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5169B1 -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169B1
KR100195169B1 KR1019960004408A KR19960004408A KR100195169B1 KR 100195169 B1 KR100195169 B1 KR 100195169B1 KR 1019960004408 A KR1019960004408 A KR 1019960004408A KR 19960004408 A KR19960004408 A KR 19960004408A KR 100195169 B1 KR100195169 B1 KR 10019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rotector
lead pin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375A (ko
Inventor
함성우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04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169B1/ko
Priority to JP8293573A priority patent/JPH09237596A/ja
Priority to US08/755,221 priority patent/US5785539A/en
Priority to DE19648763A priority patent/DE19648763A1/de
Priority to ES09602516A priority patent/ES2126502B1/es
Priority to GB9624852A priority patent/GB2310549A/en
Priority to IT96MI002526A priority patent/IT1286422B1/it
Priority to FR9615093A priority patent/FR2745420B1/fr
Priority to MYPI96005164A priority patent/MY112689A/en
Priority to MX9606235A priority patent/MX9606235A/es
Priority to SI9700012A priority patent/SI9700012A/sl
Publication of KR97006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78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having a separated part for spark 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를 개시한다. 이 프로텍터는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리드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프레임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과 결합시 결합에 따른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protector)
제1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과 프로텍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으로, 리드핀과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프로텍터 21 : (프로텍터의) 본체
22 : 핀 삽입공 41, 42 : 인입부
51, 52 : 돌기부 100 : 네크부
110 : 리드핀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리드핀을 보호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그 네크부의 내외부에 각각 전자총과 편향요오크에 설치된 펀넬이 봉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 음극선관 네크부의 단부에는 상기 전자총의 각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드핀이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은 네크부의 단부에 몰입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적은 충격에도 리드핀이 몰입된 네크부의 단부가 깨어지거나 리드핀 상호간의 절연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나아가서는 네크부의 단부가 깨어지는 경우 음극선관 내부의 진공이 파괴되어 음극선관이 불량품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네크부(100)에 리드핀(110)의 기부(111)를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 캡(120)이 장착되고 이 베이스 캡(120)으로부터 돌출된 리드핀(110)에 프로텍터(10)를 삽입하여 리드핀(110)을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하여 왔는데, 이 프로텍터(1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프로텍터(10)는 원통형의 중공부(11a)를 가지는 본체(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상기 리드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개의 핀삽입공(12)이 원주상으로 배열되는데, 이 핀삽입공 중 고압이 인가되는 리드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13)은 이 핀 삽입공(13)을 중심으로 본체에 양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재되어 인접되는 다른 핀삽입공(12)과 구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하측 외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플랜지부(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프로텍터(10)를 이용하여 음극선관의 리드핀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로텍터(10)에 형성된 핀삽입공(12)(13)에 각각의 리드핀(110)이 삽입되도록 끼워 리드핀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의 리드핀에 삽입되어 이 리드핀을 보호하는 프로텍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프로텍터의 본체가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프로텍터를 손으로 잡고 네크부에 몰입된 리드핀에 삽입시 프로텍터의 정열을 상태를 삽입시마다 조정하여야 한다.
둘째; 상기 프로텍터의 삽입시 리드핀과 정열이 잘못된 상태로 리드핀에 꽂을 경우 리드핀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삽입되는 리드 프레임이 밴딩되거나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작업자가 프로텍터의 삽입 정열위치를 세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다.
넷째; 상기 프로텍터의 삽입위치 불량으로 리드핀에 프로텍터를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경우 리드핀의 기부가 몰입된 네크부가 파손되어 음극선관의 진공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작업시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 않고 손에 잡힌 감각만으로 장착되는 설정위치를 세팅할 수 있는 프로텍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드핀에 삽입시 위치의 세팅이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리드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수단은 상기 본체 외주면에 파시지 감지할 수 있는 돌기부 또는 인입부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봉입된 스템에 지지되어 전자총의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핀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그 실시예를 제2도에 나타내 보였다.
이 프로텍터(20)는 중공부(21a)를 가지는 원통형의 본체(21)의 일측에 네크부(100)에 설치된 리드핀(110)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핀삽입공(22)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데, 이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핀삽입공(22)은 본체(2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 삽입공(22)중 고압이 인가되는 핀 삽입공의 양측의 본체(21)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절제되어 주위의 핀 삽입공과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외주면에는 상기 프로텍터(20)의 장착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위치 설정부(30)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관찰하지 않고 손을 이용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장착 위치를 세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 설정부(3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하는 손가락이 접촉되는 부위의 일측에 평탄면부(3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위치 설정부(30)가 평탄면부(31)로 형성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프로텍터(20)의 파지시 작업자는 손가락이 평탄면부(31)에 접촉되는 감촉을 통하여 위치가 역으로 파지되었거나 정상적으로 파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설정부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텍터(20)의 본체의 양측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인입부(41)(42)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측에 인입부(41)(42)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 위치 설정부는 작업자가 네크부(100)에 설치된 리드핀에 프로텍터(200)를 파지하기 위하여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하게 되는데, 상기 엄지와 검지가 접촉되는 부위에 직경이 서로 다른 인입부(41)(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손가락에 느껴지는 감각에 따라 좁은 쪽 또는 넓은 쪽의 인입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서는 눈으로 보지 않고도 상기 프로텍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위치를 감각적으로 세팅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위치설정부의 다른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외주면에 상호 대향되는 측의 양측 즉, 손을 이용하여 파지되는 부위에 돌기부(51)(52) 형성된다. 본체(21)의 양측에 설치된 돌기부(51)(52)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을 이용한 프로텍터의 파지시 작업자가 장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21)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51)(52)는 각각 단부가 둥근 반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의 양측에 설치된 돌기부는 형성된 숫자를 다르게 하여 장착시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체의 외주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가락에 느껴지는 감각으로 이 프로텍터의 장착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에 설치된 위치설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의 일측에 설치된 플랜지부(23)에 상호 대응되는 양측 즉, 네크부(100)에 삽입되는 프로텍터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시 위치가 세팅될 수 있도록 양측에 인입홈(61)(6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61)(62)은 프로텍터의 장착 위치를 더욱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양측에 형성된 인입홈(61)(62)들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네크부(100)의 리드핀(110)과 결합되어 리드핀을 고정하기 위한 설정부의 다른 실시예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에 형성된 중공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중공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71)(71')가 형성된다. 이 요홈부(71)(71')는 각이 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프로텍터의 위치 설정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요홈부(71)(71')를 이용한 프로텍터의 장착위치의 설정은 상기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프로텍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텍터의 중공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요홈부(71)(71')를 확인함으로써 장착 위치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크부에 장착된 리드핀에 삽입되는 프로텍터의 장착위치 설정부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프로텍터의 설정위치를 세팅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크부의 리드핀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를 결합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프로텍터의 장착위치의 설정을 손에 잡히는 감각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프로텍터의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종래와 같이 프로텍터의 장착 위치가 바뀌어 리드핀과 핀삽입공이 어긋난 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가함으로써 리드핀이 휘어지고 나아가서는 리드핀의 네크부가 깨어져 음극선관의 진공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프로텍터의 삽입에 따른 시간을 50%이상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자재비 절감 및 70%이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넷째; 리드핀과 프로텍터의 결합시 발생되는 불량품의 발생율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데, 상기 프로텍터의 본체 상면에 설정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그루브를 하거나 별도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7)

  1.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이 파지시 그 장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본체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에 평탄면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2.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이 본체의 외주면의 대응되는 양측의 적어도 일측에 인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인입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4.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이 본체의 외주면의 상호 대응되는 부위에 그 설정 위치를 한정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 돌기부의 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프레텍터의 장착위치를 알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6.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이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7. 중공부를 가지며 일측면으로부터 원주상으로 배열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리드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측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또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리드핀과 결합시 장착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수단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이 본체에 형성된 중공부의 가장자리에 반경방향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KR1019960004408A 1996-02-24 1996-02-24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KR10019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408A KR100195169B1 (ko) 1996-02-24 1996-02-24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JP8293573A JPH09237596A (ja) 1996-02-24 1996-11-06 陰極線管のリードピン保護用プロテクタ
US08/755,221 US5785539A (en) 1996-02-24 1996-11-22 Protector for CRT lead pin
DE19648763A DE19648763A1 (de) 1996-02-24 1996-11-25 Schutzvorrichtung für die Anschlußstifte einer Kathodenstrahlröhre
ES09602516A ES2126502B1 (es) 1996-02-24 1996-11-29 Protector para clavijas de conexion de crt.
GB9624852A GB2310549A (en) 1996-02-24 1996-11-29 Protector for cathode ray tube lead pin
IT96MI002526A IT1286422B1 (it) 1996-02-24 1996-12-03 Protettore per i piedini conduttori di un tubo a raggi catodici
FR9615093A FR2745420B1 (fr) 1996-02-24 1996-12-09 Dispositif de protection des broches de connexion d'un tube a rayons cathodiques
MYPI96005164A MY112689A (en) 1996-02-24 1996-12-09 Protector for crt lead pin
MX9606235A MX9606235A (es) 1996-02-24 1996-12-09 Protector para conectador terminal de tubo de rayos catodicos.
SI9700012A SI9700012A (en) 1996-02-24 1997-01-20 Protector for crt lead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408A KR100195169B1 (ko) 1996-02-24 1996-02-24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375A KR970063375A (ko) 1997-09-12
KR100195169B1 true KR100195169B1 (ko) 1999-06-15

Family

ID=1945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408A KR100195169B1 (ko) 1996-02-24 1996-02-24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785539A (ko)
JP (1) JPH09237596A (ko)
KR (1) KR100195169B1 (ko)
DE (1) DE19648763A1 (ko)
ES (1) ES2126502B1 (ko)
FR (1) FR2745420B1 (ko)
GB (1) GB2310549A (ko)
IT (1) IT1286422B1 (ko)
MX (1) MX9606235A (ko)
MY (1) MY112689A (ko)
SI (1) SI97000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495B2 (ja) * 1998-11-09 2005-07-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KR20020073996A (ko) * 2001-03-19 2002-09-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베이스 캡
JP4290600B2 (ja) * 2004-04-27 2009-07-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
FR2929050B1 (fr) * 2008-03-21 2010-07-30 Centre Nat Etd Spatiales Dispositif pour prevenir l'etablissement d'un arc electrique entre deux elements conducteurs
US10304276B2 (en) 2012-06-07 2019-05-28 Universal City Studios Llc Queu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0180A (en) * 1954-05-10 1958-08-20 Siemens Edison Swan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eans for locating electronic discharge tubes in holders therefor
GB774190A (en) * 1954-05-17 1957-05-08 Edison Swan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eans for locating electronic discharge tubes in holders therefor
US3423717A (en) * 1967-10-05 1969-01-21 American Plasticraft Co Pin protector
US3771105A (en) * 1972-02-23 1973-11-06 Hitachi Ltd Adapters for the terminal pins of electron tubes
US4040708A (en) * 1976-07-02 1977-08-09 Gte Sylvania Incorporated Cathode ray tube base
US4127313A (en) * 1977-05-18 1978-11-28 Rca Corporation High voltage electron tube base with drip relief means
US4148541A (en) * 1977-10-03 1979-04-10 Rca Corporation Interlocking electron tube base and adapter
JPH0532952Y2 (ko) * 1988-09-30 1993-08-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9700012A (en) 1997-10-31
GB2310549A (en) 1997-08-27
ITMI962526A1 (it) 1998-06-03
US5785539A (en) 1998-07-28
MX9606235A (es) 1997-08-30
ES2126502B1 (es) 1999-09-16
MY112689A (en) 2001-07-31
JPH09237596A (ja) 1997-09-09
IT1286422B1 (it) 1998-07-08
FR2745420A1 (fr) 1997-08-29
DE19648763A1 (de) 1997-08-28
ITMI962526A0 (it) 1996-12-03
FR2745420B1 (fr) 2000-01-28
ES2126502A1 (es) 1999-03-16
KR970063375A (ko) 1997-09-12
GB9624852D0 (en) 1997-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6168A (en) Closure plugs
KR100195169B1 (ko)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용 프로텍터
EP3971936B1 (en) High voltage fuse having r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A1118480A (en) Base assembly for an electron tube
KR100228630B1 (ko) 내부 실드 결합용 안전 클램프
JPH0156498B2 (ko)
JPH07101601B2 (ja) 陰極カップ
JP2000234608A (ja) 固定素子
US3423717A (en) Pin protector
JPS5931189B2 (ja) 陰極線管の陽極ボタン用コネクタ
MXPA96006235A (es) Protector para conectador terminal de tubo derayos catodicos
US20240087775A1 (en) Housing for an electrical pass-through
KR910007962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지지구조
KR0124006Y1 (ko) 패널/프레임 결합홀더
KR950002661Y1 (ko) 음극선관의 리드핀 보호 캡
KR100472498B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KR950000252Y1 (ko) 음극선관의 스템핀 지지구조
JPH05169902A (ja) フラップの吹き出し防止用治具
KR910007521Y1 (ko) 음극선관용 캐소오드 고정구조
KR200171928Y1 (ko) 전자총용벌브스페이서
KR100201127B1 (ko) 인너실드 프레임 결합방법 및 그 클립과 그 결합공구
KR950008585Y1 (ko) 반도체 건식 식각 장치의 웨이퍼 클램프 연결 장치
KR930005823Y1 (ko) 음극선관
CN1023927C (zh) 用于阴极射线管的连接针的保护性针座
KR200258964Y1 (ko) 칼라 수상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