터(C6)와, 상기 커패시터(C6)와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스피커(S1)로 구성된다.
제2신호 변환부(CODEC2)는 휴대폰(HHP)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는 부호화기인 코더(CODER)와 복호화기인 디코더(DECODER)로 구성되며, 펄스코드변조(PCM)방식으로 음성신호를 변조한다.
결합부(40)는 핸드폰(HHP)과 접속되는 결합단자(CON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단자(CON1)의 수신단자(RX)를 통해 입력되는 핸드폰(HHP)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기(OP3)으로 증폭한다.
상기 결합부(40)는 또한,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를 통해 핸드폰(HHP)으로 전달한다.
상기 결합부(40)는 핸드폰(HP) 본체와 접속된 결합단자(CON1)와, 상기 결합단자(CON1)의 수신단자에 접속된 커패시터(C7)와, 상기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에 접속된 커패시터(C8)와, 상기 커패시터(C7)와 접속된 저항(R12)과, 상기 저항(R12)과 반전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3)와, 상기 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14)고, 상기 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저항(R13)으로 구성된다.
중앙처리장치부(5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로부터 출력되는 A지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기(OP5)에 의해 증폭되어 입력되고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로부터 출력되어 핸드폰(HHP)으로 전달되는 B지점의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기(OP4)에 의해 증폭되어 입력되면 그 결과에 따라서 볼륨 감지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는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21)의 커패시터(C4)에 접속된 저항(R22)과, 상기 저항(R22)과 반전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5)와, 상기 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21)과, 상기 증폭기(OP5)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저항(R20)과, 상기 증폭기(OP5)의 출력단과 반전단자와 접속된 저항(R19)과, 상기 증폭기(OP5)의 출력단 및 저항(R19)과 접속된 커패시터(C11)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는 또한, 상기 결합부(40)의 커패시터(C8)에 접속된 커패시터(C9)와, 상기 커패시터(C9)와 결합된 저항(R16)과, 상기 저항(R16)과 반전단자에서 접속된 증폭기(OP4)와, 상기 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은 접지된 저항(R18)과, 상기 증폭기(OP4)의 비반전단자에 접속되고 일단에 전원전압(Vcc)이 인가된 저항(R17)과, 상기 증폭기(OP4)의 출력단과 반전단자와 접속된 저항(R15)과, 상기 증폭기(OP4)의 출력단 및 저항(R15)과 접속된 커패시터(C1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의 두 개의 증폭기(OP4,OP5)를 통한 음성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CPU로 입력되며, CPU는 이 두 개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서로 비교하여 송수화시의 음성신호 볼륨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이 볼륨 감지신호가 버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로 인가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는 내부의 디지털 볼륨(도시되지 않음)을 조정하여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30)의 스피커 음량을 가변시키거나, 상기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를 통해 핸드폰(HHP)으로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적당하게 가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송화로는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의 마이크(M1)→증폭기(OP1)→제1신호 변환부(CODEC1)→디지털 신호처리부(20)→제2신호 변환부(CODEC2)→결합부(40)의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핸드폰(HHP) 본체로 이루어진다.
즉, 마이크(M1)을 통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증폭기(OP1)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에 의해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 입력되며, 이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는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결합부(40)의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와 연결된 핸드폰(HHP) 본체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수화로는 핸드폰(HHP)본체→결합부(40)의 결합단자(CON1)의 수신단자(RX)→증폭기(OP3)→제2신호 변환부(CODEC2)→디지털 신호처리부(20)→제1신호 변환부(CODEC1)→증폭기(OP2)→스피커(S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핸드폰(HHP) 본체와 연결된 상기 결합부(40)의 결합단자(CON1)의 수신단자(RX)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상기 증폭기(OP3)에 의해 증폭된 후,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에 의해 다시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 입력되며, 이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는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증폭기(OP2)와 스피커(S1)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렌즈프리장치의 자동응답기능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만약, 호출신호가 휴대폰(HHP)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로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에서는 현재 핸드폰(HHP)이 자동응답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21)의 ARAM1,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안내메세지를 호출자에게 송신한다.
이어서, 호출자로부터 음성신호가 송신되어 증폭기(OP3)와 제2신호 변환부(CODEC2)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이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ARAM1,2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의 음성신호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이크(M1)를 통해 음성신호 재생 명령을 나타내는 음성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EPROM에 저장된 내용에 따라서 상기 증폭기(OP1)과 제1신호 변환부(CODEC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음성신호 재생 명령인가를 판별한다.
판별결과, 음성신호 재생 명령이라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상기 ARAM1,2에 저장된 상기 호출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과 증폭기(OP2) 및 스피커(S1)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자동안내기능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10)와 제1신호 변환부(CODEC1)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 인가시키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동작내용이나 기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21)의 EPROM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안내음성신호를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와 증폭기(OP2) 및 스피커(S1)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 다른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음성신호 레벨 조정기능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의 증폭기(OP5)에 의해 증폭되는 음성신호, 즉 제3도의 A지점에서의 음성신호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의 증폭기(OP4)에 의해 증폭되는 음성신호, 즉 제3도의 B지점에서의 음성신호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의 CPU로 인가되면, 상기 CPU는 두 개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각각 비교하여 현재의 송수화로 상의 음성신호 레벨을 감지한 후, 그 결과에 따라서 볼륨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의 CPU로부터 출력되는 볼륨 감지신호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 입력되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디지털신호처리 집적회로(DSP IC) 내부의 디지털볼륨을 조정하여, 상기 음성신호 출력부(30)의 스피커 음량을 가변시키거나, 상기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를 통해 핸드폰(HHP)으로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적당하게 가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송수화로를 통해 제1신호 변환부와 제2신호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화된 음성신호가 상기 디지털신호 프로세싱 집적회로(DSP IC)의 일정한 알고리즘에 의해 비교 처리됨으로써, 풀 듀플렉스가 구현되고, 잡음, 에코 등을 통화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제거하고, 자동응답, 자동안내, 신호레벨조정, 음성명령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4)

  1. 마이크(M1)를 통한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발생부(10)와, 핸드폰(HHP)과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코트화하여 메모리부(21)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서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0)와, 상기 음성신호 발생부(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1신호 변환부(CODEC1)와,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S1)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부(30)와, 휴대폰(HHP)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2신호 변환부(CODEC2)와, 핸드폰(HHP)과 접속되는 결합단자(CON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결합단자(CON1)의 수신단자(RX)를 통해 입력되는 핸드폰(HHP)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한편,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상기 결합단자(CON1)의 송신단자(TX)를 통해 핸드폰(HHP)으로 전달하는 결합부(40) 및, 상기 제1신호 변환부(CODEC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되어 입력되고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로부터 출력되어 핸드폰(HHP)으로 전달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증폭되어 입력되는 결과에 따라서 음성신호 볼륨 감지신호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20)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용 핸즈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호출자가 송신한 음성신호를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부(21)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음성 재생 명령에 따라서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서 동작내용이나 기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21)의 EPROM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안내음성신호를 재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부(50)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부(30)의 스피커(S1)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제2신호 변환부(CODEC2)를 통해 핸드폰(HHP) 본체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볼륨 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써,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가 스피커 음량을 가변시키고 핸드폰(HHP)으로 전달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을 적당하게 가변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전화기용 핸즈프리장치.
KR1019950066349A 1995-12-29 1995-12-29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KR10019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349A KR100196641B1 (ko) 1995-12-29 1995-12-29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6349A KR100196641B1 (ko) 1995-12-29 1995-12-29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57A KR970055957A (ko) 1997-07-31
KR100196641B1 true KR100196641B1 (ko) 1999-06-15

Family

ID=1944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6349A KR100196641B1 (ko) 1995-12-29 1995-12-29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147B1 (ko) * 1999-02-08 2001-11-05 윤종용 휴대용 전화기의 가정/차량/휴대 통합용 핸즈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57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01261A (en) Telephone with user recorded ringing signal
GB2213679A (en) Background noise reduction
JPH08163227A (ja) 受話音量自動可変回路
KR100196641B1 (ko) 이동전화용 핸즈프리
KR100279825B1 (ko) 교환기에서 에코 및 측음 현상을 제거하는 회로
JP3291920B2 (ja) 通話システム
KR19990058037A (ko) 핸즈프리 키트의 카오디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JPH08335976A (ja) 拡声通話装置
JP32416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134935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S63272254A (ja) 電話装置
KR200351967Y1 (ko)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KR200306837Y1 (ko) Wll 단말기의 송화음량 조절장치
GB2209906A (en) Telephone instrument
JP3342617B2 (ja) ドアホン装置
KR940008340A (ko) 주변 소음에 따른 음량조절기능을 가진 전화기 회로
KR940017630A (ko) 인터폰 기능 및 인터폰에 의한 착신 전환 통화서비스 기능이 내장된 무선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JPH0748771B2 (ja) 拡声電話機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JP2894188B2 (ja) 電話機
KR0166266B1 (ko) 스피커 폰 기능을 내장한 멀티미디어 모니터 시스템
JPH0556132A (ja) 拡声電話装置回路
JPH1118711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S63215248A (ja) 音響機器の音量自動制御方式
JPH062844U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