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4160B1 - 정제등의 분립체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정제등의 분립체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160B1
KR100194160B1 KR1019910701969A KR910701969A KR100194160B1 KR 100194160 B1 KR100194160 B1 KR 100194160B1 KR 1019910701969 A KR1019910701969 A KR 1019910701969A KR 910701969 A KR910701969 A KR 910701969A KR 100194160 B1 KR100194160 B1 KR 100194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ablet
granular material
discharge
gran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664A (ko
Inventor
다꾸미 구로카와
Original Assignee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4469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445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57716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983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080498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0492Y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베 히로시, 펜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베 히로시
Publication of KR92070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1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B65D83/041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and stacked one upon the other and the dispensing-closing device sliding the article to be dispensed along the flat side of the nex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04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 B65D2583/0409Indications, e.g. directions for use of dates or follow-nu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 B65D2583/0481One reciprocating action, e.g. to or 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Sowing (AREA)
  • Toy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구 피임약이나 비타민제, 또는 엿 등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고, 토출할 수 있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분립체를 토출하기 위한 조작체의 압압방향을 분립체의 종방향 배열 방향으로 한 것, 또한 분립체 수용부의 측벽을 개방부로 하여 분립체 수용체를 분립체 수용부의 측부에서 착탈시켜 바닥부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 또 분립체를 토출 방향으로 몰아내는 탄발체와 분립체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분립체 수용부재 및 탄발체 수용부재를 부리 가능하게 일체화한 것, 또한 사용하는 분립체의 사용순번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분립체 수용부재를 지표체로한 것, 또한 조작체의 압압조작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 회전체에 표시부를 설치한 것의 분립체 토출 용기와. 분체 토출 용기에 수용될 수 있는 분립체 수용체에 있어서, 열 형상으로 분립체를 수용하고, 이 분립체를 탄발 압박하여 제거가 가능한 플러그를 부착한 것, 또한 분립체를 몰라내는 탄발체를 바닥부에서 돌출시켜 분립체 토출 용기에 대한 고정부로 한 것, 또한 분립체를 토출 방향으로 몰아내는 탄발체와 분립체와의 사리에 개재시키는 분립체 수용부재 및 탄발체 수용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한 것의 분립체 수용체와, 분립체 수정체에 순서를 정해서 수용되는 복수의 분립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립체가 수용의 순서에 따른 표시를 구비하는 분립체 집합체에 관한 것이 다.

Description

정제 등의 분립체 토출 용기
상기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여, 토출할 수 있게한 유형의 분립체 토출 용기의 일례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60-2479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시약원반을 겹쳐 쌓은 모양으로 넣고 측면 방향에서 1매분씩 압출할 수 있게 압출판을 설치한 시약원반 수용 용기이다.
또한 예정된 순서대로 분립체를 수용하는 분립체 수용체로서는 알루미늄 박과 같이 용이하게 찢을 수 있는 막을 일측면에 붙이고, 이 막을 찢어서 캡슐 정제약 등을 꺼낼 수 있도록 한 일반적인 수용체의 일종이지만, 경구 피임약을 넣은 것이 호주에서 시판되고 있다. 취급 설명서에도 나타나 있듯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수용체의 대략 둘레를 따라서, 28개의 정제가 주상(周狀)으로 넣어져 있으며, 수용체 표면에는 각 정제의 수용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월, 화, 수, ...라고 각각의 요일이 4주간분에 걸쳐 표시되어 있다. 사용에 관한 지시에 따라 예를 들어 월요일에는 『MON』또는『月』의 표시가 된 정제를 사용하게 되어 있다.
분립체의 사용, 즉 분립체 토출의 효율성을 고려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막을 갖는 유형의 용기보다 상기 일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분립체를 간단히 토출할 수 있는 용기가 보다 편리하다. 그 이유는 용기에 배열된 분립체를 꺼내는 것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것처럼 일렬로 수용된 분립체를 종방향 배열의 측면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하면, 밀어내는 방향과 종방향 배열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전체 형상은 예를 들면 『L』 자형이나 『T』 자형 등으로 형성된다. 물론, 부가구조에 의해 전체 형상은 원하는대로 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부피가 커져서 주머니나 핸드백 등에 넣어 휴대할 경우 매우 불편하다.
또한, 분립체 토출 용기에 분립체를 수용함에 있어서, 분립체를 직접 수용하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반드시 분립체 토출 용기에 분립체를 수용해 두지 않으면 안되거나, 분립체를 다 사용함에 따라 새로 분립체를 하나씩 수용시키는 것이 거추장스럽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분립체를 순서대로 토출하는 데는 분립체를 탄발체에 의해 토출부 방향으로 몰아내게 되지만, 용기에 수용되는 분립체가 다수이면, 이들 분립체를 몰아내는 탄발체도 길어져서 분립체의 수용시 탄발체를 크게 수축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결국 조립이 성가시게 된다.
또한, 상기 경구 피임약처럼 분립체의 사용 순서가 예정되어 있을 경우, 분립체를 토출 용기로서도 사용하는 분립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분립체의 사용 순서가 예정되어 있을 경우, 만일 원하는 수 이상의 분립체를 꺼내버리면 순서를 알 수 없게 되어 곤란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소형으로 휴대하기에 편리한 양호한 분립체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립체 수용체를 재충전하여 부착함에 있어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부착후에는 분립체를 확실하게 토출할 수 있는 분립체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립체 토출 용기에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분립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분립체를 수용할 때에도, 또한 이로 인해 분립체를 토출부 방향으로 몰아내기 위한 긴 물건의 탄발체를 가질지라도 분립체의 수용이 용이하며, 따라서 조립이 용이한 분립체 토출 용기 및 분립체 수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립체의 사용 순서가 예정되어 있을 경우, 어느 분립체를 사용하는 것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분립체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립체의 사용 순서가 정해져 있을 경우, 만일 원하는 수이상의 분립체를 꺼냄으로써 순서를 알지 못해 곤란해지는 것을 적극 방지하는 분립체의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 및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연히 명백해 진다.
본 발명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i)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는 분립체 수용부(storage portion)와, 이 분립체 수용부의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토출부(discharge port)와, 이 토출부로 분립체를 밀어내는 가압부(pressing unit)를 구비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분립체의 종방향 배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체와, 상기 분립체를 종방향 배열의 측면 방향에서 가압하는 가압체와, 상기 조작체와 가압체를 연결하여 가압력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분립체의 종방향 배열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분립체를 종방향 배열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하는 방향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discharge container).
(ii)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는 분립체 수용부와, 이 분립체 수용부의 일단부 측에 의치하는 토출부와, 이 토출부로 분립체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수용되며, 이 분립체 토출 용기의 상기 분립체 수용부로 될 수 있는 분립체 수용체에 있어서, 개방 단부 및 이 개방 단부 근처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원동형 본체 내부의 탄발 부재(resilient member)와, 이 탄발 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 단부 측으로 몰아내어지는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고 상기 분립체가 상기 탄발 부재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개방 단부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기 관통 구멍내에 삽입되는 제거가능한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분립체 수용체(storage tube).
(iii)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는 분립체 수용부와, 이 분립체 수용부의 일단부 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와, 이 토출부로 분립체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 수용부는 분립체 수용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분립체 수용부의 측부가 개방되고 바닥부에 요철 기밀부가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 수용체를 상기 분립체 수용부 측부의 개방부에 착탈될 수 있게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부에 기밀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
(iv) 분립체를 가압 토출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분립체 수용체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에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며, 탄발체로써 분립체를 몰아내는 동시에, 이 탄발체의 배면 단부를 상기 본체의 바닥부에 탄발적으로 돌출시켜 이 배면부가 상기 분립체 토출 용기에 상기 원통형 본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수용체.
(v) 원통형의 본체에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고, 탄발체로 분립체를 토출부 방향으로 몰아내어, 가압 토출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를 탄발체 수용 부재로 수용하고, 상기 탄발체와 분립체와의 사이에 분립체 수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탄발체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탄발체가 수축된 상태로, 상기 분립체 수용 부재와 상기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 하며, 사용에 앞서 이들 일체화된 분립체 수용 부재와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
(vi) 원통형의 본체에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며, 탄발체에 의해 이들 분립체를 토출부 방향으로 몰아내는 분립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탄발체를 탄발체 수용 부재로 수용하고, 상기 탄발체와의 사이에 분립체 수용 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탄발체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탄발체를 수축한 상태로 상기 분립체 수용 부재와 상기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일체화하며, 사용에 앞서 이들 일체화된 분립체 수용 부재와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수용체.
(vii) 원통형의 본체에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고, 탄발체에 의해 이들 분립체를 토출부 방향으로 몰아내어 가압 토출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를 볼 수 있게 하는 창문과, 이 창문을 따라서 사용하는 분립체의 사용 순번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와 분립체와의 사이에 분립체 수용 부재를 개재시켜, 이 분립체 수용 부재도 상기 창문에서 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 분립체 수용 부재가 상기 표시부에 대한 지표체(index)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
(viii) 복수 개의 분립체를 일렬로 수용하는 분립체 수용부와, 이 분립체 수용부의 일단부 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와, 이 토출부에 분립체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가압 조작을 한번씩 할 때마다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되는 회전체를 창문에서 볼 수 있게 내장하고 이 회전체의 상기 창문으로부터 보이는 부분이, 사용하는 분립체의 사용 순번을 순서대로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토출 용기.
(ix) 분립체 수용체에 순서를 정하여 수용되는 복수 개의 분립체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립체가 수용된 순서에 따른 표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집합체.
본 발명은 경구 피임약과 같은 정제나 라이터의 점화석, 또는 엿이나 레몬과자와 같은 과자 등의 분립체(granular body)(또는, 입상체(粒狀)라고도 하며, 본원에서는 분립체라고 칭함)를 일렬로 수용하여 토출할 수 있도록 한 분립체 토출 용기와, 이분립체 토출 용기의 분립체 수용부에 내장될 수 있는 분립체 수용체, 또는 예컨대, 상기 분립체 수용체에 예정된 순서대로 수용되는 상기 정제 등의 분립체의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조작체의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가압체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분립체 수용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수용체 본체와 플러그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요일 표시기구부의 확대도.
제16도는 제15도의 평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조작체의 가압 시작 단계의 확대도.
제18도는 제17도의 평면도.
제19도는 제15도의 조작체의 가압 단계의 확대도.
제20도는 제19도의 평면도.
제21도는 제15도의 조작체의 가압 최종 단계의 확대도.
제22도는 제21도의 평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분립체 토출 용기의 사시도.
제25도는 제23도의 분립체 토출 용기의 배면 구멍의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26도는 제23도의 분립체 토출 용기의 또 다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제27도는 제23도의 분립체 수용체의 사시도.
제28도는 제27도의 플러그의 확대 사시도.
제29도는 제27도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0도는 분립체 토출 용기에 분립체 수용체가 부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1도는 제23도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33도는 분립체 수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4도는 제33도의 분립체 수용 부재의 사시도.
제35도는 제33도의 분립체 수용 부재와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한 후의 단면도.
제36도는 분립체 수용 부재와 탄발체 수용 부재를 분리하는 수단의 일례로서 분립체 수용체 부착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7도는 분립체 수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분립체 수용 부재와 탄발체 수용 부재의 확대도.
제39도는 제38도의 분립체 수용 부재 및 탄발체 수용 부재의 분해 측면도.
제40도는 분립체 수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41도는 분립체 토출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3도는 제42도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44도는 제43도의 조작체와 회전 손잡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제1도에 있어서, 분립체 토출 용기(A)는 전체적으로 봉형 형상을 가지며, 덮개(1)는 용기 본체(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덮개(1)는 내부에 일렬로 수용된 분립체(3)를 볼 수 있게 하는 창문(1a)과, 이 창문(1a)을 따라서, 이들 분립체(3)의 두께와 동일한 피치를 갖는 표시부(1b)를 구비한다.
또한, 분립체(3)의 수는 28개로 설정하였으며, 도면에서 표시부(1b)는 요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의 경구 피임약의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시부(1b)는 분립체(3)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사용 순번을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1b)의 가장 우측에 화살표로 도시한 것이 분립체 수용 부재(4)이며, 분립체 수용 부재(4)는 배면부(도면의 우측 부분)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체(5)에 의해 도면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용기 본체(2)는 도면 좌측의 하단부에 토출부(2a)를 구비하며, 그 개방 단부에는 『H』자 형상의 슬릿을 가지는 탄성 필름(6)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도면 상부에는 조작체(7)가 일부 노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7)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체(8)에 의해 도면 우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런 탄발력에 대항하여 가압하면 조작체(7)는 도면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조작체(7)의 도면 좌측에 있는 것이 가압체(9)이다. 가압체(9)는 면형 가능한,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스프링 또는 평판 형상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제3도에 도시된 용기 본체(2)의 원호형 슬릿부(2b)에 삽입된다. 이런 삽입이 가압체(9)를 고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4도와 제5도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7)는 돌기(7a)와 조작부(7b)를 구비하며, 가압체(9)는 구멍(9a)과 분립체(3)를 가압하는 가압 단부(9b)를 가지며, 구멍(9a)에 돌기(7a)를 기밀함으로써 가압체(9)는 조작체(7)와 일체화되고, 조작체(7)의 조작부(7b)에 손가락 끝 등으로 힘을 가하면, 조작체(7)와 함께 가압체(9)도 이동하게 되어있다.
단, 변형 가능한 가압체(9)는 용기 본체(2)의 원호형 슬릿부(2b)에 의한 속박으로 가압 단부(9b)를 도면 하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런 이동으로 가압체(9)의 가압 단부(9b)가 분립체(3)를 눌러, 분립체(3)가 토출부(2a)에서 토출된다. 이처럼 분립체(3)의 종방향 배열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분립체(3)를 배열의 측면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 등이 편리한 소형의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원호형 슬릿부(2b)가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력의 방향 전환부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 필름(6)은 분립체(3)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이 분립체(3)의 토출시, 토출의 정도가 지나치게 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조작체(7)나 가압체(9)를 최대로 이동시켰을 때, 적절히 분립체(3)를 탄성적으로 파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런 조작을 반복하면 분립체(3)는 배열된 순서로 토출되게 된다. 이때, 분립체 수용 부재(4)의 화살표는 분립체(3)가 1개 토출될 때마다 인접한 요일 표시 위치에 오게 된다. 이처럼 분립체 수용 부재(4)는 표시부(1b)에 대한 지표체로 되어진다.
제3도에 도시된 용기 본체(2)에 있어서, 참조 부호 2c로 지시되어 있는 것이 분립체 수용부이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립체(3)는 이 분립체 수용부(2c)에 직접 수용되지 않고, 참조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부재(10)는 분립체(3)를 모두 사용했을 때 새로 교환해서 사용하는 이른바 재충전을 하며, 제6도에 원래의 상태를 도시한 것처럼 분립체 수용체(B)의 본체가 된다.(이하, 『수용체 본체』라고 함).
제7도에도 도시된 것처럼 수용체 본체(10)는 도면 좌단 부근에 관통 구멍(10a)을 가지며, 이 관통 구멍(10a)에 판상의 플러그(11)가 나사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플러그는 분립체(3)가 탄발체(5)의 탄발력에 의해,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제거가 가능하다. 즉 덮개(1)를 떼어내고, 용기 본체(2)의 분립체 수용부(2c)에 분립체 수용체(B)를 넣고, 플러그(11)를 뽑아 내어 덮개(1)를 부착한다. 이와 같이 분립체 수용체(B)는 그대로 분립체 취출 용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분립체 토출 용기(A)의 재충전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도 있어서, 분립체 토출 용기(A)의 분립체 수용부의 최소한 일부로 되는 것이하고도 할 수 있다.
이후 몇 가지 예를 들기로 하며, 상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제8도에 있어서, 조작체(7)와 가압체(9)는 서로 일체화 되어있지 않다. 가압체(9)는 탄발체(12)에 의해 도면 상부를 향하는 힘을 받고 있으며, 조작체(7)를 향하는 테이퍼부(9c)를 가지고 있다. 조작체(7)를 이동시키면, 테이퍼부(9c)와의 접촉력의 분력에 의해, 탄발체(12)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가압체(9)가 도면 하부로 이동된다. 즉, 제8도의 테이퍼부(9c)는 조작체(7)와 가압체(9)를 연결하는 가압력의 방향 변환부로 되어있다.
제9도에 있어서, 가압체(9)는 탄성 변형부(9d)를 구비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기능은 제8도의 것과 같다.
제10도에 있어서, 분립체 토출 용기(A)는 덮개(1)와 용기 본체(2)로 분리되지 않으며, 바닥부(도면우측 단부)에 분립체 삽입 플러그(13)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분립체 수용체(B)는 사용하기는 어려우나, 분립체(3)를 분립체 수용부(2C)에 수용시키는 데는 적절하고 좋은 일례가 된다. 조작체(7)의 조작부(7b)의 용기 본체(2)로부터의 돌출벽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되어 있다. 오른손을 쓰는 사람에게는 본 실시예가 조작하기 쉬운 것으로 생각된다.
제11도와 제12도에 있어서, 분립체 토출 용기(A)의 덮개(1)는 토출부(2a) 근방에 작은 창문(1c)(창문 1a와 구별하기 위해『작은 창문』이라 함)을 구비할 뿐이며, 요일 표시 둥은 되어 있지 않다. 대신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되는 분립체(3)가 각각 요일 표시를 가지고 있다. 만일 여분으로 토출되어도, 분립체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3도와 제14도에 있어서, 표시부(1b)는 덮개(1)의 창문(1a)을 따라 설치되지 않으며, 작은 창문(1c)에 설치되어 있다. 즉, 작은 창문(1c)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내부에 회전체(14)가 배설되어 있고, 조작체(7)의 가압 조작에 대응하여 이 회전체(14)가 회전함으로써 요일 표시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은 제15도 내지 제2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회전체(14)는 전체적으로 원주 형상의 모양을 가지며, 외주벽(14a)에 월, 화, 수, ... 으로 요일을 표시하고, 측벽(14b)(이하 『기밀벽』이라고 함)에 7개의 돌기(14c)를 기밀용으로 구비한다. 용기 본체(2)는 이 회전체(14)가 자전 가능하게, 또한 회전 축방향으로 활주도 가능하게 수용하고 있다. 단, 회전체(14)의 활주는 회전체(14)의 기밀벽(14b)과 반대측의 벽(14d)을 가압하도록 설치한 탄발체(15)에 의해 속박된다. 즉, 회전체(14)는 탄발체(15)의 탄발력보다 큰 회전축 방향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활주된다. 조작체(7)가 회전체(14)에 이 외력을 가하지만, 조작체(7)의 활주 방향과 회전체(14)의 회전 축방향과는 평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서로 비스듬한 방향으로 되며, 조작체(7)에 의한 회전체(14)의 가압은 조작체(7)가 돌기(14c)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4도에 있어서, 조작체(7)는 두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지만, 적절한 부재는 적절한 형상으로 적절히 일체화 또는 복부품화 할 수 있고, 물론, 일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좋다.
조작체(7)는 전진함으로써 어떤 특정한 위치에 있는 돌기(14c)에 접촉된다(제17도, 제18도 참조). 이 접촉에 의해 회전체(14)가 회전된다. 조작체(7)의 전진이 더욱 진행되면, 인접한 위치의 돌기(14c)가 조작체(7)의 하측면에 위치된다(제19도, 제 20도 참조). 만약 제19도, 제20도의 상태로 원하는 피치의 회전으로 할 경우에는 조작체(7)의 전진을 이 단계에서 정지시키면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것은 조작체(7)의 전진량을 조절하지 않아도 되도록, 접촉한 돌기(14c)가 조작체(7)에 대해 옆으로 떨어진 상태(제21도, 제22도 참조)를 1피치로 해 놓았다. 조작체(7)의 후퇴 및 전진을 반복함으로써, 회전체(14)를 일정 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조작체(7)를 전진시키고, 가압체(9)를 변형시키는 동시에 전진시켜 분립체(3)를 토출하는 조작이 그대로 요일을 바꾸는 조작으로 되어있다. 또한, 돌기(14c)가 기밀부로 되는 한 이 돌기(14c) 대신 회전체(14)는 요부를 구비해도 되며, 조작체(7)의 하면에 적절한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조작체(7)가 후퇴할 때만 돌기(14c)에 접촉되어 회전체(14)를 활주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23도에서는 조작체(7)의 활주에 의해 간헐적으로 보이거나 보이지 않게 되는 부분에 작은 창문(1c)을 설치해 놓았을 뿐만 아니라, 분립체 수용체(B)의 부착에 대해서도 상기와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립체 토출 용기(A)의 분립체 수용체(B)를 부착하는 분립체 수용부(2c)는 전체적으로 봉형의 분립체 토출 용기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측부를 개방하는 오목부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부(도면 우단측)에 원추상이거나 관통 구멍 모양의 요부(2d)를 가지며, 이 요부(2d)의 인근에는 배면 창문(2e)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1)는 조작체(7) 인근까지만 연장되어 있고, 분립체 수용부(2c)의 두부(도면 좌단측) 위의 폭(도면의 상하 방향)이 좁은 협소부를 가지고 있다. 이 협소부는 분립체 수용체(B)의 누름부(1d)이다. 또한 요부(2d)는 분립체 수용체(B)를 벗기기 쉽게 하기 위한 코일 등의 삽입부이며, 제25도나 제26도에 도시된 대로 필기구의 첨축 등을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의 것으로 해도 된다.
이 분립체 토출 용기(A)에 제27도의 분립체 수용체(B)가 부착된다.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의 형상도 수용체 본체(10)에의 부착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해 탄성 변형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바꾸어 놓았지만 상기와의 가장 큰 상이점은 바닥부(도면 우단측)에서 돌출해 있는 부재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부재는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발체 수용 부재(16)이다. 이 탄발체 수용 부재(16)는 수용체 본체(10)의 내벽에 기밀되어 튀어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것은 공통 부품화를 도모하고자 분립체 수용 부재(4)와 동일 형상의 것으로한다.
분립체 수용체(B)의 분립체 토출 용기(A)에의 부착은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즉 플러그(11)가 누름부(1d)에 위치하도록 분립체 수용체(B)의 두부를 먼저 집어넣고, 약간 뜨는 것처럼 되어있는 바닥부 측을 압착한다. 그러면, 분립체 수용체(B)의 수용체 본체(10)의 바닥부에서 돌출하는 탄발체 수용 부재(16)의 배면부가 분립체 수용체(2c)의 측부 외벽에 접촉되고, 탄발체 수용 부재(16)는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딱』하는 느낌으로 끼워 맞추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제23도에 도시된 부착 상태가 된다. 제23도의 상태에서 미사용시 수송이나 휴대할 수도 있고, 또, 사용 직전에 제23도의 상태로 되도록 분립체 수용체(B)를 부착하고, 플러그(11)를 잡아당겨 세워서 벗겨 사용하는 것도 자유이다. 또한, 플러그(11)도 누름부(1d)에 의해 위에서 보호되도록(예컨대, 플러그(11)의 폭을 누름부(1d)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해 두고, 플러그(11)를 벗길 때, 플러그(11)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누름부(1d)의 내측에서 끌어당겨 세울 수 있게 해둠)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것처럼 분립체 토출 용기(A)는 분립체 수용체(2c)의 측부 개방부에서 분립체 수용체(B)를 착탈할 수 있게 하고, 또 바닥부에 끼워 맞춤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면 분립체 수용체(B)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립체(3)를 몰아내는 탄발체(5)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분립체 수용체(B)를 분립체 토출 용기(A)에 대한 고정부로 함으로써, 이와 같은 분립체 토출 용기(A)에 대해 간단한 구조의 것이 된다. 제31도에 상기 실시예의 것에 준한 내부 구조로 된 것을 열거해둔다. 또한, 분립체 수용체(B)는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립체 토출 용기(A)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제32도의 분립체 토출 용기(A)는 회전축을 가지는 가압판(17)을 탄발적으로 부착한 것이며, 탄발력에 대항하여 가압판(17)을 끌어당겨(도시 상태), 떨어지게 하는 것으로 분립체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제33도에 도시된 분립체 수용체(B)는 분립체 수용 부재(4)와 탄발체 수용 부재(16)가 일체화된 것이다. 즉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립체 수용 부재(4)는 화살촉 형상의 배면부(4a)를 가지며, 이 화살촉 배면부(4a)를 탄발체 수용 부재(16)의 내공에 삽입, 돌출시켜 기밀함으로써, 탄발체(5)를 수축 상태로 유지한 채 일체화한 것으로 되어있다. 사용시는 제35도에 도시된 대로 화살촉 형상의 배면부(4a)를 잘라내거나 꺾어내어 탄발체(5)의 탄발력을 발휘시킨다. 제36도는 이 꺾어 내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분립체 토출 용기(A)에 분립체 수용체(B)를 부착하는 조작이 그대로 화살촉 형상의 배면부(4a)를 꺾어내는 것으로 된다.
제37도의 분립체 수용체(B)는 제33도에 도시된 것과 흡사하나, 분립체 수용 부재(4) 화살촉 모양의 배면부(4a)가 탄발체 수용 부재(16)와 기밀하고 있지 않은 점이 다르며, 분립체 수용 부재(4)가 분립체(3)에 접촉하도록 탄발체(5)가 약간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처럼 분립체 수용 부재(4)와 탄발체 수용 부재(16)를 일체로 해두면, 분립체(3)의 분립체 수용체(B)에의 수용시, 탄발체(5)를 크게 수축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분립체(3)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부재의 일체화에 대해 앞에서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분립체 수용 부재(4)나 탄발체 수용 부재(16)는 본래 탄발체의 일부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분립체 수용 부재(4)와 탄발체 지지체(16)를 제38도와 같은 조합으로 되도록 제39도와 같은 형상의 것으로 해두면 탄발체(5)가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 질 때, 직선적인 수축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40도에는 수용체 본체(10)를 제33도나 제37도의 탄발체 수용 부재(16)로 한 것을 도시한다. 이것은 예컨대 제24도의 분립체 토출 용기(A)에 사용할 때 분립체 수용체(B)를 분립체 토출 용기(A)에 부착한 후, 플러그(11)를 벗기면 탄발체(5)가 분립체(3)를 전방으로 몰아내는 반작용으로써 수용체 본체(10)가 분립체 수용부(2c)의 바닥부의 요부(2d)쪽으로 몰아내져 고종된다. 이 실시예는 부품수를 삭감하는 일례이다.
제41도에는 분립체 토출 용기(A)의 분립체 수용부(2c)의 바닥부에 절결부(2f)를 설치하는 것으로 분립체 토출 용기(A)측에 분립체 수용체(B)를 부착하기 위한 탄력성을 부여해 놓았다. 상기와 같은 분립체(3)에 토출 방향의 탄발 압박을 하는 탄발체(5)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분립체 수용체(B)측으로 분립체 토출 용기(A)를 부착하기 위한 탄발력을 부여한 것은 분립체(3)의 소비에 따라, 점차 탄발체(5)의 탄발력이 저하되고, 따라서 분립체 수용체(B)를 분립체 토출 용기(A)에 부착할 때 강한 반발력에 의해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으며, 분립체 수용체(B)를 분립체 토출 용기(A)에서 벗길 때는 가벼운 힘으로도 벗길 수 있는 이점을 가지나, 본 실시예는 분립체(3)의 양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탄발력으로 부착해 두고자 할 경우의 일례이다.
제42도 내지 제44도에 있어서, 분립체 수용부(2c)를 복수 병렬로 구비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도, 토출부(2a)의 크기를 바꾸거나 가압체(9)의 가압단부(9b)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1회당의 분립체(3)의 토출 수를 복수 개로 할 수는 있었지만, 본 실시예의 것은 이 분립체(3)의 토출 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조작체(7)와 가압체(9)와의 사이에 가압체(9)와 일체적으로 회전 손잡이(18)를 개재시키고, 이 회전 손잡이(18)를 회전시켜서 방향으로 바꿈으로써,
회전 손잡이(18)가 조작체(7)에 설치한 홈(7c)에 끼워져 조작체(7)를 가압해도 가압체(9)가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회전 손잡이(18)가 조작체(7)의 호(7c)에 끼워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조작체(7)를 가압하면 가압체(9)가 이동하는 선택성을 부여한 것이다, 비타민제 등의 약에 따라서 복수 종류의 것을 일정량씩 조합해서 사용하는 일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것에 의하면 그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것은 분립체 토출 용기(A)에 직접 분리체(3)를 수용하도록 했지만, 상기 같은 분립체 수용체(B)를 사용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몇 가지 실시예를 통해 설명했으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여러 가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분립체의 형상은 도시된 대로 편형 구형체 형상의 것 이외에도 원반 형상, 다각주 형상 등이 적절하며, 일렬로 하기 쉬운 방향으로 하면 된다. 또한, 열의 형상도 단순한 직선 형상의 일렬로 하는 이외에도, 예컨대, 지그재그 모양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립체 수용체의 형상도 원통형상, 다각주형상 등이 적절하다. 분립체 토출 용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포켓에 넣어 휴대하는데 편리하도록 클립을 부착시키는 등의 부가되는 구조와의 관계로 적절히 할 수 있다. 또한, 분립체의 가압 방향과 토출의 개구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토출부가 『L』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도면 좌측 방향으로 개구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로서 요일을 붙인 것을 나타냈지만 일자 표시, 번호 표시 등 용도에 따른 적절한 표시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분립체 수용체(B)는 용기 본체(2)에 넣은 다음, 플러그(11)를 벗겼을 때, 수용체 본체(10)의 도면 좌측 개구단에서 분립체(3)가 조금 튀어나올 수 있게 했지만, 플러그(11)를 벗긴 다음 관통 구멍(10a) 부분을 분립체 수용체의 분립체 출구로서 이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체(7)는 조작부(7b)를 활주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두드리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본체의 종방향으로 배열된 정제 수용부와, 상기 정제 수용부의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와,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토출부로 정제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복수 개의 정제를 일렬로 수용하기 위하여 정제 수용부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용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용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조작체와, 상기 정제를 측면 방향에서 가압하는 가압체와, 상기 조작체와 가압체를 연결하여 조작체의 종방향 이동을 가압체의 측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및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가 조작체의 종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정제 수용부로부터 측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수용체는 개방 단부와, 상기 개방 단부를 차단하는 제거 가능한 차단부와, 상기 개방 단부를 향하여 내부의 정제를 편의시키기 위하여 개방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에 위치하는 탄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탄발 부재는 용기 본체에 탄발적으로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개방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를 통해 수용체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토출 용기.
  2. 종방향으로 배열된 정제 수용부와, 살기 정제 수용부의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와, 상기 정제 수용부로부터 토출부로 정제를 밀어내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용기 본체의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 조작체와, 상기 정제를 측면 방향에서 가압하는 가압체와, 상기 조작체와 가압체를 연결하여 조작체의 종방향 이동을 가압체의 측방향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결 및 변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가 조작체의 종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정제 수용부로부터 측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용기 본체는 그 내부에 창문과, 상기 창문을 통해 관찰될 수 있도록 용기 내부에 배치된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는 창문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표시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는 회전체와 표시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조작체의 이동시에 회전체와 결합하는 일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조작체의 종방향 이동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조작체의 개별적인 종방향 이동에 응답하여 복수 개의 상이한 개별 지표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그 축선을 따라 그리고 상기 조작체의 일부분을 향하여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조작체의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복수 개의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개방 단부에 인접하는 한 측면에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거 가능한 차단부는 관통 구멍 내부에 제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탄발 부재를 그 탄발력에 대항하여 수납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정제를 수용하여 편의하기 위하여 탄발 부재에 의하여 결합된 제2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용기 본체에 탄발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수용체의 개방 단부에 대향하는 단부로부터 탄발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관통하여 연장하는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2 부재에는 제1 부재의 구멍을 통해 수용체의 외부로 돌출하고, 수용체가 정제 수용부에 장착되기 전에 제1 및 제2 부재를 상호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탄발 부재를 압축하는 테이퍼 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용체가 정제 수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테이퍼 단부는 용기 본체와 접촉하여 제1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탄발 부재가 제2 부재를 정제에 대항하여 그리고 개방 단부를 향하여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용기 본체에 탄발적으로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수용체로부터 돌출하는 단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수용체 내부의 정제와 결합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부재를 반대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를 그 사이의 스프링과 함께 상호 고정식으로 그러나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제1 부재 내의 관통 구멍과, 제2 부재상의 테이퍼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용기.
KR1019910701969A 1990-04-26 1991-04-23 정제등의 분립체 토출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4698 1990-04-26
JP1990044698U JPH084458Y2 (ja) 1990-04-26 1990-04-26 粒体吐出容器、粒体収容体、及び、粒体集合体
JP90-57716 1990-05-31
JP5771690U JPH0739830Y2 (ja) 1990-05-31 1990-05-31 粒体吐出容器及び粒体収容体
JP90-80498 1990-07-27
JP1990080498U JP2520492Y2 (ja) 1990-07-27 1990-07-27 粒体収容体
PCT/JP1991/000536 WO1991016247A1 (en) 1990-04-26 1991-04-23 Grain supplying vessel, grain containing body, and grain assemb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664A KR920702664A (ko) 1992-10-06
KR100194160B1 true KR100194160B1 (ko) 1999-06-15

Family

ID=2729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9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4160B1 (ko) 1990-04-26 1991-04-23 정제등의 분립체 토출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30440A (ko)
KR (1) KR100194160B1 (ko)
AU (1) AU639331B2 (ko)
GB (1) GB2250019B (ko)
WO (1) WO1991016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940A (en) * 1995-08-07 1997-03-11 L.A.P. Innovations, Inc. Combination toothbrush and storage/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hereof
DE69924036T2 (de) * 1999-04-28 2006-02-09 Telum Ab Tablettenspender
KR20030070006A (ko) * 2000-10-13 2003-08-27 캐드베리 슈웨페스 피엘씨 개별 태블렛을 분배하는 태블렛 디스펜서
WO2005042377A2 (en) * 2003-10-28 2005-05-12 Mcneil-Ppc, Inc. Dispensing device for solid sweetener
US8061556B2 (en) * 2003-12-02 2011-11-22 Restaurant Technology, Inc. Automated freezer component
US20050183674A1 (en) * 2004-02-25 2005-08-25 Zutis Cerena W. Animal training device
US20070023447A1 (en) * 2005-07-26 2007-02-01 Jeong Min Yoon Discharger for tablets
US20070074668A1 (en) * 2005-09-02 2007-04-05 Zutis Cerena W Animal training device
US20070248656A1 (en) * 2006-04-25 2007-10-25 Galer Bradley S Topical preparation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080156821A1 (en) * 2006-04-25 2008-07-03 Bradley Stuart Galer Topical preparation dispens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523011B2 (en) * 2006-12-19 2013-09-03 Eduard Haas Refillable single-hand dispenser for tablets
US8881332B2 (en) * 2007-08-17 2014-11-11 Lise W. Noble Toothbrush system utilizing oral care capsule
DE102008059673A1 (de) *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Kartusche, ein die Kartusche enthaltender Arzneimittelspender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DE102008059672A1 (de) 2008-11-26 2010-07-08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Kartusche, ein die Kartusche enthaltender Arzneimittelspender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DE102008059674A1 (de)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Kartusche für einen Arzneimittelspender und deren Verwendung
DE102008059676A1 (de)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Arzneimittelspender und dessen Verwendung
RS53243B (en) * 2008-11-26 2014-08-29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INSTRUMENT, MEDIUM DOSIER - FOR SOLID DOSAGE OF MEDICINES, AS A PRACTICAL EXAMPLE OF USE OF INJECTS AND MEDIUM DOSIER
DE102008059675A1 (de) 2008-11-26 2010-05-27 Bayer Schering Pharma Aktiengesellschaft Arzneimittelspender und dessen Verwendung
US9016516B2 (en) 2010-05-10 2015-04-28 Mallinckrodt Llc Pen-type pharmaceutical product dispenser
EP2741987B1 (en) * 2011-08-08 2016-09-14 CSP Technologies, Inc. Dispenser
US20130292403A1 (en) * 2012-05-02 2013-11-07 Capsulepen LLC Pill Container
USD691365S1 (en) 2013-07-26 2013-10-15 Capsulepen LLC Pill container
US9371656B2 (en) * 2014-06-17 2016-06-21 David J. Zimmer Tile spacer dispensers
US10730687B2 (en) 2014-10-16 2020-08-04 RxCap Inc. Intelligent medicine dispenser
US10555873B2 (en) * 2015-05-26 2020-02-11 Michel Poirier Modular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US9932166B2 (en) * 2015-08-11 2018-04-03 Salt Mag LLC Tablet dispenser for athletes
CN105398699B (zh) * 2015-11-23 2018-08-07 湖南工业大学 一种安全功能性给药的药品包装方法
US10214340B2 (en) * 2016-07-01 2019-02-26 Intel Corporation Containers for holding and dispensing stacks of electronic device components
AT520530B1 (de) * 2018-02-14 2019-05-15 Pez Ag Tablettenspender
US20200130921A1 (en) * 2018-10-26 2020-04-30 Serv Goyal Bag container system
EP3674233A1 (en) * 2018-12-27 2020-07-01 Clariant Plastics & Coatings Ltd A tablet dispensing device
US11267643B2 (en) * 2019-01-22 2022-03-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Contact lens dispenser
WO2021263242A1 (en) * 2020-06-26 2021-12-30 Quip NYC Inc. Device for dispensing consumables
US20220204266A1 (en) * 2020-12-30 2022-06-30 Trinity Axis Inc. Systems And Methods To Dispense Items From A Vending Machine
USD1055406S1 (en) * 2021-04-05 2024-12-24 Silver Fox, L.L.C. Stick treat dispenser for pets
US11707163B2 (en) * 2021-06-14 2023-07-25 Angelo Masino Dispense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ounting dispensers
USD1019186S1 (en) 2021-09-09 2024-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er for unit dose articles
US11524836B1 (en) * 2021-09-09 202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US20230076994A1 (en) * 2021-09-09 2023-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388A (en) * 1929-12-09 1932-12-06 Kramlik Sebastian Golf club handle
US2632889A (en) * 1950-03-22 1953-03-31 Robert J Beecroft Stapling machine
US3270915A (en) * 1965-02-03 1966-09-06 Searle & Co Dispensing means for pharmaceutical tablets
US3344951A (en) * 1966-04-18 1967-10-03 Creative Packaging Inc Ejection pill dispenser with indicating means
US3471056A (en) * 1967-11-29 1969-10-07 Stephen Robert Kovac Article dispenser having a reciprocating ejector
US3511409A (en) * 1968-10-09 1970-05-12 Ortho Pharma Corp Tablet dispenser with hinged top and indicator ejecting wheel
GB1318450A (en) * 1969-09-05 1973-05-31 Thomas M D Dispensing device for pills and the like
US3612349A (en) * 1969-09-05 1971-10-12 Michael D Thomas Pill dispenser having ratchet-action follower
US3612348A (en) * 1969-11-17 1971-10-12 Michael D Thomas Pill dispenser with disposable magazine and indicia
US3687336A (en) * 1970-10-05 1972-08-29 Lilly Co Eli Pill dispenser with removable cartridge
US3762539A (en) * 1971-07-22 1973-10-02 G Kerr Pill dispenser
BE790620A (fr) * 1971-11-09 1973-02-15 Centromint Cy Establishment Ressort pour recipients destines a recevoir et a delivrer un par un desarticles notamment des tablettes
US3854625A (en) * 1974-02-13 1974-12-17 E Kuebler Dispensing apparatus
MX146241A (es) * 1976-09-30 1982-06-02 Antonio Lorca Vera Mejoras a envase para suministrar pastillas y similares
JPS6024779A (ja) * 1983-07-20 1985-02-07 Victor Co Of Japan Ltd のこぎり波偏向電流発生回路
US4541547A (en) * 1983-10-21 1985-09-17 Miknyocki Ronald J Token or card dispenser
US4589575A (en) * 1983-11-15 1986-05-20 Allan Rigberg Hygienic dispenser for wafers
DE3445121A1 (de) * 1984-12-11 1986-06-12 Bramlage Gmbh, 2842 Lohne Spender zur einzelausgabe von tabletten oder derglei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50019A (en) 1992-05-27
AU639331B2 (en) 1993-07-22
GB9124295D0 (en) 1992-01-08
KR920702664A (ko) 1992-10-06
WO1991016247A1 (en) 1991-10-31
GB2250019B (en) 1994-06-15
AU7655691A (en) 1991-11-11
US5230440A (en) 199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4160B1 (ko) 정제등의 분립체 토출용기
US3688945A (en) Recording tablet dispenser
US5110007A (en) Dispenser
US4887755A (en) Adjustable tablet breaking apparatus
US5366113A (en) Pill dispenser
EP1284420A3 (en) Blood glucose sensor dispensing instrument
EP2370327B1 (de) Kartusche, ein die kartusche enthaltender arzneimittelspender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HU226368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pills, as well as dispenser and pillpack for use therein
EP2034459A3 (en) Medicine feeder
WO2010060546A1 (de) Kartusche, arzneimittelspender für feststoff-arzneimittelportionen sowie verwendungen der kartusche und des arzneimittelspenders
KR20030017999A (ko) 편평한 제형의 약제 분배기
EP2370046B1 (de) Arzneimittelspender und dessen Verwendung
US6488183B1 (en) Flexible urging mechanism and dispensing kit incorporating same
EP2620259A1 (en) Apparatus for picking up, holding and dispensing objects
EP0554953A1 (en) Pocket carrier for dispensing products in precise quantities
US3830411A (en) Pill container-dispenser
CH667438A5 (it) Dispositivo per mantenere separate sino al momento dell'uso, all'interno di un contenitore due diverse sostanze, in particolare resine a due componenti.
KR200345869Y1 (ko)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JPH07177930A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加圧容器
WO2024015370A1 (en) Pill dispenser and methods of use
GB2088828A (en) Tablet dispenser
NO152077B (no) Dentalkapsel for engangsbruk
JPH0739830Y2 (ja) 粒体吐出容器及び粒体収容体
US4502611A (en) Amalgam dispensing device
DE102008059674A1 (de) Kartusche für einen Arzneimittelspender und deren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202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202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