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4740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740B1
KR100194740B1 KR1019920019382A KR920019382A KR100194740B1 KR 100194740 B1 KR100194740 B1 KR 100194740B1 KR 1019920019382 A KR1019920019382 A KR 1019920019382A KR 920019382 A KR920019382 A KR 920019382A KR 100194740 B1 KR100194740 B1 KR 10019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be
light
photometric
light emission
amou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504A (ko
Inventor
노부찌까 모모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0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7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16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 accordance with both the intensity of the flash source and the distance of the flash source from the object, e.g.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number" of the flash bulb and the focusing of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보를 발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측광한 측광 데이타와 예비발광한 때의 측광데이타에 의거한 발광 광량으로 스트로보를 발광시키도록 한 것으로 소위 다이렉트 측광용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 스트로보의 패럴랙스나 조사각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판단이나 메인측광계에 의한 발광무의 측광치와의 비교 등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이에의해 양호한 스트로보 촬영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구성은, 릴리스 신호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스트로보(1)를 갖춘 카메라에 있어서, 스트로보(1)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렌즈계(3)를 통하여 입사한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광센서(9)와, 이 측광센서(9)에서 측정된 측광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21)를 구비하고, 제어부(20)는 릴리즈때에 스트로보(1)를 예비발광시켜 메모리(21)에 기억되어 있는 측광데이타와, 스트로보(1)를 예비 발광시켰을 때의 측광데이타에 따라 스트로보(1)를 다시 발광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챠트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그래프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로보 3a : 조리개
4 : 퀵리턴미러 5 : 포커싱 스크린
6 : 펜타(penta)프리즘 7 : 렌즈
8 : 반사경 9 : 측광 센서
20 : 제어부 21 : 메모리
본 발명은 스트로보(strobo)를 발광시켜, 그 발광량을 피사체에 조사하여 페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렌즈의 초점거리를 가변시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되어있는 소위 일안(一眼) 리플렉스 카메라 등의 카메라에 있어서는, 주광학계이외에 센서 등을 배치하고, 이 센서가 검출한 값에 의거하여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을 채용한 경우 스트로보의 조사각도나 조사범위가 초점거리에 따라 다르므로, 적정한 스트로보 조광을 행한다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소위 다이렉트 측광(測光)이라 불리워지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다이렉트 측광이란, 스트로보 발광시에 필름면의 반사를 센서에 의해 측광하여 그 결과에 의거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상술한 다이렉트 측광에 의한 스트로보의 발광량제어제는 다이렉트 측광용의 소자를 다수 필요로 하므로, 물리적으로 광학계에 스트로보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배치할 수 없는 카메라에 탑재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전자 스틸카메라와 같이 필름 대신에 CCD소자를 이용하는 카메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주 광학계에 산란반사 하는 면이 없고 또 집광계의 전범위 외에 적절한 측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CCD 소자가 필름과 비교하여 이미지 싸이즈가 작은 것이 많고, 이 때문에 등가한 렌즈의 초점거리가 작아지므로, 촬영한 피사체광의 반사광을 집광하는 소자를 배치할 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 필름의 산란반사를 측광할 경우에 있어서도, 필름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산란반사에 의한 광을 집광하게 되므로, 소위 스폿(spot)측광이나 분할측광 등을 행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보와의 패럴랙스(parallax)나 조사 각도를 보정하거나, 순시의 스트로보 발광량을 제어할 경우에 논리적인 판단이나 메인 측광계에 의한 발광무(發光無)의 측광치와의 비교등의 세밀한 제어를 행하는 것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에의해 양호한 스트로보촬영을 행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위 다이렉트 측광용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 스트로보와의 패럴랙스나 조사각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순시의 스트로보 발광량을 제어할 경우에는 불가능하였던 논리적인 판단이나 메인 측광계에 의한 발광무의 측광치와의 비교 등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의해 양호한 스트로보 촬영을 행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는 예를들면 제1도∼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릴리스(release) 신호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스트로보(1)를 갖춘 카메라에 있어서, 스트로보(1)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과, 렌즈계(3)를 통하여 입사한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4, 5, 6, 7, 8, 9)과, 측정수단(4, 5, 6, 7, 8, 9)에서 측정된 광량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21)을 구비하고, 제어수단(20)은 릴리즈 지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스트로보(1)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키고, 기억수단(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스트로보(1)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켰을 때의 측정수단(4, 5, 6, 7, 8, 9)에 의한 측정결과에 따른 제 2의 시간만큼 스트로보(1)를 다시 발광시키도록 스트로보(1)의 발광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즈 지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제어수단(20)에 의해 스트로보(1)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키고, 기억수단(2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스트로보(1)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켰을 때에 측정수단(4, 5, 6, 7, 8, 9)에 의한 측정결과에 따른 제2의 시간만큼 스트로보(1)를 다시 발광시키도록 스트로보(1)의 발광동작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소위 다이렉트 측광용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 스트로보와의 패럴랙스나 조사각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순시의 스트로보 발광량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불가능하였던 논리적인 판단이나 메인 측광계에 의한 발광무의 측광치와의 비교 등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의해 양호한 스트로보 촬영을 행할 수가 있었다.
[실시예]
이하,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카메라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카메라 본체(2)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제1도에 있어서, 3은 렌즈계이고, 이 렌즈계(3)에 의해 피사체의 광을 일점쇄선을 나타낸 것처럼 카메라 내부에 결상(結像)시키도록 한다.
3a는 조리개이고, 이 조리개(3a)에 의해 카메라 내부에의 피사체의 광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피사계심도(被寫界深度)를 결정한다.
이 조리개(3a)를 통과한 광은 렌즈계(3)을 통하여 퀵리턴 미러(quick return mirror)(4)의 반사면에서 반사되어 포커싱 스크린(5)에 입사하고, 거듭 이 포커싱 스크린(5)을 지난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펜타프리즘(penta prism)(6)에 입사한다.
이 펜타프리즘(6)에 입사한 광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내부에서 반사를 반복하고, 아이피스(eyepiece)(10)에 입사함과 동시에 렌즈(7)에 입사한다.
아이피스(10)에 입사한 광은 확대되어, 이것이 파인더(11)용의 광이 된다.
사용자는 이 파인더(11)를 살핌으로써, 현재 포착되고 있는 피사체를 주시할 수가 있다.
한편, 렌즈(7)에 입사한 광은 예를들면 이 렌즈(7)에서 집광된 후에 반사경(8)의 반사면에 입사한다.
이 반사경(8)의 입사면에 입사한 광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이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측광센서(9)에 입사한다.
이리하여, 측광센서(9)는 렌즈계(3)를 통하여 공급된 광을 측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측광센서(9)는 광을 측광하여 얻은 측광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20)에 공급한다.
상술한 광의 경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퀼리턴미러(4)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S1)에 위치할 경우, 즉, 도시를 생략한 릴리즈버튼(셔터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이다.
다음, 도시를 생략한 릴리즈버튼을 누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릴리즈버튼을 누르면, 퀵리턴미러(4)가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S1)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S2)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같이 회전이동한다.
이렇게 하면,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12)가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y로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하여 이 포컬 플레인 셔터(12)가 열린상태로 됨과 동시에 렌즈계(3)에 의한 광이 이 열린상태의 포컬 플레인 셔터(12)를 통하여 필름(13)의 감광면에 입사한다.
그리고, 이후 포컬 플레인 셔터(12)는 미리 측광된 데이타에 의거한 셔터값, 또는 수동에 의해 미리 결정된 셔터값에 의거하여 화살표 y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 즉 닫힌상태가 된다.
따라서 필름(13)의 감광면이 소정의 시간 감광되어 피사체의 영상이 촬영된다.
또 조리개(3a)의 조리개값 등 각종 파라미터도 마찬가지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다음, 스트로보(1)나 각종 제어부에 관하여 설명한다. 1은 스트로보이고,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보 본체부(22) 및 발광부(1a)로 구성된다. 이 스트로보 본체부(22)는 후술하는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부(1a)를 발광시키게 한다.
이 제어부(20)는 후술하는 측광센서(9)로부터 발광부(1a)를 발광시키고 있지않은 상태에서의 측광데이타를 메모리(21)에 기억하고, 도시를 생략한 릴리즈버튼을 누르고, 셔터(12)가 끊어지기 전에 스트로보 본체부(22)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발광부(1a)를 예비발광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예비발광시킨 후에 측광센서(9)로부터의 예비발광의 되돌림광을 측광한 측광데이타와, 메모리(21)에 기억하고 있는 발광부(1a)를 발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측광데이타와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얻어, 이 제어신호를 스트로보 본체부(22)에 공급하여 다시 발광부(1a)를 방광시키게 한다.
또한, 이들 제어부(20)와 메모리(21)는 스트로보(1)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카메라본체(2)내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스트로보(1)는 카메라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여도 좋고, 카메라 본체(2)와 일체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스트로보 본체부(22)에 의해 발광시킬 경우 제어부(20)에 의해 예비발광시키고,미리 메모리(21)에 기억한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측광센서(9)로부터의 측광데이타와, 이 예비발광시에 측광센서(9)로부터 공급되는 측광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의거 다시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키도록 한다.
이에 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킨 경우의 발광량(L)(필요발광량)을 종축을 강도, 횡축을 발광시간으로 하여 나타낸다.
이 발광량(L)가운데 예비발광시의 발광량은 L1으로 표시한 범위이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발광량은 L2로 표시한 범위가 된다.
본예에 있어서는, 이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그래프로 이루어진 바와같은 테이블을 예를들면 메모리(21)에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통상의 촬영 시퀀스에서는 릴리즈작전, 즉 릴리즈버튼을 누른후에 셔터(12)가 끊어지기 전의 측광데이타에 의한 조리개값, 셔터값 등을 결정하나, 본 예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설정이 스트로보 모드로 되어 있을때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예비발광에 의한 스트로보제어를 행한다.
스트로보 발광량은 일반적으로 피사체와의 거리의 제곱승에 비례하여 필요하게 되지만, 이와같은 피사체 거리정보가 렌즈의 거리링의 정보 등으로부터 연산가능한 경우는 그것에 의해 발광량(L2)을 바꾸도록 한다.
이 발광량(L2)는 반드시 노출에 적정한 값이 필요는 없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광시간에 의해 스트로보 발광량(L2)을 제어할 수가 있으므로 적당한 소량의 발광량(L1)에 의해 얻어지는 측광데이타와, 기억된 측광데이타(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키지 않은 경우의 측광데이타)와의 차(差) △S를 얻으므로써, 필요한 발광량(L2), 즉 발광시간을 예측할 수가 있다.
이 관계를 수1로써 나타낸다.
△S(예비발광 측광증가치)=SP(예비발광측정치)-SO(릴리즈 직전의 측광치)
실제로는 이외에 조래개값·셔터값도 노출제어대상으로 할 수가 있으나, 스트로보 발광은 셔터(12)의 개폐시간보다도 짧으므로, 발광량(L2)의 결정에는 조리개값을 고려하면 좋다.
따라서, 해방조리개시의 적정 발광에 의한 관측치를 S(정수)라 하면, 필요발광량(L)은 다음의 수2로 나타낼 수가 있다.
LP=예비발광량
AV=조리개값(aperture value)
AVO=개방조리개값
다음에 제2도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상술한 예비발광에 의한 스트로보(1)의 발광부(1a)의 발광제어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텝(100)에서는 릴리즈인지 아닌지, 즉 예를 들면 릴리즈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100)으로 이행한다.
스텝(110)에서는 측광치(측광데이타)를 기억한다. 즉 스트로보(1)의 발광부(1a)가 발광하고 있지않은 상태에서 측광센서(9)로부터의 측광데이타를 메모리(21)에 기억시키게 한다. 그리고 스텝(120)으로 이행한다.
스텝(120)에서는 스트로보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이면 스텝(130)을 이행하고, 『NO』이면 스텝(140)으로 이행한다.
스텝(130)에서는 스트로보 본체부(22)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예비발광하게 한다. 그리고 스텝(150)으로 이행한다.
스텝(140)에서는 스텝(110)에 있어서 측광한 데이터에 의거해서 조리개값 및 셔터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170)에 이행한다.
스텝(150)에서는 측광을 행한다. 즉 예비발광을하였을때에 측광센서(9)로부터의 측광데이타를 거둬들인다. 그리고 스텝(160)으로 이행한다.
스텝(160)에서는 메모리(21)로부터 독출한 스트로보(1)의 발광부(1a)가 발광하고 있지 않은때의 측광센서(9)가 측광한 측광데이타와, 스텝(150)에 있어서 측광한 측광데이타 즉 예비발광시에 측광센서(9)가 측광한 측광데이타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의해 스트로보(1)의 발광부(1a)의 발광량, 조리개값 및 셔터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170)으로 이행한다.
스텝(170)에 있어서는 미러 업(MIRROR UP) 즉 퀵리턴미러(4)(제1도 참조)를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S1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 S2에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같이 이동시킴과 동시에 조리개값에 의거 조리개(3a)를 구동한다. 그리고 스텝(180)으로 이행한다.
스텝(180)에서는 셔터, 즉 포컬 플레인 셔터(12)(제1도 참조)를 화살표y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셔터값에 따라서 화살표y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스텝(190)으로 이행한다.
스텝(190)에서는 미러 다운(MIRROR DOWN), 즉 퀵리턴미러(4)(제1도 참조)를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 S2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 S1에 화살표x와 역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조리개(3a)를 구동하여 개방상태로 한다.
또한, 상술한 예비발광의 후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발광이 연속하여 행해지고(스트로보 모드일 때) 포컬 플레인 셔터(12)가 개폐동작을 종료하기 전에는 발광동작이 종료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예에 있어서는 더욱이 측광센서(9)가 예를 들면 소위 분할측광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의 스트로보(1)의 발광부(1a)의 발광에 의한 피사체(M)로부터의 반사광량을 분할하여 관측가능한 경우, 즉 대낮 싱크로촬영과 같이 고도의 스트로보 조광을 행하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히 스트로보 조광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5도에서 사선부분을 주위 P2로 하고, 스포트를 P2으로 하여 분할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낸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요피사체(M)가 카메라의 근처에 존재하고, 주위가 먼 구도는 카메라의 촬영시에 잘 볼 수 있는 패턴이지만, 소위 역광 등의 경우에는 스트로보 발광에 의해 광을 보충한다.
그러나, 먼 경치는 스트로보(1)의 발광부(1a)의 발광광은 거의 미치지 않고, 이와같은 경우 먼 경치에는 스트로보(1)의 발광부(1a)의 발광광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조리개나 셔터값에 의해 적정 광량이 되도록 한다.
본예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분할측광에 있어서도 적절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우선 예비발광을 행하고, 이때 측광센서(9)에 의해 상술한 스포트 P1 및 주위 P2의 두 개의 측광데이타를 얻는다.
여기서 예비발광시의 스포트 P1의 측광데이타를 SP1, 예비발광시의 주위 P2의 측광데이타를 SP2, 또 릴리즈 직전의 스포트 P1의 측광데이타를 SO1, 릴리즈 직전의 주위 P2의 측광데이타를 SO2로 한다.
여기서 스포트 P1 및 주위 P2의 각각의 스트로보 도달광량의 차(差)를 △S1, △S2라 하면, △S1=SP1-SO1, △S2=SP2-SO2가 된다.
또, 이들 광량의 차(差)는 거리의 제곱승에 반비례한 값이다.
그리고, 본예에서 얻어져야 할 측광치(S)가 X배의 측광시간과 Y배의 예비발광에 대한 발광량에 의해 얻어진다고 하면, SO1X+△S1Y=S, SO2X+△S2Y=S라 하는 두 개의 연립방정식을 얻을 수가 있다.
이 두 개의 연립방정식을 풀이함으로써, X 및 Y를 구할 수가 있었다.
즉, 이들 X 및 Y가 설정해야 할 셔터값, 스트로보 발광량을 부여하게 된다.
조리개값에 관해서는, 조리개값에 의한 변화는 스트로보의 발광광, 외광과도 등가하므로, 조리개(3a)에 의해 1/2의 광량이 될 때에는 셔터값 및 스트로보 발광량을 2배로 하면 좋다.
이와같이, 분할측광에 의해 촬영할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정확히 셔터값(외광에 의한 광량증가분)과 스트로보 발광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예에 있어서는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측광한 측광데이타와 예비발광한때의 측광데이타에 의거한 발광 광량으로 스트로보(1)의 발광부(1a)를 발광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소위 다이렉트 측광용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 스트로보와의 패럴랙스나 조사각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순시의 스트로보 발광량을 제어할 경우에는 불가능하였던 논리적인 판단이나 메인측광계에 의한 발광무의 측광치와의 비교 등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의해 양호한 스트로보 촬영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소위 분할측광이나 스폿측광을 스트로보 조광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비발광시키고 나서 거듭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인간이 피사체인 경우에 안구가 빨갛게 찍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기타 여러 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즈 지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스트로보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스트로보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켰을 때의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결과에 따른 제 2의 시간만큼 스트로보를 다시 발광시키도록 스트로보의 발광동작을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소위 다이렉트 측광용 소자를 설치하지 않고, 스트로보와의 패럴랙스나 조사각도를 보정함과 동시에, 순시의 스트로보 발광용을 제어할 경우에는 불가능하였던 논리적인 판단이나 메인측정계에 의한 발광무의 측광치와의 비교 등의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양호한 스트로보 촬영을 행할 수 있고, 또, 소위 대낮 싱크로 등의 특수한 촬영시에 있어서도 보다 세밀한 제어를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특수촬영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는 이익이 있다.

Claims (1)

  1. 릴리즈 신호에 의거하여 발광하는 스트로보를 갖춘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렌즈계를 통하여 입사한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에서 측정된 광량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릴리즈 지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스트로보를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키고,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상기 스트로보를 상기 제 1의 시간만큼 발광시켰을 때의 상기 측정수단에 의한 측정결과와에 따른 제 2의 시간만큼 상기 스트로보를 다시 발광시키도록, 상기 스트로보의 발광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20019382A 1991-10-31 1992-10-21 카메라 Expired - Lifetime KR10019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86779 1991-10-31
JP3286779A JPH05127215A (ja) 1991-10-31 1991-10-31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504A KR930008504A (ko) 1993-05-21
KR100194740B1 true KR100194740B1 (ko) 1999-06-15

Family

ID=1770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382A Expired - Lifetime KR100194740B1 (ko) 1991-10-31 1992-10-21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40368A (ko)
JP (1) JPH05127215A (ko)
KR (1) KR100194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202A (en) * 1995-08-21 2000-12-2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or flash unit
JP2006050337A (ja) * 2004-08-05 2006-02-16 Sony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DE102006044309A1 (de) * 2006-09-17 2008-03-27 Leica Camera Ag Blendenwerterkennung
JP2009147608A (ja) * 2007-12-13 2009-07-02 Sony Corp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925150B2 (en) * 2008-03-27 2011-04-12 Nikon Corporation Camera system, camera body, flash device, and illumination method
JP5469527B2 (ja) 2010-05-10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JP5769436B2 (ja) 2011-02-08 2015-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569A (en) * 1978-07-10 1980-01-25 Minolta Camer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metry
US4373793A (en) * 1980-08-04 1983-02-15 Minolta Camera Co., Ltd. Light measuring device for flash photography
JPS5814124A (ja) * 1981-07-17 1983-01-26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の露光制御装置
JPS5974533A (ja) * 1982-10-21 1984-04-27 Minolta Camera Co Ltd 閃光撮影装置
JPS62160428A (ja) * 1986-01-08 1987-07-16 Canon Inc 閃光用測光装置
JPH0466922A (ja) * 1990-07-04 1992-03-03 Nikon Corp Ttl自動調光カメラ
US5172157A (en) * 1990-11-17 1992-12-15 Nikon Corporation Automatic light adjustment device for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0368A (en) 1995-08-08
JPH05127215A (ja) 1993-05-25
KR930008504A (ko) 199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6934B2 (ja) Ttl測光式露出制御カメラ
US6029015A (en) Camera with built-in electronic flash
KR100194740B1 (ko) 카메라
US5452049A (en) Camera with adjustment and recording of color temperature
US4769666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mount of flash
JPH08328069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H02100027A (ja) 被写体輝度の測定方法
US5017956A (en) Flash photography system
JP2000155349A (ja) 一眼レフカメラ
US6597866B2 (en) Camera for taking a picture in a good focus condition
JPH02214830A (ja) ブレ撮影を防止するカメラおよびブレ撮影にならないシャッタースピードを測定する装置
JPH0321888B2 (ko)
JP3831422B2 (ja) 調光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3013400B2 (ja) Ttl自動調光カメラ
JPS6366546A (ja) 撮影装置
JP3035045B2 (ja) カメラ
JPH0943506A (ja) カメラ
JPS5830733A (ja) フイルム反射率の差異を補正し得るダイレクト測光方法
JPS63262636A (ja) カメラ
JPH08327886A (ja) ストロボ内蔵カメラ
JPS63151932A (ja) カメラの自動逆光補正装置
JPH0277044A (ja) 露出制御装置
JPH04331934A (ja) 閃光調光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H0398031A (ja) カメラ
JPH0398035A (ja) プログラムズーム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10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070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